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14Y1 - A Packing Case - Google Patents
A Packing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114Y1 KR200468114Y1 KR2020090001633U KR20090001633U KR200468114Y1 KR 200468114 Y1 KR200468114 Y1 KR 200468114Y1 KR 2020090001633 U KR2020090001633 U KR 2020090001633U KR 20090001633 U KR20090001633 U KR 20090001633U KR 200468114 Y1 KR200468114 Y1 KR 2004681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fixing member
- foldable
- fold line
- bottom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2—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B65D85/182—Shirt packaging and display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 제1,2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제3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연결부를 갖추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제4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 5,6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날개부와,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와, 상기 상면부의 일단과 제7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의 일단에 제8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편이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면부에 의해 내부공간의 상부를 밀폐하고, 상기 삽입편의 삽입시 상기 마감부에 의해 내부공간의 일측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the bottom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ortion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ortion so as to be foldab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old lines respectively, and the rear end of the bottom portion. A portion of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be foldable through a third fold line, and has a connection portion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nd the bottom portion so as to accommodate at least one article. Having a case body; And first and second wing part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be foldable through a fourth fold line, and first and second w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part to be foldable via fifth and six fold lines. At least one fixing member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parts, a finishing part fold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part and a seventh fold line, and an eighth folding end of the finishing part; And a cover part having an insertion piece that is foldably connected through a lin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ng part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arts, and are fixed by the fixing member.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is sealed, and one side of the inner space is sealed by the finishing part when the insertion piece is inserted.
포장, 케이스, 접이선, 날개부, 바닥부, 덮개부, 고정부재 Packing, case, fold line, wing part, bottom part, cover part, fixing member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이 일정면적을 갖는 물품의 포장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품의 포장과 아울러 전시가 가능하고, 미사용시 평면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적재시 제한된 공간에서 차지하는 전체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입체적인 케이스 형태로의 조립완성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used for the packaging of articles having a certain area, such as underwear or t-shirts, and can be displayed along with the packaging of the product, and can be stacked for storage when not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improved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volume occupied in a limited space at the time and to easily complete the assembly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case that can store items during use.
일반적으로 속옷이나 티셔츠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는 상, 하측 상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측 상자에 양말 등의 상품이 수납된 별도의 상자를 2개 내지 3개 정도 담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장 상자는 상, 하측 상자 및 하측 상자에 수용되는 별도의 상자를 복수로 제작하기 때문에 지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자재가 증가하여 원가 절감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packaging box for packing underwear or T-shirts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boxe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three separate boxes containing goods such as socks are stored in the lower box. Such a general packaging box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raw material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eparate boxes accommodated in the upper box, the lower box and the lower box to increase the cost.
특히, 종래의 포장 상자는 다수의 상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자를 제작할 때 상자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위가 늘어나 생산비용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접착제 사용시 발생하는 탄소가스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a conventional packaging box uses a plurality of boxes, a portion of the box is bonded using an adhesive to fix the box when manufacturing the box, thereby increasing production costs, and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environment due to carbon gas generated when using the adhesive. There was a problem of contamin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자재의 양을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이에 따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amount of raw materials to reduce the cost, thereby providing a packaging case that can secure a price competitiveness.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 미사용시 펼쳐진 평면상태로 적층하여 다층으로 보관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 케이스의 입체적인 조립완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in a multi-layered by stacking in a flat state when the case is not used, can efficiently store the unused case in a limited space, and provides a packaging case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three-dimensional assembly of the case when using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단에 제1,2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제3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연결부를 갖추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제4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좌우 양단에 제 5,6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2날개부와, 상기 제1,2날개부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와, 상기 상면부의 일단과 제7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의 일단에 제8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 편이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날개부가 상기 제1,2측벽부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면부에 의해 내부공간의 상부를 밀폐하고, 상기 삽입편의 삽입시 상기 마감부에 의해 내부공간의 일측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ttom par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first and second side wall part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part via first and second fold lines, respectively, and the bottom part. A portion of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so as to be foldable through a third fold line, and has a connection part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arts and the bottom part to accommodate at least one article. A case body having a space; And first and second wing part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be foldable through a fourth fold line, and first and second w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part to be foldable via fifth and six fold lines. At least one fixing member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parts, a finishing part fold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part and a seventh fold line, and an eighth folding end of the finishing part; A cover part having an insertion piece that is foldably connected through a lin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ng parts are closely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arts, and are fixed by the fixing member, thereby allowing the upper surface part to be fixed.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is sealed, and one side of the inner space is sealed by the finishing part when the insertion piece is inser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측벽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ortions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lit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은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양단에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lit may b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at both ends thereof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ix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부는 일정영역을 갖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expose the article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측벽부는 그 선후단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와 바닥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ortions may be foldab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support pieces disposed at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 portions and the bottom portion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는 그 선단에 제1걸이공이 구비된 연장부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ottom portion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hook hole at the tip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그 일단에 제9접이선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걸이공과 대응되는 제2걸이공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via a ninth fold line, the hook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ook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ok hole.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 미사용시 펼쳐진 상태로 평면적으로 다층으로 적 층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매장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e is not in use, it can be stored in a multi-layered stack in a flat state, so that the unused case can be efficiently stored in a limited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tore management.
