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77189A -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189A
KR20040077189A KR1020030012646A KR20030012646A KR20040077189A KR 20040077189 A KR20040077189 A KR 20040077189A KR 1020030012646 A KR1020030012646 A KR 1020030012646A KR 20030012646 A KR20030012646 A KR 20030012646A KR 20040077189 A KR20040077189 A KR 2004007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folder
cover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189A/ko
Publication of KR2004007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18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 카메라렌즈를 하폴더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상폴더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폴더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메인액정화면과 보조액정화면을 부착하고, 하폴더의 전면에 키패드를 부착하고 후면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하폴더의 후면에 탑재된 배터리의 상단부에 카메라렌즈가 부착되며,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for displaying image captured on camera-lens in sub-LCD}
본 발명은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자신 등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되어 크기가 점차적으로 소형화가 되고있으며,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수신 및 발신, 대금결재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반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렌즈를 설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의 역할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폴더에 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체(20)와 폴더(21)를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면에는 송화부인 마이크(24)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키버튼(23)들이 설치되며, 폴더(21)의 내부면에는 문자 및 숫자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25)와 수화부인스피커(26)가 설치되며, 상기 폴더(21)와 상기 본체(20)의 일단부를 결합시키는 힌지부(22)를 이루며, 상기 폴더(21)의상단 중앙에 화상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메라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카메라 렌즈(27)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 되어있다.
폴더(21)는 상단 중앙에 카메라 렌즈(27)를 설치하기 위하여 절결된 렌즈홀(28)과 이격된 위치에 레버홀(29)을 형성한다. 렌즈홀(28)의 양측 내부에 가이드리브(3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리브(30)에 카메라 렌즈(27)의 양측중심축(27a,27b)을 회전되게 설치한다.
카메라 렌즈(27)의 일측 중심축(27a)에는 회전레버(31)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레버(31)가 폴더(21)의 레버홀(29) 표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설치하고, 카메라 렌즈(27)의 타측 중심축(27b)에는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2)를 설치한다.
가이드리브(30)와 카메라 렌즈(27)사이에는 각각 판스프링(33)이 설치되어있다. 렌즈홀(28)은 사각형으로 상기 렌즈홀(28)에 사각형의 카메라 렌즈(27)를 설치하며, 카메라 렌즈(27)는 중심축(27a,27b)에 설치된 회전레버(31)에 의해 18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체(20)로부터 폴더(21)를 열게되면 상단 중앙부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27)가 내부로 향하게 되어 화상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레버(31)를 이용하여 카메라렌즈(27)를 회전시키면 카메라 렌즈(27)는 180도 회전되어 중심축(27b)에 설치된 스토퍼(32)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카메라 렌즈(27)는 외부를 향하도록 전환되어 카메라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카메라 렌즈(27)는 회전레버(31)에 의해 회전될 때 카메라 렌즈의 화상 데이타를 전달하는 와이어(34)가 꼬이지 않도록 180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스토퍼(32)가 방지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27)가 가이드리브(30)와 렌즈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33)에 의해 회전할 때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비되는렌즈홀(28)이 폴더(21)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폴더(21)의 내부에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회로 구성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폴더(2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키버튼(23)과 마이크(24), 액정표시부(25)의 장착 가용면적이 좁아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도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경우 카메라에 결합된 케이블이 꼬이게 되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은 카메라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종래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결합장치 이외에 별도의 회전제한장치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품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전제한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더라도 케이블이 반복하여 비틀어지게 되면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자신 등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 카메라렌즈를 하폴더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상폴더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장착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폴더에 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2에서의 힌지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b는 도 3a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 본체와 덮개가 180도로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200 : 덮개
110 : 키패드 120 : 송신부
130 : 회동개구부 140 : 힌지너클
210 : 액정화면 220 : 수신부
230 : 힌지통 240 : 덮개힌지구멍
300 : 힌지 310 : 본체삽입부
312 : 캠 320 : 덮개삽입부
322 : 슬라이더 323 : 슬라이더홈
