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6485Y1 -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85Y1
KR200496485Y1 KR2020220001471U KR20220001471U KR200496485Y1 KR 200496485 Y1 KR200496485 Y1 KR 200496485Y1 KR 2020220001471 U KR2020220001471 U KR 2020220001471U KR 20220001471 U KR20220001471 U KR 20220001471U KR 200496485 Y1 KR200496485 Y1 KR 200496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throom
stacking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Original Assignee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석 filed Critical 김동석
Priority to KR202022000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85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배관에 인접하여 전방에 세면대가 설치되고 욕실 벽면과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쌓이는 다수의 적층블록과, 상기 적층블록의 최상면과 평탄하게 연결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블록 및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과 욕실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Block assembly for the construction of bathroom shelves}
본 고안은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보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기일을 단축할 수 있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물을 받거나 틀어 놓은 상태에서 선 자세로 세수 및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된 욕실의 시설물이다. 이러한 세면대는 전방에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수부가 마련되고, 저수부의 후방 상부에 수전이 마련된다.
여기서, 수전은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이 연결되고, 냉/온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또는 목적하는 수온에 맞게 혼합하는 한편,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밸브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수도꼭지가 마련된다.
한편, 욕실의 세면대 뒤편에는 일명 젠다이라고 부르는 욕실 선반(조적 선반)이 배치 구성되고 있으며, 이 욕실 선반의 기능은 세면대 배관을 선반 뒤편으로 숨겨 배관을 정리하고, 선반 위쪽에 욕실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과 상부에 공공주택의 부족한 수납 향상을 위한 넓은 욕실장의 설치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욕실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욕실 설비의 발달로 현재 도시의 밀집된 공동주택(아파트 등)의 기본설계 및 기존 주택(공동주택 등)의 리모델링에 수납의 확장을 위해 욕실 선반(30)의 시공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욕실 선반(30)을 부착하기 위해서 욕실 벽면(W)에 기존 방식인 벽돌 등을 이용한 조적공정 구조체(20)를 쌓아 만들고, 타일로 마감을 한 후 대리석 선반을 올리고 세면대(10)를 부착하여 선반(30)이 시공된다.
즉, 기존의 욕실 선반 시공 방법은 조적 공정 구조체(20)를 설치하기 위한 벽돌을 반듯하게 쌓아 올리는 조적공정이 반드시 실시되고, 리모델링의 경우 상수도와 하수도가 추가되는 구조의 깊이만큼 배관을 연장하는 설비공정 또한 추가되고 있으며, 공정 후 양생기간 등으로 공기가 길어지고 공정이 복잡해지며 상당한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조적공정 구조체를 이용하여 욕실 선반을 시공하게 되는 경우 벽돌을 욕실의 벽면에 맞게 쌓아 올리는 조적공정에 상당한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쉽게 할 수 없어 전문가에 의해서만 시공되므로 시공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KR B 10-2155913 (2020.09.0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보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기일을 단축할 수 있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배관에 인접하여 전방에 세면대가 설치되고 욕실 벽면과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쌓이는 다수의 적층블록과, 상기 적층블록의 최상면과 평탄하게 연결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블록 및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과 욕실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적층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블록은 그 내부에 배관이 인출되는 배관 인출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 인출공간은 다수의 보강대가 마련되어 배관 인출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보강대는 상단과 하단에 제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여 배관 인출공간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대 간의 간격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층블록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블록은 상기 수평블록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요철돌기 및 요철홈이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각기 지지봉이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 제각기 함몰된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에 결속핀이 삽입되어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핀은 양 방향으로 결속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중앙에 상기 결속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속홀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블록은 상기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수평블록의 자유단에 삽입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에 관통되어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에 나열되는 다수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욕실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와 요철 결합되고 상단이 수평블록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가 요철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고 회전방지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단에 매립되어 상기 회전축이 자전하는 것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에 의하면,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이 규격화되어 종래와 같이 상당한 양의 벽돌을 쌓아올리는 조적공정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이로부터 초보자도 쉽게 욕실 선반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블록에 배관 인출공간이 형성되어 욕실 벽면에 시공된 배관과 세면대의 수전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공정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블록 