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6305A -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305A
KR20050066305A KR1020030097570A KR20030097570A KR20050066305A KR 20050066305 A KR20050066305 A KR 20050066305A KR 1020030097570 A KR1020030097570 A KR 1020030097570A KR 20030097570 A KR20030097570 A KR 20030097570A KR 20050066305 A KR20050066305 A KR 2005006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lens
image
len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석
안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305A/ko
Priority to US11/002,101 priority patent/US7483074B2/en
Publication of KR2005006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촬상장치를 다양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된 렌즈부 및/또는 단자연결부를 갖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잡는 렌즈부와, 일단으로 렌즈부가 출몰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화상출력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렌즈부에 잡힌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부, 및 본체에 설치되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렌즈부는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대해 전후 및/또는 상하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줌렌즈가 설치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출몰식 영상촬상장치{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ppearing and Disappearing Lens Uni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영상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촬상장치가 다양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렌즈부 및/또는 단자연결부가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촬상장치는 렌즈에 잡힌 영상을 화상출력부를 통하여 보면서 원하는 장면을 선택적으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이 캠코더나 카메라 등이다. 요즈음은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영상촬상장치가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탈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가 종래의 아날로그 카메라나 아날로그 캠코더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캠코더 등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과 달리 보다 소형화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연결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소개된 영상촬상장치는 단지 피사체를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으로 촬영하는 본래의 목적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디지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화된 영상촬상장치는 필수적 구성요소인 화상출력부와 메모리를 이용하여 영상촬상장치를 PDA나 게임기, 또는 MP3 플레이어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만일, 현대의 젊은층이 필수품으로 여기는 PDA,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을 영상촬상장치와 결합시킨다면 젊은층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영상촬상장치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본체의 형상이 사용자가 취급하기에 편리한 형상을 갖고 있어야 하나, 종래의 영상촬상장치는 렌즈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목적으로 영상촬상장치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렌즈부가 본체로부터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필요시에만 렌즈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본체에 수납되어 있어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취급이 편리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목적은 영상촬상장치를 PDA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화상출력부의 취부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촬상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촬영자세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돌출된 경우 본체에 대해 상하/전후로 회전가능한 렌즈부를 갖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영상을 잡는 렌즈부; 일단으로 상기 렌즈부가 출몰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화상출력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에 잡힌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경우에 렌즈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거나, 렌즈방향에 대해 평행인 축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는 본체의 타단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단자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자연결부는 직류전원단자와, 컴퓨터 연결커넥터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출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화상출력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해 180도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닫힌 상태에 있는 상기 화상출력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렌즈부의 줌렌즈를 조절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영상을 잡으며, 줌기능을 갖는 렌즈부; 일단으로 상기 렌즈부가 자동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화상출력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의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터치패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에 잡힌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부; 및 상기 본체의 화상출력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대해 전후 및/또는 상하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줌렌즈가 설치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덮힌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기 본체를 잡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된 커서버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는 렌즈부(1), 화상출력부(20), 단자연결부(30), 배터리(40), 기록부(50), 제어부(60), 및 본체(70)를 포함한다.
렌즈부(1)는 렌즈부(1)의 전단이 본체(7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70)의 안쪽에 수납되며, 피사체의 영상을 잡는 렌즈(2)와, 외부의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3) 및 야간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플래시(5)를 포함한다. 이때, 렌즈(2)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줌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부(1)는 본체(70)에 대해 수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수납되거나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여 버튼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본체(70)에 대해 출몰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부(1)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렌즈부(1)가 본체(70)에 대해 슬라이드되어 수납되어 있는 경우와 돌출된 경우의 본체(70) 내부의 일예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렌즈부(70)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되면, 본체(70)의 내부에는 렌즈부(1)가 돌출된 만큼의 공간(71)이 생기게 되고, 렌즈부(1)가 본체(70)로 수납되면 렌즈부(1)의 전단(1a)이 본체(70)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본 도면에서는 렌즈부(1)를 본체(70)에 대해 자동으로 수납하거나 돌출시키는 동력원과 그 동력전달구조는 본 발명의 출원일 전에 공개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렌즈부(1)는 촬영자세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10)와 이동부(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렌즈(2)등이 설치되는 회전부(12)로 구성할 수 있다. 렌즈부(1)가 돌출된 경우는 회전부(12)만 본체(7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부(10)의 상면이 본체(70)의 일단과 일치되게 된다. 또 렌즈부(1)가 삽입되는 경우는 회전부(12)의 상면이 본체(70)의 일단과 일치되어 렌즈부(1)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회전부(12)와 이동부(10)는 힌지(14)로 연결되며, 힌지(14)는 회전부(12)가 이동부(10)에 대해 전후로만 일정 각도, 예컨대 전방으로 90도와 후방으로 90도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전부(12)가 이동부(10)에 대해 상하로만 일정 각도, 예컨대 상측으로 180도와 하측으로 180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회전부(12)가 이동부(10)에 대해 전후 및 상하로 일정 각도, 예컨대 전방으로 90도, 후방으로 90도, 상측으로 180도, 하측으로 180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14)를 형성할 수 있다.
