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0271A -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271A
KR20050060271A KR1020030091849A KR20030091849A KR20050060271A KR 20050060271 A KR20050060271 A KR 20050060271A KR 1020030091849 A KR1020030091849 A KR 1020030091849A KR 20030091849 A KR20030091849 A KR 20030091849A KR 20050060271 A KR20050060271 A KR 2005006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unit
folder
hin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구
김승철
허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9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0271A/ko
Publication of KR2005006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2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화면부가 단말기 폴더부의 일면 또는 타면을 향하거나, 독립적으로 소정방향을 향하도록 표시화면부만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촬영 등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고, 듀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비하여 비용 및 사이즈면에서 향상된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숫자, 문자 및 기능키와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접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표시화면수용공이 천공된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부; 상기 폴더부의 표시화면수용공에 구비되되, 일단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부;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동일평면상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rotating}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화면부가 단말기 폴더부의 일면 또는 타면을 향하거나, 독립적으로 소정방향을 향하도록 표시화면부만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촬영 등에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고, 듀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비하여 비용 및 사이즈면에서 향상된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기, 전자 수첩, 휴대용 컴퓨터등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기기의 기능을 그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화면부로서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이 사용되며, 이러한 액정화면은 단말기 내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 즉 그림이나 문자, 동영상 등을 표시한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정화면은 많은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폰이나 PCS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크게 플립형과 폴더형이 있는데, 이 중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에 액정표시화면(LC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화면부가 구비된 것으로, 플립형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근래에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단말기는 크게 본체부(1)와, 폴더부(2)와, 상기 본체부(1)에서 폴더부(2)를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부(3)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2)는 상기 본체부(1)에서 힌지장치(3)의 회전장치부(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동작된다. 여기에서, 상기 폴더부(2)의 내면에는 데이터 표시수단인 표시화면부(4)가 구비된다.
그러나, 통상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폴더부(2)의 일면에 표시화면부(4)가 장착됨으로 인해 시간 확인이나 발신자 확인 등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를 반드시 개방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최근에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얼 폴더형 단말기로서, 이는 단말기 폴더부의 내측면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메인표시화면부외에 폴더부 외측면에 서브표시화면부를 추가로 장착하여 폴더부를 열지 않고도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듀얼 폴더형 단말기는 서브표시화면부에 표시되는 내용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나 발신자 정보 등으로 국한되어 제공되었기 때문에, 서브표시화면부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장식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보조표시화면부가 부가됨으로써 단말기 개발비용이 증가되고, 결국 단말기의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화면부가 단말기 폴더부의 일면 또는 타면을 향하거나, 독립적으로 소정방향을 향하도록 표시화면부만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촬영 등에 있어 폴더를 닫고 사용해도 표시화면부를 통해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단일 표시화면부를 듀얼 표시화면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비하여 비용 및 사이즈면에서 향상되며, 새로운 디자인으로 다양한 취향의 소비자에게 부합될 수 있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숫자, 문자 및 기능키와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접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표시화면수용공이 천공된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부; 상기 폴더부의 표시화면수용공에 구비되되, 일단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부;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동일평면상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장치부는 양단부에 원통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단측에 형성되는 힌지장치결합공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는 고정힌지; 및 상기 폴더부의 하단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힌지의 원통형 결합공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힌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표시화면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돌기; 상기 힌지돌기가 대향하는 폴더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돌기 또는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힌지돌기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갖고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 스토퍼돌기; 및 상기 스토퍼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힌지돌기 또는 수용홈에 상기 스토퍼돌기에 대응하게 형성된 스토퍼홈을 포함한다.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의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때, 부가적인 유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홀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의 힌지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숫자, 문자 및 기능키와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단을 축으로 접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폴더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와 폴더부(200)을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부(300); 상기 폴더부(200)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 즉 그림이나 문자,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화면(LCD)장치인 표시화면부(400)와; 상기 폴더부(200)와 표시화면부(40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500); 및 상기 폴더부(200)에 표시화면부(400)를 동일평면상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600)을 포함한다.