간의 연결이 편리하고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욕실 선반의 시공 기일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층블록의 배관 인출공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블록, 지지블록의 길이를 욕실 선반이 시공될 현장 상황에 맞게 가변시킬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욕실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의 조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의 결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중 수평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중 적층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중 지지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의 조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는 배관에 인접하여 전방에 세면대가 설치되고 욕실 벽면과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쌓이는 다수의 적층블록(100), 상기 적층블록(100)의 최상면과 평탄하게 연결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블록(200), 상기 수평블록(200)의 자유단과 욕실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여 수평블록(200)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록(3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다수의 적층블록(100)은 각각이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욕실 벽면과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쌓여 적층되는 것으로 적층블록(100)은 배면이 욕실 벽면에 밀착되는데, 이때 적층블록(100)의 배면과 욕실 벽면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욕실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적층블록(100)의 전방에는 세면대가 설치되면 적층블록(100)의 상방 벽면에는 거울이 설치된다. 이러한 적층블록(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적층블록(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예를 들어 적층블록(100) 중 최상면에 위치한 적층블록은 아래에 위치한 적층블록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한 적층블록이 다른 적층블록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욕실 선반의 높이에 따라 적층블록(100)을 변경하여 욕실 선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적층블록(100)은 그 내부에 배관이 인출되는 배관 인출공간(110)이 형성되는데, 배관 인출공간(110)은 다수의 보강대(120)에 의해 구획되어 배관 인출공간(110)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렇게 적층블록(100)에 형성된 배관 인출공간(110)은 욕실 벽면에 시공되어 세면대의 수전과 연결되는 배관이 인출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 인출공간(110)은 욕실 벽면에 시공된 배관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인출공간(110)은 다수의 보강대(120)가 마련되어 배관 인출공간(110)이 구획된다.
이때, 보강대(120)는 상단과 하단에 제각기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21)에 대응하여 배관 인출공간(110)에 가이드레일(122)이 형성되어 보강대(120)가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대(120)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욕실 벽면에 시공된 배관의 위치에 따라 보강대(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적층블록(100)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적층블록(100)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블록(100)은 수평블록(200)이 안착되는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블록(200)의 높이에 부합하게 적층블록(100)이 끝단 중 일부가 "L"자 형태로 절개되어 수평블록(200)이 최상층에 위치한 적층블록(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최상층에 위치한 적층블록(100)의 안착부(130)에 안착된 수평블록(200)은 자유단이 지지블록(3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접착제(400)가 도포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는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이 규격화되어 종래와 같이 상당한 양의 벽돌을 쌓아올리는 조적공정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하고, 이로부터 초보자도 쉽게 욕실 선반을 시공할 수 있고 욕실 선반의 시공 기일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블록(100)에 배관 인출공간(110)이 형성되어 욕실 벽면에 시공된 배관과 세면대의 수전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공정이 편리하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을 접착제(400)로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적층블록(100)의 정렬을 편리하게 하고 수평블록(200) 및 지지블록(300)과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요철돌기, 지지봉, 결속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5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요철돌기 및 요철홈에 의한 블록 간의 결속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요철돌기(140) 및 요철홈(150)이 형성되어 조립된다.
이렇게,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에 제각기 요철돌기(140) 및 요철홈(150)이 형성되면 각 블록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블록들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간의 정렬이 용이하여 블록이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요철돌기(140)와 요철홈(150)에는 앞서 설명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지지봉에 의한 블록 간의 결속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관통홀(16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60)에 제각기 지지봉(170)이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에 제각기 관통홀(16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60)에 지지봉(17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지지봉(170)에 의해 블록 간의 정렬이 용이하여 블록이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각 블록에 형성된 관통홀(160)에 삽입되는 지지봉(17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봉(170)이 관통홀(160)에 삽입될 때 회전되면서 나사산이 관통홀(160)을 파고들어 블록들이 조임되어 블록 간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8은 결속핀에 의한 블록 간의 결속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 제각기 함몰된 결속홀(180)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180)에 결속핀(190)이 삽입되어 상기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이 결속된다.