또한, 케이스 사용시 케이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전환하여 조립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case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verted to a three-dimensional case to complete the assembly when using the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load and to quickly process the shop management work.
또한, 케이스 전환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물품을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사용시 발생하는 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imply assembling the article without using an adhesive when switching the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the carbon generated when using the adhesive is not discharged.
또한, 본 고안은 원자재의 양을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품의 포장작업시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of raw materials by reducing the amount of raw materials, thereby ensuring a price competitiven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 during packaging work.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의 전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packag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10) 및 덮개부(1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하고, 상부로 개방된 내 부공간(S)을 형성하도록 바닥부(111)와, 제1,2측벽부(112,113) 및 연결부(116)를 포함한다.The
상기 바닥부(111)는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상기 속옷 등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곳으로 일정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 부재이다.The
상기 제1,2측벽부(112,113)는 상기 바닥부(111)의 좌우양단에 대하여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사각판상의 부재이다.The first and second
여기서, 상기 제1,2측벽부(112,113)는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내측으로 접혀서 배치될 수 있도록 제1,2접이선(151,152)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부(111)와 연결되며, 상기 제1,2접이선(151,152)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상기 제1,2측벽부(112,113)가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는 후술할 마감부(126) 및 연결부(116)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일예로 상기 마감부(126) 및 연결부(116)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제1,2측벽부(112,113)는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제1,2측벽부(112,113)는 그 하단에 상기 제1,2접이선(151,152)을 따라 일정길이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17)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는 조립시 후술할 제1,2날개부(124,125)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7)가 상기 슬릿(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27)가 상기 슬릿(117)에 각각 삽입되어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측벽을 형성하게 되는 제1,2날개부(124,125) 및 제 1,2측벽부(112,113)를 고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도면에는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두 개의 슬릿(117)이 제1,2접이선(151,152)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 중앙영역에 한 개의 슬릿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중앙영역에 한개의 슬릿이 구비되고 그 선,후단에 두 개의 슬릿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drawings, two
또한,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위치가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2측벽부(112,113)의 높이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slit is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두 개의 슬릿(117)이 제1,2접이선(151,152)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wo
그리고 상기 슬릿(117)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슬릿(117)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부재(127)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좌우양단에 관통공(117a)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관통공(117a)은 상기 고정부재(127)의 삽입 시 좌우 양단 부분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고정부재(127)와 바닥부(111)와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27)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hrough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127)가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구비된 슬릿(117)에 각각 삽입되어 제1,2날개부(124,125)가 제1,2측벽부(112,113)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고정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상기 연결부(116)는 바닥부(111)의 후단에 하부단 일부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116)는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3접이선(153)을 매개로 하여 바닥부(111)와 연결되며, 상기 제3접이선(153)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6)는 상단의 길이가 짧고 하단의 길이가 길며 나머지 두변의 길이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된다.Here, the
