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5771Y1 -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71Y1
KR200475771Y1 KR2020140006430U KR20140006430U KR200475771Y1 KR 200475771 Y1 KR200475771 Y1 KR 200475771Y1 KR 2020140006430 U KR2020140006430 U KR 2020140006430U KR 20140006430 U KR20140006430 U KR 20140006430U KR 200475771 Y1 KR200475771 Y1 KR 200475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outer container
water inlet
instant f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시메이트
Priority to KR2020140006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71Y1/ko
Priority to PCT/KR2014/011304 priority patent/WO20160320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7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3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seal having a stress concentrating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11)을 갖고,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는 외부뚜껑 접착면(12),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안착턱(13)을 포함하는 외부용기(1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21)을 갖고,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상단면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뚜껑 접착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내부뚜껑 접착면(22), 내부뚜껑 접착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 부분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물 주입구(23)를 포함하는 내부용기(20), 내부용기 뚜껑(25) 및 외부용기 뚜껑(15)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뚜껑 접착면(22)의 이면과 내부용기 하단 모서리(21c)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외부용기의 한 개 이상의 안착턱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포개어져짐으로써,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아 밀봉하고 상기 외부뚜껑(15) 일부를 개봉하여 물 주입구(23)에 물을 넣어 외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본 고안은 용기라면이나 즉석밥 같은 즉석식품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용기 내측으로 턱을 두어 내부용기가 내측으로 겹쳐져 포개어지도록 하여, 두가지의 내용물을 독립된 공간에 별도로 담아 포장할 수 있으며, 내측의 용기 상단면 일측에 물 주입구를 구비하여 외부용기의 뚜껑일부만 개봉하여 물을 부어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라면을 담는 용기의 상부에 즉석밥 용기를 내측으로 포개어 포장하는 등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외부용기의 상부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고 얕은 내부용기를 포개어 포장할 수 있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라면 형태에서 발전하여 컵보다는 넓은 사발 모양의 일회 용기에, 일반적인 라면보다 면발이 얇아 뜨거운 물만 부어 면을 익혀먹을 수 있는 용기 라면은,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즉석 식품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밥을 지어 소량단위로 일회 용기에 포장하여, 전자렌지나 끓는 물에 넣어 곧바로 먹을 수 있는 즉석밥도 출시되어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고 있다. 용기 라면을 먹고 나면, 양이 약간 부족하다고 느끼거나, 남는 국물에 밥을 말아먹고 싶은 욕구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라면과 즉석밥, 즉석국과 즉석밥, 카레/짜장과 즉석밥 처럼 하나의 세트로 포장하여 제조되면 그 효용이 높은 경우가 상당히 많다. 상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함께 포장되어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은 세트형 식품 구성을 위해, 즉석 식품을 각각의 공간에 포장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담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1412호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기술은 다단 구조를 이루는 일회용 식품용기에 관한 것인데, 내용물을 풀기위해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뚜껑이 함께 노출될 수 있으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활용하지 못하는 사공간(死空間 ; dead space)이 많아, 외부용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기존의 즉석밥 포장형태와 용기라면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여, 제조사나 사용자의 경험상 새로운 노력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경험에 큰 변화가 없이 두 가지 식품을 한데 담을 수 있도록 해야, 실재적으로 상품에 적용되어 거리낌없이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즉석식품 용기에 담긴 내용물은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하는 경우가 많아서, 물을 쉽게 부을 수 있도록 하면서 두가지 이상의 식품을 독립된 공간에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의 상부 내측으로 포개어져 포장되어서 각각의 용기 내부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독립적으로 담을 수 있고, 내측의 용기 상단면 일측에 물 주입구를 구비하여 외부용기의 뚜껑일부만 개봉하여 물을 부어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갖고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는 외부뚜껑 접착면,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안착턱을 포함하는 외부용기,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갖고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상단면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뚜껑 접착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내부뚜껑 접착면, 내부뚜껑 접착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 부분의 일부를 천공하여 홈 형태로 형성되는 물 주입구를 포함하는 내부용기, 내부용기 뚜껑 및 외부용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용기의 내측으로 내부용기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두 개의 용기가 포개어져 각각의 내부 공간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내측의 용기 상단면 일측에 물 주입구를 구비하여 외부용기의 뚜껑일부만 개봉하여 물을 부어 즉석식품을 조리할 수 있어서, 외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에 부은 뜨거운 물에 의해 내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이 데워질 수도 있어서, 전자렌지 없이도 즉석밥 등의 즉석식품과 용기라면을 동시에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일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외부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11)을 갖는다.