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827B1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827B1 KR101594827B1 KR1020147027903A KR20147027903A KR101594827B1 KR 101594827 B1 KR101594827 B1 KR 101594827B1 KR 1020147027903 A KR1020147027903 A KR 1020147027903A KR 20147027903 A KR20147027903 A KR 20147027903A KR 101594827 B1 KR101594827 B1 KR 101594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zoelectric
- electrode
- piezoelectric element
- layer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7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3464 silicone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2463 transdu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3 coating (rubb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59 ear midd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8 moisture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7—Membrane ty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5—Further connection or lead arrangements, e.g. flexible wiring boards, terminal pi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3—Assembling devices that includ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5—Manufacture of multilayered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or parts thereof, e.g. by stacking piezoelectric bodies and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2—Piezoelectric device ma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압전 소자(1)와, 상기 압전 소자(1)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된 배선 부재(4)와, 상기 압전 소자(1)의 일면에 부착되는 탄성판(2)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판(2)은,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Description
도 2는 도 1(a), 도 1(b), 및 도 1(c)의 압전 진동 모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압전 소자의 제조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으로서 적층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압전 소자의 제조 공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으로서, 전극층의 전극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적층체의 양단에 측면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적층체의 양단에 측면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소자의 분극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전극층의 전극 패턴에 대한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제 1 측면 전극의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소자의 분극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압전 소자의 전극층의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압전 소자의 제 1 측면 전극의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d)는 도 6(a)의 압전 소자의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 및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압전 소자에 FPC 기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압전 소자에 FPC 기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부착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소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압전 소자의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변위의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변위 변화율의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실리콘 고무의 경도(硬度)에 따른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경도 70을 갖는 실리콘 고무의 두께와 변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실장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13B-13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13C-13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d)는, 압전 소자의 도전성 부재(25)에 대한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압전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압전 소자를 구성하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에 이용되는 압전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적층체의 평면 전극층의 전극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3(a), 도 13(b), 도 13(c)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소자의 분극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압전 소자의 전극층의 전극 패턴에 대한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도 15(a)의 15B-15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의 압전 소자의 전극층의 전극 패턴에 대한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도 15(a)의 15C-15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b)는 압전 소자의 전극층의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a)는, 다른 예에 관한 압전 소자의 분극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전극층의 전극 패턴에 대한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도 17(a)의 17B-17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c)는 전극층의 전극 패턴에 대한 분극 전압의 극성을 나타내는 도 17(a)의 17C-17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a)에 나타내는 압전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극성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c) 및 도 18(d)는, 압전 소자의 평면 전극층의 구동 전압의 극성 패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압전체층의 적층 매수(16층)를 구비한 압전 소자와, 비교예에 관한 압전체층(15매 적층)을 구비한 압전 소자의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20B-20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의 20C-20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d)는 도전성 부재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a)는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20(a)의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a)는 도 21(a)의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구동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압전 진동 모듈의 23B-23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c)는, 도 23(a)의 압전 진동 모듈의 23C-23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d)는, 도 23(a)의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의 변형예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도 23(c)와 같은 위치인 23C-23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하우징 부재에 대한 복합화재(複合化材)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압전 진동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압전 진동 모듈의 25B-25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c)는, 도 25(a)의 압전 진동 모듈의 25C-25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돌기부의 진동 분포(수평 분포)에 대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돌기부의 진동 분포(수직 분포)에 대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a)는 종래예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b)는 종래예에 관한 압전 진동 모듈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2; 탄성판
