[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85771A -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771A
KR20050085771A KR1020057011357A KR20057011357A KR20050085771A KR 20050085771 A KR20050085771 A KR 20050085771A KR 1020057011357 A KR1020057011357 A KR 1020057011357A KR 20057011357 A KR20057011357 A KR 20057011357A KR 20050085771 A KR20050085771 A KR 2005008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rotated
rotation
connection body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540B1 (ko
Inventor
쓰네오 야마다
히데카즈 미야오카
가쓰이치 사쿠라이
미노루 타니나이
고지 엔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히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추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 혹은 상기 제 2 부재(2)의 한쪽의 부재에 축부(5)를 가진 제 1 연결체(3)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부재에 상기 축부(5)를 축받이하는 축받이 구멍부(6)를 가진 제 2 연결체(4)를 설치하여, 이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를 축부(5)를 통하여 상대 회동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제 2 부재(2)에 대하여 제 1 부재(1)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제 2 부재(2)에 대한 제 1 부재(1)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의 상대과잉 회동을 저지하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등의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제안된 노트북 컴퓨터는, 문자키나 기능키를 배열한 조작부(키보드)를 아래쪽인 본체부의 윗면측에 설치하고, 이 조작부의 키 조작 등에 의해 소정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액정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위쪽인 중합부의 복면(伏面)측(중합측)에 설치하고, 이 본체부와 중합부를 힌지장치를 통하여 연결하여, 본체부와 중합부를 둘로 접어 합치고 조작부를 중합부에 의해 은폐하여 접은 폐쇄상태로부터, 힌지장치에 의해 중합부를 일으키고 넘어뜨리고 회동하여 반전하며,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타입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노트북 컴퓨터에 대하여, 보다 실용성이 있는 기능의 제안이 요구되는 가운데, 본체부와 중합부를 연결 설치하는 부위에 또 하나의 힌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에 대하여 중합부를 일으키고 넘어뜨리고 회동할 뿐만 아니라, 본체부에 대하여 일으킨 상태에서 중합부를 수평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2축타입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즉, 일으키고 넘어뜨리고 회동에 의해 개폐 동작할 뿐만 아니라, 일으킨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중합부를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를 반대측 방향을 향한 사용상태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접어 키 조작을 불필요하게 했을 때에도, 바꾸어 말해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중합부를 본체부에 합쳐 조작부를 은폐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가 위쪽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시인하거나 터치 펜에 의해 기능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수평회동할 수 있는 타입의 전자기기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극히 상품 가치가 높은 획기적인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개발하였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적인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적인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적인 동작 설명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적인 동작 설명평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개략적인 동작 설명평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축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1) 혹은 상기 제 2 부재(2)의 한쪽의 부재에 축부(5)를 가진 제 1 연결체(3)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부재에 상기 축부(5)를 축받이하는 축받이 구멍부(6)를 가진 제 2 연결체(4)를 설치하여, 이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를 축부(5)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제 2 부재(2)에 대하여 제 1 부재(1)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제 2 부재(2)에 대한 제 1 부재(1)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을 저지하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비하고,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는, 상기 축부(5)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회동부재(8)를 설치하고, 이 회동부재(8)와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에, 이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가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방향으로 함께 회동하게 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와 상기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에도, 이 공동 회동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저지하는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를, 상기 회동부재(8)와 상기 제 2 연결체(4) 혹은 제 1 연결체(3)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가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에 설치된 제 1 걸어멈춤부(11)의 좌우 측부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제 1 충돌부(12)를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하고, 이 제 1 충돌부(12)가 제 1 걸어멈춤부(11)의 좌우 측부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와 상기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공동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를 구성하고, 이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와 상기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에 설치된 제 2 걸어멈춤부(13)의 좌우측부 중의 한쪽의 측부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충돌부(14)를 상기 제 2 연결체(4) 혹은 제 1 연결체(3)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와 상기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다른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에 설치된 제 2 걸어멈춤부(13)의 좌우 측부 중의 상기 제 2 충돌부(14)가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측부와 반대측의 측부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3 충돌부(15)를 상기 제 2 연결체(4) 혹은 제 1 연결체(3)에 설치하여 상기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를 왼쪽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와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한 제 1 충돌부(12)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를 오른쪽방향으로 상대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와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한 제 1 충돌부(12)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가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청구항 1∼3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장치를 추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 2 부재에 대하여 제 1 부재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게다가, 단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수평회동할 수 있는 타입의 전자기기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매우 실용성이 높은 획기적인 힌지장치 및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가 된다.