이와 같은 연결부(116)는 후술할 마감부(126)와 대략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구비되고,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제1,2측벽부(112,113) 및 제1,2날개부(124,125)에 의해 형성되는 양 측벽의 기울기를 결정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제1,2측벽부(112,113)는 그 선후단에 수직접이선(115)을 매개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측벽부(112,113)와 바닥부(1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는 지지편(114a,114b,114c,114d)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이와 같은 상기 지지편(114a,114b,114c,114d)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바닥부(111)의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제3접이선(153)과 제1,2측벽부(112,113)의 일 측단을 연결한 가상선 상에 각각 위치되고, 그 외측에 연결부(116) 및 후술할 마감부(126)가 각각 밀착되어 면접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16) 및 마감부(126)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로 인해 제1,2측벽부(112,113) 및 연결부(116)가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는 상부와 선단이 개구되는 내부공간(S)을 구비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수직접이선(115)은 상기 바닥부(111)에 대하여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각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측면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의 선단(상부단)에 연장형성되는 연장부(118)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장부(118)는 그 내부에 관통형성된 제1걸이공(118a)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the
이와 같이 제1걸이공(118a)이 구비된 연장부(118)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제7접이선(157)을 매개로 수직한 마감부(126)에 대하여 수평한 바닥부(1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품 진열대에 구비된 고리(미도시)등에 걸어 진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uch, the
또한, 상기 연장부(118)는 그 일단에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걸이부(119)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걸이부(119)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 평판 부재로 수평한 연장부(118)에 대하여 제9접이선(159)을 매개로 접혀져 상기 연장부(118)의 전체면과 바닥부(111)의 일부면적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즉, 걸이부(119)의 폭이 연장부(118)의 폭보다 넓게 구비되도록 하여 제9접이선(159)을 매개로 접혀지면 연장부(118)의 전체면적과 밀착됨과 동시에 걸이부(119)의 일부면적이 바닥부(111)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idth of the
이로 인해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후술할 삽입편(128)이 제9접이선(159)을 매개로 접혀져 바닥부(111)와 밀착된 걸이부(119)의 일부와 면접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없이 걸이부(119)가 바닥부(111)에 밀착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조립시 후술할 마감부(126)가 제7접이선(157)을 매개로 수직하게 접혀져 포장 케이스(100)의 일측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감부(126)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삽입편(128)과 바닥부(111)와의 마찰력을 높여줌으로써 삽입편(128)이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삽입 후 바닥부(1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finishing
한편, 상기 걸이부(119)에는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제2걸이공(119a)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2걸이공(119a)은 조립시 걸이부(119)가 제9접이선(159)을 매개로 접혀져 연장부(118)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이공(118a)과 서로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품진열대에 구비된 고리에 의해 제1걸이공(118a)과 제2걸이공(119a)을 동시에 통과하여 포장 케이스(100)를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덮개부(120)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제1,2측벽부(112,113)와 연결부(116) 및 바닥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S)의 상부와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부(122), 제1,2날개부(124,125), 고정부재(127), 마감부(126) 및 삽입편(128)을 포함한다.The
상기 상면부(122)는 연결부(116)에 대하여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 부재이다.The
이때, 상기 상면부(122)는 수직한 연결부(116)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상기 바닥부(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4접이선(154)을 매개로 하여 연결부(116)와 연결되며, 상기 제4접이선(154)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상면부(122)는 조립시 개구된 내부공간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내부에 일정영역을 갖는 개구부(12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22)에 개구부(129)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부(111)에 속옷이나 티셔츠 등이 접혀져 보관될 때 상기 속옷이나 티셔츠 등에 표시되는 상표나 물품의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2날개부(124,125)는 상면부(122)의 좌우 양단에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부재이다.The first and
여기서, 상기 제1,2날개부(124,125)는 수평한 상면부(122)에 대하여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도록 제5,6접이선(155,156)을 매개로 하여 상면 부(122)와 연결되며, 상기 제5,6접이선(155,156)은 상기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Here, the first and
이와 같은 제1,2날개부(124,125)는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면부(122)에 대해서 하부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접혀지고, 상기 제1,2측벽부(112,113)의 외측에 밀착되어 제1,2측벽부(112,113)의 전체면적과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2측벽부(112,113)와 더불어 포장 케이스(100)의 양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and
상기 고정부재(127)은 상기 제1,2날개부(124,125)의 일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직판 부재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27)는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구비되는 슬릿(117)의 형성길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슬릿(117)에 각각 삽입되어 제1,2측벽부(112,113) 및 제1,2날개부(124,125)가 바닥부(111)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1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구비되는 슬릿(117)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며, 조립시 상기 슬릿(1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117)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이와 같은 고정부재(127)는 상기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구비되는 슬릿(117)에 각각 삽입되어 제1,2측벽부(112,113)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제1,2날개부(124,125)를 고정하여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좌,우 양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The fixing