3; 하우징 부재
3a; 돌기부
4; 배선 부재(FPC 기판)
4a, 4b; 도체 패턴
4c; 플렉시블 기재(基材)
5; 접착제
6; 진동판
10; 압전 진동 모듈
11, 12, 13, 14; 평면 전극층
11a, 12a, 13a, 14a; 제 1 전극부
11b, 12b, 13b, 14b; 제 2 전극부
11c, 12c, 12d, 13c, 13d, 14c, 14d; 절연부
15; 제 1 측면 전극
15a; 제 1 외부 전극
15b; 제 2 외부 전극
15c; 절연부
16; 제 2 측면 전극
20, 40; 적층체
21, 22, 23; 압전체층
25, 26; 도전성 부재(도전성 고무)
41, 42, 43, 44, 45, 46, 47, 48; 압전체층
50; 구동 회로 기판
51, 52, 53, 54, 55, 56, 57, 58, 59; 평면 전극층
51B', 53A', 55A', 57A'; 제 2 인출 전극
52A, 54A, 56A, 58A, 59B; 제 1 인출 전극
59A; 제 1 단자용 전극
59A', 59B'; 제 2 단자용 전극
61A, 61B; 제 1 측면 전극
61A', 61B'; 제 2 측면 전극
65a, 65b, 68a, 68b; 분극(分極)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66a, 67a, 69b; 수축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66b, 67b, 69a; 신장(伸長)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66c, 66d, 67c, 67d, 69c, 69d, 70c, 70d; 전압 인가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73, 74; 압력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75; 케이스(筐體)
80; 복합화재(複合化材)
81; 유리 패널
82, 83; 진동 분포
Claims (44)
-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된 배선 부재와, 상기 압전 소자의 일면(一面)에 부착되는 탄성판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판은,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전 소자는, 압전체층과 전극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인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양단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측면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극층은,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1 전극부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 2 전극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측면 전극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외부 전극 및 제 2 외부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극층의 제 1 전극부는, 상기 제 1 외부 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전극층의 제 2 전극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일단은, 상기 제 2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과 함께 상기 압전 소자와 상기 배선 부재의 상기 압전 소자와의 접속 부분을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탄성판과 같은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他面)에 전극 취출(取出)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전극 취출부에 도전 접속된 플랙시블(flexible) 배선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는 경도(硬度) 30-1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과 상기 압전 소자는, 상온(常溫) 경화형의 실리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양단의 전극층의 상기 제 2 전극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타단은, 상기 제 2 측면 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방향의 양단의 전극층의 상기 제 2 전극부는, 구동 외부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제 1 방향의 양단 사이의 중간부 전극층의 상기 제 1 전극부는, 구동 내부 전극으로 하여, 상기 제 1 전극부와 상기 제 2 전극부의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전극층 및 제 1 및 제 2 측면 전극이 전기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6항에 있어서,
분극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제 1 방향의 양단의 압전체층이, 상기 적층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분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부 및 제 2 전극부 사이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압전체층을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신축(伸縮)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항에 기재된 압전 진동 모듈의 상기 탄성판을 진동판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접속되어 외부로 인출된 배선 부재와, 상기 압전 소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탄성판과, 상기 압전 소자 및 상기 배선 부재의 상기 압전 소자와의 접속 부분을 덮도록 설치된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상기 탄성판이 부착된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설치된 전극 취출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 부재는, 탄성을 구비한 도전성 부재이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전극 취출부로부터, 상기 압전 소자의 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6항에 있어서,
또한, 음압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음압 조정 수단은, 상기 하우징 부재의 표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 진동 모듈을 부착하는 피(被)부착 부재의 상기 압전 진동 모듈에 의해 여기(勵起)되는 공진의 마디(節, node)가 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6항에 있어서,
또한, 음압 조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음압 조정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와 평행으로 상기 하우징 부재에 일체로 설치된 복합화재(複合化材)를 가지며, 상기 복합화재는, 상기 압전 소자의 자체의 진동과, 피(被)부착부재의 상기 압전 진동 모듈에 의해 여기되는 진동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를 구성하는 압전 소자부를 복수매, 제 1 방향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가지며, 상기 각 압전 소자부는, 압전체층과, 상기 각 압전체층 상에,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표면 전극층과, 상기 압전체층의 상기 제 2 방향의 단부(端部)에 형성되며, 상기 표면 전극층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은, 상기 표면 전극층으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적층 위치에 따른 상기 각 압전체층의 상기 단부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바닥부에 위치지어진 바닥부 압전 소자부와, 최상부에 위치지어진 최상부 압전 소자부를 가지며, 상기 최상부 압전 소자부의 분극 방향은, 상기 바닥부 압전 소자부를 포함하는 다른 압전 소자의 분극 방향과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압전 소자부의 압전체층과, 상기 최상부 압전 소자부 이외의 상기 바닥부 압전 소자부의 압전체층을 제외한 압전체층은, 서로 반대의 신축 진동을 여기하는 것과 같은 전극 구조를 가지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22항에 있어서,
또한, 음압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음압 조정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부의 적층 수, 상기 각 압전 소자부의 분극 방향, 및 상기 압전 소자부의 구동 전압의 인가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굴곡 진동을 행하는 압전 바이몰프(bimorph)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층의 수는, 2n(단, n은 1 이상의 정수(整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 제 16항에 기재된 압전 진동 모듈과, 구동 회로 기판과 케이스(筐體)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압전 진동 모듈을 통해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 압접(壓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 장치.
