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8524B1 -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524B1
KR101578524B1 KR1020150093454A KR20150093454A KR101578524B1 KR 101578524 B1 KR101578524 B1 KR 101578524B1 KR 1020150093454 A KR1020150093454 A KR 1020150093454A KR 20150093454 A KR20150093454 A KR 20150093454A KR 101578524 B1 KR101578524 B1 KR 10157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reinforcing bars
longitudinal
rails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용
Original Assignee
(주)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영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9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5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는 종철근과 횡철근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종횡철근을 지지하는 구성의 무게 중심을 중앙에 맞추어 높이 조정이 원활함과 아울러 종횡철근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는, 상면에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제1,2레일(11,12)이 구비되는 판상이며 슬래브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과; 각각 종철근과 횡철근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레일에 각각 상기 종철근과 횡철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배근 블록(20,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근 블록은 상기 제1,2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이동판(21,31), 상기 제1,2이동판의 상면 중앙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공구연결부가 구비된 제1,2서포트(22,32), 저부에 상기 제1,2서포트에 나사 체결되는 제1,2나사관(24,34)이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종횡철근이 각각 삽입 배근되는 제1,2배근홈이 구비된 제1,2블록(23,33) 및 상기 제1,2이동판에 세워지면서 상기 제1,2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제1,2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제1,2가이드봉(25,35)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배근 블록이 상기 제1,2레일에 의해 상기 종횡철근의 배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1,2블록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제1,2공구홀(23b,33b)을 통해 상기 제1,2서포트의 공구연결부에 끼워지는 공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블록이 각각 높이 조절된다.

Description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SPACER FOR ADJUSTING HIGHT AND SPACE OF REBAR}
본 발명은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직교하는 종횡철근의 위치 이동을 통해 철근의 배근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뼈대가 되는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철근은 모양과 기계적 성질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류되고, 모양에 따라서는 원형철근(round bar)과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분류된다.
철근이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강근을 말하는 것이고, 배근이란 건축에서 철근을 설계에 따라 배치하는 일을 말한다.
따라서, 철근 배근이란 콘크리트의 보강근을 설계에 따라 배치하는 일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철근 배근의 일반적인 방식은 철근을 조립할 때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구분하여 이중 배근을 하게 되고, 이때 사용되는 것이 스페이서다.
한편, 통상적으로 건물의 슬래브를 형성할 때, 철근이 상기 슬래브 내에 매설되는 바, 상기 철근의 배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건물의 정밀도와 강도가 우수한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배근 작업 시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스페이서가 그 중 하나의 기구인 것이다.
상기 철근 배근 작업은 철근을 상부와 하부에 걸쳐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교차지점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철근을 철사 등으로 결속하는 단계및, 스페이서로 상기 철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전기설비의 배관 설치단계와 최종 점검 및 보수단계를 거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철근 배근 작업 시 철근의 지지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철근이 휘는 문제점이 있었고, 결속용 철사 등이 풀리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높이가 일정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확인하는 별도의 레벨기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스페이서가 있으나, 이는 단순히 철근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의 수평상태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결속용 타이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타이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 등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659606호)는 볼트형 결합구와, 상기 볼트형 결합구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받침대로 이루어진 높낮이조절 다리와; 상기 높낮이조절 다리의 볼트형 결합구에 결합되는 너트형 홀과, 상기 너트형 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반원형 홈 및,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체결부재 관통공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 철근을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면과, 일측면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과,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반원형 홈과 일치하여 원형 공을 이루는 제2 반원형 홈과, 말단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체결부재 관통공과 일치하여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재 결합공과, 상기 개구의 양 측면 상단에 각각 고정구를 통해 고정된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공형 고정블럭과; 상단에 형성되어 하부 철근을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면과, 상기 중공형 고정블럭의 개구 내측에 위치하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구비되되, 상기 나사공에는 상기 중공형 고정블럭의 나사공을 