상기 마감부(126)는 상면부(122)의 일단에 접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의 길이가 짧고 하단의 길이가 길며 나머지 두변의 길이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의 부재이다.The finishing
이와 같은 마감부(126)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16)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되고,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바닥부(111)의 선,후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제1,2측벽부(112,113) 및 제1,2날개부(124,125)에 의해 형성되는 양 측벽의 기울기를 결정하게 된다.The shape of the finishing
이러한 마감부(126) 및 연결부(116)의 형상에 의하여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상기 제1,2측벽부(112,113) 및 제1,2날개부(124,125)가 일정 각도로 내측으로 기울어져 고정부재(127)의 삽입에 의해 고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마감부(126)의 단면형상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이나 오각형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여기서, 상기 마감부(126)는 수평한 상면부(12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7접이선(157)을 매개로 하여 상면부(122)와 연결되며, 상기 제7접이선(157)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일측 상부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된다.Here, the finishing
상기 삽입편(128)은 마감부(126)의 일단에 제8접이선(158)을 매개로 하여 접 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부재이다. 이와 같은 삽입편(128)은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수직한 마감부(126)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조립시 포장 케이스(100)의 내부공간(S)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삽입된다.The
이와 같이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시 삽입편(128)이 마감부(126)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혀서 내부공간(S)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마감부(126)는 바닥부(111)와 면접을 하게 되고 이러한 면접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바닥부(111)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제품이 수납된 내부공간(S)을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이때, 상기 제1,2측벽부(112,113)의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편(114a,114c)의 일측이 상기 삽입편(128)과 선접촉하여 눌러줌으로써 삽입편(128)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ne side of the support piece (114a, 114c)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ond side wall portion (112, 113) is pressed in line contact with the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포장 케이스(100)는 조립시 제1,2날개부(124,125)가 제1,2측벽부(112,113)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고정부재(127)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포장 케이스(100)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고, 연결부(116)가 후벽을 형성하며 바닥부(111)와 상면부(122)에 의해 상하부면이 밀폐되고 일측이 개구된 내부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Due to such a structure, the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S)에 속옷이나 티셔츠 같은 물품을 접어서 수납한 후, 마감부(126)가 개구된 일측을 밀폐하도록 접은 후 삽입편(128)을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내부공간(S)에 수납된 물품을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Then, after folding and storing articles such as underwear or T-shirts in the inner space S, the finishing
한편,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포 장 케이스(100)를 입체적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assemble the
먼저, 수평하게 펼쳐진 포장 케이스(100)를 준비한다.(도 3(a))First, prepare a
그리고 수평한 바닥부(111) 및 연장부(118)에 대하여 제9접이선(159)을 기준으로 걸이부(119)를 접어 연장부(118) 및 바닥부(111)의 일부면과 동시에 밀착되도록 한다.(도 3(b))Then, the
다음으로, 제1,2측벽부(112,113)를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제1,2접이선(151,152)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접는다. 그 후 제1,2측벽부(112,113)의 좌우양단에 구비된 지지편(114a,114b,114c,114d)을 각각 내측으로 접어 제3접이선(153) 및 제1,2측벽부(112,113)의 일단을 연결한 가상선 상에 배치시킨다.(도 3(c))Next, the first and second
그 다음에 수평한 바닥부(111)에 대하여 제3접이선(153)을 기준으로 연결부(116)를 상부로 수직하게 접는다. 그리고 수직한 연결부(116)에 대하여 제4접이선(154)을 기준으로 상면부(122)를 접어 수평한 바닥부(1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도 3(d))Next, the connecting
그 후, 수평한 상면부(122)에 대하여 제5,6접이선(155,156)을 기준으로 제1,2날개부(124,125)를 하부로 접어 상기 제1,2측벽부(112,113)의 외측에 밀착시켜 중첩되도록 하고, 제1,2날개부(124,125)의 일측단에 돌출형성된 고정부재(127)를 접어 제1,2측벽부(112,113)의 하단에 구비된 슬릿(117)에 각각 삽입하여 제1,2날개부(124,125)를 고정시킨다.(도 3(e))Thereafter, the first and
연속하여, 수평한 상면부(122)에 대하여 제7접이선(157)을 기준으로 하부로 수직하게 마감부(126)를 접은 후, 마감부(126)의 일단에 구비된 삽입편(128)을 제8접이선(158)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접어 포장 케이스(100)의 내부공간(S)의 일측에 삽입하면 입체적인 포장 케이스(100)의 조립이 완성된다.(도 3(f))Subsequently, after folding the finishing
상기와 같이 입체적 형상으로 조립이 완성된 포장 케이스(100)는 사용시 바닥부(111)에 속옷이나 티셔츠 등과 같은 물품을 접어서 바닥부(111)에 수납시켜 포장하여 상품진열대에 진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 사용시 케이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체적인 케이스로 전환하여 조립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이고, 매장관리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such, when the case is used, the case can be easily and quickly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case to complete the assembly, thereby reducing the workload and quickly processing the store management work.