또한, 청구항 2,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수평 회동할 수 있는 타입의 전자기기의 실용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과도한 회동 저지기능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는 획기적인 힌지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획기적인 전자기기가 된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발명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를, 도면에 기초하여 그 작용 효과를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부재(1)에 제 1 연결체(3)를 설치하고, 제 2 부재(2)에 제 2 연결체(4)를 설치하여, 이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를 축부(5)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이 힌지장치에 의해서,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2 부재(2)를 조작부를 설치한 본체부로 하고, 제 1 부재(1)를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한 중합부로 하면, 제 2 부재(2)에 대하여 제 1 부재(1)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는 그때마다 회동시키기 쉬운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취급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하게 된다.
또한, 이 제 2 부재(2)에 대한 제 1 부재(1)의 좌우 어느 한 방향에의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을 저지하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비하고 있으며, 필요이상으로 제 2 부재(2)에 대하여 제 1 부재(1)를 회동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가 배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 사이에 설치되는 배선 등이 비틀려 절단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는, 상기 축부(5)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회동부재(8)를 설치하고, 이 회동부재(8)와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에, 이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게 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연결체(3) 혹은 제 2 연결체(4)와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에도, 이 함께 회동하는 것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저지하는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10)를, 회동부재(8)와 제 2 연결체(4) 혹은 제 1 연결체(3)에 설치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술한 2축타입의 노트북 컴퓨터에 적용했을 경우{제 2 부재(2)에 대하여 일으킨 상태의 제 1 부재(1)를 대략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추착부에 조립했을 경우}에는, 단순히 제 1 부재(1)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수평회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부재(1)를 왼쪽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을 때에도, 오른쪽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을 때에도 항상 사용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에 공헌한다.
즉,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단순한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하나의 걸어멈춤돌기와 제 2 연결체(4)를 설치한 하나의 걸어멈춤돌기의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의 상대 회동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제 1 부재(1)를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을 때, 어느 쪽이든 한방향으로의 수평회동시에 제 1 부재(1)가 바로 뒤를 향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 1 부재(1)를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을 때, 이 제 1 부재(1)가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걸어멈춤돌기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한 걸어멈춤돌기가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이 저지되도록 설정했을 경우, 반대로, 제 1 부재(1)를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을 때에는, 이 제 1 부재(1)가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상대적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그 바로 앞에서 정지한다. 즉, 제 1 연결체(3)의 걸어멈춤돌기의 두께와 제 2 연결체(4)의 걸어멈춤돌기의 두께에 의해 제 1 부재(1)는 바로 뒤를 향하기 전에 기울어진 상태로 그 회동이 저지되게 되어, 양호한 사용 상태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제 2 부재(2)에 대하여 일으킨 상태의 제 1 부재(1)를 다시 제 2 부재(2)에 대하여 합치도록 넘어뜨리고자 하는 경우, 제 1 부재(1)가 바로 정면 혹은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물론, 제 1 연결체(3)의 걸어멈춤돌기와 제 2 연결체(4)의 걸어멈춤돌기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이 문제점에 대응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그 강도상, 어느 정도의 두께는 필요하므로, 현실적이지 않다.