325 : 스프링 326 : 샤프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폴더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메인액정화면과 보조액정화면을 부착하고, 하폴더의 전면에 키패드를 부착하고 후면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상기 상폴더의 개방시 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수평을 이루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의 후면에 탑재된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에 카메라렌즈가 부착되며, 상기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상기 보조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카메라렌즈가 상폴더에 부착되면 상폴더의 부피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렌즈를 하폴더의 후면에 여유 부분에 카메라렌즈를 부착하고, 또한 이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이 보조액정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폴더의 개방시 상폴더와 하폴더가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할 경우 보조액정화면에 표시된 자신의 영상을 보고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측에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10)와, 상기 키패드(110)의 하단에 마이크를 포함하는 송신부(120)와, 덮개와 결합되는 부분에 덮개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180도 개방될 때까지 덮개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덮개의 회동 여유공간을 보유하는 회동개구부(130)와 상기 회동개구부(130)의 양단에 힌지를 지지하는 힌지너클(140)과 상기 힌지너클(140)의 어느 한쪽에 내측방향으로 힌지가 삽입되는 본체힌지구멍(미도시)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데이터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액정화면(210)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신부(220)와, 상기 회동개구부(130)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너클(140)과 결합되는 힌지통(230)과, 상기 힌지통(2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가 삽입되는 덮개힌지구멍(240)을 포함하는 덮개(200)와; 상기 본체힌지구멍(미도시)과 상기 덮개힌지구멍(24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를 연결시키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의 개폐동작의 축이되는 힌지(300)로 구성된다.
도 3a는 상기 힌지(3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00)는 크게 상기 본체힌지구멍에 삽입되어 본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본체삽입부(310)와 덮개힌지구멍에 삽입되는 덮개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덮개삽입부(320)로 나뉘어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삽입부(310)는 안쪽에 상기 본체삽입부(310)의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삽입부(310)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방향으로 너비를 갖는 유선형 캠(312)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삽입부(32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삽입부(310)와 결합되는 샤프트(326)와, 상기 샤프트(326)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325)과, 상기 스프링(325)과 상기 캠(312) 사이에 맞닿아 위치해 있고, 상기 덮개삽입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캠(312)을 묻을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더홈(323)을 구비하여 상기 캠(312)과의 접점위치에 따라 상기 샤프트(326)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3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삽입부(310)가 상기 본체힌지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삽입부(320)가 상기 덮개힌지구멍에 삽입된 이후, 힌지(300)를 중심으로 본체(100)와 덮개(200)가 회동할 때에, 상기 본체삽입부(310)는 상기 본체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덮개삽입부(320)는 덮개(20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삽입부(310) 및 본체힌지구멍(미도시), 덮개삽입부(320), 덮개힌지구멍(240)은 하나이상의 모서리를 갖는 단면 또는 비대칭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힌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의 형상과 같이, 캠(312)이 슬라이더홈(323)에 묻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삽입부(310)가 본체(100)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삽입부(320)가 덮개(200)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가 상기 힌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본체삽입부(310)는 상기 본체(100)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덮개삽입부(320)는 상기 덮개(200)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와 덮개(20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삽입부(310)와 상기 덮개삽입부(3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322)는 샤프트(326)의 중심 축을중심으로 자전을 함과 동시에 캠(312)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슬라이더홈(323)의 깊이만큼 스프링(325)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상기 본체삽입부(310)와 상기 덮개삽입부(320)의 회전각이 180도에 이르러 상기 캠(312)이 또 다시 슬라이더홈(323)의 위치에 이르게되면, 상기 슬라이더(322)는 상기 스프링(3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325)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캠(312)은 다시 상기 슬라이더홈(323)에 묻히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삽입부(310)와 상기 덮개삽입부(320)가 180도 회전한 후, 캠(312)이 상기 슬라이더홈(323)에 묻히게되는 때가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가 일정 개방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상태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를 개방시켰을 때에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간의 개방각이 180도를 유지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인 150도 내외로 개방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은,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의 초기 조립시 상기 힌지(300)를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가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30도 돌려놓은 상태에서 조립하였기 때문이다.