상기 폴더부(200)는 내부에 상기 표시화면부(400)가 수용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부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부(300)는 양단부에 원통형 결합공(311)이 형성되고 본체부(100) 일단측의 힌지장치결합공(101)에 스크류(미도시)를 매개로 결합되는 고정힌지(310); 및 상기 폴더부(200)의 하단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힌지(310)의 원통형 결합공(311)에 회동축(H)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힌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서 고정힌지(310)가 본체부(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고정힌지(310)는 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화면부(400)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힌지돌기(510)와; 상기 폴더부(200)의 하단측 구동힌지(320)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51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5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돌기(5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520)은 상기 힌지돌기(5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돌기(510)의 외면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홈(520)의 내면에는 소정간격을 갖고 각각 라운드진 스토퍼돌기(511)와 이에 대응하는 스토퍼홈(5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3에서 스토퍼돌기(511)는 힌지돌기(510)에 형성되고, 스토퍼홈(521)은 수용홈(5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돌기(511)와 스토퍼홈(521)은 원주방향으로 45도 각도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토퍼돌기(511)와 스토퍼홈(521)은 표시화면부(400)가 힌지돌기(51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될 경우, 스토퍼돌기(511)가 스토퍼홈(521)으로 안착되는 지점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록킹수단(600)은 힌지돌기(510)가 형성된 측의 대향측 폴더부(200)에 형성되고, 내측에 스프링가이드(미도시)를 구비한 노브 수용부(610)와; 상기 스프링가이드부에 수용되는 스프링부재(미도시)와; 손잡이 역할을 하고, 하단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하단 타측면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노브(knob)(620); 및 상기 표시화면부(400)의 외곽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620)의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록킹홈(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노브(620)의 고정돌기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부(400)의 록킹홈(미도시)도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록킹수단(600)은, 사용자가 상기 노브(6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단의 고정돌기가 표시화면부(200)의 고정홈(미도시)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표시화면부(400)가 구속해제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노브(620)의 고정돌기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 경우,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상태를 이루어지 않을 때, 상기 노브(620)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고, 그 지지력은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을 이루기 전까지 가해지게 되어, 표시화면부(400)가 회전하는 동안 안정적인 지지력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그 상태를 보다 안정적인 유지하기 위하여 폴더부(300)와 표시화면부(400)의 접촉부 사이에 보강홀딩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홀딩부재(700)는 표시화면부(400)의 외곽프레임 측면에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하는 폴더부(200)의 케이스 측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안착홈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안착돌기와 안착홈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홀딩부재(700)의 다른 형태로서, 표시화면부(400)의 외곽프레임과 그에 대향하는 폴더부(200)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라운드진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이 형성되는 않은 다른 하나에 일부분만이 노출되어 탄성지지되는 원형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탄성지지되는 원형볼의 일부분 노출부가 안착홈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02, 312는 각각 본체부(100)와 힌지장치부(300)에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안내공으로, 폴더부(200)의 구동힌지(320)에 형성되는 안내공(미도시)을 통해 본체부(10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과 폴더부(200)의 표시화면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이 지나는 통로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 안내공은 도1에 도시한 안내공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장치부(300)의 회전축방향으로 유도하여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화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사용된다. 즉,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록킹수단(600)의 노브(620)의 고정돌기는 표시화면부(400)의 록킹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표시화면부(4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서, 폴더부(200)와 표시화면부(400) 사이에 보강홀딩부재(70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보강홀딩부재(700)의 안착돌기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어, 상기 표시화면부(400)는 폴더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표시화면부(400)를 폴더부(200)의 외면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촬영 등에 있어 폴더부(2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촬영영상을 확인하도록 할 경우, 록킹수단(600)의 노브(620)를 밀어올리면, 노브(620)의 고정돌기는 표시화면부(400)의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표시화면부(400)는 록킹해제상태가 있다.
