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0172Y1 -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72Y1
KR200460172Y1 KR2020110003443U KR20110003443U KR200460172Y1 KR 200460172 Y1 KR200460172 Y1 KR 200460172Y1 KR 2020110003443 U KR2020110003443 U KR 2020110003443U KR 20110003443 U KR20110003443 U KR 20110003443U KR 200460172 Y1 KR200460172 Y1 KR 200460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und
actuator
connector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조대희
최종식
오충의
장석규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B 그라운드 패드와 접지된 메탈 피팅과 한 몸통으로 일체화 형성된 그라운드 핀을 액추에이터를 조작하여 FFC의 쉴드 테이프와 접촉되게 하여 커넥터 및 FFC에서 발생하는 EMI 및 노이즈를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 및 분산시켜 고속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PCB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되어 케이블과 결합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패드와 접촉하는 핀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 결합되어 상부는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와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됨과 함께 접지하는 접지부재;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핀에 회전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기립 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와 접촉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타측에서 기립 되게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와 비접촉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SPEED SINGNAL TRANSMISSION}
본 고안은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액추에이터를 조작하여 FFC의 쉴드 테이프(shield tape) 및 PCB 그라운드 패드를 상호 접지되게 함으로써 FFC 및 FFC커넥터에서 발생하는 EMI 및 노이즈를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 및 분산시켜 고속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는 소형화, 특히 두께가 얇아져 감에 따라 내부에 조립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크기도 소형화된다. 그에 따라 주 인쇄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도 점차 소형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FFC형 배선의 일단을 연결하는 FFC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FFC커넥터는 통상 PCB에 인쇄된 배선의 접속부와 접촉하는 단자(PIN)와 그라운드 패드와 접촉하는 메탈 피팅을 복수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메탈 피팅은 금속판재를 성형하여 만들어진 후 FFC커넥터의 케이스(CASE)에 결합되어 단순 PCB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되어 FFC커넥터를 고정하는 역할만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FFC커넥터는 FFC의 쉴드 테이프(shield tape)와 접촉하여 PCB 그라운드 패드와 접지시켜주지 못함으로써, 전자파장애(EMI, NOISE)의 방출이 용이하지 못해 고속신호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를 조작함에 의해 그라운드 핀을 가동하여 FFC의 쉴드 테이프와 그라운드 핀이 접촉하게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운드 핀과 메탈 피팅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FFC 및 FFC커넥터에서 발생하는 EMI 및 노이즈를 PCB 그라운드 패드를 통해 방출 및 분산시켜 커넥터가 고속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PCB 그라운드 패드에 고정되어 케이블과 결합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패드(pad)와 접촉하는 핀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 결합되어 상부는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shield tape)와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에 고정됨과 함께 접지하는 접지부재;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핀에 회전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기립 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타측에서 기립 되게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의 쉴드 테이프와 비접촉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접지부재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오목진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부재는 상부가 상기 케이블에 접촉할 수 있는 텐션력을 가진 그라운드 핀을 형성하고, 하부는 상기 그라운드 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에 고정되면서 접지하는 메탈 피팅을 한 몸통으로 일체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핀으로부터 상기 메탈 피팅이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그라운드 핀의 저면은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의 상면에 지지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저면 일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일측의 양단에 돌출된 그라운드 핀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은 FFC 또는 FPC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부재는 접촉된 케이블과 커넥터의 EMI 및 노이즈를 상부로부터 하부에 접지된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의하면, 액추에이터를 조작함에 의해 그라운드 핀이 가동하여 FFC의 쉴드 테이프와 그라운드 핀이 접촉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결합 신뢰성을 견고히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의하면, FFC의 쉴드 테이프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핀을 메탈 피팅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FFC 및 FFC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장애(EMI, NOISE)를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 및 분산시켜 고속신호전송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분해하여 FFC와 함께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FFC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절단하여 "C"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액추에이터가 상방으로 회전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를 분해하여 FFC와 함께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10)는 케이블(20)이 탈착되며, 상기 케이블(20)과 접촉하는 핀(30)이 결합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양측에 각 결합되어 상부는 상기 케이블(20)의 상면에 접착되는 쉴드 테이프(shield tape, 21)와 접촉하고, 하부는 PCB 그라운드 패드(1)에 고정됨과 함께 접지하는 접지부재(50)와 일측에 회전축(7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71)이 상기 핀(30)에 회전 결합하는 액추에이터(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0)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1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접지부재(50)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게 오목진 결합부(41)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결합부(41)의 사이에는 상기 핀(3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43)은 정면에서 보아 요철형이 연속되게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20)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핀(30)은 상부가 상기 케이블(2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하부는 상부가 절곡된 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되어 상부의 끝단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의 끝단은 상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절곡편(31)이 좌 또는 우측으로 일렬로 연속되어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절곡편(31)의 절곡된 상부 내측에는 걸림홈(33)이 오목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핀(30)은 상기 케이스(40)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40)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20)의 끝단 저면에 형성되는 패드(pad, 23)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블(20)의 신호를 상기 핀(30)을 통해 PCB 그라운드 패드(1)로 전송시킨다.
상기 접지부재(50)는 상부가 상기 케이블(20)의 쉴드 테이프(21)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핀(51)을 형성하고 하부가 PCB 그라운드 패드(1)에 납땜됨과 함께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1)에 접지하는 메탈 피팅(53)을 형성하여 상기 그라운드 핀(51)과 상기 메탈 피팅(53)은 한 몸통으로 일체화하게 형성된다.
상기 메탈 피팅(53)은 철편으로 저면이 PCB 그라운드 패드(1)에 밀착되어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1)와 납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핀(51)은 상기 메탈 피팅(53)의 일단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좌 또는 우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고 또다시 처음 절곡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저면이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1)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핀(51)은 상기 메탈 피팅(53)과 수평을 이루게 형성되어 끝단은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그라운드 핀(51)의 시작점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50)는 전도성이 강한 텐션의 금속재질인 인청동 또는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라운드 핀(51)의 끝단은 상측으로 휘어지며, 저면이 돌출되어 접촉 신뢰성을 높여주는 접촉돌기(5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70)는 상기 케이스(40)의 상측에 상기 케이스(40)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데,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일측에는 회전축(71)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핀(30)의 상기 걸림홈(33)에 상기 회전축(71)이 회전결합되게 상기 액추에이터(70)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을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0)는 일측 양단에 그라운드 핀 가압부(73)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는 단면이 경사지고 하측 모서리가 라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저면 중 일측부는 돌출되어 타측부의 모서리와는 경사지게 연결되는 케이블 가압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축(71)은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일측면에 돌출된 지지대(71a)의 끝단 옆면으로 돌기(71b)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일측면을 따라 복수로 정렬된다.
도 4는 도 1을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회전축(71)은 상기 핀(3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33)에 각 회전결합하도록 정렬된다.
도 5는 도 1에 FFC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를 절단하여 "C"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액추에이터가 상방으로 회전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0)은 전방을 향하거나 상방을 향하게 회전할 수 있는데,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40)에 상기 케이블(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액추에이터(7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케이스(40)에 상기 케이블(20)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케이블(20)을 상기 케이스(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70)를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케이블 가압부(75)가 상기 케이블(20)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20)을 고정하면서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가 상기 그라운드 핀(51)의 상측으로 휘어진 끝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그라운드 핀(51)의 끝단이 상기 그라운드 핀(51)의 절곡부를 회전축으로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20)의 쉴드 테이프(21)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쉴드 테이프(21)의 표면은 오목하고 볼록하게 요철형상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데, 오목한 부분에 상기 그라운드 핀(51)에 형성된 접촉돌기(53)가 끼워져서 접촉력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의 하측 모서리는 라운드를 형성하여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가 상기 그라운드 핀(51)과 밀착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액추에이터(70)의 회전을 원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의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7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액추에이터(70)가 후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의 경사진 단면이 상기 그라운드 핀 가압부(73)의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케이블(20)을 상기 케이스(4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20)이 상기 케이스(4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그라운드 핀(51)이 상기 케이블(20)의 쉴드 테이프(21)와 접촉하게 하고 상기 케이블(20)이 상기 케이스(40)로부터 분리될 때는 상기 그라운드 핀(51)이 상기 케이블(20)과 비접촉하게 한다. 따라서 PCB 그라운드 패드(1)와 접지된 상기 메탈 피팅(53)과 연결된 상기 그라운드 핀(51)은 상기 케이블(20)과 상기 커넥터(10)에서 발생하는 EMI 및 노이즈와 같은 전자파장애를 상기 메탈 피팅(53)을 통해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 및 분산시켜 커넥터가 고속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커넥터
20: 케이블
30: 핀
40: 케이스
50: 접지부재
70: 액추에이터

