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204A - 상품 할당 시스템, 상품 할당 방법, 상품 할당 프로그램,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상품 할당 시스템, 상품 할당 방법, 상품 할당 프로그램,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09204A KR20050009204A KR1020040055100A KR20040055100A KR20050009204A KR 20050009204 A KR20050009204 A KR 20050009204A KR 1020040055100 A KR1020040055100 A KR 1020040055100A KR 20040055100 A KR20040055100 A KR 20040055100A KR 20050009204 A KR20050009204 A KR 200500092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ion frame
- frame information
- information
- customer
- distribu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계획적이며 효율적으로 상품을 배송할 수 있는 상품 할당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관리 센터는, 통지된 입고 예정의 상품을 입고되기 전에 미리 도착지에 배분한다. 배분되는 배분수는,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있었던 경우에, 그 주문에 응하는 것이 가능한 상한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지역별 판매 예측, 고객의 우선도, 또는 미리 고객마다 설정된 비율에 의해 관리 센터가 결정한다. 배분수는,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에 유연하게 응할 수 있도록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설정되며, 하층의 층으로부터 상층 방향으로, 주문에 따라 고객에게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품 할당 시스템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고 예정으로 되어 있는 상품의 배송처를 미리 정해 놓음으로써, 상품 물류를 효율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종래의 상품 배송 시스템(10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품 배송 시스템(101)은, 크게 나누어 출하 에리어(102), 축적 에리어(103), 배송 존(104)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하 에리어(102)는, 예를 들면 제조 회사에 설치되어, 제조한 제품을 보관해 두는 창고나, 해외에서 생산되어, 항구에서 양륙된 상품을 보관해 두는 창고 등, 상품 출하의 기점으로 되는 장소로 구성된 에리어이다.
축적 에리어(103)는 창고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모아 축적해 두는 거점으로, 후방에 설치된 보충 거점과, 전방에 설치된 상품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배송 존(104)은 상품의 도착지로, 예를 들면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양판점, 소매점, 또는 도매상 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품 배송 시스템(101)에서의 물류는 다음과 같이 행해졌다.
출하 에리어(102)로부터는, 상품이 예측 출하되어, 보충 거점에 축적된다.
한편, 배송 존(104)의 도착지가 상품을 주문하면, 축적 에리어(103)에서는, 주문된 상품이 상품 센터에 있는지 확인한다. 상품 센터에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도착지로 배송하고, 보충 거점으로부터 상품을 가져와 보충한다.
상품 센터에 없는 경우에는, 보충 거점에 주문된 상품이 있는지 다시 확인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상품 센터를 통해 도착지로 배송한다.
주문된 상품이 보충 거점에 없는 경우에는, 다시 제조원에 상품을 주문한다.
또한, 상품 배송의 물류를 효율화하는 발명으로서, 다음의 서플라이 체인 관리 시스템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3-48621
본 발명은, 유통업자로부터 제공된 실제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품 수요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부품 납입 업자에게 부품 납입 납기를 문의한다. 그리고, 부품 납입 업자로부터의 회답으로부터 완성품 납기를 어림하여 유통 업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또한, 상품 납기를 안내하는 발명으로서, 다음의 상품 판매 장치가 있다.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2-24362
본 발명은, 주문을 받기 전에도 고객에게 납기를 안내하고, 고객이 주문한 경우, 안내한 납기에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송하는 것이다.
상품 배송 시스템(101)에서는, 출하 에리어(102)로부터 출하된 상품을 축적 에리어(103)에 바로 축적해 두고, 배송 존으로부터 주문이 있었던 경우에 축적해둔 상품을 출하하는 등과 같이, 배송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또한, 이들 물류를 담당하는 배송 차량은 거점마다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짐이 적은 배송 차량을 운행하거나, 또는 돌아올 때 짐을 싣지 않고 오는 경우도 있어, 배송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획적이며 효율적으로 상품을 배송할 수 있는 상품 할당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상품 배송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관리 센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판매 예측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배분 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배당 시에 배분수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복수의 배분 틀 구조를 계층적으로 구성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배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배당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집하 마감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집하 마감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집하 마감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납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배당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재배당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이 행하는 재배당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재배당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은 미래 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관리 센터에 설치된 컴퓨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종래의 상품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품 배송 시스템
2 : 기준 출하 에리어
3 : 점포 배송 에리어
4 : 배송 존
5 : 관리 센터
7 : 판매 예측 시스템
8 : 틀 관리·배당 시스템
9 : 수주 시스템
12 : 제조 회사 시스템
13 : 배송 회사 시스템
14 : 판매 회사 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으로서, 고객과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수단과,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된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수단과,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수단과, 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을 제공한다(제1 구성).
상기 제1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어 있고,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 구성).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3 구성).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4 구성).
상기 제4 구성에서, 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5 구성).
상기 제5 구성에서, 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6 구성).
상기 제2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7 구성).
또한, 본 발명은,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상품 할당 방법으로서, 가능수 설정 수단과,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과, 주문수 취득 수단과, 할당 수단과, 갱신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로서, 고객과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단계와, 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단계와, 상기 주문수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단계와,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단계와, 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제8 구성).
제8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할당 단계에서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9 구성).
제9 구성에서, 상기 컴퓨터는,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마다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가능수 설정 단계에서, 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0 구성).
제9 구성에서, 상기 컴퓨터는, 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시 수단에 의해,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시 단계에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1 구성).
제11 구성에서, 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2 구성).
제12 구성에서, 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3 구성).
제9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4 구성).
또한, 본 발명은,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으로서, 고객과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기능과,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과,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기능과,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기능과, 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제15 구성).
제15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할당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6 구성).
제16 구성에서, 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 상기 가능수 설정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7 구성).
제16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 상기 제시 기능으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8 구성).
제18 구성에서, 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19 구성).
제19 구성에서, 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0 구성).
제16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1 구성).
또한, 본 발명은,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고객과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기능과,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과,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기능과,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 할당하는 할당 기능과, 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제22 구성).
제22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할당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3 구성).
제23 구성에서, 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 상기 가능수 설정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4 구성).
제23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 상기 제시 기능으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5 구성).
제25 구성에서, 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6 구성).
제26 구성에서, 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7 구성).
제23 구성에서, 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8 구성).
상품의 배송을 계획적으로 행할 수 있어, 상품 물류에 수반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의 개요〉
관리 센터(5)(도 1)는 판매 예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별로 필요한 생산수를 매주 예측하여, 제조 회사에 통지한다. 제조 회사는 예측수(예측값)를 만족하도록 생산 계획을 입안하여, 상품의 입고 예정을 관리 센터(5)에 통지한다. 상품은 입고되면 출하 가능한 상태로 된다.
관리 센터(5)는 통지된 입고 예정의 상품을 입고되기 전에 미리 도착지에 배분한다.
배분되는 배분수는 고객(상품의 소매점 등)으로부터 주문이 있었던 경우에, 그 주문에 따르는 것이 가능한 상한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지역별 판매 예측, 고객의 우선도, 또는 미리 고객마다 설정된 비율에 의해 관리 센터(5)가 결정된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배분수는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에 유연하게 따를 수 있도록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설정되며(도 4), 하층으로부터 상층 방향으로, 주문에 따라 고객에게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상품을 창고로부터 도착지에 배달하는 배송 차량은, 관리 센터(5)가 일괄적으로 집중 배차한다.
각 창고에서는 출하 방면마다 집하 마감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매일 정시에 배송 차량이 출발한다. 배송 차량은 미리 정의된 수송 경로를 통과하여, 재적재 거점에서 적하를 다시 적재하여 도착지에 보낸다.
배송 차량이 수송 경로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미리 어림되고 있으며, 집하 마감 시간은 배송 차량끼리 재적재 거점에서 거의 동시각에 만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배송 차량은 관리 센터(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적하의 재적재를 행하여, 도착지에 배달한다.
이와 같이, 상품이 창고로부터 출하되는 시각, 및 수송에 필요한 시간을 미리 어림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게 정확한 납기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센터(5)는 창고에의 입고가 예정되어 있는 상품을 시간 단위로,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에 할당한다.
관리 센터(5)는 제조 회사로부터 미리 시간 단위의 생산 스케줄을 제공받아, 입고 예정수를 시간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도 9).
관리 센터(5)는 고객으로부터 주문수와 희망 납기를 취득하고,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을 특정하고, 그 집하 마감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 즉 현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입고 예정으로 되어 있는 상품을 고객에게 주문수만큼 할당한다.