이 점에 있어, 본 발명은,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의 사이에 회동부재(8)를 통하여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1 부재(1)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수평회동시켰다고 해도, 항상 제 1 부재(1)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그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실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도 11∼14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노트북 컴퓨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회로 기판, 전원 등의 전자 부품을 케이스에 내장한 판형상의 제 2 부재(2){본체부(2)}의 윗면측에 문자키나 기능키 등을 배열한 키보드 기능을 수행하는 조작부(2a)를 설치하고, 이 본체부(2)에 합쳐져 조작부(2a)를 덮는 대략 동형의 판형상의 제 1 부재(1){중합부(1)}을 대략 수평회동이 자유롭게 힌지장치(H)에 의해 피복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를 이용한 전자기기로서 노트북 컴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본 실시예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면 적절히 적용한다).
이 중합부(1)의 윗면측에는 미리 설정한 화면이나 상기 조작부(2a)의 조작이나 착신 등에 의해 소정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부(1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본체부(2)와 중합부(1)의 연결은, 쌍방의 끝단부끼리의 중합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축부(5)를 가진 힌지장치(H)에 의해 연결하여 이 축부(5)를 회동 지지축으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함과 동시에, 도시를 생략한 힌지장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일으키고 넘어뜨리고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즉, 본체부(2)에 대하여 중합부(1)를 일으키고 넘어뜨리고 회동할 뿐만 아니라, 본체부(2)에 대하여 일으킨 상태에서 중합부(1)를 수평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2축타입의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힌지장치(H)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합부(1)에 나사 등으로 부착되는 금속판제의 제 1 연결체(3)를 설치하고, 본체부(2)에 나사 등으로 부착되는 금속제의 제 2 연결체(4)를 설치하여, 이 제 1 연결체(3)와 제 2 연결체(4)를 원기둥형상의 축부(5)를 통하여 축부착 연결함으로써, 제 1 부재(1)에 대하여 제 2 부재(2)를 합친 상태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축부(5)는, 제 1 연결체(3)의 내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부(5)가 관통하여 걸어맞춤 상태에서 축받이하는 원형상의 축받이 구멍부(6)를 제 2 연결체(4)의 내면 중앙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 축부(5)를 회동 지지축으로서 본체부(2)에 대하여 중합부(1)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대략 수평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2)에 대한 중합부(1)의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을 저지하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는, 본체부(2)에 대하여 중합부(1)를 합친 상태로부터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도, 중합부(1)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되는 동일위상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구체적으로는,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는,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축부(5)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고리형상의 회동부재(8)를 끼워 연결하고, 이 회동부재(8)와 제 1 연결체(3)에, 이 제 1 연결체(3)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게 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에도, 이 공동 회동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저지하는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를, 회동부재(8)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는, 제 1 연결체(3)가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회동부재(8)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갈고리 모양 돌출부(8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 1 걸어멈춤부(11)의 좌우측부(11a, 11b)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제 1 충돌부(12)를 제 1 연결체(3)의 축부(5)에 돌출형성하고 있으며, 제 1 연결체(3)를 오른쪽방향으로 회동(시계회전방향으로 축회동)시킴으로써, 이 제 1 충돌부(12)의 하나의 측부(12a)가 제 1 걸어멈춤부(11)의 하나의 측부(11a)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오른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고, 반대로, 제 1 연결체(3)를 왼쪽방향으로 회동(반시계회전방향으로 축회동)시킴으로써, 이 제 1 충돌부(12)는 대략 한바퀴 돈 후, 상기 제 1 충돌부(12)의 다른 측부(12b)가 제 1 걸어멈춤부(11)의 다른 측부(11b)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왼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에 의해,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오른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갈고리 모양 돌출부(8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걸어멈춤부(13)의 하나의 측부(13a)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충돌부(14)를 제 2 연결체(4)의 윗면으로 하여 축받이 구멍부(6)의 주위에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반대로,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왼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회동부재(8)에 설치된 제 2 걸어멈춤부(13)의 다른 측부(13b)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3 충돌부(15)를 제 2 연결체(4)의 윗면으로 하여 상기 제 2 충돌부(14)와 소정간격(S)을 둔 위치에 돌출형성하여 상기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10)는 구성되어 있다(도 2, 3, 4 참조).