출입하는 높이조절나사가 관통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중공형 고정블럭의 개구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한 하부 철근 지지블럭 및;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고정블럭의 반원형 지지면과 일치하여 원형 결속면을 이루는 반원형 결속면과,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고정블럭에 고정된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고정브래킷으로 구성된 이동블럭으로 구성되며,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교차지점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의 배치 시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및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타설 높이가 일정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레벨기를 겸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 및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으나, 서로 교차하는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여 상하부 철근의 교차지점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하부 철근이 하부 철근 지지블럭의 일측에 치우친 상태로 배근되기 때문에 하중이 집중되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한편 하부 철근 지지블럭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높이 조정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96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는 종철근과 횡철근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종횡철근을 지지하는 구성의 무게 중심을 중앙에 맞추어 높이 조정이 원활함과 아울러 종횡철근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는, 상면에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제1,2레일이 구비된 판상이며, 슬래브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과; 각각 종철근과 횡철근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레일에 각각 상기 종철근과 횡철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배근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근 블록은 상기 제1,2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이동판, 상기 제1,2이동판의 상면 중앙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공구연결부가 구비된 제1,2서포트, 저부에 상기 제1,2서포트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관이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종횡철근이 각각 삽입 배근되는 제1,2블록 및 상기 제1,2이동판에 세워지면서 상기 제1,2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제1,2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배근 블록이 상기 제1,2레일에 의해 상기 종횡철근의 배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1,2블록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공구홀을 통해 상기 제1,2서포트의 공구연결부에 끼워지는 공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블록이 각각 높이 조절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제12배근 블록이 각각의 철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종철근과 횡철근의 배근 방향에 맞춰 스페이서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종철근과 횡철근의 모든 위치에서 종철근과 횡철근의 간격(슬래브와의 간격, 상호 간의 간격)을 맞추고 결과적으로 설계 강도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한다. 또한, 제1,2블록의 높이 조절이 제1,2블록의 중앙부에서 이루어져 제1,2블록의 모든 부분이 비틀림없이 승강 동작하여 높이 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원활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에 적용된 제1배근 블록의 작동 상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는, 슬래브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 베이스판(1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종철근(1)(이하 "제1철근"이라 칭함)과 횡철근(2)(이하 "제2철근"이라 칭함)이 각각 배근되는 제1,2배근 블록(20,30)으로 구성되며, 제1,2배근 블록(20,30)은 각각 제1,2철근(1,2)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2철근(1,2)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판(10)은 제1,2배근 블록(20,30)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2레일(11,12)이 형성된다.
제1레일(11)은 제1철근(1)의 배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2레일(12)은 제2철근(2)의 배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2레일(11,12)은 제1,2배근 블록(20,30)의 제1,2이동판(21,31)의 상부를 감싸는 구조로서 제1,2배근 블록(20,30)이 상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된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더브테일(dovetail) 형태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베이스판(10)은 슬래브(3)(콘크리트 슬래브나 슬래브 거푸집을 말함)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하나 이상의 충진홀(13)이 구비되고, 또한 충진홀(13)은 슬래브(3)에 앵커링되는 홀로 사용될 수 있다.
제1,2배근 블록(20,30)은 베이스판(10)의 제1,2레일(11,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이동판(21,31), 제1,2이동판(21,31)에 세워지는 제1,2서포트(22,32), 제1,2서포트(22,32) 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 제1,2철근(1,2)이 배근되는 제1,2블록(23,33)으로 구성된다.
제1,2이동판(21,31)은 베이스판(10)의 제1,2레일(11,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제1,2블록(23,33)이 위치를 잡은 후 적은 충격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제1,2레일(11,12)에 다수의 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1,2이동판(21,31)의 둘레부에 상기 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판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2이동판(21,31)은 정렬 위치를 고수하기 위하여 조임볼트(21a,31a)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볼트는 제1,2레일(11,12)에 너트 등을 통해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제1,2레일(11,12) 아래쪽의 제1,2이동판(21,31)을 가압하거나 제1,2이동판(21,3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가압함으로써 제1,2이동판(21,31)이 정렬 위치를 고수하도록 한다.