이와 같이, 희망 납기에 시간에 맞추는, 가장 입고가 늦은 상품을 고객에게 할당함으로써, 이 고객보다 짧은 납기의 주문이 나중에 들어온 경우라도 이에 따를 수 있어서, 생산 예정에 맞는 효율적인 할당을 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생산이 완료된 현존하는 상품을 고객의 주문에 할당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아직 생산되어 있지 않은 예정상의 상품을 계획적으로 고객에게 할당함으로써 상품 물류를 효율화할 수 있다.
〈실시예의 상세 내용〉
도 1은 본 실시예의 상품 배송 시스템(1)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품 배송 시스템(1)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스테레오 등의가전 제품을 판매점에 배송하는 시스템으로 한다.
상품 배송 시스템(1)은 기준 출하 에리어(2), 점포 배송 에리어(3), 배송 존(4), 및 관리 센터(5)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 출하 에리어(2)는 상품의 제조 회사의 창고나, 해외에서 생산된 상품을 양륙하여 보관하는 창고 등의 상품 출하의 기점으로 되는 출하 거점군을, 후술하는 점포 배송 에리어(3)에의 수송 리드 타임이 동일하게 되도록 집약한 것이다.
도 1에서, 기준 출하 에리어(2)를 하나만 도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쿄(東京) 에리어, 또는 쥬쿄(中京) 에리어 등으로, 전국의 각 지역별로 복수 존재한다.
점포 배송 에리어(3)는 특정한 전선 거점을 기점으로 배송을 행하는 지역으로서, 상품을 배송하는 에리어를 지역별로 그룹 분리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점포 배송 에리어(3)를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간토우꼬우신에츠(關東甲信越) 에리어나 쥬부(中部) 에리어 등으로, 전국의 지역별로 복수 존재한다.
점포 배송 에리어(3)에는 배송 차량이 적하를 다시 적재하는 재적재 거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송 차량은 재적재 거점에서, 관리 센터(5)의 지시대로 적하를 재적재하여 다음의 재적재 거점, 또는 도착지를 향하여 적하를 운송한다.
배송 존(4)은 점포 배송 에리어(3)로부터의 수송 리드 타임이 동일하게 되는 상품의 도착지를 집약하여 그룹화한 것이다.
도 1에서, 배송 존(4)은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점포 배송 에리어(3) 내에복수 존재한다.
도착지로서는, 예를 들면 가전 양판점의 점포나 배송 센터, 개인 경영의 가전 소매 점포, 가전 제품의 도매업자 등이 있다.
관리 센터(5)는 상품 배송 시스템(1)에서의 상품 물류를 일원 관리하는 기관으로서, 상품이 기준 출하 에리어(2)로부터 배송존(4)으로 배달될 때까지 막힘없이 수송되도록 관리하는 기관이다.
관리 센터(5)는 판매 예측을 행하여, 상품을 어느 정도 생산하면 될지 어림잡아, 제조 회사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센터(5)는 상품 구입의 주문을 고객으로부터 받기 전에 제조 회사에 의뢰한다.
또, 상품 배송 시스템(1)에서 고객이란, 제조 회사가 제조한 상품을 관리 센터(5)의 관리 하에서 구입하는 사람으로서, 예를 들면 소매 점포나 양판점 등이며, 제조 회사로부터 소비자에게 상품을 직판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가 고객이 된다.
제조 회사는 관리 센터(5)가 제공한 예측수에 기초하여 생산수를 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는 생산 계획을 입안한다.
관리 센터(5)는 이 생산 계획으로부터 입고되어 출하 가능하게 되는 상품의 개수를 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센터(5)는 이 입고 예정의 상품에 관하여, 창고의 집하 마감 시간, 수송 차량의 수송 경로를 지정하여, 재적재 거점에서의 재적재 지시를 행한다. 집하 마감 시간과 수송 경로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수송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시간은 미리 어림되고 있으며, 집하 마감 시간은, 수송 차량이 재적재 거점에서 동일한 시각에 만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을 계획적으로 배송하기 위해서는, 상품이 출하된 시점에서, 그 상품의 도착지가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관리 센터(5)는, 후술하는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 처리」와,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의 2개의 정보 처리를 행한다.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 처리」는, 주 단위로 생산될 예정의 상품을 판매 예측에 기초하여 미리 고객에게 할당해 두는 정보 처리이고,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는, 시간 단위로 출하되는 상품을, 고객의 희망 납기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정보 처리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객에게는 계층 관계가 정의된 판매 틀 정보가 설정된다.
이하에서, 이들 정보 처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를 정의해 둔다.
「배분수」란, 고객의 주문에 따를 수 있는 상품의 개수의 상한값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고객 A의 배분수가 10이고, 고객 B의 배분수가 5인 경우, 고객 A로부터의 주문에는 10개까지 대응할 수 있고, 고객 B로부터의 주문에는 5개까지 대응할 수 있다.
「배분」이란, 고객에게 배분수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객 A와 고객 B에 각각 10과 5를 배분하면, 고객 A, 고객 B에 각각 배분수 10과 5가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객에게 대응된 계층적인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하고, 이 배분 틀에 대하여 배분을 행한다.
「배당」이란,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있었던 경우에, 소정의 배당 룰에 따라,그 고객의 배분수로부터 주문수를 소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분수가 10인 고객으로부터, 3개의 주문이 있었던 경우, 배분수10로부터 3을 소비하여, 배당 후의 배분수는 7로 된다. 이 고객은 후에 7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즉, 고객은 배분수만큼 상품을 주문할 권리가 있으며, 배당이란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다.
즉, 고객은 배분수만큼 입고 예정의 상품을 확보할 권리가 있으며, 배당함으로써, 주문수만큼(아직 생산되어 있지 않음) 상품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관리 센터(5)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시스템 구성은, 일례로서, 1대의 서버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해도 되며, 또는 복수의 서버 장치를 조합하여 실현해도 된다.
관리 센터(5)는 판매 예측 시스템(7), 틀 관리·배당 시스템(8), 수주 시스템(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준 출하 에리어(2), 점포 배송 에리어(3), 배송 존(4)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시스템으로서, 제조 회사 시스템(12), 배송 회사 시스템(13), 판매 회사 시스템(14)도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관리 센터(5)의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상품 아이템별로 상품의 판매수를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판매 예측을 주 단위로 행하며, 예측 결과를 틀 관리·배당 시스템(8)과 제조 회사 시스템(12)에 통지한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상품 아이템별 과거의 판매 실적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으며,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판매수를 예측한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예측되는 판매 총수 외에, 각 지역별로, 또는 판매 사업자별 판매 예측 등, 각종 시점으로부터 판매수를 예측할 수 있다.
또, 판매 예측 시스템(7)이 산출하는 예측수는, 반드시 적중한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전문 담당자가 실정에 맞게 예측수를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판매 총수의 예측수를 제조 회사 시스템(12)에 통지한다. 제조 회사는 이 판매 총수를 이용하여 생산 스케줄을 입안하고, 틀 관리·배당 시스템(8)에 통지한다. 이 생산 스케줄에는, 입고 예정수가 시간 단위로 설정되어 있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 처리」와,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를 행하여, 입고 예정의 상품의 배분과 배당을 행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판매 예측 시스템(7)으로부터 취득한 판매 예측과, 제조 회사 시스템(12)으로부터 취득한 입고 예정을 이용하여, 입고 예정의 상품을 고객에게 배분한다.
또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수주 시스템(9)으로부터 고객으로부터의 수주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고객에게 배분한 상품으로부터 주문수를 배당한다. 그리고, 배당 결과를 수주 시스템(9)에 통지한다.
수주 데이터에는 고객을 특정하는 정보, 주문하는 상품을 특정하는 정보, 주문수, 희망 납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배송 회사 시스템(13)으로부터 재고 정보를 취득하고, 이와 배당 결과, 배분 결과를 이용하여 출하 의뢰, 출하 예정을 배송 회사 시스템(13)에 통지한다.
수주 시스템(9)은 판매 회사 시스템(14)으로부터 고객의 수주 데이터를 수신하여 틀 관리·배당 시스템(8)에 제공하고, 이 수주에 대한 배당 결과를 틀 관리·배당 시스템(8)으로부터 취득한다.