화상출력부(20)는 본체(7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렌즈(2)에 잡힌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화상출력부(20)로는 TFT-LCD가 사용된다. 화상출력부(20)와 본체(70)를 연결하는 힌지(22)는 화상출력부(20)가 본체(70)에 대해 일정 각도까지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화상출력부(20)가 본체(70)에 대해 대략 90도로 열린 상태에서 화상출력부(20)가 힌지(22)를 중심으로 본체(7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화상출력부(20)는 일방향으로 180도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출력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1)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본체(70)에 덮힐 수 있도록, 본체(70)에 대해 대략 90도로 열린 후 일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본체(70)에 접을 수 있다.
단자연결부(30)는 본체(70)의 타측, 즉 렌즈부(1)가 설치된 본체(70)의 일측과 반대측에 설치되며, 본체(70)에 대해 슬라이드되어 수납될 수 있다. 단자연결부(30)의 본체(7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수동으로 본체(70)에 대해 삽입하거나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단자연결부(30)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단자연결부(30)에는 영상촬상장치가 갖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단자들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배터리(40)를 충전하거나 배터리 대신에 직류전원장치를 연결하여 쓸 수 있도록 하는 직류전원단자(DC JACK, 33)와,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연결커넥터로 USB 커넥터(31)와 시리얼 커넥터(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영상촬상장치의 배터리(40)를 충전하거나,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는 단자연결부(30)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단자연결부(30)를 본체(70) 내부에 수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기록부(50)는 렌즈부(1)에 잡힌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디지털 캠코더에 사용되는 것이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기록부(50)는 기록매체에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기록매체를 본체(70)로 수납/배출하는 매체수납수단을 포함하며, 사용되는 기록매체에 따라 그 구조는 달라지게 된다. 기록매체로서는 디지털 카세트 테이프, 메모리 카드, CD, DVD, 하드 디스크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영상촬상장치가 각종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60)는 렌즈부(1)를 제어하고, 렌즈(2)에 잡힌 피사체의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출력부(20)로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영상이 기록매체에 기록되도록 기록부(50)를 제어한다. 또한, 이동부(10)를 제어하여 렌즈부(1)가 본체(70)에 대해 돌출되거나 안쪽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또, 제어부(60)는 영상촬상장치가 PDA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공지된 PDA의 제어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게임기로서 각종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상출력부(20)와 주변의 버튼(81,82,83)을 제어한다. 제어부(60)에는 음성신호송신부(62)가 연결되어 있어 게임 실행시의 음성데이터나 메모리에 저장된 MP3 음악파일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음성신호송신부(62)는 유선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 등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잭을 사용하거나,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40)는 상술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충전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40)는 화상출력부(20)가 본체(70)에 덮인 상태에 있을 때, 화상출력부(2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본체(70)에 설치된다(도 6 참조).
