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8751A -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751A
KR20050048751A KR1020030082451A KR20030082451A KR20050048751A KR 20050048751 A KR20050048751 A KR 20050048751A KR 1020030082451 A KR1020030082451 A KR 1020030082451A KR 20030082451 A KR20030082451 A KR 20030082451A KR 20050048751 A KR20050048751 A KR 2005004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ceramic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neutral plane
thick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양행
Priority to KR102003008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751A/ko
Publication of KR2005004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7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2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combined with bending, shear or torsion displac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중립면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함으로써, 탄성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립면을 이루는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을 적층하되, 상기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기 압전 세라믹이 상기 중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게 구성하여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VIBRATOR USING THE PIEZOCERAMIC}
본 발명은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이 적층되어 구성된 진동 장치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 세락믹(Piezoceramic)과 같은 압전체는 압전체에 대해 한 방향으로 분극화시키고, 소정 전압을 공급하여 전계를 발생시키게 되면, 수축 및 이완 작용에 의해 압전체의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를 가하면 수축 및 이완 작용에 의해 그 형태가 변화하는 압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장치를 구현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두 개의 압전 세라믹 사이에 중립면을 이루고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판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압전 세라믹의 표면에 전압을 공급하여 수직 방향으로 전계를 가하게 되면,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진동 장치의 소스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 세라믹을 한 층으로 하여 진동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는, 진동 장치가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의 압전 세라믹을 다수개 적층하여 진동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진동 장치의 입력 전압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0.18㎜의 압전 세라믹을 한 층으로 하여 진동 장치를 구성하고 63V의 전류를 입력한 결과와, 두께 0.06㎜의 압전 세라믹을 3층(0.06㎜×3=0.18㎜)으로 적층하고, 각각의 압전 세라믹에 압전 세라믹 한 층으로 구성된 진동 장치의 입력 전류의 1/3인 21V(63V/3)의 전류를 입력한 결과를 살펴보면, 압전 세라믹을 3층으로 적층한 진동 장치가 압전 세라믹 한 층으로 이루어진 진동 장치보다 대략 23.4%(=1-0.409/0.534)의 성능 저하가 나타난다.
Layer 1st Natural Frequency Maximum Deflection Maximum Stress Reaction Force
1-Layer (63V)Tp=0.18㎜ 150 ㎐ 0.454 ㎜ 154 ㎫ 0.534 N
3-Layer (21V)Tp=3×0.06㎜Input Voltage=27.4V 150 ㎐ 0.347 ㎜ 0.453 ㎜ 118 ㎫ 154 ㎫ 0.409 N 0.534 N
전술한 바와 같이,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적층된 압전 세라믹의 변형이 중립면에서 먼 쪽에 위치할수록 커져야 탄성력이 좋아지게 되는 데, 적층되어 있는 압전 세라믹의 두께는 모두 동일하므로, 적층된 압전 세라믹이 서로 동일한 크기의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외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이 결과적으로 변형을 억제하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중립면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함으로써, 탄성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는, 중립면을 이루는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을 적층하되, 상기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여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기 압전 세라믹이 상기 중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중립면(10)을 이루고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판재와, 상기한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20)은 서로 다른 두께의 갖되, 중립면(10)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2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적층되는 압전 세라믹(20)의 두께를 중립면(10)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구현함으로써,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립면(10)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함으로써,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장치의 탄성력이 0.443N으로, 동일 두께(0.06㎜)의 압전 세라믹을 적층했을 때보다 대략 6.3%의 성능 향상이 나타나게 된다.
Layer 1st Natural Frequency Maximum Deflection Maximum Stress Reaction Force
1-Layer (63V)T=0.18㎜ 150 ㎐ 0.454 ㎜ 154 ㎫ 0.534 N
3-Layer (21V)T=3×0.06㎜Input Voltage=27.4V 150 ㎐ 0.347 ㎜ 0.453 ㎜ 118 ㎫ 154 ㎫ 0.409 N 0.534 N
3-LayerT=0.04㎜ (21V)T=0.06㎜ (21V)T=0.08㎜ (21V)Input Voltage=26V 150 ㎐ 0.366 ㎜ 0.453 ㎜ 124 ㎫ 154 ㎫ 0.431 N 0.534 N
3-LayerT=0.03㎜ (21V)T=0.06㎜ (21V)T=0.09㎜ (21V)Input Voltage=25.3V 150 ㎐ 0.376 ㎜ 0.453 ㎜ 128 ㎫ 154 ㎫ 0.443 N 0.533 N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층의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된 진동 장치에 63V의 전류를 입력한 결과와 동일한 성능을 얻기 위해, 모두 0.06㎜의 두께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3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진동 장치는 27.4V의 입력 전류가 필요하며, 중립면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의 두께(0.09㎜, 0.06㎜, 0.03㎜)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한 진동 장치는 25.3V의 입력 전류를 필요로 하게 되어, 동일 두께(0.06㎜)의 압전 세라믹을 적층했을 때보다 약 2.1V정도 입력 전압이 낮아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발생 장치로 응용될 수 있으며, 소형 전자 장치의 냉각 기능을 담당하는 팬(Fan)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따르면,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중립면에서 먼 쪽에 위치한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적층함으로써, 탄성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동일 두께의 압전 세라믹을 적층하여 구성한 진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중립면, 20. 압전 세라믹