- 제 16항에 기재된 압전 진동 모듈을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실장(實裝)하는 실장 방법으로서,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도전성 부재이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압전 진동 모듈의 상기 도전성 부재의 돌출단(端)을 구동 회로 기판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의 실장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086278 | 2012-04-05 | ||
JP2012086278 | 2012-04-05 | ||
PCT/JP2012/067971 WO2013150667A1 (ja) | 2012-04-05 | 2012-07-13 | 圧電素子、圧電振動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0619A Division KR101782047B1 (ko) | 2012-04-05 | 2012-07-13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2397A KR20140132397A (ko) | 2014-11-17 |
KR101594827B1 true KR101594827B1 (ko) | 2016-02-17 |
Family
ID=49300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0619A Active KR101782047B1 (ko) | 2012-04-05 | 2012-07-13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KR1020147027903A Active KR101594827B1 (ko) | 2012-04-05 | 2012-07-13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0619A Active KR101782047B1 (ko) | 2012-04-05 | 2012-07-13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544694B2 (ko) |
JP (1) | JP6062925B2 (ko) |
KR (2) | KR101782047B1 (ko) |
CN (1) | CN104247459B (ko) |
TW (1) | TW201342941A (ko) |
WO (1) | WO20131506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87759B2 (en) | 2009-09-30 | 2013-07-16 | Apple Inc. | Self adapting haptic device |
US10120446B2 (en) | 2010-11-19 | 2018-11-06 | Apple Inc. | Haptic input device |
KR102026905B1 (ko) * | 2013-03-29 | 2019-11-04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압전진동모듈 |
US10236760B2 (en) | 2013-09-30 | 2019-03-19 | Apple Inc. |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
US9317118B2 (en) | 2013-10-22 | 2016-04-19 | Apple Inc. | Touch surface for simulating materials |
JP5676043B1 (ja) * | 2013-10-28 | 2015-02-25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音響を発生させる装置 |
CN105814510B (zh) | 2013-12-10 | 2019-06-07 | 苹果公司 | 具有触觉响应的带体附接机构 |
JP6363352B2 (ja) * | 2014-01-30 | 2018-07-25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 |
US9949036B2 (en) | 2013-12-26 | 2018-04-17 | Kyocera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
US10545604B2 (en) | 2014-04-21 | 2020-01-28 | Apple Inc. | Apportionment of forces for multi-touch input devices of electronic devices |
TWI489151B (zh) * | 2014-05-09 | 2015-06-21 | Wistron Corp | 三維物件顯示方法、顯示器及顯示胞 |
KR101715926B1 (ko) * | 2014-05-14 | 2017-03-14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DE102015209639A1 (de) | 2014-06-03 | 2015-12-03 | Apple Inc. | Linearer Aktuator |
WO2016036671A2 (en) | 2014-09-02 | 2016-03-10 | Apple Inc. | Haptic notifications |
US10353467B2 (en) | 2015-03-06 | 2019-07-16 | Apple Inc. | Calibration of haptic devices |
EP3280156B1 (en) * | 2015-03-31 | 2021-05-26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Piezoelectric element and ultrasound sensor provided with same |
AU2016100399B4 (en) | 2015-04-17 | 2017-02-02 | Apple Inc. |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
JP6519652B2 (ja) * | 2015-04-30 | 2019-05-2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デバイス、圧電デバイスアレイおよび圧電トランス |
WO2016194691A1 (ja) * | 2015-05-29 | 2016-12-0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デバイス、電子機器 |
WO2017044618A1 (en) | 2015-09-08 | 2017-03-16 | Apple Inc. |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
US10039080B2 (en) | 2016-03-04 | 2018-07-31 | Apple Inc. | Situationally-aware alerts |
