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35044A -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044A
KR20050035044A KR1020030070874A KR20030070874A KR20050035044A KR 20050035044 A KR20050035044 A KR 20050035044A KR 1020030070874 A KR1020030070874 A KR 1020030070874A KR 20030070874 A KR20030070874 A KR 20030070874A KR 20050035044 A KR20050035044 A KR 2005003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dpe
synthetic resin
particles
waste synth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말특
Original Assignee
김말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말특 filed Critical 김말특
Priority to KR102003007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5044A/ko
Publication of KR2005003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44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LDPE 및 EVA 폐합성수지를 직경 2~3mm로 분쇄하여 LDPE 입자(122) 및 EVA 입자(123)를 형성하되, LDPE 입자 80~90%(부피비)와 EVA 입자 10~20%(부피비)를 배합하고, 배합된 LDPE-EVA 입자(122)(123)를 액상의 아크릴 수지(125)에 교반하되, LDPE-EVA 입자 : 아크릴 수지의 비율을 부피비 10:1 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를 조성함과 아울러 상기 폐합성수지제 방음재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a) 또는 철골 구조물(10b)로 구성된 구조물층(10)에 20~30mm 타설하여 방음층(120)을 형성한 후 기포콘크리트층(30), 난방배관층(35), 미장층(40)을 형성하고 마감재(50)를 부착하여 슬래브(100)를 구성하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구조물층의 평탄작업, 방음재의 절단 및 테이핑작업이 필요없고, 구조물층의 굴곡진 부분이나 배관 및 배선이 돌출된 부분의 작업이 용이하여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으며, 방음재와 구조물층을 밀착하고 기포콘크리트층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과 아울러 방음재간 이음매가 없어 방음 및 단열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폐합성수지를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A sound proof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waste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DPE 및 EVA 폐합성수지를 일정 크기의 입자로 각각 분쇄하여 적정 비율로 배합한 후, 액상의 아크릴 수지와 적정 비율로 교반한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상기 방음재를 슬래브의 구조물층에 타설하는 방음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각 층간 소음을 차단함은 물론이고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원자재를 절감하며,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통상 두께 120~200mm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건물구조체로 구성되는 벽식구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는 재료의 특성상 강성이 있고 밀실하기 때문에 말소리나 TV소리 등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에 대해서는 충분한 차단성능을 갖는 반면, 콘크리트면에 충격이 가하여질 때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의 경우. 즉, 윗층의 뛰는 소리나 걷는 소리, 물건 떨어트리는 소리의 경우 콘크리트는 자체 진동 감쇄능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인접 세대로 소음이 쉽게 전달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공동주택 주거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환경에 대한 조사결과 불만족 1순위가 층간소음으로 나타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심각한 실정이어서, 정부에서도 상기 문제를 인식하여 층간 소음 규제방안을 입법화함에 따라 근래에 들어 각종 방음재가 제안되어 시공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방음재로써 방음시트의 구성 및 그를 이용한 일반적인 슬래브의 구조를 하기에서 도 1,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수의 철근(12a)을 배근하여 콘크리트(13a)를 타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a) 또는 H-빔(미도시)에 걸쳐 설치한 데크 플레이트(15)상에 다수의 철근(12b)을 배근하고 콘트리트(13b)를 타설한 철골 구조물(10b)로 구성된 구조물층(10)에 일정 크기의 방음시트(20)를 배열하여 접착 테이프(22)로써 각 방음시트(20)의 경계부를 접착하고, 상기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방음시트(20)상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콘크리트층(30)을 형성하며, 기포콘크리트(30)의 상측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갈(38)을 포장하여 배관(37)을 설비한 난방배관층(35)을 형성한 후 미장층(40)을 형성하여 마감재(50)를 부착함으로써 슬래브(1)를 구성하거나, 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콘크리트(30)상에 난방배관층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미장층(40)을 형성한 후 마감재(50)을 부착함으로써 슬래브(1)를 구성한다.