또한,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성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와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10)는, 제 2 연결체(4)에 대하여 제 1 연결체(3)를 왼쪽방향으로 상대 회동시켰을 때,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제 1 충돌부(12)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와, 제 2 연결체(4)에 대하여 제 1 연결체(3)를 오른쪽방향으로 상대 회동시켰을 때,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제 1 충돌부(12)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가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이 축부(5)가 360°의 범위내에서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제 1 충돌부(12)가 동일위상위치에서 과도한 회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제 1 충돌부(12)의 두께(폭) L1와, 갈고리 모양 돌출부(8a){제 1 걸어멈춤부(11) 및 제 2 걸어멈춤부(13)}의 두께(폭) L2와,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10)에 관한 제 2 충돌부(14)와 제 3 충돌부(15)의 간격(S)의 설정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도 7, 8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체(3)의 제 1 충돌부(12)가 회동부재(8)의 제 1 걸어멈춤부(11)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제 1 연결체(3)는 회동부재(8)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300°회동할 수 있고, 회동부재(8)의 제 2 걸어멈춤부(13)가 제 2 연결체(4)의 제 2 충돌부(14) 및 제 3 충돌부(15)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회동부재(8)는 제 2 연결체(4)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60°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에 의해서 규제되는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의 상대 회동범위(R1)와,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10)에 의해서 규제되는 제 2 연결체(4)와 회동부재(8)의 상대 회동 범위(R2)의 합(R1 + R2)이 360°가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에 있어서의 회동 허용 범위를 360°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 및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에 의해서 규제되는 상대 회동 범위의 설정에 의해, 360°이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과잉회동 저지기구(7)를 구비한 힌지장치(H)를 통하여 본체부(2)와 중합부(1)를 좌우 방향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이 자유롭게 연결할 때에는, 중합부(1)의 디스플레이부(1a)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과잉회동 저지기구(7)가 기능하여 회동저지가 이루어지도록 조립된다(도 9 참조).
이러한 조립은, 본체부(2)와 중합부(1)의 사이에 배치되는 배선 등의 꼬임을 고려하면 유리하다.
즉, 이것은, 중합부(1)를 {디스플레이부(1a)}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배선에 꼬임이 없는 상태로 한 경우이며, 만일, 중합부(1){디스플레이부(1a)}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과잉회동 저지기구(7)에 의한 과도한 회동 저지가 기능하도록 조립했을 경우, 중합부(1)는 360°수평회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선은 360°의 수평회동에 의한 꼬임을 받게 되지만, 이것은, 중합부(1){디스플레이부(1a)}가 바로 뒤를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과잉회동 저지기구(7)에 의한 과도한 회동 저지가 기능하도록 조립했을 경우에는, 중합부(1){디스플레이부(1a)}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최대로도 180°이상 같은 방향으로 수평회동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배선 등의 꼬임이 가급적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연결체(3)의 축부(5)와 제 2 연결체(4)의 축받이 구멍부(6)의 연결은, 와셔(16)를 통하여 축받이 구멍부(6)에 삽입통과시킨 축부(5)에 제 2 연결체(4)에 맞닿는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한 탄성체(17)를 개재하여 빠짐방지 연결하고, 이 탄성체(17)에 형성한 압접부(17a) 가 제 2 연결체(4)의 바깥면에 탄압하여 맞닿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링형상의 판스프링(17)에 돌기를 압접부(17a)로서 형성하고, 판스프링(17)을 변형시키도록 하여 축부(5)를 축받이 구멍부(6)에 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이 돌기형상의 압접부(17a)가 제 2 연결체(4)에 탄압하여 맞닿고, 본체부(2)에 대한 중합부(1)의 수평회동에 저항이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이 회동저항을 소정치로 설정함으로써, 부드럽게 손으로 수평회동할 수 있지만, 손을 뗀 위치에서 중합부(1)가 걸어멈춤 유지되는 이른바 프리스톱 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5)의 