판매 회사 시스템(14)으로부터 수주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행하기로 하지만, 그 외에 전화, 팩시밀리 등을 이용해도 된다. 취득한 주문은 수주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수주 시스템(9)은 이 배당 결과로부터 납기를 계산하여, 판매 회사 시스템(14)에 통지한다.
또, 납기 계산은 틀 관리·배당 시스템(8)으로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3은 판매 예측 시스템(7)이 제공하는 판매 예측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판매 예측 담당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판매 예측 화면을 조작하면서 각종예측수를 취득할 수 있다.
예측 에리어(21)는 상품의 판매 예측을 행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란으로, 미리 설정된 값으로부터 담당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측 에리어(21)는 판매 예측을 행하는 범위를, 예를 들면 전국, 간토우 에리어, 지요다(千代田)구 등과 같이, 지역별로 선택할 수 있는 것 외에, 예를 들면 「○× 카메라」, 「○○ 법인」 등과 같이 고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 카메라 AND 지요다구」 등과 같이, 고객과 지역의 쌍방의 논리곱을 취하여, 각 고객의 각 지역별 판매 예측을 얻을 수도 있다.
품종(22)은 상품의 종류를 지정하는 란으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휴대형 캠코더」, 「텔레비전」등, 미리 준비되어 있는 상품의 종류로부터 담당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델(23)은 품종(22)으로 지정된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품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품종(22)과 모델(23)을 지정함으로써, 예측 대상인 상품 아이템을 특정할 수 있다.
또, 모델(23)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 품종(22)으로 지정되는 품종 전체의 예측수를 얻을 수 있다.
예측수 표시란(24)은 전회의 주까지의 실적과, 해당 주 이후의 예측수를 표시하는 란이다. 또, 해당 주 이후의 예측수에는, 밑줄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
항목 「판매 예측수」에는 판매 예측 시스템(7)이 구비한 예측 모듈이, 과거의 판매 실적이나 그 밖의 값을 파라미터로서 산출한 값이 표시된다.
이 예측수는 통계적인 계산 처리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담당자가 실제 판매수의 예측을 행하는데에 있어서의 지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항목 「실제 판매수」에는, 「판매 예측수」에서의 예측수에 기초하여 설정된 예측 실제 판매수가 표시된다.
이 예측수는 담당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예측수는 기계적인 처리 외에 담당자의 판단을 반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항목 「시장 재고수」에는 현재 시장에 재고로서 보관되어 있는 상품의 수량이 표시된다. 해당 주 이후에는 예측수이다. 이 예측수도 담당자가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항목 「출하 대수」에는, 해당 상품 아이템의 시장에 출하하는 대수가 표시된다. 해당 주 이후에는 예측수이다.
이 예측수는 계산식 「(해당주의 시장 재고)-(지난주의 시장 재고수)+(해당주의 실제 판매수)」에 의해 산출된다.
도 3의 예에서는, 해당주의 출하 수: 5,204=15,377-11,640+1,467로 된다.
담당자가 당주에서의 항목 「실제 판매수」, 및 「시장 재고수」를 변경하면 항목 「출하 대수」도 변경 후의 값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 갱신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예측 에리어(21)가 「전국」으로 되어 있으므로 해당 주의 출하 대수(26)는, 제조 회사로부터 출하되어야 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델 ABC12345」의 대수로 된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이 디지털 카메라의 제조 회사의 제조 회사 시스템(12)에 이 값을 보냄으로써, 제조 회사는 이 디지털 카메라의 생산 목표 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판매 예측 시스템(7)은 각 상품 아이템에 대하여, 해당 주, 및 다음 주 이후의 출하 대수를 산출하여, 이들 상품 아이템의 제조 회사에 각각 송신한다.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 처리]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행하는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고객에게 상품의 배분을 행하는데 사용하는 배분 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분 틀 구조는 상품 아이템별로 주 단위로 생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배분 틀 구조(30)는, 모델 ABC12345가 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임의의 주의 배분 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배분 틀 구조(30)는 판매 예측 시스템(7)을 구성하는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제시할 수 있다.
컴퓨터의 기억 장치는, 배분 틀 정보 설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배분 틀 구조(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분 틀명과 배분수가 부속한 배분 틀에 계층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계층 관계는 배분 틀이 속하는 계층, 배분 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배분 틀(단수), 배분 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배분 틀(단수, 또는 복수)에 의해 정의된배분 틀 정보로서, 이 계층 관계에 기초하여 배분 틀을 조립하면 계층 구조가 구성된다.
도 4의 예에서는, 최상층의 배분 틀은 배분 틀명이 「톱」이고, 배분수는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후, 배분 틀 「톱」 등으로 약기한다.
배분 틀 「톱」의 하층(계층 1)에는, 배분 틀 「주거래처 법인」, 「기타 일반 법인」「특별 법인」이 설정되고, 배분수는 각각 0이다.
배분 틀 「주거래처 법인」의 하층(계층 2)에는, 배분 틀 「에도(江戶) 전기」, 「롱 카메라」가 있으며, 배분수는 각각 50과 30으로 설정되어 있다.
배분 틀 「에도 전기」의 하층(계층 3)에는, 배분 틀 「오사카(大阪) 지점」이 있으며, 배분수는 15로 설정되어 있다.
배분 틀 「오사카 지점」의 하층(계층 4)에는, 또한 배분 틀 「우메다(梅田) 영업소」가 있으며, 배분수는 4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고객의 사업상의 계층 구조에 대응하여 배분 틀을 설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객의 사업 형태와 관계없는 배분 틀 및 계층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들 배분 틀은, 고객과 관련되어 있다. 즉, 최하층의 배분 틀은, 직접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 최하층보다 상층의 배분 틀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을 통하여 고객과 관련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최하층의 배분 틀에 각각 단수의 고객이 관련되어 있지만, 이는 1개의 배분 틀에 복수의 고객이 관련되어 있어도 된다.
고객은 관련된 배분 틀의 배분수를 아래의 계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소화함으로써,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33a)은 배분 틀 「우메다 영업소」의 배분수 45를 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즉, 45개까지 이 상품의 배당을 받을 수 있음), 배분 틀 「우메다 영업소」의 배분수를 모두 소화한 후에는, 그 상층의 배분 틀 「오사카 지점」으로 설정된 배분수 15로부터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33b)과 고객(33c)은, 계층 2에서 모두 배분 틀 「롱 카메라」과 관련되어 있으며, 계층 3, 4의 배분 틀을 소화한 후, 고객(33b)과 고객(33c)은 모두 배분 틀 「롱 카메라」의 배분수로부터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배분 틀 「롱 카메라」의 배분수가 어떤 고객에게 배당될지는, 하층의 배분수의 소화 상태에 의한다. 즉, 먼저 하층의 배분수를 소화한 사람이, 배분 틀 「롱 카메라」의 배당을 요구할 권리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층으로부터 순서대로 배당을 행하는 배당 룰을 설정함으로써, 도중의 계층을 뛰어넘어 상층의 배분수를 선취하여, 고객이 상품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분 틀 구조(30)에는, 또한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 32, …)가 설치되어 있다.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를 구성하고 있다.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는,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배분 틀의 상한을 의미함과 함께, 고객에 대하여 설정된 검색 범위의 상한도 의미한다.
고객은, 자사의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센터(5)에 액세스하고, 자신이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중,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로부터 하위의 계층을 검색할 수 있어, 이들의 배분 틀에 설정되어 있는 배분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분 틀 「에도 전기」, 「오사카 지점」, 「우메다 영업소」는, 검색 범위를 이루고, 고객(33a)은 각 배분 틀을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할 수 있지만,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보다 상위의 배분 틀 「주거래처 법인」이나, 배분 틀 「롱 카메라」등 다른 라인을 검색할 수는 없다.
또한, 동일한 검색 범위라도, 고객은 계층이 오르는 방향으로는 검색을 행할 수 있지만, 계층이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검색을 행할 수 없다.
예를 들면, 고객(33b)은 배분 틀 「삿포로(札幌) 영업소」→배분 틀 「홋카이도(北海道) 지점」→배분 틀 「롱 카메라」와 같이 위 방향의 배분 틀을 참조할 수는 있지만, 배분 틀 「롱 카메라」로부터 배분 틀 「도쿄 지점」쪽으로, 즉 계층이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검색을 행할 수는 없다.
