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3097Y1 -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 Google Patents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097Y1
KR200443097Y1 KR2020080000404U KR20080000404U KR200443097Y1 KR 200443097 Y1 KR200443097 Y1 KR 200443097Y1 KR 2020080000404 U KR2020080000404 U KR 2020080000404U KR 20080000404 U KR20080000404 U KR 20080000404U KR 200443097 Y1 KR200443097 Y1 KR 200443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upport
reinforcing bar
protrus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란
최윤훈
오동형
Original Assignee
이경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란 filed Critical 이경란
Priority to KR2020080000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구조물의 실내 천장의 시공에 있어서, 천장에 매입·설치되는 인서트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받침구를 구성함으로써, 인서트와 철근의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내부를 관통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된 형태에 저면으로는 지지판이 형성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상부로 탈착 가능하고, 상부면으로는 철근을 받칠 수 있는 받침구;로 구성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구성함으로써, 천장 슬래브의 시공 시, 상기 인서트와 받침구를 일체로 결합하여 인서트 및 철근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하거나, 받침구를 해체하여 인서트로만 사용할 수 있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 거푸집, 철근, 철근 구조물, 마감패널, 연결부재, 인서트, 받침구

Description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 steel rest including insert }
본 고안은 철근 구조물의 실내 천장의 시공에 있어서, 천장에 매입·설치되는 인서트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받침구를 구성함으로써, 인서트와 철근의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주택 등의 건축물을 시공할 때, 건축물의 실내 천장으로는 전기 배선 및 각종 배관 등이 설치되는데,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감패널 등의 내장재를 이용하여 이를 가리는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의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석고보드나 합판 및 밤 나이트 등의 소재로 제작된 상기 마감패널을 이용해 천장을 마감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전기 배선 및 각종 배관 등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슬래브를 형성하는데, 이때, 슬래브 저면부로는 내부로 암나사가 형성된 인서트를 매입·고정 시킴으로써, 상기 인서트에 볼트를 체결하면서 마감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천장으로 다수의 철근을 결속시켜 철근 구조물을 제작하고, 제작된 철근 구조물의 하부에 복수의 인서트를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 한 다음, 내부로 암나사가 형성된 상기 인서트를 포함하는 철근 구조물 외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해 슬래브를 완성하게 되면, 상기 슬래브 하면으로 노출된 인서트에 볼트를 체결하면서 마감패널을 설치하는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철근 구조물의 제작 시, 다수개의 철근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교차하면서 조립되게 되는데, 길이가 긴 철근이 콘크리트의 무게 등에 의해 하부로 굽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철근의 하부로는 철근을 받치는 받침구를 설치하며, 이를 통해 완성된 슬래브는 철근이 없는 슬래브보다 더욱 높은 강도를 가져, 무거운 무게의 마감패널을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철근 구조물을 이용한 슬래브의 시공 시, 다수개의 인서트와 받침구를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철근 구조물의 제작이 복잡해지고,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인서트와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가 개발되었지만, 이는 인서트와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철근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슬래브에 적용할 수는 없고, 형태가 복잡하여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로 암나사가 형성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상부로 탈착 가능하고, 상부면으로는 철근을 받칠 수 있는 받침구로 구성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철근 구조물을 사용한 슬래브의 시공 시, 하부의 인서트와 상부의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된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인서트 및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철근 구조물의 제작을 간단하게 하며, 철근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는 슬래브의 시공 시에는, 본 고안 상부의 받침구를 인서트에서 해체함으로써, 인서트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철근 구조물의 실내 천장의 시공에 있어서, 천장에 매입·설치되는 인서트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받침구를 구성함으로써, 인서트와 철근의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내부가 관통되고 상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형태에 저면으로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지지판이 형성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상부로 탈착 가능하고, 상부면으로는 철근을 받칠 수 있는 받침구;로 구성되며,이들은 인서트의 상부 돌출부를 받침구의 삽입부 끝단에 형성한 탈착돌기를 이용하여 간편히 조립되게 하여, 이들이 1조의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구성함으로써, 천장 슬래브의 시공 시, 상기 인서트와 받침구를 일체로 결합하여 인서트 및 철근 받침구로 동시에 사용하거나, 받침구를 해체하여 인서트로만 사용할 수 있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를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는, 크게 인서트(10)와 상기 인서트(10) 상부로 탈착 가능한 받침구(20)로 구성되어, 도1 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구(20)를 인서트(10)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각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인서트(10)는, 도2 또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되어 일단에 수나사 등을 구비한 연결부재(5')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통로(11)를 형성한 파이프형태에, 상기 삽입통로(11)의 상부로는 암나사가 유동 및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 