본체(70)는 상기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가 상호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영상촬상장치의 몸체를 이룬다. 본체(70)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본체(70)의 양단을 잡고 화상출력부(20)의 외측에 설치된 각종 버튼(81,82,83)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70)의 일단에는 렌즈부(1)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본체(70)에 대해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는 단자연결부(30)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본체(70)에 대해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체(70)의 일측면(도 7의 경우에는 본체의 앞면)에는 화상출력부(20)가 본체(70)에 대해 열고 닫힐 수 있으며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2)로 조립되어 있다. 본체(70)의 화상출력부(20) 주위에는 화상출력부(20)의 화면(21)에 나타나는 커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커서버튼(8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70)의 화상출력부(20) 주위에는 렌즈(2)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줌버튼(81)이나 렌즈(2)에 잡힌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버튼(8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줌버튼(81)이나 기록버튼(82)은 영상촬상장치가 다른 기능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사용되도록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체(70)의 타측면, 즉 본체(70)의 후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TOUCH PAD, 80)가 설치될 수 있다. 터치패드(80)는 일반적인 노트북에 사용되는 터치패드와 동일한 것으로 영상촬상장치가 캠코더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줌렌즈(2)의 초점을 조정하는 스위치로 사용된다. 따라서, 터치패드(80)를 일방향(예컨대 전방)으로 스크롤하면 렌즈(2)가 줌인(ZOOM IN)되고 터치패드(80)를 타방향(예컨대 후방)으로 스크롤하면 렌즈(2)가 줌아웃(ZOOM OUT)되도록 구성된다. 또 터치패드(80)는 영상촬상장치가 컴퓨터와 연결된 경우에는 노트북의 터치패드와 동일하게 마우스로 사용되도록 설정된다. 본체(70)의 상면에는 영상촬상장치의 기능, 예컨데 촬영, 재생, PDA등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버튼(85)과, 렌즈부(1)를 출몰시킬 수 있는 렌즈출몰버튼(8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캠코더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능선택버튼(85)을 촬영으로 위치시키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렌즈부(1)는 도 1과 같이 본체(70)에 수납된 상태로 영상을 잡을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렌즈부(1)를 본체(7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줌버튼(81)이나 터치패드(80)를 이용하여 렌즈(2)의 초점을 맞춘 후에 기록버튼(82)을 누르면 원하는 영상이 기록부(50)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게임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상출력부(20)를 본체(70)에서 대략 90도 정도로 연 후 도 6과 같이 본체(70)에 대해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본체(70)에 덮어 도 7과 같이 화상출력부(20)의 화면(21)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만든다. 그 후 기능선택버튼(85)을 PDA로 놓고, 도 7과 같이 본체(70)의 양단을 양손으로 잡고 화상출력부(20)의 좌우측에 마련된 커서버튼(83) 등을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는 렌즈부(1)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손으로 본체(70)를 잡고 각종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PDA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능선택버튼(85)을 PDA로 한 상태에서 게임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화상출력부(20)의 화면(2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킨 후 커서버튼(83)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볼 수 있다. 이때,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한 화면(21)에서의 직접입력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자연결부(30)를 돌출시킨 후 USB나 시리얼 커넥터(31,32)를 컴퓨터와 연결하면 된다. 그러면,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메모리나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업로드(UPLOAD)시키거나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로 다운로드(DOWNLOAD)시킬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80)는 마우스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접속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장치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자연결부(30)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직류전원단자(33)에 DC 어댑터를 연결하면 된다. DC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배터리(40)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를 MP3 플레이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게임기나 PDA와 동일한 상태로 한 후 화상출력부(20)에서 음악을 선택한 후 음악을 재생시키면 된다. 이때, 음악의 청취는 본체(70)에 설치된 음성신호 송신부(62)의 형식에 따라 유선이어폰이나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 의하면, 렌즈부가 본체에 대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게임기나 PDA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는 화상출력부의 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본체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게임기나 PDA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상장치는 돌출된 렌즈부를 상하/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세의 자유도가 높아 촬영이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3은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렌즈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렌즈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렌즈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서 돌출된 렌즈부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서 화상출력부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서 화상출력부의 화면이 노출된 상태로 본체에 덮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에서 단자연결부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출몰식 영상촬상장치의 터치패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렌즈부 10; 이동부
12; 회전부 14; 힌지
20; 화상출력부 21; 화면
30; 단자연결부 40; 배터리
50; 기록부 60; 제어부
70; 본체 80; 터치패드
81; 줌버튼 82; 기록버튼
83; 커서버튼 85; 기능선택버튼
87; 렌즈부출몰버튼

Claims (12)

  1. 피사체의 영상을 잡는 렌즈부;
    일단으로 상기 렌즈부가 출몰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화상출력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에 잡힌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경우에 렌즈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방향에 대해 평행인 축에 대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단에는 단자연결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출몰가능하게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는 직류전원단자와, 컴퓨터 연결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출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화상출력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해 180도 이상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닫힌 상태에 있는 상기 화상출력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렌즈부의 줌렌즈를 조절할 수 있는 터치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10. 피사체의 영상을 잡으며, 줌기능을 갖는 렌즈부;