이때, 결속핀(190)은 도 8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방향으로 결속홀(180)에 삽입되는 삽입부(19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91)의 중앙에 결속홀(180)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19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에 제각기 형성된 결속홀(180)에 스토퍼(192)가 매립되는 매립홈(181)이 형성되어 결속핀(190)이 결속홀(180)에 삽입되었을 때 스토퍼(192)가 매립홈(181)에 매립된다.
이와 같이, 적층블록(100), 수평블록(200), 지지블록(300)에 제각기 결속홀(180)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180)에 결속핀(190)이 삽입되면 결속핀(190)을 매개로 각 블록이 견고하게 결속될 뿐만 아니라 블록 간의 분해가 용이하여 욕실의 리모델링 시 블록의 철거가 편리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는 수평블록(200)과 지지블록(300)의 길이가 가변되어 욕실 선반이 시공될 현장 상황에 맞게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이를 도 9 및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수평블록의 길이 가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수평블록(200)은 그 길이 가변될 수 있게 연장봉(210) 및 심플레이트(220)가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연장봉(210)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수평블록(200)의 자유단에 삽입된다. 또한, 심플레이트(220)는 수평블록(200)과 동일한 측면을 형성하되 일정 두께를 갖는 다수로 이루어져 연장봉(210)에 관통된다. 이러한 심플레이트(220)는 필요한 길이만큼 수평블록(200)의 자유단에 나열되어 연장봉(210)에 관통됨으로써 수평블록(2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 심플레이트(220)를 관통하는 연장봉(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과 같은 회전방지단면을 형성하며, 심플레이트(220)에 제각기 형성되는 관통홀 역시 연장봉(210)의 회전방지단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연장봉(210)에 관통된 심플레이트(220)를 수평블록(200)의 자유단에 용이하게 정렬시키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지지블록의 길이 가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지지블록(300)은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게 욕실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310)와 상기 하부 지지대(310)의 상부와 요철 결합되고 상단이 수평블록(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20) 및 상기 상부 지지대(320)와 하부 지지대(310)가 요철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대(32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3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지지대(320)와 하부 지지대(310) 사이에 마련되는 승강유닛(330)은 하부 지지대(3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전하는 회전축(331) 및 상기 회전축(33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고 회전방지단면을 형성하며 상부 지지대(320)의 하단에 매립되어 회전축(331)이 자전하는 것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3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유닛은 지지블록(300)의 높낮이에 가변이 필요한 경우 회전축(331)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전축(331)의 회전에 의해 승강체(332)가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여 상부 지지대(3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지지블록(3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100 : 적층블록 110 : 배관 인출공간
120 : 보강대 121 : 가이드돌기
122 : 가이드레일 130 : 안착부
140 : 요철돌기 150 : 요철홈
160 : 관통홀 170 : 지지봉
180 : 결속홀 181 : 매립홈
190 : 결속핀 191 : 삽입부
192 : 스토퍼 200 : 수평블록
210 : 연장봉 220 : 심플레이트
300 : 지지블록 310 : 하부 지지대
320 : 상부 지지대 330 : 승강유닛
331 : 회전축 332 : 승강체

Claims (6)

  1. 배관에 인접하여 전방에 세면대가 설치되고 욕실 벽면과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쌓이는 다수의 적층블록;
    상기 적층블록의 최상면과 평탄하게 연결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블록; 및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과 욕실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 제각기 함몰된 결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에 결속핀이 삽입되어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이 결속되며,
    상기 결속핀은 양 방향으로 결속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중앙에 상기 결속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속홀에 형성된 매립홈에 매립되며,
    상기 수평블록은,
    상기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수평블록의 자유단에 삽입되는 연장봉; 및 상기 연장봉에 관통되어 상기 수평블록의 자유단에 나열되는 다수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적층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록은 그 내부에 배관이 인출되는 배관 인출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관 인출공간은 다수의 보강대가 마련되어 배관 인출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보강대는