도 4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덮개의 완전개방을 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보는바와 같이, 덮개(200)를 개방시키면 본체(100)와 덮개(2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인 150도 내외로 개방되어 일차적으로 고정이 된다. 이는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의 조립시, 상기 힌지(300)를상기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에 맞닿아 접혀지는 방향으로 30도 돌려서 조립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가 150도를 이루며 개방되었을 때 상기 캠(312)이 상기 스프링(325)의 탄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홈(323)에 묻혀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과 비교해 보면, 덮개(200)가 개방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더 회동 할 수 있도록 회동개구부(130)가 힌지통(230) 및 덮개(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도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는 도 4a상태에서 본체와 덮개가 180도로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의 상태에서 개방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본체(100) 및 덮개(200)에 힘이 가해지면 도 4b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체(100)와 덮개(200)는 180도까지 개방된다. 이때, 덮개(200)의 회동에 간섭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힌지(300) 및 힌지너클(140), 힌지통(230)등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b의 상태에서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몸체(100)와 덮개(200)의 개방각은 다시 150도 내외의 초기 개방 각도로 복귀하여 도 4a 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캠(312)이 제 2 슬라이더홈(324)에 완전히 묻혀있는 상태에서 30도 만큼 회전을 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캠(312)이 상기 슬라이더홈(323)을 완전히 이탈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3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322)는 상기 캠(312)쪽으로 밀려오게 되어, 상기 캠(312)은 상기 슬라이더홈(323)에 완전히 묻혀지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진 촬영 등에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510)와, 키패드(5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20)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카메라렌즈(530)와,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렌즈(530)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520)로 전달하는 촬영부(540)와, 제어부(520)에 의해 전달되는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인액정화면(550)과, 각정 부가서비스 정보나 카메라렌즈(530)에 포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보조액정화면(560)과,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렌즈(530)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560)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보조액정화면(56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처리부(570)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키패드(510)를 눌러 촬영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면, 제어부(52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촬영모드로 설정한다.
이렇게, 촬영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카메라렌즈(530)에 영상이 포착되면, 영상 처리부(57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56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보조액정화면(56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고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이 카메라렌즈(530)에 원하는데로 포착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키패드(510)를 눌러 촬영을 지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촬영지시가 있으면, 제어부(520)는 촬영부(540)의 촬영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촬영부(540)는 카메라렌즈(530)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520)로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렌즈(530)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56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영상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렌즈(530)를 배터리(610)가 탈착되는 하폴더(620)의 후면에 부착하되, 배터리(610)의 상단부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폴더(620)의 상단부에 카메라렌즈(530)를 부착함으로써, 카메라렌즈(530)를 상폴더(630)에 부착할 경우에 비하여 상폴더(630)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폴더(630)를 열경우 하폴더(620)와 상폴더(630)가 수평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도 보조액정화면(560)에 표시된 자신의 영상을 보고 자신이 카메라렌즈(530)에 원하는데로 포착되었는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폴더와 하폴더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 카메라렌즈를 하폴더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상폴더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상폴더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메인액정화면과 보조액정화면을 부착하고, 하폴더의 전면에 키패드를 부착하고 후면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상기 상폴더의 개방시 상기 상폴더와 하폴더가 수평을 이루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폴더의 후면에 탑재된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에 카메라렌즈가 부착되며, 상기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상기 보조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12646A 2003-02-28 2003-02-28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Withdrawn KR20040077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46A KR20040077189A (ko) 2003-02-28 2003-02-28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46A KR20040077189A (ko) 2003-02-28 2003-02-28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189A true KR20040077189A (ko) 2004-09-04

Family

ID=3736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646A Withdrawn KR20040077189A (ko) 2003-02-28 2003-02-28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1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636A1 (en) * 2008-11-05 2010-05-12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636A1 (en) * 2008-11-05 2010-05-12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RU2511499C2 (ru) * 2008-11-05 2014-04-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ег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исплее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AU20042424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3882687B2 (ja) 携帯型通信装置
EP1705875A2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directional camera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71747A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30003056A (ko) 휴대형 단말기
KR20040077189A (ko)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37286A (ko) 카메라렌즈가 장착된 휴대폰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564018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346601Y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784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전화기
KR200500672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6007428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
KR20040076009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KR20070052560A (ko) 슬라이드 수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69372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600735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0199A (ko) 슬라이드 수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10577A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