이것은, 대형 양판점 등의 자금력이 있는 사업체가 상품의 매점을 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어느 사업체가 얼마만큼 상품을 구입했는지에 관한 것은 각 사업체의 영업 비밀에 속하는 것이며, 또한 사업체별 상품의 배분수의 결정은 상품 공급원의 판매 전략에 관한 것이므로, 배분 틀 구조(30)의 전체를 공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당의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는 상층이 배분 틀 「A 카메라」이고, 그 하층에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 등이 있다.
현재,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에 관련된 고객 「A 카메라 소매점」으로부터 관리 센터(5)에 1대 발주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고객 「A 카메라 소매점」에 관련되어 있는 최하층의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 배분수를 확인하여, 배당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 배분수는 2이므로 배당 가능하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 배분수 2 중 1대를 고객 「A 카메라 소매점」에 배당한다.
도 5의 (b)는 배당 후의 배분 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 배당수는, 1(=2-1)로 갱신되어 있다.
도 5의 (c)는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의 배분수가 0인 경우를 나타낸 배분 틀 구조도이다.
이 상태에서, 관리 센터(5)가 고객 「A 카메라 소매점」으로부터 1대 수주를 받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배분 틀 「A 카메라 홋카이도」의 배분수를 확인한다. 이 경우 0이므로 배당할 수 없어, 그 상층의 배분 틀 「A 카메라」의 배분수를 확인한다. 이 경우, 배분수가 10이므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중 1을 고객 「A 카메라 소매점」에 배당된다.
도 5의 (d)는 배당에 의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갱신한 배분 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분 틀 「A 카메라」의 배분수는 9(=10-1)로 갱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분 틀을 계층화하여 구성한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층의 배분 틀에 설정되어 있는 배분수는, 그 하층에 있는 고객이 복수 있는 경우, 이들 고객에게 공유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고객으로부터의 수주 상태에 따라 어느 한 고객에게 배당될 수 있다.
즉, 계층 구조를 이용하여 상품의 배분을 계층적으로 함으로써, 판매 예측과 실제의 주문과의 편차를 위의 계층의 배분수로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토우 에리어, 쥬쿄 에리어 등, 큰 판매 에리어에서의 판매 예측수는 수량이 크기 때문에, 예측수에 대한 주문수의 편차의 비율은 작아진다.
한편, 지요다구 우치사이와이쵸(內幸町)와 같이, 작은 판매 에리어에서는, 판매 수량이 적기 때문에, 예측수에 대한 주문수의 편차의 비율은 커진다.
이와 같이, 하의 계층의 배분 틀일수록, 관련되어 있는 고객의 수가 적어지므로, 예측수에 대한 주문수의 변동이 커져, 정확한 예측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그 변동분을 상층의 배분 틀에 배분해 두고, 하층에서 발생한 변동을 상층의 배분수로 흡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분 틀 「A 지구」에서의 판매 예측수가 3대이고, 배분 틀 「B 지구」에서의 판매 예측수가 2대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A 지구」에 1대, 「B 지구」에 1대 배분수를 설정하고, 「B 지구」와 「A 지구」의 상층에 배분 틀 「C 지역」을 설치하여, 그 배분수를 3으로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A 지구」로부터의 주문이 2대, 「B 지구」로부터의 주문이 3대 있었던 경우, 「C 지역」의 배분수 3 중, 1개를 「A 지구」로 보충하고, 2개를 「B 지구」에 보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배분수의 수정은, 전체 배분 틀 구조 중, 「A 지구」, 「B 지구」 및 바로 위의 「C 지역」만으로 완결한다.
배분 틀을 계층화하지 않고 단층으로 한 경우, 각각의 틀이 소수의 고객에 관련되어, 배분수의 부족이 발생한 경우, 배분수가 남아 있는 배분 틀을 검색하여, 그 배분 틀의 배분수를, 배분수가 부족한 배분 틀으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처리가 꽤 복잡하며, 또한 비효율적이다.
이상에서는, 배분 틀 구조가 단일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분 틀 구조를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배분 틀 구조(35)의 배분 틀 「간토우 지사」에 하층에 배분 틀 구조(36)가 종속하고, 배분 틀 구조(36)의 배분 틀 「도쿄 지점」의 하층에 배분 틀 구조(37)가 종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배분 틀 구조라도, 마찬가지로 하층으로부터 배분수를 배당해 간다.
예를 들면, 배분 틀 구조(37)의 배분 틀 「다치가와(立川) 영업소」에서 배당수가 배분수를 상회한 경우, 그 바로 위의 배분 틀 「톱」으로부터 부족분을 보충하는 것을 생각한다. 배분 틀 「톱」으로부터 보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또한 그 바로 위의 배분 틀 구조(36)의 배분 틀 「도쿄 지점」으로부터 부족수를 보충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것을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을 때까지나, 또는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도 7은,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배분수를 설정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우선, 상품 아이템을 카운트하는 카운터 i를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5).
다음으로, i번째 상품 아이템에 대하여, 입고 예정수를 취득한다(단계 10). 이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주문수 취득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품 아이템에 대응하는 배분 틀 구조에, 입고 예정수를 이용하여 배분수를 입력한다(단계 15). 이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가능수 설정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이 배분수는, 예를 들면 지역별 판매 예측수나, 고객의 우선도, 또는 미리 설정된 비율 등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한,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필요하면, 담당자가 배분수를 조절한다.
또한, 판매 예측을 행하기 위해서는 작은 지역이 있는 등, 판매 예측을 적용할 수 있는 곳과 할 수 없는 곳이 있는 경우, 판매 예측할 수 없는 지역에 관해서는 담당자가 수동적으로 배분수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모든 상품 아이템에 관하여 배분수를 설정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
아직, 배분하지 않은 상품 아이템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20; N), 카운터를 1만큼 인크리먼트하고(단계 25), 단계 10으로 되돌아간다.
모든 상품 아이템에 대하여 배분이 종료한 경우에는(단계 20; Y), 배분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은,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당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우선,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수를 취득한다(단계 50). 이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을 구비한 주문수 취득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을 특정하고, 이 배분 틀의 배분수가 배당을 행하는데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55).
배분수가 충분한 경우에는(단계 55; Y), 그 배분수로부터 배당을 행한다. 이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할당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배분 틀의 배분 틀 수를 배분 후의 값(=배당 전의 값-배당수)으로 갱신하고(단계 75) 처리를 종료한다. 이 갱신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갱신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배분수가 부족한 경우에는(단계 55; N), 바로 위의 배분 틀이 참조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60).
상위 검색 불가 개소이기 때문에 참조할 수 없는 경우에는(단계 60; N), 배당하지 않고, 또는 배당 가능한 수량을 모두 배당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바로 위의 배분 틀이 참조 가능한 경우에는(단계 60; Y), 바로 위의 배분 틀의 배분수를 확인한다(단계 65).
다음으로, 이 배분 틀에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한 배분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70), 배분수가 부족한 경우에는(단계 70; N), 단계 60으로 되돌아가, 더 상층의 배분 틀에 대하여 배분수의 탐색을 속행한다.
배분수가 충분한 경우에는(단계 70; Y), 이 배분 틀으로부터 배당을 행하고, 배분수를 배당 후의 값으로 갱신하고(단계 75),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 설명한,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당 처리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고객으로부터 발주된 상품을 배당할 때에, 배당수의 상한이 되는 배분수를, 고객마다 계층화한 배분 틀 구조에서 설정할 수 있다.
(2)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하여, 입고 예정으로 되어 있는 상품에 대하여, 미리 도착지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수송 차량을 계획적으로 배차할 수 있다.
(3) 계획적으로 배차, 및 적하가 재적재 지시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점포 배송 에리어(3)에 상품을 축적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수송 차량은, 점포 배송 에리어(3)에서 적하의 재적재를 행하여 도착지에 적하를 보낼 수 있다.
(4) 배당은,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하위의 배분 틀로부터 행하지만, 배당수가 배분수를 상회하는 경우, 상위의 계층의 배분 틀으로부터 배당을 더 행할 수 있다.
(5) 배분 틀 구조에 상위 검색 불가 개소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배분 틀 참조를, 미리 설정한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분 틀의 계층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 상품의 수급 상황에 따른 미크로한 틀 관리 및 매크로한 틀 관리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6) 배분 틀에의 배분수의 설정은, 미리 설정된 비율이나, 판매 예측 등을 이용함으로써, 입고 예정수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7) 배분 틀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하기 때문에, 상품 고유의 고객 세그멘테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판매 전략의 고객으로부터의 수주에의 반영을 더 세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특성을 살린 배분수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행하는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당 처리는, 배분수를 설정함으로써 배당 가능한 개수를 할당하는데 대하여, 집하 시간을 이용한 배당 처리는, 틀 구조로 배당한 상품의 납기 설정을 행한다.