수평회동을 소정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걸어멈춤하는 위치결정 걸어멈춤 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중합부(1){디스플레이부(1a)}가 적어도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서 회동 걸어멈춤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위치결정 걸어멈춤기구를 상기 돌기형상의 압접부(17a)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축받이 구멍부(6)의 구멍가장자리 대향위치에 이 압접부(17a)가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오목가장자리부(6a){제 2 연결체(4)에 축받이 구멍부(6)와는 별도로 걸어맞춤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를 형성하여, 이 압접부(17a)가 제 2 연결체(4)에 압접한 상태로부터 이 오목가장자리부(6a)(혹은 끼워맞춤구멍)에 들어가 위치결정되어 걸어멈춤되도록 구성되어, 중합부(1){디스플레이부(1a)}가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흔들거려 회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쉽도록 하고 있다(소위 클릭 캠 기구이다).
한편, 축부(5)의 축방향으로 속이 빈 구멍부를 형성하여, 전기 코드 등을 이 속이 빈 구멍부분에 삽입통과하여 배치함으로써 중합부(1)를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체(3), 축부(5) 및 제 2 연결체(4) 등을 도전성의 금속재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힌지장치(H) 자체를 도전부로 하여 본체부(2){제 2 부재(2)}측과 중합부(1){제 1 부재(1)} 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부호 18은 디스플레이부(1a)에 접촉함으로써 입력을 행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과잉회전 이동저지기구로서 다른 타입을 설치한 것이다.
즉,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7)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연결체(3)에 설치한 축부(5)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 회동이 자유로운 고리형상의 회동부재(8)를 끼워 연결하고, 이 회동부재(8)와 제 1 연결체(3)에, 이 제 1 연결체(3)가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회동부재(8)가 모두 좌우 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게 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에 의한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의 공동 회동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저지하는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를, 회동부재(8)와 제 2 연결체(4)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는, 제 1 연결체(3)가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회동부재(8)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1 걸어멈춤부(11)의 좌우측부(11a, 11b)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1 충돌부(12)를 제 1 연결체(3)의 축부(5)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연결체(3)를 오른쪽방향으로 회동(시계회전방향으로 축회동)시킴으로써, 이 제 1 충돌부(12)의 하나의 측부(12a)가 제 1 걸어멈춤부(11)의 하나의 측부(11a)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오른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고, 반대로, 제 1 연결체(3)를 왼쪽방향으로 회동(반시계회전방향으로 축회동)시킴으로써, 이 제 1 충돌부(12)는 오목부의 폭만큼 회동한 후, 상기 제 1 충돌부(12)의 다른 측부(12b)가 제 1 걸어멈춤부(11)의 다른 측부(11b)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왼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9)에 의해,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오른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2 걸어멈춤부(13)의 하나의 측부(13a)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충돌부(14)를 제 2 연결체(4)의 윗면에 형성한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축받이 구멍부(6)내에 돌출형성한 볼록부의 하나의 측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반대로, 제 1 연결체(3)와 회동부재(8)가 모두 왼쪽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8)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2 걸어멈춤부(13)의 다른 측부(13b)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3 충돌부(15)를 제 2 연결체(4)의 윗면에 형성한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축받이 구멍부(6)내에 돌출형성한 볼록부의 다른 측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10)는 구성되어 있다(도 11∼14 참조).
그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와 같다.