제1,2서포트(22,32)는 제1,2블록(23,33)을 지지하면서 작업자의 공구에 의한 조작에 의해 제1,2블록(23,33)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이면서 두부에는 공구연결부(홈, 렌치부 등)가 구성된 봉의 형태이고, 제1,2이동판(21,31) 위에 세워지되 베어링 등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세워지며, 따라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자리 회전할 때 제1,2블록(23,33)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1,2블록(23,33)은 각각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의 제1,2배근홈(23a,33a)이 구비된 입체형으로 합성수지, 스틸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고, 제1,2서포트(22,32)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도록 저면에 제1,2나사관(24,34)이 고정된다.
제1,2나사관(24,34)은 내주면에 제1,2서포트(22,32)의 나사선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선이 구비된 너트 형태이며 제1,2철근(1,2)의 높이 조절 폭을 감안하는 높이로 구성된다.
제1,2블록(23,33)의 제1,2배근홈(23a,33a)의 바닥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공구홀(23b,33b)이 형성된다. 공구홀(23b,33b)은 제1,2서포트(22,32)의 공구연결부에 공구가 연결될 수 있는 여유있는 크기이다.
제1,2블록(23,33)의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위하여 다수의 제1,2가이드봉(25,35)이 적용된다. 제1,2가이드봉(25,35)은 바람직하게 제1,2이동판(21,31)의 사방 모서리부에 각각 세워지면서 제1,2블록(23,33)을 관통하여 제1,2블록(23,33)이 비틀림없이 승강 동작하도록 한다.
제1,2가이드봉(25,35)은 제1,2블록(23,33)의 높이를 별도의 측정기없이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눈금(25a,35a)이 표시된다.
부가적으로 제1,2가이드봉(25,35)은 제1,2블록(23,33)이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제1,2가이드봉(25,35)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제1,2블록(23,33)의 상부에서 상기 외주면에 제1,2너트(26,36)가 체결됨으로써 제1,2너트(26,36)에 의해 제1,2블록(23,33)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지지한다.
이와 같이 제1,2블록(23,33)의 중앙부에 승강을 위한 구성이 적용되면 제1,2블록(23,33)의 모든 부분에 균등한 힘을 받게 되어 제1,2철근(1,2)의 하중에 의한 처짐도 막고 공구에 의한 제1,2블록(23,33)의 승강 조작시 제1,2블록(23,33)이 안정적으로 승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배근 블록(20,30)에 배근된 제1,2철근(1,2)을 지지하고 슬래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2클램프(40,50)가 적용될 수 있다.
제1,2클램프(40,50)는 양측에 다리부가 있는 U형태이며, 상기 다리부가 상부에서부터 제1,2블록(23,33)의 제1,2배근홈(23a,33a)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2클램프홈에 끼워져 제1,2블록(23,33)에 배근된 종횡방향의 철근을 눌러 지지한다.
제1,2철근(1,2)이 높이 변화가 발생되어도 제1,2클램프(40,50)의 저부가 제1,2이동판(21,31)에 지지되어 제1,2블록(23,33)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1,2클램프(40,50)의 양측의 다리부에는 제1,2높이조절구(41,51)가 적용된다.
제1,2클램프(40,50)는 나사선 철근이고, 높이조절구(41,51)는 너트이다. 제1,2클램프(40,50)가 나사선 철근인 경우 슬래브의 강도를 보강하고 별도의 나사선 가공없이 너트형의 제1,2높이조절구(41,51)를 적용하는 이점이 있다.
제1,2높이조절구(41,51)는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하여 둘레부에 환형의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날개부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슬래브에 사용되는 제1,2철근(1,2)은 외주면에 종리브와 횡리브가 구비된 리브형 철근, 나사선 철근 등 다양한 철근이 있으며, 제1,2블록(23,33)의 제1,2배근홈(23a,33a)이 평평한 경우 모든 철근을 지지할 수 있지만 철근의 이동을 야기하여 시공 중 철근의 위치가 변경되는 단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제1,2철근(1,2)의 형태에 맞춰 1,2배근홈(23a,33a)에 조립되어 제1,2철근(1,2)을 이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제1,2어댑터(60,70)를 포함한다.
1,2배근홈(23a,33a)은 제1,2어댑터(60,70)가 상부에서 끼워져 조립되도록 전우 양측이 막힌 제1,2어댑터홈이 형성된다.