Claims (2)

  1. 중립면을 이루는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개의 압전 세라믹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여 변형이 많이 발생해야 하는 외곽의 압전 세라믹 층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의 두께를 상기 압전 세라믹이 상기 중립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KR1020030082451A 2003-11-20 2003-11-20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Ceased KR20050048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451A KR20050048751A (ko) 2003-11-20 2003-11-20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451A KR20050048751A (ko) 2003-11-20 2003-11-20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242U Division KR200342565Y1 (ko) 2003-11-20 2003-11-20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751A true KR20050048751A (ko) 2005-05-25

Family

ID=3724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451A Ceased KR20050048751A (ko) 2003-11-20 2003-11-20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7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21B1 (ko) * 2006-03-29 2007-06-25 요업기술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US10217928B2 (en) 2015-06-10 2019-02-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urved piezoelectric device
CN111047992A (zh) * 2013-06-13 2020-04-21 三星显示有限公司 具有改进的弯曲属性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121B1 (ko) * 2006-03-29 2007-06-25 요업기술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1047992A (zh) * 2013-06-13 2020-04-21 三星显示有限公司 具有改进的弯曲属性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1047992B (zh) * 2013-06-13 2021-11-12 三星显示有限公司 具有改进的弯曲属性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217928B2 (en) 2015-06-10 2019-02-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urved piezoelectr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491B2 (ja) 圧電セラミック多層アクチュエーター
KR101594827B1 (ko)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9690452A (zh) 用于产生触觉反馈的设备
US20050258711A1 (en)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motor including ultrasonic vibrator
JP2015185841A (ja) 圧電素子及びこれを含む圧電振動子
WO2024116807A1 (ja) 圧電膜デバイス、超音波用デバイス、スピーカーデバイス、トランスデューサ、及び圧電膜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9119529B (zh) 层叠压电元件、压电振动装置和电子设备
KR200342565Y1 (ko)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KR20050048751A (ko)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장치
JP6077798B2 (ja) 圧電素子、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321222A1 (en)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having the same
JP5969863B2 (ja) 圧電素子、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64986B1 (ko) 압전 재료 시트 적층 구조체, 이를 이용한 스피커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213704B (zh) 振动发生器件和电子设备
JP5878980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5122438A (ja) 圧電素子、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圧電素子の製造方法
JP5726375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77505B1 (ko) 압전 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21157522A1 (ja) 圧電素子
KR20160007029A (ko) 압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압전 진동 모듈
KR100574152B1 (ko) 압전 트랜스
HK40016746A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4168156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子機器
KR20240087382A (ko) 압전 스피커 및 이의 제조방법
JP5933392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