즉, 배분 틀 구조는, 주마다 작성되어, 그 주에 생산되는 상품수를 배분 틀 구조로 배분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그 주에 상품이 1000개 생산된다고 하면, 1일째에 100개, 2일째에 200개, …식으로, 상품은 날마다 생산된다. 그 때문에, 동일한 배분 틀구조로 배분된 상품이라도, 먼저 생산된 것일수록, 고객에게 빨리 전송된다.
따라서, 집하 마감 시간의 개념을 이용하면, 입고 예정의(아직 존재하지 않는) 상품의 납기를 정확하게 고객에게 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제조 회사로부터 수령하는 생산 계획 데이터(입고 예정)를 시간 단위로 하고, 상품 발송 신청의 마감을 시간 단위로 한다.
그리고,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을 배당할 때에 입고 예정수와 집하 마감 시간을 비교하여, 고객이 희망하는 납입 기한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입고 예정의 상품을 이용하여 배당을 행한다. 이것을 배당 룰의 1개로 한다.
이하에, 이 수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송 차량에 의해 배송 방면마다 1일 1회정도, 창고로부터 상품이 반송되는 것으로 한다.
도 9의 (a)는 임의의 창고로부터 상품을 반송하는 시간 비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창고로부터는, 큐슈(九州) 방면과 혼슈(本州) 방면에 수송 차량이 매일 발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발차 시간은 정시각일 필요는 없지만,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매일 정시에 발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시간표는 상품의 출하 가능 시간, 출하 가능수, 및 방면별 집하 마감 시간이 기록된 출하 예정 정보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제조 회사 시스템(12)으로부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으로 송신되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에 의해 기억된다(출하 예정 정보 취득 수단).
큐슈 방면에의 출하의 신청 마감은 매일 12시이고, 혼슈 방면에의 출하의 신청 마감은 매일 14시로 한다.
한편, 이 창고는, 현재 재고가 25개 있으며, 출하 가능 상품의 입고 예정은, 4월 1일의 9시에 25개, 13시에 25개, 15시에 25개, 4월 2일의 9시에 75개, 13시에 75개, …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 회사 시스템(12)으로부터 관리 센터(5)에는, 시간 단위로 입고 예정이 통지된다.
현재 시각을 4월 1일의 8시로 하여, 고객인 혼슈 특약점으로부터 50개의 주문이 들어간 것으로 한다(도 9의 (b)).
고객의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혼슈 방면의 집하 마감 시간이 4월 1일의 14시인 것으로 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입고 예정의 상품의 배당 처리를 행한다.
또, 고객의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혼슈 방면의 집하 마감 시간이 4월 2일의 14시인 경우에는, 4월 2일의 14시를 기점으로 하여 배당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배당 처리를 행함으로써, 나중에 단납기로 납입을 희망하는 고객이 나타난 경우에, 이 고객에게 배당되는 상품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기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입고 예정수를 검색하고 확인하여, 기점에 가까운 쪽부터 주문수를 배당한다.
예를 들면, 주문수가 50개인 경우, 기점(4월 1일 14시)에 가장 가까운 입고 예정수 25개(4월 1일 13시)를 이 고객에게 배당하고,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 입고 예정 25개(4월 1일 9시)를 이 고객에게 배당한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기점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으로 상품 50개를 배당해 간다.
만약,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이 60개인 경우,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 현재 재고로 되어 있는 25개로부터 10개를 이 고객에게 배당한다.
도 10의 (a)는 배당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 혼슈 특약점으로부터 150개의 주문이 들어간 것으로 한다.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이 4월 1일의 14시인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시간을 거슬러올라도 150개의 입고 예정수는 확보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희망 납기에 가장 가까운 다음의 집하 마감 시간(4월 2일 14시)을 기점으로 하여 상품을 확보하는 것을 시도한다.
우선,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기점(4월 2일 14시)에 가장 가까운 입고 예정수 75개(4월 2일 13시)를 확보하고, 다음에 기점에 가까운 입고 예정수 75개(4월 2일 9시)를 더 확보하여, 이들 합계 150개를 이 고객에게 배당한다.
이 경우, 실제 납기는, 고객의 희망 납기로부터는 1일정도 지연되지만, 희망 납기에 가장 가까운 납기를 확보할 수 있어, 고객 희망에 최대한 따를 수 있다.또, 배당 후의 납기는, 고객에게 통지된다.
도 10의 (b)는 배당하고자 하는 입고 예정수가 이미 배당이 끝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객(혼슈 특약점)으로부터 150개의 주문이 들어간 것으로 한다. 도 10의 (a)와 마찬가지로 4월 2일 14시를 기점으로 하여 입고 예정으로 되어 있는 상품의 확보를 시도한다.
그러나, 기점에 가장 가까운 입고 예정의 75개(4월 2일 13시)는, 다른 고객에게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입고 예정 상품의 할당은 행하지 않고, 다음에 기점에 가까운 입고 예정수의 할당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할당은 선착순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것을 배당 룰의 1개로 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와 같이 하여 기점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으로, 아직 배당이 완료되지 않은 입고 예정 상품 75개(4월 2일 9시), 25개(4월 1일 15시), …합계 150개를 확보하여, 고객에게 배당한다.
다음으로, 현재 재고로 되어 있는 상품을 배당하는 예에 대하여 도 11의 (a)를 설명한다.
지금, 고객 중 하나인 큐슈 특약점으로부터 50개의 주문이 있던 것으로 한다. 고객의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을 4월 1일 12시로 하고,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상품을 확보하여배당하는 것을 시도한다.
우선, 기점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입고 예정 상품 25개(4월 1일 9시)를 확보한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 현재 재고로 되어 있는 25개를 확보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들의 상품 합계 50개를 이 고객에게 배당한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현재 재고로 되어 있는 상품에 관해서도 배당의 대상으로 한다.
다음으로, 이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이 150개였던 경우의 예에 대하여 도 11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4월 1일 12시의 집하 마감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상품의 확보를 시도하지만, 50개밖에 확보할 수 없으므로, 이 시간은 기점으로 하지 않고, 다음에 현재에 가까운 집하 마감 시간(4월 2일 12시)을 기점으로 한다.
이 기점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으로, 아직 배당이 완료되지 않은 입고 예정 상품을 150개 확보하여 이 고객에게 배당한다.
이 경우, 4월 2일 9시부터 4월 1일 9시까지의 입고 예정 상품으로 150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재고로 되어 있는 25를 배당할 필요는 없다.
도 12는, 납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상품이 창고로부터 출고되어, 4월 1일의 15시에 기준 집하 에리어를출발하게 한다. 이 상품의 이후의 수송 과정은, 3시간 후에 재적재 거점에서 별도의 수송차량에 재적재되고, 12시간 후에 다른 수송 차량에 더 재적재되어, 4 시간 후에 도착지에 도달한다고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리드 타임의 합계값은, 19(=3+12+4) 시간이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수송 경로별 소요 시간을 기억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납기 계산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소요 시간 산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 이상의 납기 계산은 간단하게 되어 있으며, 실제는, 제조 회사의 휴일, 운송 회사의 휴일, 운송 차량의 재적재 시간, 고객의 휴일 등의 제반의 사정도 고려하여 납기 계산이 행해진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희망 납기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주일을 희망 납기로 한다.
도 13은,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배당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우선, 판매 회사 시스템(14)(도 2)으로부터 수주 시스템(9)에 수주 데이터가 송신되고, 수주 시스템(9)은, 이것을 틀 관리·배당 시스템(8)에 제공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것을 기억한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주문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수주 데이터로부터, 배당을 행하는 대상인 상품, 주문수, 및 희망 납기 등을 취득한다(단계 100).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상품의 입고 예정을 이용하여,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을 특정한다(단계 105). 이 집하 마감 시간이 배당 처리를 행하는 기점으로 된다. 이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집하 마감 시간 선택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특정한 집하 마감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을 향하여, 즉, 시간을 거슬러오르는 방향으로, 입하 예정의 상품(아직 배당 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색하여 주문수를 확보한다(단계 110).
