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32Y1 - Paper box - Google Patents
Paper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932Y1 KR200475932Y1 KR2020140005611U KR20140005611U KR200475932Y1 KR 200475932 Y1 KR200475932 Y1 KR 200475932Y1 KR 2020140005611 U KR2020140005611 U KR 2020140005611U KR 20140005611 U KR20140005611 U KR 20140005611U KR 200475932 Y1 KR200475932 Y1 KR 2004759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dth
- front surface
- slot
- piece
- fol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상기 전면의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에 각각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측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끼움편과, 하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제2 끼움편을 포함하는 제2 측면; 상기 전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동시에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이 포함된 폭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의 하변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측면의 하변으로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이영역과,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2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1 절개선이 형성된 바닥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1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측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후면;및 상기 후면의 외측에 결합하는 판상 자석을 포함하는 수납 상자를 제공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벽체에 걸린 상태에서 중력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는 수납 상자를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is design is. Front; A first side that is fol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fittings which are fold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and which are protruded along side edges and on both sides of which protrusion protrusions are formed; a second fitting piece protruding along the lower side, A second side comprising;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so as to have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front surface and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 bottom surface including a bottom section slot which is foldably projected on a lateral side and which is cut when folded to form a slot in which the second engaging piece is engaged; A rear surface including a side slip piec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bottom surface and being foldably protruded on both sides so as to form a slot through which the first slit is engaged when the slit is fol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box including a plate-like magnet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any adhesive, and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orage box which is continuously loaded in the gravity direction .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지지구조에 걸리는 수납 상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box which is foldable to form a storage space therein and which is received in a support structure.
종이는 비교적 쉽게 접히기 때문에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개면을 절첩하여 상자를 만들 수 있다.Since the paper is relatively easily folded, the box can be made by folding the spreading surface to form a storage space therein.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9772호 (2009.09.30.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판지를 접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뚜껑과 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종이 상자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9772 (published on September 30, 2009) discloses a paper box in which a cardboard is folded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a lid and a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본 문헌의 종이 상자는 판지를 정면판, 배면판 및 좌ㆍ우 측판을 절곡선에서 각각 절곡하고 접착편을 절곡선에서 측판의 내측으로 절곡하여 접착편이 측면판의 단부 내면에 접착되도록 하여 상자 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aper box of this document, the cardboard is bent from the front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by a folding line, and the adhesive pieces are bent from the folding line to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to adhere the adhesive piec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
한편, 뚜껑은 배면판에서 절곡선을 통하여 연장된 뚜껑판을 통해 구성된다.The lid, on the other hand, consists of a lid plate extending through the fold line in the back plate.
그러나, 이러한 종이 상자는 접이식으로 수납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으나,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종이 상자는 테이블 또는 책상 위에 놓여 설치될 수 있으나, 벽체나 책상의 측벽과 같은 곳에는 설치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본 문헌의 종이 상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기존의 사용 공간을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paper box can be folded to form a storage space, but a separate adhesive is required. Particularly, such a paper box can be installed on a table or desk, but it can not be installed in a place such as a wall or a side wall of a desk.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paper box of this document,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isting space is limit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나 책상의 측벽과 같은 곳에 걸어 설치할 수 있으며, 걸린 상태에서도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종이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box which can be installed on a wall or a sidewall of a desk, and can stably store the article even in a hanging stat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her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각각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측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끼움편과, 하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제2 끼움편을 포함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전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동시에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이 포함된 폭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의 하변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측면의 하변으로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이영역과,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2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1 절개선이 형성된 바닥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1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측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후면 및 상기 후면의 외측에 결합하는 판상 자석을 포함하는 수납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ro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that is fol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that is fold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surface, A second sid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jaws and a second engaging piece protruding along the lower side and having engaging jaws protruded on both sides thereof; A foldable triangular folding reg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so as to be foldable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so as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A bottom surface including a first slotted piece formed with a first incised portion that is cut when folded to form a slot into which the second clip is engaged; A rear face including a side slot piece formed by folding at both sides so as to be folded and formed by cutting a second side piece formed by being cut at a time of folding to form a slot into which the first side piece is enga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rage box including the storage box.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끼움편의 밑변의 폭은 상기 제2 절개선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끼움편의 밑변의 촉은 상기 제1 절개선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fitting pie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econd section improvement, and the tip of the bottom side of the second fitting piece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irst section improv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상 자석에는 천공 형성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ate-like magnet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hole formed therein.