암나사부(12)를 형성해, 상기 삽입통로(11)를 통해 삽입된 일단에 수나사 등을 구비한 연결부재(5′)가 상기 암나사부(12)에 간편히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10)의 상부로는 외측을 따라 일정 폭으로 돌출된 돌출부(13)를 형성함으로써, 후설할 받침구(20)가 상기 돌출부(13)에 의해 인서트(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10)의 저면으로는 인서트(10)의 하부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넓은 면적을 가지는 판 형태의 지지판(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서트(10)가 거푸집(4) 등의 바닥에 똑바로 세워 밀착·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14)의 저면으로 접착테이프(15)를 형성함으로써, 후에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의 설치 시 도7 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의 접착테이프(15)를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접착하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를 더욱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받침구(20)는, 도2 또는 도3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 태에 상부로는 철근(2)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홈이 파인 지지요홈(21)이 형성되어 도5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요홈(21)을 통해 철근(2)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저면으로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내부로는 홈이 파인 삽입부(22)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부(22)는 상기 인서트(10)의 돌출부(13)를 내측으로 밀착·삽입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홈이 파이며, 상기 삽입부(22)의 끝단부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13)의 돌출된 하부로 걸림되는 탈착돌기(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부(22) 내측으로 돌출부(13)를 밀착·삽입 후 도2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돌기(23)가 돌출부(13) 하부로 걸림·고정하여 인서트(10)와 받침구(2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10)의 돌출부(13) 및 받침구(20)의 삽입부(22)와 탈착돌기(23)를 통해 인서트(10)와 받침구(20)를 결합해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를 구성함으로써, 천장 슬래브(3)의 시공 시 인서트(10)와 철근(2)의 받침구(20) 기능을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10)에서 받침구(20)를 해체하여 인서트(10) 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인서트(10)에 받침구(2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의 설치방법을 상세 하게 설명하면, 먼저, 철근 구조물을 이용한 슬래브(3)의 시공 시에는, 도5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철근(2)이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의 지지요홈(21)에 안착하여 지지된 상태로 다수개의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다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4)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4) 상부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는 저면의 접착테이프(15)를 통해 거푸집(4)에 접착함으로써, 지지하는 철근(2)의 무게에 의해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가 거푸집(4)에 더욱 밀착하여 접착하는 동시에, 후에 콘크리트의 타설 시 상기 접착테이프(15)에 의해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와 거푸집(4) 사이로 콘크리트가 삽입되지 않아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 저면의 삽입통로(1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거푸집(4)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다음, 거푸집(4)을 제거하게 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구조물 및 이를 지지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가 내부로 매입된 상태로 슬래브(3)를 완성하며, 상기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의 저면은 슬래브(3)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 저면의 삽입통로(11)를 통해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재(5′)를 삽입해 암나사부(12)와 결합·고정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5′)의 하부로 각종 마감패널(5)을 고정·설치함으로써, 마감패널(5)로 마무리하는 천장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철근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는 슬래브(3)의 시공 시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겸용 받침구(1)의 인서트(10) 상부에서 받침구(20)를 해체한 다음, 상기 슬래브(3) 시공방법과 마찬가지로 거푸집(4) 상부로 받침구(20)가 제거된 상기 인서트 겸용 받침구(1)를 고정해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 거푸집(4)을 제거함으로써,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겸용 받침구(1)의 저면이 노출된 상태로 슬래브(3)에 매입되며, 이 역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 저면의 삽입통로(11)를 통해 수나사 형태의 연결부재(5′)를 삽입해 암나사부(12)와 결합·고정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5′)의 하부로 각종 마감패널(5)을 고정·설치함으로써, 마감패널(5)로 마무리하는 천장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는 슬래브(3)의 시공방법에 따라, 인서트(10)와 철근(2)의 받침구(20) 역할을 동시에 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거나, 받침구(20)를 해체한 채 인서트(10) 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적용범위가 넓으며,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와 받침구의 조립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지지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지지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타설 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시공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에 설치된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설치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로 사용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의 설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2: 철근
3: 슬래브 4: 거푸집
5: 마감패널 5′: 연결부재
10: 인서트 11: 삽입통로
12: 암나사부 13: 돌출부
14: 지지판 15: 접착테이프
20: 받침구 21: 지지요홈
22: 삽입부 23: 탈착돌기