이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검색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주문수를 확보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115), 주문수를 확보할 수 있던 경우(단계 115; Y), 이들 확보할 수 있던 입하 예정 상품을 이 고객에게 배당하고(단계 120), 처리를 종료한다.
이 배당은,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할당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한편, 주문수를 확보할 수 없던 경우(단계 115; N), 다음의 집하 마감 시간, 즉, 단계 110에서 특정한 집하 마감 시간보다 후에, 가장 현재에 가까운 집하 마감 시간을 특정하고(단계 125), 단계 110으로 되돌아간다. 이후, 배당이 완료할 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고객과 할당한 상품과의 대응을 기억하는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할당 작업에 수반하여 이것을 갱신한다(할당 정보 기억 수단).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을 생산 계획으로 배당할 때에, 최적의 배당을 행하여, 기회 손실을 극소화하는 로직을 제공한다. 또한, 배당 처리를 일괄 실행할 때에, 배당 결과가 부정합이 되지 않기 위한 제어 방식을 실현하고 있다.
[재배당 처리]
다음으로, 재배당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회사는, 시간 단위로 입고 예정을 관리 센터(5)에 통지하지만, 트러블이나 휴일의 변동, 설비의 보수 점검 등의 어떠한 이유에 의해, 입고가 예정보다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입고가 지연되는 것에 의해 입고 예정이 변경된 경우, 관리 센터(5)는,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하여 다시 배당을 하고, 변경 후의 납기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센터(5)는, 납기 지연이 발생한 경우, 리얼타임으로 납기를 재계산하여, 고객에게 변경 후의 납기를 통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입고가 지연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입고가 예정보다 빨라지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납기를 재계산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임의의 제조 회사의 입고 예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시점(4월 1일 8시)에서, 4월 1일 9시에 입고 예정인 상품 25개와, 4월 1일13시에 입고 예정인 상품 25개의 합계 50개가 임의의 고객에게 배당 완료이며, 4월 1일 14시에 집하될 예정인 것으로 한다.
그런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월 1일 14시 30분 현재에, 아직 입고되어 있지 않아, 4월 1일 14시의 집하 마감 시간에 못 맞춘 것으로 한다.
그리고, 관리 센터(5)는, 이 제조 회사로부터 이들 50개의 상품의 입고가 지연되어, 4월 1일 15시에 입고하도록 입고 예정이 변경되었다는 통지를 받은 것으로 한다.
관리 센터(5)에서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이 통지를 받아 재배당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4월 1일 9시에 입고 예정이던 25개와, 4월 1일 13시에 입고 예정이던 25개를, 4월 1일 15시 입고 예정인 50개에 가산한다. 그 결과, 4월 1일 15시의 입고 예정수는 100개로 된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우선 제조 회사로부터의 최신 정보를 이용하여 입고 예정을 갱신한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4월 1일 14시 30분)부터 가장 가까운 집하 마감 시간인 4월 2일 14시를 기점으로 하여, 이 기점으로부터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방향으로, 이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았던 50개(4월 2일 14시 입고 예정)를 배당한다. 이와 같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갱신된 입고 예정을 이용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한다.
또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재배당 처리 후의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하여 납기를 재계산하고, 고객에게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고 예정이 변경된 경우에 최신 정보를 이용하여 예정표를 갱신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납기를 재계산하여, 고객에게 최신의 납기를 연락한다.
입고 예정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납기를 리얼타임으로 재계산할 수 있어, 신속한 고객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행하는 재배당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상품 A, 상품 B, 상품 C, …의 상품군이 있는 것으로 한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들 모든 상품군의 배당 처리를 관리하고 있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상품마다 개별로 재배당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품 A의 입고 예정이 변경되었다고 하면,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A에 대해서만, 재배당 처리를 행하고, 다른 상품에 관해서는 재배당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재배당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 상품에 관해서는, 납기의 문의가 있어도 회답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고객으로부터의 수주를 받을 수도 없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상품 A에 대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품 A에 관한 납기 회답을 행할 수는 없지만, 다른 상품에 관해서는 납기 회답을 행할 수 있다.
도 15의 (b)는 모든 상품에 관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와 같이 모든 상품에 관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은, 상품마다 재배당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보다 구축이 매우 용이하므로, 구축 비용이 낮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 15의 (b)에 도시한 시스템에서는, 일부의 상품의 입고 예정이 변경된 경우라도, 모든 상품에 관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해야 하며, 납기 회답 불능 시간이 장기에 걸친다. 또, 납기 회답 불능 시간의 동안에는, 신규 수주를 접수할 수 없다.
예를 들면, 1상품당 재배당 처리 시간이 1분으로 하고, 상품종이 1000 있던 것으로 한다.
지금, 1개의 상품에 대하여 입고 예정의 변경이 있었다고 하면, 도 15의 (a)의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상품에 대하여 1분간 납기 회답을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15의 (b)의 시스템으로 재배당 처리를 행한 경우, 모든 상품에 대하여 1000분간(약 16시간) 납기 회답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도 15의 (b)의 시스템을 채용하는 사업자는, 예를 들면 야간에 통합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하게 되며, 틀 관리·배당 시스템(8)과 같이, 최신의 납기를 리얼타임으로 회답할 수는 없다.
도 16은, 재배당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것이다.
우선,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재배당 처리가 필요한 상품을 1개 특정한다(단계 200). 이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출하 예정 정보 특정 수단이,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 예정 정보를 특정함으로써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이 상품에 관한 것으로, 제조 회사로부터 취득한 최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입고 예정을 갱신한다(단계 205).
이는, 출하 예정 정보 갱신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갱신한 입고 예정을 이용하여 배당 처리를 행한다(단계 210). 배당 처리의 수순은, 도 13에 도시한 수순과 마찬가지이다.
이는, 할당 수단이 재차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그 외에 재배당 처리가 필요한 상품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15).
그 외에 재배당이 필요한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215; Y), 단계 200으로 되돌아가, 이 상품에 대하여 재배당 처리를 행한다.
그 외에 필요한 상품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215; N), 재배당 처리를 종료한다.
[미래 틀 처리]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서 미래 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 회사가 상품을 제조하는 경우, 대량의 상품을 통합하여 제조한 것이 제조 비용이 더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판매 예측 시스템(7)(도 2)이 행하는 주별 판매 예측과, 제조 회사가 제조하는 상품 수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회사는, 제25주와 제27주에 각각 상품 200개를 통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판매 예측 시스템(7)의 판매 예측은, 매주 100개인 것으로 한다. 이는, 매주 100개 팔린다는 판매 예측 시스템(7)의 예측수에 대하여, 제조 회사로서는, 200개 통합하여 제조한 것이 비용이 더 낮기 때문에 발생한 갭이다.
이 경우,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제25주에 제조되는 200개 중 100개를 제25주에 배분하고, 나머지 100개를 제26주에 배분한다.
마찬가지로, 제27주에 제조되는 200개도 100개씩 제27주와 제28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판매 예측과 배분수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센터(5)는, 미리 수주간 후까지의 판매 예측을 제조 회사에 통지해 두고, 제조 회사는, 합계수가 판매 예측의 합계수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품을 통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통합하여 제조될 예정으로 되어 있는 상품을 판매 예측과 배분수가 동일해지도록, 출하 가능수를 이동하여 분류한다.
이는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이 구비한 이행 수단이 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조 회사의 입고 예정을 시간 단위로 파악할 수 있다.
(2) 제조 계획에 시각 정보를 갖게 함으로써, 완성된 상품을 최고속으로 출하할 수 있어, 보다 적은 재고로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에 따를 수 있다.
(3) 수송 차량의 발차 시각에 맞추어 집하 마감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있었던 경우, 집하 시간을 기점으로 하는 배당을 행할 수 있다.
(4) 집하 마감 시간과 리드 타임을 이용하여 정확한 납기를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다.
(5) 상품마다 독립적으로 재배당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재배당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주 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6) 재배당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으므로, 입고 예정이 변경된 경우, 최신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당 처리를 리얼타임으로 행할 수 있다.
(7) 재배당 처리를 리얼타임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입고 예정이 변경이 된 경우, 신속하게 변경 후의 납기를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서 관리 센터(5)에 설치된 컴퓨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컴퓨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 센터(5)는, 제어부(66)에 버스 라인(73)을 통하여 입력 장치(74), 출력 장치(78), 통신 제어 장치(82), 기억 장치(88), 기억 매체 구동 장치(76), 입출력인터페이스(84) 등의 주변 기기가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버스 라인(73)은, 제어부(66)와 주변 기기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매개한다.