본 고안의 수납 상자에 따르면,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끼움편이 절첩 과정에서 절개선이 절개되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슬롯에 끼워짐으로써, 측면과 후면, 측면과 바닥면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벽체에 걸린 상태에서 중력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는 수납 상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tting pieces having the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s are cut in the folding process in the folding process and inserted into the slots that naturally occur, so that the side, back, side and bottom surfaces are jo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emble easily without a separate adhesive and to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of enhan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orage box which is constantly loaded in the gravity direction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wall.
본 고안의 수납 상자에 따르면, 책상이나 테이블 위가 아닌 벽체에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과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attached to a wall other than a desk or a table, it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of improving usability and space us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후면에 장착되는 판상 자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개도 상태에서 수납 상자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전개도 상태에서 조립된 수납 상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판상 자석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 수납 상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걸림홀이 형성된 판상 자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벽체에 형성된 돌출 영역에 걸리는 걸림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late-like magne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ox is assembled in a developed state,
Fig.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box assembled in the developed state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orage box fixed to a wall by a plate-like magnet,
6 is a view showing a plate-like magnet having a locking hole formed therein,
7 is a view showing a latching hole which is caught in a protruding region formed in a wall.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or modify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2는 후면에 장착되는 판상 자석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late-like magne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1 and 2 clearly show only the main feature part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상자(10)는 전면(100)과, 제1 측면(200)과, 제2 측면(300)과, 바닥면(400)과, 후면(500)과 판상 자석(6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여기서, 전면(100)과, 제1 측면(200)과, 제2 측면(300)과, 바닥면(400)과, 후면(500)은 조립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판상 자석(600)은 후면(500)에 부착되어 수납 상자(10)를 자성체로 이루어진 벽체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전면(100)과, 제1 측면(200)과, 제2 측면(300)과, 바닥면(400)과, 후면(500)은 연결된 하나의 판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먼저, 전면(100)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양 측변(111)에 제1 측면(200)이 마련될 수 있다. First, the
제1 측면(200)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양 측변(211)에 제 2측면(30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측면(300)은 후면(500) 및 바닥면(400)과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상자(10)의 측벽을 이룬다.
The
이러한 제 2측면(300)에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편(310)과 제2 끼움편(32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끼움편(310)은 제2 측면(300)의 측변(311)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끼움편(310)은 사다리꼴 형태로 제 2측면(300)의 측변(311)과 인접한 밑변의 폭(W4)이 윗변의 폭(W5)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측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끼움편(310)의 밑변 부근에는 걸림턱(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10a)은 제1 끼움편(310)과 후면(500)의 슬롯(도 3의 511a)과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특히, 이러한 걸림턱(310a)은 벽체에 결린 상태에서 수납품의 자중에 의해 수직 하중을 항상 받는 수납 상자(10)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first
실시형태의 하나로서, 제1 끼움편(310)은 모두 3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3개의 제1 끼움편(310) 중 제2 측면(300)의 상단에서 인접한 제1 끼움편(310)일수록 그 폭과 두께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시킬 수 도 있다. 이는 수납품이 수납 공간 안에서 전면(100)쪽으로 기울어져 제2 측면(300)의 상단부가 후면(5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s one of the embodiments, three
제2 끼움편(320)은 제2 측면(300)의 하변(312)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편(320)도 사다리꼴 형태로 제2 측면(300)의 하변(312)과 인접한 밑변의 폭(W6)이 윗변의 폭(W7)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측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끼움편(320)의 밑변 부근에는 걸림턱(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20a)은 제2 끼움편(320)과 바닥면(400)의 제1 절개선(421)에 의해 형성된 슬롯과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The second