Claims (2)

  1. 파이프형태에, 내부가 관통된 삽입통로(11) 및 상기 삽입통로(11)의 상부로 암나사가 유동 및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 암나사부(12)를 형성하고, 상부로는 외측을 따라 일정 폭으로 돌출된 돌출부(13)를 형성하며, 저면으로는 하부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판 형태의 지지판(14)이 형성되고, 이 지지판(14)의 저면으로는 접착 테이프(15)가 부착된 인서트(10)와;
    상향으로 돌출된 원판형태에, 상부로는 철근(2)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홈이 파인 지지요홈(21)이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10)의 돌출부(13)를 내측으로 밀착·삽입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홈이 파인 삽입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2)의 끝단부를 따라서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13)의 돌출된 하부로 걸림 되는 탈착돌기(23)를 형성한 받침구(20);로 구성되며,
    상기 인서트(10)의 상부 돌출부(13)을 받침구(20)의 삽입부(22) 끝단에 형성한 탈착돌기(23)를 이용하여 간편히 조립되게 하여, 이들이 1조의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1)를 구성함으로써,
    인서트(10)에 받침구(20)의 탈부착이 가능해 천장 슬래브(3)의 시공 시 인서트(10)와 철근(2)의 받침구(20)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2. 삭제
KR2020080000404U 2008-01-10 2008-01-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200443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04U KR200443097Y1 (ko) 2008-01-10 2008-01-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404U KR200443097Y1 (ko) 2008-01-10 2008-01-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097Y1 true KR200443097Y1 (ko) 2009-01-12

Family

ID=4448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404U KR200443097Y1 (ko) 2008-01-10 2008-01-10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0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08B1 (ko) 2009-05-20 2009-09-11 조신복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160118556A (ko) 2015-04-02 2016-10-12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2460772B1 (ko) 2021-11-01 2022-10-28 강성부 인서트 일체형 철근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08B1 (ko) 2009-05-20 2009-09-11 조신복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160118556A (ko) 2015-04-02 2016-10-12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1713408B1 (ko) * 2015-04-02 2017-03-07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2460772B1 (ko) 2021-11-01 2022-10-28 강성부 인서트 일체형 철근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US10753109B2 (en) Concrete form tie, and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same
US6668502B2 (en) Ledger mould for building a ledger
US8028492B2 (en) Upright support member for an insulating sheet of a wall having an internal cavity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RU127108U1 (ru) Стяжка строительная
CA3014571C (en) Concrete form tie, and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same
JP2018145674A (ja) 壁梁接合構造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RU2010134122A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одсевалова в.в.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120360B1 (ko)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101372410B1 (ko) 슬라브 시공용 블록
KR101693743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1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2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