제어부(66)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판매 예측 처리, 틀 관리 처리, 및 배당 처리 등, 상품 배송에 필요한 정보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6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68), ROM(Read Only Memory)(70), RAM(Random Access Memory)(7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OM(70)은 CPU(68)가 각종 연산이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 리드 온리 메모리이다. CPU(68)는 ROM(70)으로부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라미터 등을 판독할 수는 있지만, 이들을 재기입하거나 소거할 수는 없다.
RAM(72)은 CPU(68)에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다. CPU(68)는 RAM(72)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입하거나 소거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AM(72)에는 CPU(68)가 판매 예측 처리, 틀 관리 처리, 배당 처리, 그 밖의 각종 정보 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한 에리어가 확보 가능하게 되어 있다. RAM(72)에는 배분 틀 구조가 전개되어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입력 장치(74)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담당자는 입력 장치(74)를 이용하여, 판매 예측수의 수정이나, 배분수의 수정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키보드는 관리 센터(5)에 대하여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키보드는,가나(일본 문자)나 영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각종 기능 키, 커서 키 및 그 밖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마우스는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담당자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는 경우,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버튼이나 아이콘 등을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소정의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출력 장치(78)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 인쇄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 정보를 화면 상에 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판매 예측 화면이나, 배분 틀 구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배분 틀 구조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배분 틀 구조는 관리 센터(5)에서 제시할 수 있는 것외에, 제조 회사 시스템(12)에서도 제시된다.
단, 제조 회사 시스템(12)으로 제시되는 틀 구조는, 상위 검색 불가 개소(32)에서 제한된 범위로 된다.
인쇄 장치는, 예를 들면 판매 예측수 등의 출력 정보를 종이 등의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장치이다. 인쇄 장치는, 예를 들면 잉크제트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열 전사 프린터, 도트 프린터 등의 각종 프린터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제어 장치(82)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어,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제조 회사 시스템(12), 배송 회사 시스템(13), 판매 회사 시스템(14)에 설치된 서버 장치나 단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신 제어 장치(82)는 CPU(68)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억 매체 구동 장치(76)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구동하여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하기 위한 구동 장치이다.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데이터를 펀칭한 종이 테이프, CD-ROM 등이 있다. 또, CD-ROM이나 종이 테이프는 판독만 가능하다.
기억 장치(88)는, 기입 및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와, 그 기억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기억 매체로서 주로 하드디스크가 사용되지만, 그 밖에,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 외에 기입 및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 장치(88)는 판매 예측 프로그램(50), 틀 관리·배당 프로그램(52), 수주 프로그램(54), 그 밖의 프로그램(56)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 상품별 배분 틀 구조 데이터나,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배당 데이터 등, 상품 배송에 필요한각종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58) 등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58)는, RAM(72)에 전개하는 배분 틀 구조를 기억하고 있고, 이것도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CPU(68)는 기억 장치(88)의 구동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기억 장치(88)에 대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수 있다.
판매 예측 프로그램(50)은 CPU(68)에 판매 예측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CPU(68)가 판매 예측 프로그램(50)을 실행함으로써 판매 예측 시스템(7)(도 2)이 구성된다.
또한, 틀 관리·배당 프로그램(52), 수주 프로그램(54)이 CPU(68)로 실행됨으로써, 각각 틀 관리·배당 시스템(8), 수주 시스템(9)이 구성된다.
그 밖의 프로그램(56)은, 예를 들면 제조 회사 시스템(12), 배송 회사 시스템(13), 판매 회사 시스템(14) 등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프로그램이나, 메모리 관리나 입출력 관리 등을 동작시키는 기본 소프트웨어인 OS(Operating System 등의 각종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매 회사 시스템(14)에서, 배분 틀 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판매 회사 시스템(14)에 송신하기(제시 수단) 위한 프로그램도 저장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4)는, 예를 들면 직렬 인터페이스나 그 밖의 규격인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4)에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외부 기기를 접속함으로써,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계층적인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수의 관리를 행한 후에,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를 실시했지만, 어떠한 방법도 다른 쪽의 방법으로부터 독립된 기술로서, 어느 한쪽을 행하는 배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즉, 배분수의 배분에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납기 관리에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하거나, 또는 계층적인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하여 배분수를 관리하고, 납기 관리는 종래의 1일 단위의 것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배분 틀 구조를 이용한 배분과,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납기 관리를 독립적으로 행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유기적으로 조합할 수도 있다.
즉, 배분 틀의 배분수에, 집하 마감 시간 정보를 갖게 하고, 고객의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배분수를 배당하는 것이다.
틀 관리·배당 시스템(8)은 하의 계층에서 배당 가능한 배분수가 있었다고 해도, 희망 납기에 맞출 수 있는 마감 시간의 것이 없는 경우, 위의 계층에, 수량과 희망 납기의 양방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품화가 배분되어 있는 배분 틀을 검색하여,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그것을 배당한다.
또, 상품 배송 시스템(1)은 수요가 공급을 상회하는 상품에 적용하면 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을 혼란없이, 고객 세그먼트별로 제어할 수 있다.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함으로써, 이하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소정의 상품이 출하 가능하게 되는 출하 가능 시간, 및 출하 가능수와, 상기 상품의 출하의 신청을 마감하는 집하 마감 시간으로 구성된 출하 예정 정보를 취득하는 출하 예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 수량을 취득하고 기억하는 주문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출하 예정 정보로부터, 소정의 집하 마감 시간을 선택하는 집하 마감 시간 선택 수단과, 상기 출하 예정 정보에 있어서, 아직 고객에게 할당되어 있지 않은 미할당의 상품을, 상기 선택한 집하 마감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시간을 거슬러오르는 방향으로 검색하는 검색 수단과, 상기 검색된 상품의 수량이, 상기 기억한 주문 수량으로 된 경우, 검색된 상품을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수단과, 상기 할당 수단에 의한 할당 결과를 이용하여, 주문 고객과 상품의 할당을 대응시킨 할당 정보를 갱신하고 기억하는 할당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1 구성).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 취득 수단은, 희망 납기와 도착지를 더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도착지에의 수송 경로를 특정하고, 상기 상품을 상기 특정한 수송 경로로 수송하는데 필요한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소요 시간 산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집하 마감 시간 선택 수단은, 상기 산출한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이 상기 도착지에 상기 취득한 희망 납기보다 전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늦은 집하 마감 시간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2 구성).
상기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집하 마감 시간 선택 수단이 선택한 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 수단이 검색을 행한 결과, 상기 검색된 상품의 수량이 상기 기억한 주문 수량에 미달된 경우, 상기 집하 마감 시간 선택 수단은, 상기 선택한 집하 마감 시간보다 장래에 속하며, 가장 현재에 가까운 집하 마감 시간으로서, 상기 검색 수단이 검색하는 상품이 주문 수량에 달하는 집하 마감 시간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3 구성).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할당 시스템은, 복수 종류의 상품에 대하여 상품마다 독립적으로 주문 고객과 상품과의 대응화를 행하고 있으며, 상기 취득한 출하 예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 대상으로 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 예정 정보를 특정하는 출하 예정 정보 특정 수단과, 변경 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한 출하 예정 정보를, 다른 출하 예정 정보로부터 독립적으로 갱신하는 출하 예정 정보 갱신 수단과, 상기 갱신한 출하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상기 주문 고객에게 재차 할당하는 재차 할당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4 구성).
상기 제4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재차 할당 수단으로 할당을 행하고 있는 상품 이외의 상품에 대하여 납기 회답을 행하는 납기 회답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5 구성).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소정의 기간별 판매 예측수를 예측하는 판매 예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하 예정 정보에서 출하가 예정되는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출하 가능 시간을, 출하 가능수가 상기 예측한 판매 예측수를 따르도록 장래 방향으로 이행하는 이행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시간을 이용한 제6 구성).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수단과,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과, 갱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를 상한으로 하고, 상기 주문 수량을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며,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집하 마감 시간을 이용한 제7 구성).
본 발명은, 상품을 출하원으로부터 도착지에 배송하는 상품 배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8)
-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으로서,고객에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수단과,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된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과,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수단과,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수단과,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시스템.