바닥면(40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100)과 어느 한 변(411)에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한다. 이때, 바닥면(400)의 폭(W3)은 전면(100)의 폭(W1)보다 큰 폭을 가지며 동시에 전면(100)과 제1 측면(200)이 포함된 폭(W2)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로 인하여, 바닥면(400)과 제1 측면(200)의 사이에는 삼각형 형태의 접이영역(410)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triangular-
한편, 바닥면(400)의 양 측변에는 바닥부 슬롯편(420)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 슬롯편(420)에는 접힘 영역 부근에서 제1 절개선(421)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 슬롯편(420)이 내접되는 경우, 제1 절개선(421)이 절개되어 자연스럽게 제2 측면(300)의 제2 끼움편(320)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절개선(421)의 폭(W8)은 제2 끼움편(320)의 밑변의 폭(W6)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림턱(320a)에 제1 절개선(421)에 의한 슬롯이 걸리게 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bottom
후면(50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400)의 다른 한 변(412)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판상 자석(600)이 부착된다. 후면(500)은 양 측변에 측부 슬롯편(510)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슬롯편(510)은 접힘 영역 부근에서 제2 절개선(511)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슬롯편(510)이 내접되는 경우, 제2 절개선(511)이 절개되어 자연스럽게 제2 측면(300)의 제1 끼움편(310)이 삽입되어 결합하는 슬롯(도 3의 5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절개선(511)의 폭(W9)은 제1 끼움편(310)의 밑변의 폭(W4)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림턱(310a)에 슬롯(511a)이 걸리게 하기 위함이다.
The
판상 자석(600)의 후면(500)의 외측에 부착되어 수납 상자(10)를 자성체로 이루어진 벽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And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도 3은 전개도 상태에서 수납 상자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전개도 상태에서 조립된 수납 상자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ox is assembled in a developed stat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orage box assembled in a developed state of Fig.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100)과, 제1 측면(200)과, 제2 측면(300)과, 바닥면(400)과, 후면(500)을 내접시키고, 제1 끼움편(310)을 슬롯(511a)에 삽입시키고, 제2 끼움편(도 2의 320)과 바닥면(400)의 제1 절개선(도 2의 421)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삽입시킨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 공간(S)을 형성시킬 수 있다.
3, the
도 5는 판상 자석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 수납 상자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orage box fixed to a wall by a plate-like magnet.
이와 같은 수납 상자(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자석(600)에 의해 도 5의 P와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책상의 측벽 또는 컴퓨터의 측면 또는 기타 벽체 등에 걸려 설치될 수 있다. 때문에 책상 위나 테이블 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수납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5, the
도 6은 걸림홀이 형성된 판상 자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벽체에 형성된 돌출 영역에 걸리는 걸림홀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late-like magnet having a locking hole formed therei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locking hole formed in a protruding region formed in the wall.
수납 상자(10)의 경우,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항상 수납품의 자중에 의해 수직 하중을 받기 때문에 판상 자석(600)과 벽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자석(600)에는 걸림홈(6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61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P)에 형성된 돌출 영역(Pa)에 걸림홈(610)이 수직 방향으로 걸리기 때문에 판상 자석(600)과 벽체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상자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수납 상자
100: 전면
200: 제1 측면
300: 제2 측면
310: 제1 끼움편
320: 제2 끼움편
400: 바닥면
410: 접이 영역
420: 바닥부 슬롯편
421: 제1 절개선
500: 후면
510: 측부 슬롯편
511: 제2 절개선
600: 판상 자석 10: Storage box
100: Front
200: First aspect
300: second side
310: first fitting
320: second fitting portion
400: bottom surface
410:
420: bottom slotted piece
421: Section 1 Improvement
500: rear
510: Side slot piece
511: Section 2 Improvement
600: Plate magnet
Claims (3)
상기 전면의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에 각각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측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끼움편과, 하변을 따라 돌출되며 양 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제2 끼움편을 포함하는 제2 측면;
상기 전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동시에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이 포함된 폭보다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의 하변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측면의 하변으로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접이영역과,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2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1 절개선이 형성된 바닥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양 측변에서 접힘 가능하게 돌출되며 접힐 때 절개되어 상기 제1 끼움편이 결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측부 슬롯편을 포함하는 후면;및
상기 후면의 외측에 결합하는 판상 자석
을 포함하는 수납 상자.