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는 외부뚜껑 접착면(12)이 구비되며,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안착턱(13)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외부뚜껑 접착면(12)의 내측으로 제 1 안착턱(13a)과 그로부터 아래에 위치하여 외부용기 내측에 제 2 안착턱(13b)을 갖도록 예시하였다. 제 2 안착턱은 외부용기 전체 깊이의 1/3 내지 1/4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내부용기(20) 또한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21)을 갖고,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은 형상이다. 용기의 개방된 상단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되, 외부뚜껑 접착면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내부뚜껑 접착면(22)이 구비되어, 외부뚜껑 접착면의 내측으로 내부뚜껑 접착면이 통과하여 놓이게 된다. 내부뚜껑 접착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상단면 부분의 일부를 천공한 홈 형태의 물 주입구(23)가 형성된다. 물 주입구(23)는 뜨거운 물을 부을 수 있으며, 그 사이즈가 너무 작으면 사용자가 물을 얼마나 부었는지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물의 주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가 되도록 가급적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주입구의 하단에는 내부용기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은 물은 곧바로 외부용기 수납공간(11)에 채워지게 된다. 내부용기 뚜껑(25)이 내부뚜껑 접착면(22)에 결합되고, 외부용기 뚜껑(15)이 외부뚜껑 접착면(12)에 결합된다. 용기 라면의 경우에는 내부용기 뚜껑과 외부용기 뚜껑 사이에 스프봉지(30)를 넣어 포장하면, 종래의 방식처럼 라면에 스프봉지가 직접 닿아 위생적으로 문제가 생길 소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내부용기(20)는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21)을 갖는데, 내부용기 수납공간(21)의 중앙부(21a) 깊이가 가장자리(21b) 부분의 깊이보다 깊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즉석밥이 내부용기에 담길 경우, 데워진 밥에서 물기가 형성되면 가장자리 부분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a>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가 <A>이다. 내부용기의 내부뚜껑 접착면(22) 이면이 외부용기 제 1 안착턱(13a)에 놓일 수 있도록, 내부뚜껑 접착면(22)의 외경은 제 1 안착턱(13a)에 놓일 수 있도록 외부뚜껑 접착면(12)의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b>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인 <B>를 통해 물주입구(23)가 형성된 부분의 내부용기 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물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물은 곧바로 외부용기(10)에 담기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방향에서 보는 측면의 단면으로써, 외부용기(10)에 안착턱이 두 개(13a, 13b) 구비된 구조가 예시된다. 안착턱은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제 1 안착턱(13a)에는 내부뚜껑 접착면(22)의 이면이 놓이게 되며, 제 2 안착턱에는 내부용기 하단 모서리(21c)가 놓이게 된다. 이 두 지점에서 모두 포개어져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어느 한 지점만 지지되어도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는 있다. 내부용기에 즉석밥이 담기고, 외부용기에 용기라면이 담기는 경우의 예를 들면, 내부용기는 전자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PP같은 플라스틱재가 바람직하며, 외부용기는 열전도가 낮은 스티로폼재가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외부용기의 두께가 내부용기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용기의 외경이 외부용기의 외부 뚜껑 접착면(12)의 내경보다 작아야 제 1 안착턱에 얹어져서 지지하도록 포개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부용기 뚜껑(15)와 내부용기 뚜껑(25)은 각각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접착면에 접착 또는 열에 의한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포장을 뜯기 편리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5a, 25a)를 더 포함한다. 그런데, 내부용기 뚜껑(25)의 돌출된 손잡이(25a)는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 내측에 넣고 포장할 때 안쪽으로 접어서 포장하여야 한다. 외부용기 뚜껑(25)를 결합할 때, 내부용기 뚜껑 손잡이(25a)가 외부뚜껑 접착면(12) 아래에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A>에서처럼 외부뚜껑(15) 일부를 손잡이(15a)를 열어 개봉하면, 내부용기의 뚜껑(25)이 나타난다. 도 <B>처럼 내부 뚜껑 손잡이(25a)를 열어 개봉하면 내부용기의 물 주입구(23)가 보이게 된다. 내부뚜껑과 외부뚜껑 사이에 있는 스프봉지를 뜯어서 스프를 물 주입구(23)에 넣은 후 물을 넣는다. 물을 넣은 후에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뚜껑을 다시 덮어 내부뚜껑과 외부뚜껑 손잡이를 꺾어 뚜껑들이 다시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외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이 충분히 익었다고 판단되면, 외부뚜껑(15)을 완전히 분리하여 내부용기를 꺼내고, 내부뚜껑(25)을 개봉하여 즉석식품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전자렌지가 있는 경우에는 내부용기를 먼저 꺼내어 전자렌지에 조리하고, 외부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물을 부어 따로 조리할 수도 있으며, 전자렌지가 없을 때에는 물 주입구에 뜨거운 물을 부어 그 온기와 스팀을 이용해 내부용기의 식품을 데워 먹을 수도 있는 구조이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10 : 외부용기
11 : 외부용기 수납공간
12 : 외부 뚜껑 접착면
13a : 제 1 안착턱
13b : 제 2 안착턱
15 : 외부 뚜껑
15a : 외부 뚜껑 손잡이
20 : 내부용기
21 : 내부용기 수납공간
21a : 내부용기 중앙부
21b : 내부용기 가장자리
21c : 내부용기 하단 모서리
22 : 내부 뚜껑 접착면
23 : 물 주입구
25 : 내부 뚜껑
25a : 내부 뚜껑 손잡이
30 : 스프봉지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11)을 갖고,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곽선을 따라 상단면을 형성하는 외부뚜껑 접착면(12), 내측과 외측에 꺾임선을 구비하여 상방으로 턱이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안착턱(13)을 포함하는 외부용기(10);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써,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그릇모양의 내측으로 수납공간(21)을 갖고, 상기 외부용기보다 깊이가 얕으며, 개방된 상단면에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각형이나 원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며, 외부용기의 상단면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상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면은 상기 안착턱에 걸리며, 상기 상단면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뚜껑 접착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내부뚜껑 접착면(22)을 구비하는 내부용기(20);