한편, 케이스의 미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케이스(100)를 펼쳐진 상태로 평면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미사용 케이스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매장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se is not used, as shown in Figure 2, since the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예의 수정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struct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However, it will be apparent in advance that all of the modified design modification structures of such a simple embodimen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1 is a whole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케이스를 도시한 전개도.2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packag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c)(d)(e)(f)는 본 고안의 포장 케이스의 조립과정이다. 3 (a) (b) (c) (d) (e) (f) is an assembly process of the packaging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포장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100: packing case 110: case body
111 : 바닥부 112 : 제1측벽부111: bottom part 112: first side wall part
113 : 제2측벽부 114a,114b,114c,114d : 지지편113: second
115 : 수직접이선 116 : 연결부115: vertical fold line 116: connecting portion
117 : 슬릿 117a: 관통공117:
118 : 연장부 118a : 제1걸이공118:
119 : 걸이부 119a : 제2걸이공119:
120 : 덮개부 122 : 상면부120: cover portion 122: upper surface
124 : 제1날개부 125 : 제2날개부124: first wing portion 125: second wing portion
126 : 마감부 127 : 고정부재126: finish portion 127: fixing member
128 : 삽입편 129 : 개구부128: insertion piece 129: opening
151,152,153,154,155,156,157,158,159 : 제1,2,3,4,5,6,7,8,9접이선151,152,153,154,155,156,157,158,159: 1st, 2, 3, 4, 5, 6, 7, 8, 9 fol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633U KR200468114Y1 (en) | 2009-02-13 | 2009-02-13 | A Packing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1633U KR200468114Y1 (en) | 2009-02-13 | 2009-02-13 | A Packing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369U KR20100008369U (en) | 2010-08-23 |
KR200468114Y1 true KR200468114Y1 (en) | 2013-07-26 |
Family
ID=4445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1633U Expired - Lifetime KR200468114Y1 (en) | 2009-02-13 | 2009-02-13 | A Packing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114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932Y1 (en) * | 2014-07-25 | 2015-01-19 | 오시민 | Paper box |
KR102288917B1 (en) * | 2021-04-23 | 2021-08-11 | 서금란 | Paper Box Having Sturdy And Easy Assembly |
KR102726137B1 (en) * | 2022-09-16 | 2024-11-21 | 이아윤 | Product Packaging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736U (en) * | 1998-09-08 | 1998-12-05 | 김경식 | Packing box |
KR100328865B1 (en) | 1999-07-28 | 2002-03-14 | 박현주 | A Shock-Absorbing Paper Box |
KR20020036426A (en) * | 2000-11-09 | 2002-05-16 | 구자홍 | Assembling structure of wrapping box |
KR200356682Y1 (en) | 2004-04-14 | 2004-07-19 | 하옥자 | Folding type box |
-
2009
- 2009-02-13 KR KR2020090001633U patent/KR20046811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736U (en) * | 1998-09-08 | 1998-12-05 | 김경식 | Packing box |
KR100328865B1 (en) | 1999-07-28 | 2002-03-14 | 박현주 | A Shock-Absorbing Paper Box |
KR20020036426A (en) * | 2000-11-09 | 2002-05-16 | 구자홍 | Assembling structure of wrapping box |
KR200356682Y1 (en) | 2004-04-14 | 2004-07-19 | 하옥자 | Folding type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369U (en) | 2010-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64096B (en) | Solar panel crates | |
CN201961614U (en) | Multilayer packaging box | |
KR101029739B1 (en) | Packing box for food delivery | |
KR200468114Y1 (en) | A Packing Case | |
KR200472774Y1 (en) | The Storage Box having a connecting clip | |
US20020175106A1 (en) | Packing box | |
US7472792B2 (en) |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 |
KR200468117Y1 (en) | Packing case | |
KR200468116Y1 (en) | A Packing Case | |
KR200471922Y1 (en) | A Packing Case | |
KR20100008041U (en) | A Packing Case | |
JP5018956B2 (en) | Packaging display box | |
JP5935608B2 (en) | Stackable carry cartons | |
CN218704548U (en) | Packing carton and cardboard structure | |
KR200392144Y1 (en) | Disposable Packing Container | |
JP3236121U (en) | Hanging basket takeaway holder | |
KR20080005757U (en) | Packing box | |
JP3246166U (en) | storage equipment | |
KR20140001976U (en) | Food package | |
CN214085248U (en) | Paper box | |
CN212667918U (en) | a gift box | |
KR200483713Y1 (en) | Open-type Case for Displaying Goods | |
CA2562531C (en) |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 |
JP3044599U (en) | Golf ball display equipment | |
JPH052422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1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7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7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