상기 제안된 종래 방음시트(20)는 무기섬유류, 발포폴리스틸렌류, 가교발포폴리에틸렌류, LDPE(low-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방진고무 등을 원재료로 하는 한편, 상기 방음시트는 부가적으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통상적인 단열재로써 스티로폼을 방음시트로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방음시트(20)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의하면, 방음시트(20)상에 타설 및 설치되는 각 층의 구조적인 안정과 방음효율을 위하여 방음시트(20)를 구조물층(10)의 표면에 최대한 밀착하여야 하는바, 망치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구조물층(10)의 표면에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평탄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손실될 뿐만 아니라 평탄작업에 한계가 있어 평탄작업 후에도 방음시트(20)가 구조물층(10)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형상의 방음시트(20)를 사용함에 따라 구조물층(10)의 굴곡진 부분이나 배관 또는 배선이 돌출되는 부분에는 작업자가 그에 걸맞는 형상으로 방음시트(20)를 절단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작업이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틈새가 생길 수 밖에 없으며, 다수의 방음시트(20)를 작업자가 접착 테이프(22)로써 테이핑 작업을 하므로서 작업시간 및 노동력 손실이 불가피하여 작업능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방음시트(20) 사이의 틈새에 의하여 방음 및 단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방음시트(20)로 사용되는 원료 중에서 발포폴리스틸렌류, 가교발포폴리에틸렌류, LDPE, EVA 는 건축용 방음시트 이외에 다른 산업분야의 방음 및 단열, 또는 포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각 산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폐자재가 불가결하게 발생하는바, 상기 폐자재는 재활용되기도 하기만 상당수가 소각 및 매립되는 등 원자재의 낭비와 함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슬래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조물층의 표면 평탄작업이 없이 방음재와 구조물층을 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방음재를 접착하는 테이핑 작업을 필요치 않아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굴곡진 부분이나 배관 및 배선이 돌출된 부분의 작업이 용이하고, 이음매가 없어 방음 및 단열 효율을 향상하며, 타 산업분야의 폐자재를 재활용하므로서 원자재 절감과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LDPE 또는 EVA 폐합성수지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여 배합한 후 액상의 아크릴 수지와 적정 비율로 교반한 방음재 및 상기 방음재를 구조물층에 타설한 후, 기포콘크리트층을 비롯한 각 층을 형성하는 방음시공방법을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을 하기에서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방음재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에 따른 슬래브의 구조를 살펴보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a) 또는 철골 구조물(10b)로 구성된 구조물층(10)에 폐합성수지 입자를 액상의 아크릴 수지에 교반한 방음재를 20~30mm 타설하여 방음층(120)을 형성하고, 방음층(120)의 양생이 완료되면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포콘크리트층(30)을 형성하며, 상기 기포콘크리트(30)상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배관층(35)을 형성한 후 미장층(40)을 형성하여 마감재(40)를 부착하거나,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콘크리트(30)의 상측에 난방배관층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미장층(40)을 형성한 후 마감재(50)를 부착하여 슬래브(100)를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2a, 12b, 13a, 13b, 15, 37, 38은 철근(12a)(12b), 콘크리트(13a)(13b), 데크 플레이트(15), 배관(37), 자갈(38)이다.
한편, 상기 방음재는 폐합성수지제로써 발포폴리스틸렌류, 가교발포폴리에틸렌류, LDPE(low-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LDPE 및 EVA를 사용함이 적절한바 폐기되는 LDPE 및 EVA 폐합성수지를 직경 2~3mm로 분쇄함이 바람직하고, 분쇄한 LDPE 입자(122) 및 EVA 입자(123)의 비율은 그 폐기량을 감안할 때 LDPE 입자 80~90%(부피비)와 EVA 입자 10~20%(부피비)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합된 LDPE-EVA 입자(122)(123)대 아크릴 수지(125)는 부피비 10:1 로 교반함이 바람직한바, 아크릴 수지 대용으로 에폭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의 작용효과를 하기에서 살펴보면, LDPE-EVA 입자(122)(123)를 액상의 아크릴 수지(125)에 교반한 방음재를 조성하여 구조물층(10)에 타설함으로써, 구조물층(10)의 표면 평탄작업을 하지 않고도 구조물층(10)과 방음층(120)의 밀착이 가능함에 따라 방음층(120)상에 타설되는 기포콘크리트층(30)을 포함하는 각 층이 구조적으로 안정됨과 아울러 기포콘크리트층(30)과 접하는 방음층(120)의 표면이 거칠어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방음, 단열 효과를 극대화 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층(10)의 굴곡진 부분이나 배관 및 배선이 돌출된 부분의 작업이 용이하고, 평탄작업ㆍ절단작업ㆍ테이핑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하며, 틈새가 없어 방음 및 단열 효율을 향상한다. 또한, 각 산업분야에서 불가결하게 발생하는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활용 및 환경오염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슬래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조물층의 평탄작업, 방음재의 절단 및 테이핑 작업이 필요 없고, 구조물의 굴곡진 부분이나 배관 및 배선이 돌출된 부분의 작업이 용이하여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으며, 방음재와 구조물층을 밀착하고 기포콘크리트층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과 아울러 방음재간 이음매가 없어 방음 및 단열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 산업분야의 폐합성수지를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음시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방음시트를 이용한 일반적인 철골 슬래브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재를 시공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재를 시공한 철골 슬래브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음재에 따른 방음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 슬래브 10 : 구조물층