US10268272B2 (en) | 2016-03-31 | 2019-04-23 | Apple Inc. |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
US20170364158A1 (en) * | 2016-06-20 | 2017-12-21 | Apple Inc. | Localized and/or Encapsulated Haptic Actuators and Elements |
JP6873843B2 (ja) * | 2016-11-25 | 2021-05-19 | 住友理工株式会社 | 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6933054B2 (ja) * | 2017-02-13 | 2021-09-08 | Tdk株式会社 | 振動デバイス |
US10622538B2 (en) | 2017-07-18 | 2020-04-14 | Apple Inc. |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
JP6822380B2 (ja) * | 2017-11-02 | 2021-01-27 | Tdk株式会社 | 振動デバイス |
CN109873074B (zh) * | 2017-12-01 | 2023-06-02 | 深圳市豪恩声学股份有限公司 | 压电薄膜传感器及其制备方法 |
JP7102762B2 (ja) * | 2018-02-09 | 2022-07-20 | 日立金属株式会社 | 圧電部材 |
US10691211B2 (en) | 2018-09-28 | 2020-06-23 | Apple Inc. |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
US10599223B1 (en) | 2018-09-28 | 2020-03-24 | Apple Inc. | Button providing force sensing and/or haptic output |
JP7087942B2 (ja) * | 2018-11-16 | 2022-06-21 | Tdk株式会社 | 振動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振動デバイスの駆動方法 |
KR102668284B1 (ko) | 2019-02-01 | 2024-05-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7207146B2 (ja) * | 2019-05-13 | 2023-01-18 | Tdk株式会社 | 振動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
KR102705755B1 (ko) * | 2019-06-28 | 2024-09-11 | 주식회사 아모텍 | 압전스피커용 압전소자 |
US11380470B2 (en) | 2019-09-24 | 2022-07-05 | Apple Inc. |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
JP2020114029A (ja) * | 2020-04-17 | 2020-07-27 |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 振動板用フィルム及びスピーカの振動板 |
US11977683B2 (en) | 2021-03-12 | 2024-05-07 | Apple Inc. |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
US11809631B2 (en) | 2021-09-21 | 2023-11-07 | Apple Inc. |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
DE102021129229B9 (de) | 2021-11-10 | 2022-11-03 | Tdk Electronics Ag | Piezoelektrischer Wandler |
WO2023140166A1 (ja) * | 2022-01-19 | 2023-07-27 | 株式会社Cast | 超音波プローブおよび超音波プローブの製造方法 |
US20240147166A1 (en) * | 2022-05-24 | 2024-05-02 | Omvo Technology Inc. | Planar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
CN115095509B (zh) * | 2022-07-21 | 2024-09-10 | 米笛声学科技(江阴)有限公司 | 微型泵 |
CN115442724A (zh) * | 2022-09-22 | 2022-12-06 | 华中科技大学 | 一种mems扬声器及其性能提升方法 |
CN118450786B (zh) * | 2023-09-21 | 2025-05-16 |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 压电模组以及电子设备 |
KR20250050310A (ko) * | 2023-10-06 | 2025-04-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21532A (ja) * | 2006-02-17 | 2007-08-30 | Nec Tokin Corp | 音響振動発生素子 |
JP2010283141A (ja) * | 2009-06-04 | 2010-12-16 | Toyota Motor Corp | 積層型圧電素子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93497A (ja) | 1983-04-18 | 1984-11-02 |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 圧電ブザ− |
US4600851A (en) * | 1984-04-11 | 1986-07-15 | Fuji Electrochemical Co., Ltd. | Piezoelectric buzzer with circuit elements mounted on nodal areas |
JP2002055156A (ja) * | 2000-08-11 | 2002-02-20 | Nippon Soken Inc | 超音波センサ |
JP2005278015A (ja) * | 2004-03-26 | 2005-10-06 | Star Micronics Co Ltd | イヤホン |
JP2007028469A (ja) * | 2005-07-21 | 2007-02-01 | Nec Tokin Corp | 音響振動発生素子、音響振動発生素子の製造方法及び音響振動発生装置 |
JP2008005056A (ja) | 2006-06-20 | 2008-01-10 | Citizen Electronics Co Ltd | 圧電型撓み振動エキサイタ |
JP4720661B2 (ja) | 2006-07-13 | 2011-07-13 | Tdk株式会社 | 圧電発音体 |
JP2007228610A (ja) | 2007-03-30 | 2007-09-06 | Nec Tokin Corp | 音響振動発生素子 |
WO2010029699A1 (ja) * | 2008-09-10 | 2010-03-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磁歪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の磁歪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スピーカと機器 |
