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5858Y1 - 기초 철골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기초 철골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58Y1
KR200475858Y1 KR2020120005482U KR20120005482U KR200475858Y1 KR 200475858 Y1 KR200475858 Y1 KR 200475858Y1 KR 2020120005482 U KR2020120005482 U KR 2020120005482U KR 20120005482 U KR20120005482 U KR 20120005482U KR 200475858 Y1 KR200475858 Y1 KR 200475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steel frame
foundation
heigh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031U (ko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202012000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5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초 철골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10)의 상단에 기초 철골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20)가 수평으로 구비되는 기초 철골 연결 장치에 의하여, 철골의 체결작업이 간소화되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철골의 수평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소수의 인원으로도 기초작업의 시공이 가능해지게 된다.

Description

기초 철골 연결 장치{Connection devices for Steel skeleton}
본 고안은 기초 철골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기초 철골의 연결구조를 간소화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시공정밀도가 확보되는 기초 철골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 시공은 터파기 후 앵커와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고, 상기 앵커를 사용하여 토대를 고정하며, 상기 토대 상에 벽체를 설치하고 지붕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식은 기초를 타설하는 과정에 앵커를 사전에 매립하여야 하므로,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몰탈의 수축 등으로 인하여 앵커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시공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와 토대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10-2011-0135496호에서 건축물의 토대를 이루는 기초 철골을 수직바를 이용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시공한 후 상기 철골의 일부가 기초콘크리트에 매몰되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토대의 위치 및 수평이 사전에 조정되어 토대의 시공불량이 개선되고, 상기 토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면의 평탄화가 용이한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기초 시공방법의 경우 토대를 이루는 각각의 기초 철골들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방식이 제시되지 않아 터파기한 지면에 수직바를 설치한 후, 상기 수직바 상에 철골들을 수평을 맞춰가면서 용접 또는 볼트체결과 같은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체결하였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철골들을 결합하기 전에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들이 철골의 양측 종단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철골과 체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많은 인력이 소모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번 체결을 한 후에는 상하로 위치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체결부위를 다시 분리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을 다시 맞추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기초 철골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초 철골을 지지하는 수직바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 즉 절단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초 철골 설치 과정은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작업과정에 반드시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지만, 숙련된 인력의 경우 비용부담이 발생되고, 해당 전문가의 숙련도를 파악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기초 철골의 수직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기초 철골들 사이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기초 철골의 연결이 간편하면서도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건축물 기초시공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초철골의 수평을 정밀도 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10)의 상단에 기초 철골(S)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20)가 수평으로 구비되는 기초 철골 연결 장치에 있다.
상기에서 수직바(10)는 상/하로 이분 형성되어 일측 수직바가 타측 수직바 내부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는 수직바(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2)(2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평면 형상이 "─", "┐","┬", "┼"형 중에서 택일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10)의 종단에는 미세 높이조절을 위한 스크류형 조절부재(30)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20)는 기초 철골(S)을 받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거나, 기초 철골(S)이 끼움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기초 철골이 지지대에 의하여 위치가 조정되고, 수직바를 이중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초 철골의 위치조정을 위한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수평을 맞추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숙련된 전문가가 요구되지 않으며, 기초 철골들의 수평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기초시공과정에 시간과 인력이 대폭 감소될 뿐 아니라 시공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초철골 시공과정 중 설계도에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본 고안의 기초 철골 연결장치만 해당 설계도에 따른 지지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시공과정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철골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골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골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에 따른 철골 연결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골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철골 연결 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10)의 상단에 기초 철골(S)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20)가 수평으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수직바(10)는 도 1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이나 봉으로 형성되고, 높이조절을 위하여 상/하부수직바(10a)(10b)로 이분형성하되 일측 수직바는 관으로, 타측 수직바는 관이나 봉으로 형성하여 일측 수직바가 타측 수직바 내부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는 수직바(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2)(2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22)(23)로는 볼트, 체결핀, 용접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나, 작업중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도록 볼트나 핀과 같은 탈부착 가능한 체결수단(22)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하부수직바(10a) 일측을 관통하는 볼트형 체결수단(22)이 하부수직바(10a) 내측에 수용된 상부수직바(10b)를 지지해주며, 이때 상부수직바(10b)에는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홈이나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공(23)을 가공하여 체결수단(22)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바(10)의 종단에는 미세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부재(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재(30)는 발판이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 형태로 수직바(10) 종단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공(3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결합공(31)상에서 조절부재(30)가 승하강되며 하부수직바(10a)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해주어 기초철골(S)의 수평을 조정해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력 강화를 위해 상부수직바(10b) 상에 체결공(23)이 형성되면 수직바(10)의 이송거리가 체결공(23)의 형성간격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어 수직바(10)의 정교한 높이조절이 어려운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조절부재(30)를 이용한 높이 조절을 통해 기초철골(S)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기초철골(S)의 하부를 받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거나 기초철골(S)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중공의 관 형상으로 가공되며, 결합된 기초철골(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도 3과 도 4a 내지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 "┐","┬", "┼"형 중에서 택일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설계도가 변경되어 기초철골(S)의 배치위치와 배치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지지대(20)의 평면형상을 변경된 설계도에 따라 교체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10 : 수직바 20 : 지지대
22 : 체결수단 23 : 체결공
30 : 조절부재