    일단으로 상기 렌즈부가 자동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연결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화상출력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의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터치패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에 잡힌 영상이 기록되는 기록부; 및
    상기 본체의 화상출력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대해 전후 및/또는 상하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줌렌즈가 설치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화면출력부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덮힌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기 본체를 잡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된 커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KR1020030097570A 2003-12-26 2003-12-26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Ceased KR20050066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70A KR20050066305A (ko) 2003-12-26 2003-12-26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US11/002,101 US7483074B2 (en) 2003-12-26 2004-12-03 Appearing and disappearing type image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70A KR20050066305A (ko) 2003-12-26 2003-12-26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05A true KR20050066305A (ko) 2005-06-30

Family

ID=3469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570A Ceased KR20050066305A (ko) 2003-12-26 2003-12-26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83074B2 (ko)
KR (1) KR200500663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080B1 (ko) * 2006-01-11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1804B (en) * 2005-10-31 2011-04-1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JP4315213B2 (ja) * 2007-05-18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US20090309997A1 (en) * 2008-06-13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 Capturing Device
US8115831B2 (en) * 2008-08-04 2012-02-14 Freedom Scientific, Inc. Portable multi position magnifier camera
US8264598B2 (en) * 2008-09-22 2012-09-11 Freedom Scientific, Inc. Multiposition handheld electronic magnifier
JP2010141729A (ja) * 2008-12-12 2010-06-24 Hoya Corp ズーム調整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388A (en) * 1985-08-09 1988-07-12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electronic view finder viewable from either behind or in front of the camera
KR0136059B1 (ko) * 1994-03-10 1998-04-27 구자홍 캠코더의 액정뷰파인더 고정장치
JPH08125890A (ja) * 1994-10-21 1996-05-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US5805945A (en) * 1994-12-22 1998-09-0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still video camera having electro-developing recording medium
JPH1141498A (ja) * 1997-07-16 1999-02-12 Pikuseru Giken Kk 電子カメラ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314044B1 (ko) * 2000-01-21 2001-11-16 구자홍 다양한 기능을 갖는 피씨 카메라
US20020067425A1 (en) * 2000-12-06 2002-06-06 Intel Corporation Sealed digital camera system
JP3671883B2 (ja) * 2001-08-15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
US20030220145A1 (en) * 2002-05-22 2003-11-27 Erickson Craig S. Digital camera and networking accessories for a portable video game device
JP2004072337A (ja) * 2002-08-05 2004-03-04 Sony Corp カメラ装置
KR100810300B1 (ko) * 2002-10-1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480282B1 (ko)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WO2004047413A1 (ja) * 2002-11-20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通信端末
JP3796222B2 (ja) * 2003-01-08 2006-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機
JP2004254185A (ja) * 2003-02-21 2004-09-09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050020325A1 (en) * 2003-07-24 2005-01-27 Motorola, Inc.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50078211A1 (en) * 2003-07-31 2005-04-14 Symon Whitehorn Handheld device with integral axial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080B1 (ko) * 2006-01-11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3074B2 (en) 2009-01-27
US20050141099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206B2 (en) Cradle for information apparatus, cradle for digital camera and camera system
JP4657977B2 (ja) 撮像装置
US7254015B2 (en) Multi-functional device for a computer
US20060221222A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JP3797712B2 (ja) ビデオ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3774343B2 (ja) ビデオカメラ
KR20050055481A (ko) 착탈식 화상출력유닛을 갖는 캠코더
US20070165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66305A (ko)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JP4397950B2 (ja) 撮像装置
US20060087936A1 (en) Data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storing data
JPH1164928A (ja) ディジタルメモリ付きカメラ
JP2005229301A (ja) 撮像機器
EP1802101A2 (en) Electronic apparatus
US798278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ontrol button sets and display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JP4184166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5079760A (ja) 電子機器用接続装置
CN100442822C (zh) 光盘摄像机
JP4373759B2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186635A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並びにクレードル
TWI529477B (zh) 可攜式無線收錄裝置之影像或聲音收錄及傳輸方法
JP2006311370A (ja) 電子携帯機器及びアダプタ装置
JP2004023339A (ja) カメラ
JP2008098763A (ja) ペン型入力装置付き撮像装置
JP2005348300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