-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상품 할당 방법으로서,가능수 설정 수단과,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과, 주문수 취득 수단과, 할당 수단과, 갱신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에서,고객과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단계와,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단계와,상기 주문수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단계와,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할당 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단계와,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상기 할당 단계에서 상기 할당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컴퓨터는,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판매 예측수 산출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상기 가능수 설정 단계에서, 상기 가능수 설정 수단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컴퓨터는, 제시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제시 수단에 의해,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단계를 구비하고,상기 제시 단계에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방법.
-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으로서,고객에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기능과,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과,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기능과,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게 할당하는 할당 기능과,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상기 할당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상기 가능수 설정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상기 제시 기능으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
- 장래의 소정 기간에서의 소정 상품의 출하 예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미리 고객에게 할당하는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고객에 관련된 배분 틀 정보에,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의 주문 가능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설정하는 가능수 설정 기능과,상기 주문 가능수 정보가 설정되는 배분 틀 정보를 기억하는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과,상기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 고객으로부터 주문수를 취득하는 주문수 취득 기능과,상기 주문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로 특정되는 주문 가능수로부터, 상기 취득한 주문수를 상기 주문 고객에 할당하는 할당 기능과,상기 할당한 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의 주문 가능수 정보를, 할당 후의 주문 가능수를 특정하는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 기억 기능은, 상기 배분 틀 정보가 계층 구조를 이루도록 다른 배분 틀 정보와의 계층 관계를 특정하는 계층 관계 정보를 기억하고,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는, 상기 고객과 직접 관련되며, 최하층 이외의 배분 틀 정보는, 해당 배분 틀 정보와 계층 관계가 설정된 하층의 배분 틀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과 관련되어 있으며,상기 할당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에 관련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 중 하층의 것부터 순서대로 주문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소정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의 판매 예측수를, 판매처 단위별로 산출하는 판매 예측수 산출 기능을 상기 컴퓨터로 실현하고,상기 가능수 설정 기능은, 상기 주문 고객이 속하는 판매처 단위의 판매 예측수를 이용하여, 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하는 주문 가능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에 설정된 주문 가능수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기능을 상기컴퓨터로 실현하고,상기 제시 기능으로 제시하는 제시처마다, 주문 가능수 정보가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시처는, 상기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의 범위는, 상기 제시처에 대응된 최하층의 배분 틀 정보로부터 상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계층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배분 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계층 관계에는, 상층 제시 금지 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시 가능한 배분 틀 정보는, 상기 상층 제시 금지 개소로 제한된 개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배분 틀 정보의 계층 구조는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할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275680A JP3997962B2 (ja) | 2003-07-16 | 2003-07-16 | 商品割当システム、商品割当方法、商品割当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JPJP-P-2003-00275680 | 2003-07-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9204A true KR20050009204A (ko) | 2005-01-24 |
Family
ID=3421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5100A Withdrawn KR20050009204A (ko) | 2003-07-16 | 2004-07-15 | 상품 할당 시스템, 상품 할당 방법, 상품 할당 프로그램,및 기억 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3997962B2 (ko) |
KR (1) | KR20050009204A (ko) |
CN (1) | CN1617156A (ko) |
MY (1) | MY137513A (ko) |
SG (1) | SG118289A1 (ko) |
TW (1) | TWI26052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45835B2 (ja) * | 2007-09-14 | 2013-02-20 | 株式会社リコー | 商品供給システム、商品供給方法及び商品供給プログラム |
SG11201404408VA (en) * | 2012-02-01 | 2014-08-28 | Mapas Inteligentes Llc | Geocoding points of interest and service route delivery and audit field performance and sales method and apparatus |
JP5837457B2 (ja) * | 2012-06-12 | 2015-12-2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補修部品の発注支援システム及び発注支援方法 |
CN104123620B (zh) * | 2014-08-13 | 2018-02-06 | 国家电网公司 | 一种分布式电源规划量的分配方法及装置 |
JP2016115157A (ja) * | 2014-12-15 | 2016-06-23 | 富士通株式会社 | 売上予測プログラム提供方法、売上予測プログラム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売上予測プログラム提供装置 |
CN105005882A (zh) * | 2015-06-29 | 2015-10-28 | 用友优普信息技术有限公司 | 配货方法和配货系统 |
CN106991544B (zh) * | 2016-01-20 | 2021-06-29 |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 调拨系统及调拨方法 |
JP7020898B2 (ja) * | 2017-12-15 | 2022-02-16 | 株式会社オービック | チャネル別収益管理装置、チャネル別収益管理方法、および、チャネル別収益管理プログラム |
JP7240537B2 (ja) * | 2017-12-15 | 2023-03-15 | 株式会社オービック | チャネル別収益管理装置、チャネル別収益管理方法、および、チャネル別収益管理プログラム |
JP7112897B2 (ja) * | 2018-06-27 | 2022-08-04 | 株式会社オービック | 在庫引当処理装置、在庫引当処理方法、および在庫引当処理プログラム |
JP6904928B2 (ja) * | 2018-08-06 | 2021-07-21 |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 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2020140543A (ja) * | 2019-02-28 | 2020-09-03 | 株式会社ナベル | 鶏卵選別装置の生産計画支援装置、これを利用した製品の生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210090106A1 (en) * | 2019-09-23 | 2021-03-25 | Coupang, Corp. | Systems and methods for outbound forecasting |
CN112529471A (zh) * | 2020-12-28 | 2021-03-19 | 量波智能科技(南京)有限公司 | 一种根据订单管理调整设备数量的方法 |
JP7662407B2 (ja) | 2021-05-17 | 2025-04-15 | 株式会社オービック | 受注管理装置、受注管理方法、及び受注管理プログラム |
JP7596939B2 (ja) | 2021-06-04 | 2024-12-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荷物配送システム、荷物配送装置および荷物配送プログラム |
-
2003
- 2003-07-16 JP JP2003275680A patent/JP39979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7-15 KR KR1020040055100A patent/KR20050009204A/ko not_active Withdrawn
- 2004-07-15 MY MYPI20042839A patent/MY137513A/en unknown
- 2004-07-15 TW TW093121176A patent/TWI26052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7-16 CN CNA2004101005831A patent/CN1617156A/zh active Pending
- 2004-07-16 SG SG200404542A patent/SG118289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60522B (en) | 2006-08-21 |
TW200516464A (en) | 2005-05-16 |
CN1617156A (zh) | 2005-05-18 |
SG118289A1 (en) | 2006-01-27 |
MY137513A (en) | 2009-02-27 |
JP3997962B2 (ja) | 2007-10-24 |
JP2005038259A (ja) | 200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ard et al. | Heuristics for a multiperiod inventory routing problem with production decisions | |
US1127024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 order management | |
Ball et al. | Available to promise | |
JP7337853B2 (ja) | 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バランスの取れた配送ルート割り当ておよびインセンティブ構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618898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vailable to promised product (ATP) | |
JP5032131B2 (ja) | 到着予定時刻(eta)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20050009204A (ko) | 상품 할당 시스템, 상품 할당 방법, 상품 할당 프로그램,및 기억 매체 | |
Vazquez-Noguerol et al. | An optimisation approach for the e-grocery order picking and delivery problem | |
EP0644499B1 (en) | Availability processor and method | |
US6049774A (en) | Machine, method and medium for dynamic optimization for resource allocation | |
US8121876B1 (en) | Generating current order fulfillment plans based on expected future orders | |
US694790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lan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upply chain | |
PL178212B1 (pl) | Sposób wyznaczania struktury transportu minimalizującej koszty transportu dla dowolnej organizacji | |
JP7223779B2 (ja) | インバウンド製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分配による製品在庫の最適化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装され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2023536010A (ja) | 在庫の入れ換え及びリバラン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JP7219289B2 (ja) | 運転在庫および安全在庫決定システム | |
JP3637334B2 (ja) | 店舗在庫管理システム、店舗在庫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EP1503320A1 (en) |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 |
Weatherford | A tutorial on optimization in the context of perishable-asset revenue management problems for the airline industry | |
KR20050009202A (ko) | 상품 할당 시스템, 상품 할당 방법, 상품 할당 프로그램,및 기억 매체 | |
Ronen et al. | Tactical store delivery planning | |
JP7460916B2 (ja)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US20230153844A1 (en) | Multi-channel demand planning for inventory planning and control | |
US11205152B1 (en) | Virtual logistical network overlay for physical logistical network | |
JPH09136704A (ja) | 物流管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