JP5222103B2 (ja) | 2008-11-12 | 2013-06-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
JP2010177867A (ja) | 2009-01-28 | 2010-08-12 | Kyocera Corp | 圧電スピーカ |
KR101245381B1 (ko) | 2009-12-04 | 2013-03-19 | 주식회사 제이원뮤직 |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
-
2012
- 2012-07-13 WO PCT/JP2012/067971 patent/WO20131506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7-13 KR KR1020157030619A patent/KR101782047B1/ko active Active
- 2012-07-13 KR KR1020147027903A patent/KR101594827B1/ko active Active
- 2012-07-13 JP JP2014508995A patent/JP6062925B2/ja active Active
- 2012-07-13 CN CN201280072157.4A patent/CN104247459B/zh active Active
- 2012-07-13 US US14/390,997 patent/US9544694B2/en active Active
- 2012-07-16 TW TW101125483A patent/TW201342941A/zh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21532A (ja) * | 2006-02-17 | 2007-08-30 | Nec Tokin Corp | 音響振動発生素子 |
JP2010283141A (ja) * | 2009-06-04 | 2010-12-16 | Toyota Motor Corp | 積層型圧電素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6715A (ko) | 2015-11-12 |
KR101782047B1 (ko) | 2017-10-23 |
JPWO2013150667A1 (ja) | 2015-12-17 |
TWI562646B (ko) | 2016-12-11 |
KR20140132397A (ko) | 2014-11-17 |
US20150163598A1 (en) | 2015-06-11 |
CN104247459B (zh) | 2017-07-21 |
WO2013150667A1 (ja) | 2013-10-10 |
US9544694B2 (en) | 2017-01-10 |
JP6062925B2 (ja) | 2017-01-18 |
CN104247459A (zh) | 2014-12-24 |
TW201342941A (zh)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4827B1 (ko) | 압전 소자, 압전 진동 모듈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601748B1 (ko) |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 |
EP0165886B1 (en) | Sheet-like piezoelectric element | |
JP5815833B2 (ja) | 音響発生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響発生装置 | |
Kim et al. | Improvement of low-frequency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speakers based on acoustic diaphragms | |
KR101663089B1 (ko) | 압전 소자 및 압전 스피커 | |
KR101578806B1 (ko) | 배터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 |
KR101612456B1 (ko) | 압전 파이버 컴포지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압전 스피커 | |
CN102946579B (zh) | 振动材料、虚拟触觉生成器、触控模组及振膜 | |
KR101764986B1 (ko) | 압전 재료 시트 적층 구조체, 이를 이용한 스피커 및 이의 구동 방법 | |
JP5878980B2 (ja) |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20190018251A (ko) | 압전 소자, 이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액츄에이터, 및 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모듈 | |
KR101579121B1 (ko) |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 |
KR101542186B1 (ko) | 피에조 파이버 컴포지트 구조체를 이용한 압전 스피커 | |
KR101493014B1 (ko) | 압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
JP2011071488A (ja) | 圧電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40089031A (ko) |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 |
JP5726375B2 (ja) |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2626340B1 (ko) | 압전 소자, 이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액츄에이터, 및 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모듈 | |
JP2017118424A (ja) |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KR101476360B1 (ko) | 햅틱 액츄에이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
KR20190122090A (ko) | 압전 소자, 이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액츄에이터, 및 이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압전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5102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