제1,2어댑터(60,70)는 제1,2철근(1,2)의 대략 절반을 감싸는 반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어댑터홈에 삽입 조립된다.
제1어댑터(60)는 리브형 철근에 맞도록 요철 구조(리브와 홈이 교대로 반복)로 이루어지고, 제2,어댑터(70)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슬래브의 시공시 제1철근(1)과 제2철근(2)을 격자형태로 배근하며, 먼저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제1,2배근 블록(20,30)이 베이스판(10)에서 제1철근(1)과 제2철근(2)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다수의 베이스판(10)들이 정렬되지 않아도 제1,2철근(1,2)의 배근이 가능하므로 1차적으로 스페이서의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즉 다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한 후 제1,2철근(1,2)의 배근 위치에 맞도록 제1,2배근 블록(20,30)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다수의 스페이서는 제1,2철근(1,2)의 배근에 맞춰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사용되며, 일렬로 배열되는 스페이서들의 제1배근 블록(20)과 제2배근 블록(30)들을 일렬로 정렬하고, 제1,2배근 블록(20,30)을 정렬 위치로 밀거나 당기면 제1,2배근 블록(20,30)이 제1,2레일(11,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렬된다.
제1,2배근 블록(20,30)의 위치를 정렬한 후 제1,2철근(1,2)의 높이에 맞춰 제1,2블록(23,33)의 높이를 조절한다.
먼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부쪽에 배치되는 제1블록(23)의 높이를 조절하며, 공구를 제1블록(23)의 공구홀에 삽입한 후 제1서포트(22)의 공구연결부에 연결하고 양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돌리면, 제1서포트(22)가 일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고 제1나사관(24)과 제1서포트(22)의 나사 체결에 제1블록(23)이 상승한다.
제1블록(23)은 제1가이드봉(25)들의 안내를 받아 모든 부분이 비틀림없이 안정적으로 상승한다.
작업자는 제1가이드봉(25)의 눈금(25a)을 확인한 후 제1블록(23)을 설계 높이로 맞춘다.
제1블록(23)을 하강시키는 것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1서포트(22)를 상승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배근 블록(20)의 높이 조절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2배근 블록(30)의 제2블록(33)의 높이를 제2철근(2)의 배근 높이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제1,2배근 블록(20,30)의 제1,2블록(23,33)의 높이 조절이 제1,2블록(23,33)의 중앙부에서 이루어지고 제1,2철근(1,2)이 제1,2블록(23,33)의 일측에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배근되기 때문에 제1,2철근(1,2)의 편심에 의한 제1,2블록(23,33)의 휨을 막는다.
제1,2배근 블록(20,30)의 위치와 높이를 셋팅한 후 제1,2철근(1,2)을 제1,2블록(23,33)에 각각 배근한다.
제1,2철근(1,2)을 배근하기 전에 제1,2블록(23,33)에 제1,2클램프(60,70)를 선택하여 조립하며, 제1,2철근(1,2)은 제1,2클램프(60,70)에 끼움식으로 지지됨으로써 리브형 철근과 나사산 철근 모두 위치 변동이 없는 견고한 배근이 가능하다.
제1,2철근(1,2)을 배근한 후 제1,2클램프(40,50)를 제1,2블록(23,33)에 끼우고, 제1,2높이조절구(41,51)를 돌려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2높이조절구(41,51)의 저부가 제1,2이동판(21,31)이나 베이스판(1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철근(1,2)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며, 콘크리트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페이서가 위치를 고수하고 따라서 제1,2철근(1,2)이 배근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설계상의 슬래브를 시공한다.