Claims (4)

  1.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축부착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 혹은 상기 제 2 부재의 한쪽의 부재에 축부를 가진 제 1 연결체를 설치하고, 다른 한쪽의 부재에 상기 축부를 축받이하는 축받이 구멍부를 가진 제 2 연결체를 설치하여, 이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를 축부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함으로써, 제 2 부재에 대하여 제 1 부재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제 2 부재에 대한 제 1 부재의 좌우 어느 한 방향에의 상대적으로 과도한 회동을 저지하는 과잉회동 저지기구를 구비하고,
    이 과잉회동 저지기구는,
    상기 축부에 대하여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회동부재를 설치하고, 이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에, 이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가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가 모두 좌우 방향으로 공동 회동하게 되는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와 상기 회동부재가 모두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에도, 이 공동 회동을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저지하는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를,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제 2 연결체 혹은 제 1 연결체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가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된 제 1 걸어멈춤부의 좌우측부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제 1 충돌부를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에 설치하고, 이 제 1 충돌부가 제 1 걸어멈춤부의 좌우측부 각각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와 상기 회동부재가 모두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공동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를 구성하고,
    이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와 상기 회동부재가 모두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된 제 2 걸어멈춤부의 좌우측부 중의 한쪽의 측부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2 충돌부를 상기 제 2 연결체 혹은 제 1 연결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와 상기 회동부재가 모두 좌우 어느 다른 방향으로 공동 회동했을 때,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된 제 2 걸어멈춤부의 좌우측부 중의 상기 제 2 충돌부가 충돌하여 걸어멈춤하는 측부와 반대측의 측부에 충돌하여 걸어멈춤하여 그 공동 회동을 저지하는 제 3 충돌부를 상기 제 2 연결체 혹은 제 1 연결체에 설치하여 상기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를 왼쪽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와 제 2 충돌 걸어멈춤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에 설치한 제 1 충돌부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를 오른쪽방향으로 상대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 1 충돌 걸어멈춤기구와 제 2 충돌 걸어멈춤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체 혹은 제 2 연결체에 설치한 제 1 충돌부가 회동 정지하는 위치가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힌지장치를 추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20057011357A 2002-12-19 2003-12-18 전자기기 KR100713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8248 2002-12-19
JP2002368248A JP2004197862A (ja) 2002-12-19 2002-12-19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71A true KR20050085771A (ko) 2005-08-29
KR100713540B1 KR100713540B1 (ko) 2007-04-30

Family

ID=326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357A KR100713540B1 (ko) 2002-12-19 2003-12-18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5781B2 (ko)
EP (1) EP1577573A4 (ko)
JP (1) JP2004197862A (ko)
KR (1) KR100713540B1 (ko)
CN (1) CN100414126C (ko)
AU (1) AU2003289423A1 (ko)
WO (1) WO2004057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303987A1 (en) * 2003-03-03 2004-09-28 M2Sys Co., Ltd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274564B2 (en) * 2003-06-23 2007-09-25 Jaco, Inc. Locking cradle for tablet computers
GB2409497B (en) * 2003-12-23 2007-06-20 Nokia Corp Modular hing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TWM258551U (en) * 2004-04-02 2005-03-01 Compal Electronics Inc Pivot mechanism portable computer
JP4778207B2 (ja) * 2004-06-08 2011-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その組み立て方法
US20060107492A1 (en) * 2004-11-25 2006-05-25 Sheng-Hao Chang Rotary hinge for rotationally coupling image capturing device with display panel
JP4655680B2 (ja) * 2005-03-01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とこれを用いた携帯型通信端末
TWM273759U (en) * 2005-03-31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JP4740627B2 (ja) * 2005-03-31 2011-08-03 加藤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二軸ヒンジ装置
TWM278940U (en) * 2005-06-08 2005-10-21 Quanta Comp Inc Two-way auto-lock tablet PC hinge
KR101227851B1 (ko) * 2005-06-10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JP2007092820A (ja) * 2005-09-27 2007-04-12 Showa Corp フロントフォークのばね荷重調整装置
US7409746B2 (en) * 2006-05-10 2008-08-12 Shin Zu Shing Co., Ltd. Swivel hinge