10a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10b : 철골 구조물
12a, 12b : 철근 13a, 13b : 콘크리트
15 : 데크 플레이트 20 : 방음시트
22 : 접착 테이프 30 : 기포콘크리트층
35 : 난방배관층 40 : 미장층
50 : 마감재 120 : 방음층
122 : LDPE 입자 123 : EVA 입자
125 : 아크릴 수지

Claims (2)

  1. 폐합성수지제 방음재에 있어서;
    LDPE 및 EVA 폐합성수지를 직경 2~3mm로 분쇄하여 LDPE 입자 및 EVA 입자를 형성하되, LDPE 입자 80~90%(부피비)와 EVA 입자 10~20%(부피비)를 배합하고, 배합된 LDPE-EVA 입자를 액상의 아크릴 수지에 교반하되, LDPE-EVA 입자 : 아크릴 수지의 비율을 부피비 10:1 로 교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골 구조물로 구성된 구조물층에 방음층을 형성한 후 기포콘크리트층, 난방배관층, 미장층을 형성하고 마감재를 부착하여 슬래브를 구성하는 방음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음층은 LDPE 및 EVA 폐합성수지를 직경 2~3mm로 분쇄하여 LDPE 입자 80~90%(부피비)와 EVA 입자 10~20%(부피비)를 배합하되, 배합된 LDPE-EVA 입자에 액상의 아크릴 수지를 부피비 10(LDPE-EVA 입자):1(아크릴 수지)로 교반하여 조성한 방음재를 구조물층에 20~30mm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제 방음재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KR1020030070874A 2003-10-11 2003-10-11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Abandoned KR20050035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74A KR20050035044A (ko) 2003-10-11 2003-10-11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74A KR20050035044A (ko) 2003-10-11 2003-10-11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44A true KR20050035044A (ko) 2005-04-15

Family

ID=3723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74A Abandoned KR20050035044A (ko) 2003-10-11 2003-10-11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50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30B1 (ko) * 2015-01-28 2015-06-19 황지원 차음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일체형 차음·단열 콘크리트 제조 방법
CN112856797A (zh) * 2021-03-22 2021-05-28 珠海格力绿色再生资源有限公司 吸音隔音复合结构及空调压缩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06B1 (ko) * 1996-10-18 1999-04-01 김성도 건축용 방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7508B1 (ko) * 1998-05-29 2001-11-30 송영수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흡진흡음용절연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06B1 (ko) * 1996-10-18 1999-04-01 김성도 건축용 방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07508B1 (ko) * 1998-05-29 2001-11-30 송영수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흡진흡음용절연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30B1 (ko) * 2015-01-28 2015-06-19 황지원 차음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일체형 차음·단열 콘크리트 제조 방법
CN112856797A (zh) * 2021-03-22 2021-05-28 珠海格力绿色再生资源有限公司 吸音隔音复合结构及空调压缩机
CN112856797B (zh) * 2021-03-22 2022-04-08 珠海格力绿色再生资源有限公司 吸音隔音复合结构及空调压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812B2 (en) Composite sound barrier panel
KR20080108893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US6329437B1 (en) Materials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based on recycled or newly made plastic materials, improved building components made for said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8117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287084Y1 (ko) 공동주택의 층간 단열 및 소음방지 뜬바닥구조
KR20050035044A (ko) 폐합성수지제 방음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시공방법
KR100583847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US8070877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lant-based construction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obtained by means of said method
KR200181811Y1 (ko) 소음 및 진동 차폐용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10084754A (ko) 다층 건물의 바닥 시공방법
KR200290830Y1 (ko) 공기층이 형성된 벽면 방진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CN208502051U (zh) 一种轻质复合隔音墙板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KR200309432Y1 (ko) 폐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건축물 층간진동소음방진제품과 열가소성 프라스틱(p.e p.s)을 발포시키어생산한 건축물의 층간 진동소음 방진제품을 합지한 층간진동소음 방진제품
KR101454309B1 (ko) 비내력 내벽 경량벽체
KR100602041B1 (ko) 단열방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KR100545877B1 (ko) 건축물 층간바닥 저소음 단열 차음 방진재
TWM597794U (zh) 隔音樓板的隔音裝置
CN201381571Y (zh) 一种新型隔声隔热复合楼板
CN218668165U (zh) 一种便于拼接的蒸压加气装配式混凝土板材
KR200329741Y1 (ko) 기능성 문양이 있는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32433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 및 이를 사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100002963U (ko) 단열 차음 바닥재 및 단열 차음 바닥재 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