1,2 : 제1,2철근, 3 : 슬래브
10 : 베이스판, 11,12 : 제1,2레일
20,30 : 제1,2배근 블록, 21,31 : 제1,2이동판
22,32 : 제1,2서포트, 23,33 : 제1,2블록
24,34 : 제1,2나사관, 25,35 : 제1,2가이드봉
26,36 : 제1,2너트, 40,50 : 제1,2클램프
41,51 : 제1,2높이조절구, 60,70 : 제1,2어댑터

Claims (3)

  1. 상면에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제1,2레일(11,12)이 구비되는 판상이며 슬래브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판(10)과;
    각각 종철근과 횡철근이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제1,2레일에 각각 상기 종철근과 횡철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배근 블록(20,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근 블록은 상기 제1,2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이동판(21,31), 상기 제1,2이동판의 상면 중앙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공구연결부가 구비된 제1,2서포트(22,32), 저부에 상기 제1,2서포트에 나사 체결되는 제1,2나사관(24,34)이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종횡철근이 각각 삽입 배근되는 제1,2배근홈이 구비된 제1,2블록(23,33) 및 상기 제1,2이동판에 세워지면서 상기 제1,2블록에 관통되어 상기 제1,2블록의 승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제1,2가이드봉(25,35)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배근 블록이 상기 제1,2레일에 의해 상기 종횡철근의 배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1,2블록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제1,2공구홀(23b,33b)을 통해 상기 제1,2서포트의 공구연결부에 끼워지는 공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블록이 각각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측의 다리부가 상기 제1,2블록의 제1,2배근홈의 양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2클램프홈에 끼워져 상기 제1,2블록에 배근된 종횡방향의 철근을 눌러 지지하며 상기 양측의 다리부에 각각 상기 제1,2이동판에 지지되는 제1,2높이조절구가 나사 체결되는 제1,2클램프(4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주면이 요철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종횡철근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2블록의 제1,2배근홈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종횡철근을 지지하는 제1,2어댑터(60,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KR1020150093454A 2015-06-30 2015-06-30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Active KR10157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54A KR101578524B1 (ko) 2015-06-30 2015-06-30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54A KR101578524B1 (ko) 2015-06-30 2015-06-30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524B1 true KR101578524B1 (ko) 2015-12-17

Family

ID=5508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454A Active KR101578524B1 (ko) 2015-06-30 2015-06-30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8002A (zh) * 2020-09-26 2020-12-15 杨桂英 一种混凝土管桩浇筑设备
KR20240072689A (ko) 2022-11-17 2024-05-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 피복두께 확보를 위한 일체형 철근 스페이서
CN119571972A (zh) * 2025-02-06 2025-03-07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控制楼板施工缝预留钢筋间距及保护层厚度的夹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200231283Y1 (ko) 2001-02-23 2001-07-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100659606B1 (ko) 2006-09-14 2006-12-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KR200473891Y1 (ko) 2014-04-22 2014-08-07 윤두태 배관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200231283Y1 (ko) 2001-02-23 2001-07-1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100659606B1 (ko) 2006-09-14 2006-12-20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KR200473891Y1 (ko) 2014-04-22 2014-08-07 윤두태 배관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8002A (zh) * 2020-09-26 2020-12-15 杨桂英 一种混凝土管桩浇筑设备
CN112078002B (zh) * 2020-09-26 2021-12-10 江苏省送变电有限公司 一种混凝土管桩浇筑设备
KR20240072689A (ko) 2022-11-17 2024-05-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근 피복두께 확보를 위한 일체형 철근 스페이서
CN119571972A (zh) * 2025-02-06 2025-03-07 北京建工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控制楼板施工缝预留钢筋间距及保护层厚度的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0972185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CN110722318B (zh) 一种精准可调钢桁架拼装胎架及拼装方法
KR10217929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RU2583121C2 (ru) Фундаментное анк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чей машины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CN204278223U (zh) 预制箱梁钢筋绑扎胎具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190008054A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019734B1 (ko) 송전변전 배전 철탑 기초기둥 위치 및 방향각도 조절장치
JPH04247160A (ja) 二重床を敷設する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二重床用支柱
KR101434837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강재절감형 자전거 및 보행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2330671B1 (ko)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1474948B1 (ko) 체험 시설물의 지지기둥 시공공법
KR200291983Y1 (ko) 철탑구조물의 기초구조
JP6083655B2 (ja) 吊り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構造物の構築方法
CN118007940A (zh) 一种钢结构混凝土浇筑用可调横向支撑系统
KR101531329B1 (ko) 신축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101420303B1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KR20110007618U (ko) 건축용 동바리의 드롭 헤드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