JP4772595B2 (ja) * 2006-06-07 2011-09-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936797B2 (ja) 2006-06-07 2012-05-2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0582505C (zh) * 2006-07-14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0754524B1 (ko) * 2006-09-1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7533449B2 (en) * 2006-10-16 2009-05-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to improve panel stability
US20080099420A1 (en) * 2006-11-01 2008-05-0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Rotatable Stand with Adjustable Tightness
US20080104797A1 (en) * 2006-11-03 2008-05-08 Shin Zu Shing Co., Ltd. Rotatable hinge
JP5148152B2 (ja) * 2007-04-09 2013-02-20 加藤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DE112008000890B4 (de) * 2007-05-28 2012-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Monitoraufhängungseinrichtung
TW200848629A (en) * 2007-06-11 2008-12-16 Jarllytec Co Ltd Revolving axle structure with position-locking engagement means
US8002227B2 (en) * 2007-07-27 2011-08-23 Joseph Garcia Pivot and tilt apparatus
US7735197B2 (en) * 2007-09-14 2010-06-1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for circumrotatory location
US7743468B2 (en) * 2007-11-13 2010-06-2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JP2009264460A (ja) * 2008-04-24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101725622B (zh) * 2008-10-17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725624B (zh) * 2008-10-24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TWI386148B (zh) * 2008-11-07 2013-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鉸鏈結構
TW201020718A (en) * 2008-11-17 2010-06-01 Kye Systems Corp Rotation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ion mechanism
WO2010073440A1 (ja) * 2008-12-25 2010-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チルトヒンジ
US20100170063A1 (en) * 2009-01-07 2010-07-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102009021486B4 (de) * 2009-05-15 2013-07-04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lc & Co. Kg Verfahren zur Feldeffekttransistor-Herstellung
US8146207B2 (en) * 2009-08-17 2012-04-03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201496391U (zh) * 2009-08-27 2010-06-02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双向枢纽器
US8418319B2 (en) * 2009-08-28 2013-04-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inge mechanism
JP5451298B2 (ja) * 2009-10-14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
CN102052390B (zh) * 2009-10-30 2013-08-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机构
TWM400736U (en) * 2010-04-15 2011-03-21 Lian Hong Art Co Ltd 360 degrees rotatable bi-directional hinge
TWI435007B (zh) * 2011-12-23 2014-04-21 Wistron Corp 雙軸式樞轉機構及其電子裝置
CN103062208B (zh) * 2012-12-19 2016-03-02 申清章 铰链机构
JP6155979B2 (ja) * 2013-08-29 2017-07-0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WO2015045131A1 (ja) 2013-09-27 2015-04-0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ヒンジユニット
TWI559611B (zh) * 2014-04-14 2016-11-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天線結構的電子裝置
JP6327640B2 (ja) * 2014-04-30 2018-05-2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回転範囲制限装置及び構造体を含む装置
WO2016157529A1 (ja) * 2015-04-03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ンジ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10432840B2 (en) 2015-10-08 2019-10-01 L-3 Communication-Insight Technology Division Fusion night vision system
CN107666787B (zh) * 2016-07-27 2020-01-21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的手部绑带结构
US11060333B2 (en) * 2019-06-28 2021-07-13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JP7622312B1 (ja) 2024-02-10 2025-01-28 株式会社Ibis 美容機器の回転式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9653A (en) 1949-05-02 1952-03-18 Alvarez-Tostado Claudio Production of silicon sulfide
US2766103A (en) 1953-12-02 1956-10-09 Monsanto Chemicals Process of producing silicon sulfide
US3321326A (en) 1964-08-20 1967-05-23 Du Pont Tetragonal silicon and germanium disulfides and their preparation
SU899464A1 (ru) 1980-04-11 1982-01-23 Институт Не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Со Ан Ссс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дисульфида кремни
US4491639A (en) 1982-09-30 1985-01-01 Ga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king high activity transition metal catalysts
JPS6379716A (ja) 1986-09-22 1988-04-09 Toyota Motor Corp 硫化珪素の製造方法
JP2595643B2 (ja) 1988-03-31 1997-04-02 スズキ株式会社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チェンガイド装置
JPH02242510A (ja) 1989-03-16 1990-09-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JPH0394318A (ja) * 1989-09-07 1991-04-19 Toshiba Corp 携帯用電子機器
DE69112102T2 (de) * 1990-03-07 1996-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Öffnungs- und Schliessmechanismus.