이 후, 표시화면부(400)를 힌지축(510)의 중심축(V)을 축으로 도4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표시화면부(400)는 힌지축(51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노브(620)의 고정돌기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형성된 경우,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내에서 회전되고 있는 상태, 즉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을 이루지 않을 때, 상기 노브(620)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그 지지력은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을 이루기 전까지 가해지게 되어, 표시화면부(400)가 회전하는 동안 안정적인 지지력을 부가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표시화면부(400)를 회전시켜 폴더부(200)의 외측으로 향하여 폴더부(200)와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되면, 탄성지지되고 있는 록킹수단(600)의 노브(620)의 고정돌기가 표시화면부(400)의 록킹홈으로 삽입되어 표시화면부(400)와 폴더부(200)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폴더부(200)를 본체부(100)측으로 접게 되면, 표시화면부(200)는 폴더부(200)의 외측을 향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표시화면부(400)가 폴더부(200)에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힌지축(510)과 수용홈(520)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스토퍼돌기(510)와 스토퍼홈(521)의 각 간격에 따라 표시화면부(400)가 위치될 수 있어, 그 위치에서의 영상촬영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폴더부내에서 표시화면부를 회전가능하게 구비시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표시화면부를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단일의 표시화면부로도 듀얼 표시화면부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영상촬영 등에 있어 폴더를 닫고 사용해도 표시화면부를 통해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표시화면부를 듀얼 표시화면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듀얼 표시화면부를 갖는 단말기에 비하여 비용 및 사이즈면에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디자인으로 다양한 취향의 소비자에게 부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의 힌지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화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부 200: 폴더부
300: 힌지장치부 310: 고정힌지
311: 결합공 320: 구동힌지
400: 표시화면부 500: 힌지결합부
510: 힌지축 511: 스토퍼돌기
520: 수용홈 521: 스토퍼홈
600: 록킹수단 610: 노브 수용부
620: 노브 700: 보강홀딩부재

Claims (7)

  1. 숫자, 문자 및 기능키와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축으로 접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표시화면수용공이 천공된 폴더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접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부;
    상기 폴더부의 표시화면수용공에 구비되되, 일단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부;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를 동일평면상에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부는
    양단부에 원통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일단측에 형성되는 힌지장치결합공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는 고정힌지; 및
    상기 폴더부의 하단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힌지의 원통형 결합공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힌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표시화면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힌지돌기;
    상기 힌지돌기가 대향하는 폴더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 또는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힌지돌기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갖고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 스토퍼돌기; 및
    상기 스토퍼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힌지돌기 또는 수용홈에 상기 스토퍼돌기에 대응하게 형성된 스토퍼홈을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폴더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스프링가이드를 구비한 노브 수용부;
    상기 스프링가이드부에 수용되는 스프링부재;
    손잡이 역할을 하고, 하단 일측면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하단 타측면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노브; 및
    상기 표시화면부의 외곽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의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록킹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고정돌기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록킹홈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의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폴더부와 표시화면부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때, 부가적인 유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강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91849A 2003-12-16 2003-12-16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0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49A KR20050060271A (ko) 2003-12-16 2003-12-16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49A KR20050060271A (ko) 2003-12-16 2003-12-16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71A true KR20050060271A (ko) 2005-06-22

Family

ID=3725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849A KR20050060271A (ko) 2003-12-16 2003-12-16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0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58B1 (ko) * 2005-10-14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58B1 (ko) * 2005-10-14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rotational LCD device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7064745B2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US7493150B2 (en) Folding electric device having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shafts
US7146200B2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US7595980B2 (en)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guiding module thereof
US8082632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b-housing stopper
JP2008089754A (ja) 蓋開閉装置
KR100527164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20050060271A (ko) 회전가능한 표시화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9885B1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6198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KR200330187Y1 (ko) 휴대용 이동 통신 장치
KR1008397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2001B1 (ko) 회전식 보조액정표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5247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장치
KR20034571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200500672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2004280746A (ja) 電子機器
KR20040077189A (ko)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95450A (ko)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