    상단과 하단에 제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여 배관 인출공간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보강대 간의 간격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록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적층블록은 상기 수평블록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블록, 수평블록, 지지블록은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 요철돌기 및 요철홈이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KR2020220001471U 2022-06-16 2022-06-16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Active KR200496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71U KR200496485Y1 (ko) 2022-06-16 2022-06-16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71U KR200496485Y1 (ko) 2022-06-16 2022-06-16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85Y1 true KR200496485Y1 (ko) 2023-02-09

Family

ID=8520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471U Active KR200496485Y1 (ko) 2022-06-16 2022-06-16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85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08A (ja) * 1992-10-09 1994-04-26 Toto Ltd 衛生設備用配管ユニットケース構造
JP2000273966A (ja) * 1998-07-28 2000-10-03 Sekisui Chem Co Ltd 可変住空間ユニット住宅及び住宅の可変施工方法及び介護用ユニット
JP2004211365A (ja) * 2002-12-27 2004-07-29 Toto Ltd フレーム
KR100789233B1 (ko) * 2006-08-16 2007-12-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20100081651A (ko) * 2009-01-07 2010-07-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101199430B1 (ko) * 2012-08-20 2012-11-12 가나금속 (주) 패널교체 및 패널간격과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101898125B1 (ko) * 2018-03-21 2018-09-12 이승재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KR102155913B1 (ko)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20220055574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카비스 세면대 설치형 하부장 모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08A (ja) * 1992-10-09 1994-04-26 Toto Ltd 衛生設備用配管ユニットケース構造
JP2000273966A (ja) * 1998-07-28 2000-10-03 Sekisui Chem Co Ltd 可変住空間ユニット住宅及び住宅の可変施工方法及び介護用ユニット
JP2004211365A (ja) * 2002-12-27 2004-07-29 Toto Ltd フレーム
KR100789233B1 (ko) * 2006-08-16 2007-12-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20100081651A (ko) * 2009-01-07 2010-07-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용 블록의 조립구조
KR101199430B1 (ko) * 2012-08-20 2012-11-12 가나금속 (주) 패널교체 및 패널간격과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101898125B1 (ko) * 2018-03-21 2018-09-12 이승재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KR102155913B1 (ko)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20220055574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카비스 세면대 설치형 하부장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76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US20120167501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CN110145090A (zh) 一种装配式地面瓷砖结构
KR10087569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200496485Y1 (ko)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US20080163564A1 (en) Modular Structu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0659726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내부 벽체 구조
KR100727321B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13257B1 (ko) 저장조 기초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저장조 시공 방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CN219569619U (zh) 一种装配式构件的定位安装机构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US7610730B2 (en) Stacking masonry block system with locking starter device
US20060254162A1 (en) Shim having through openings
CN111705952B (zh) 一种建筑墙板安装结构及其施工工艺
US10119271B2 (en) Building 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2751976B1 (ko) 3단 분리구조 및 바닥공명음 저감구조를 가진 건식 욕실 바닥판 어셈블리
CN114703995A (zh) 一种单侧波瓦板的装配式管线集成一体化隔墙结构
CN208088618U (zh) 一种现浇空心楼板
CN111962814A (zh) 一种装配式地面的调平结构
KR100886766B1 (ko)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RU2805912C2 (ru) Кирпичный набор сборочного типа
KR20060007129A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바닥재의 뜬 구조 시스템
JP3081827B2 (ja) 床支持脚
AU2016202540B2 (en) A base block for supporting a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6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0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