JPH05289774A (ja) 1992-04-10 1993-11-05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3143246B2 (ja) 1992-12-28 2001-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業務用冷蔵庫
JP3467362B2 (ja) 1996-01-08 2003-11-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3885897B2 (ja) 1996-04-16 2007-02-28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硫化珪素の製造方法
JPH1026128A (ja) * 1996-07-10 1998-01-2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JPH10235593A (ja) 1997-02-27 1998-09-08 Toshiba Corp 旋回軸ストッパ
KR100242840B1 (ko) * 1997-05-27 2000-02-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
US5970580A (en) * 1998-03-23 1999-10-26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Tilt hinge for office automation equipment
KR200196906Y1 (ko) * 1998-07-11 2000-10-02 정기근 힌지장치
US6347433B1 (en) * 1999-06-18 2002-02-19 Cema Technologies, Inc. Flat panel display tilt and swivel mechanism
JP2001029372A (ja) * 1999-07-15 2001-02-06 Iwao Kasahara 関節ねじれ防止サポーター
KR100611957B1 (ko) 1999-09-1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 구조체
JP2001119271A (ja) * 1999-10-18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振回路
JP4434505B2 (ja) 2001-02-06 2010-03-17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装置
TW495130U (en) * 2001-02-09 2002-07-11 Acer Inc Flat display device and the rotatory structure thereof
JP3982199B2 (ja) 2001-04-18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連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2003120653A (ja) * 2001-10-17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0414670B1 (ko) * 2001-11-28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JP4360593B2 (ja) * 2002-02-15 2009-11-1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US6813813B2 (en) * 2003-01-06 2004-11-09 Shin Zu Shing Co., Ltd. Collapsible hinge bracket for a laptop computer
JP2004332874A (ja) * 2003-05-09 2004-11-25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7573A1 (en) 2005-09-21
AU2003289423A8 (en) 2004-07-14
JP2004197862A (ja) 2004-07-15
CN1729362A (zh) 2006-02-01
KR100713540B1 (ko) 2007-04-30
WO2004057201A1 (ja) 2004-07-08
US7155781B2 (en) 2007-01-02
EP1577573A4 (en) 2009-04-01
AU2003289423A1 (en) 2004-07-14
CN100414126C (zh) 2008-08-27
US20060021195A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40B1 (ko) 전자기기
JP4851068B2 (ja) 角度調整装置
US9021659B2 (en) Hinge structure
US7216401B2 (en) Hinge assembly and housing
JP4740627B2 (ja) 電子機器の二軸ヒンジ装置
KR10024885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80239401A1 (en) Multi-axis hing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WO2012039360A1 (ja) 開閉装置用カバー機構
JP2007177829A (ja)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US7379292B2 (en) Electronic device
CN215581260U (zh) 壳组件和电子设备
JP5398227B2 (ja) 回動支持装置並びに情報端末
EP3930295B1 (en) Connectio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JP3380333B2 (ja) 操作パネル
JP2003120652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5022331B2 (ja)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05188641A (ja) 二軸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折畳み式の携帯電話機
JP2003336620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5976052B2 (ja) 電子機器
JP2003125050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152342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100507803C (zh) 转轴制约装置
KR100656392B1 (ko) 스위블힌지장치
JP2009133492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47325Y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