    상기 내부뚜껑 접착면 중 일 영역은 상기 내부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까지 관통하도록 천공된 물 주입구(23);
    상기 내부뚜껑 접착면에 접착되어 상기 상단면 및 상기 물 주입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내부용기 뚜껑(25);
    상기 내부용기 뚜껑 및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면을 덮도록 상기 외부뚜껑 접착면에 접착되는 외부용기 뚜껑(15); 및
    상기 외부용기 뚜껑과 상기 외부용기 사이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물 주입구(23)를 통하여 상기 외부용기로 주입 가능한 첨가물 스프를 수납하는 스프봉지(30); 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뚜껑 접착면(22)의 이면과 내부용기 하단 모서리(21c)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외부용기의 한 개 이상의 안착턱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포개어짐으로써, 각각 다른 내용물을 담아 밀봉하고, 상기 외부용기 뚜껑(15)과 상기 내부용기 뚜껑(25)의 일부를 개봉하여 물 주입구(23)에 물을 넣어 외부용기에 담긴 즉석식품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수납공간(21)의 중앙부(21a) 깊이가 가장자리(21b) 부분의 깊이보다 깊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턱은 외부용기 전체 깊이의 1/3 내지 1/4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뚜껑(15, 25)이 포장을 뜯기 편리하도록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5a, 25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뚜껑(25)의 돌출된 손잡이(25a)는,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10) 내측에 넣고 포장할 때, 안쪽으로 접어서 포장함으로써, 외부용기 뚜껑(25)를 결합할 때, 내부용기 뚜껑 손잡이(25a)가 외부뚜껑 접착면(12)에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20140006430U 2014-08-29 2014-08-29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75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0U KR200475771Y1 (ko) 2014-08-29 2014-08-29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PCT/KR2014/011304 WO2016032061A1 (ko) 2014-08-29 2014-11-24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30U KR200475771Y1 (ko) 2014-08-29 2014-08-29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71Y1 true KR200475771Y1 (ko) 2014-12-31

Family

ID=5353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3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5771Y1 (ko) 2014-08-29 2014-08-29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5771Y1 (ko)
WO (1) WO20160320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760B2 (en) 2015-04-29 2019-09-03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KR20210133067A (ko) * 2020-04-28 2021-11-05 김봉곤 플레이팅이 용이한 참치 및 대게 요리 제조방법, 및 플레이팅이 용이한 참치 및 대게 요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3189B (zh) * 2018-09-14 2024-08-02 长沙易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粉面容器
CN117425600A (zh) * 2023-03-02 2024-01-19 睿信通投资有限公司 一种冲泡快餐套餐及其烹饪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66A (ja) * 1993-03-31 1994-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0159275A (ja) * 1998-11-25 2000-06-13 Toppan Printing Co Ltd 2重構造即席焼きそば容器
JP2001158435A (ja) * 1999-11-30 2001-06-12 Tokan Kogyo Co Ltd 簡易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66A (ja) * 1993-03-31 1994-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0159275A (ja) * 1998-11-25 2000-06-13 Toppan Printing Co Ltd 2重構造即席焼きそば容器
JP2001158435A (ja) * 1999-11-30 2001-06-12 Tokan Kogyo Co Ltd 簡易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760B2 (en) 2015-04-29 2019-09-03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lex packag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
KR20210133067A (ko) * 2020-04-28 2021-11-05 김봉곤 플레이팅이 용이한 참치 및 대게 요리 제조방법, 및 플레이팅이 용이한 참치 및 대게 요리용기
KR102501172B1 (ko) 2020-04-28 2023-02-16 김봉곤 플레이팅이 용이한 참치 및 대게 요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061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97B2 (en) Dual-purpose dispensing container and utensil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GB2522928A (en) A Container for holding an egg
JP2017525629A (ja) 食料製品を貯蔵及び/又は調理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とそのカバー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JP5075237B2 (ja) 食品包装容器
KR20090039806A (ko) 커버로 덮인 가요성 덮개를 포함하는 특히 식품용 포장용기
JP2011046450A (ja) 即席食品容器
JP2014196138A (ja) 食品容器
JP3195580U (ja) 厚紙製外被を備えた包装用容器の構造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JP5233060B1 (ja) 即席食品容器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KR101313079B1 (ko) 즉석조리식품용 포장지
KR20160000834U (ko) 공간이 분할된 내부용기를 갖는 겹침구조의 즉석식품용 다중 용기 구조
KR20110005325U (ko)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CN205947350U (zh) 一种多功能饭盒
US20140346077A1 (en) Food packaging
US20180184832A1 (en) Ultimate Communion
JP3204124U (ja) 食品容器
JP2015020776A (ja) 断熱容器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8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10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