Claims (5)

  1.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10)의 상단에 기초 철골(S)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대(20)가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0)는 평면 형상이 "─", "┐","┬", "┼"형 중에서 택일하여 형성되고, 기초 철골(S)이 끼움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0)는 상/하로 이분 형성되어 높이가 조절되고, 조절된 높이는 상기 수직바(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2)(23)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철골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0)의 종단에는 스크류형 조절부재(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철골 연결 장치.
  5. 삭제
KR2020120005482U 2012-06-26 2012-06-26 기초 철골 연결 장치 KR200475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482U KR200475858Y1 (ko) 2012-06-26 2012-06-26 기초 철골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482U KR200475858Y1 (ko) 2012-06-26 2012-06-26 기초 철골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31U KR20140000031U (ko) 2014-01-06
KR200475858Y1 true KR200475858Y1 (ko) 2015-01-08

Family

ID=5258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482U KR200475858Y1 (ko) 2012-06-26 2012-06-26 기초 철골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999A (ja) * 1997-12-25 1999-07-06 Sumitomo Forestry Co Ltd 支持具
KR200254959Y1 (ko) * 2001-09-05 2001-11-27 김성태 휴대용 조립식 방갈로
JP2002227454A (ja) * 2001-01-30 2002-08-14 Masako Nomura テント
KR20110135496A (ko) * 2010-06-11 2011-12-19 이병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999A (ja) * 1997-12-25 1999-07-06 Sumitomo Forestry Co Ltd 支持具
JP2002227454A (ja) * 2001-01-30 2002-08-14 Masako Nomura テント
KR200254959Y1 (ko) * 2001-09-05 2001-11-27 김성태 휴대용 조립식 방갈로
KR20110135496A (ko) * 2010-06-11 2011-12-19 이병화 건축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31U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KR101848727B1 (ko) 피씨기둥의 접합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1304985B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RU2583121C2 (ru) Фундаментное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чей машины
CN204326548U (zh) 一种建筑地面找平装置
US10006186B2 (en)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0442545Y1 (ko) 높이조절 거푸집
WO2013040495A1 (en) Concrete form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0442924Y1 (ko) 케이블 받침대의 각도 조절구조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CN107246145B (zh) 用于预留管道孔的楼板浇筑设备及施工方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KR200475858Y1 (ko) 기초 철골 연결 장치
CN104499435B (zh) 一种用于自锚式悬索桥散索鞍底座安装的托架
CN203879041U (zh) 预埋板定位支架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JP2016180250A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CN103982049A (zh) 剪力墙墙体组装调直装置
JP2015055079A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体の構築方法
CN209308063U (zh) 水平可调节的铸铁平台及大型铸铁平台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KR20110007618U (ko) 건축용 동바리의 드롭 헤드 서포터
RU2790542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бетонирова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0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1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10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