Front;
A first side that is fol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fittings which are fold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and which are protruded along side edges and on both sides of which protrusion protrusions are formed; a second fitting piece protruding along the lower side, A second side comprising;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so as to have a width larger than a width of the front surface and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 bottom surface including a bottom section slot which is foldably projected on a lateral side and which is cut when folded to form a slot in which the second engaging piece is engaged;
A rear side including a side slip piec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bottom surface and formed with a second sloped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so as to be folded so as to be folded when folded to form a slot into which the first slip piece is engaged;
And a plate-like magnet
.
상기 제1 끼움편의 밑변의 폭은 상기 제2 절개선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끼움편의 밑변의 촉은 상기 제1 절개선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납 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a bottom side of the first fitting pie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width of the second section improvement and a tip of a base of the second fitting piec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section improvement.
상기 판상 자석에는 천공 형성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수납 상자.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ate-like magnet is formed with a locking hole formed there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611U KR200475932Y1 (en) | 2014-07-25 | 2014-07-25 | Paper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611U KR200475932Y1 (en) | 2014-07-25 | 2014-07-25 | Paper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932Y1 true KR200475932Y1 (en) | 2015-01-19 |
Family
ID=5259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5611U Expired - Lifetime KR200475932Y1 (en) | 2014-07-25 | 2014-07-25 | Paper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932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903Y1 (en) | 2004-10-28 | 2005-02-07 | 주식회사오뚜기 | A Food Packing Case |
KR20100086966A (en) * | 2010-05-28 | 2010-08-02 | 허남기 | Corrugated board packing box |
KR20100008369U (en) * | 2009-02-13 | 2010-08-23 | 양진용 | A Packing Case |
-
2014
- 2014-07-25 KR KR2020140005611U patent/KR200475932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903Y1 (en) | 2004-10-28 | 2005-02-07 | 주식회사오뚜기 | A Food Packing Case |
KR20100008369U (en) * | 2009-02-13 | 2010-08-23 | 양진용 | A Packing Case |
KR20100086966A (en) * | 2010-05-28 | 2010-08-02 | 허남기 | Corrugated board pack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9561B2 (en) | Universal metal stud clip | |
JP3213011U (en) | Byo and removal tool | |
KR200475932Y1 (en) | Paper box | |
WO2015033672A1 (en) | Cat claw sharpener | |
KR200475185Y1 (en) | Storage hanger for partition | |
US7793791B1 (en) | Filing assembly | |
US9512557B1 (en) | Storage caddy for an ironing board | |
TWM254872U (en) | Mounting apparatus for drive bracket | |
WO2020065376A1 (en) | Integral system for adapting boxes or containers as adhesive and sliding drawers. | |
CA2727294C (en) | Multi-function hook | |
JP2008184170A (en) | Paper box which can be locked on standing face | |
EP1775398A3 (en) | Connector for ceiling systems | |
JP2010120259A (en) | File | |
JP5401424B2 (en) | Joint material | |
JP2009113829A (en) | Blister pack | |
JP2005162223A (en) | Storage box connecting structure | |
CN203727020U (en) | Notebook clamp | |
JP3886788B2 (en) | Card holder | |
US11431157B2 (en) | Electrical outlet spacing system | |
JP2010194234A (en) | Cardboard providing retaining board and part of the same | |
TWM399583U (en) | Elastically buckled slide rail fixing stand that facilitates detaching | |
JP2004321044A (en) | Claw sharpener for cat | |
JP2003239914A (en) | Latching tool | |
JP2006130281A (en) | Tissue box holder | |
JP2017007806A (en) | Stack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7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1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1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