Claims (7)

  1. PCB 그라운드 패드에 고정되어 케이블과 결합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는 핀이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 결합되어 상부는 상기 케이블과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에 고정됨과 함께 접지하는 접지부재;
    일측에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핀에 회전 결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기립 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과 접촉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타측에서 기립 되게 회전하면 상기 접지부재의 상부가 상기 케이블과 비접촉함과 함께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접지부재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오목진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부가 상기 케이블에 접촉할 수 있는 텐션력을 가진 그라운드 핀을 형성하고,
    하부는 상기 그라운드 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되면서 접지하는 메탈 피팅을 형성하여 한 몸통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핀으로부터 상기 메탈 피팅이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그라운드 핀의 저면은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의 상면에 지지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저면 일부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일측의 양단에 돌출된 그라운드 핀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FFC 또는 FP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접촉된 케이블의 EMI 및 노이즈를 상부로부터 하부에 접지된 상기 PCB 그라운드 패드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KR2020110003443U 2011-04-22 2011-04-22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Expired - Lifetime KR200460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43U KR200460172Y1 (ko) 2011-04-22 2011-04-22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43U KR200460172Y1 (ko) 2011-04-22 2011-04-22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172Y1 true KR200460172Y1 (ko) 2012-05-16

Family

ID=4660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43U Expired - Lifetime KR200460172Y1 (ko) 2011-04-22 2011-04-22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479A1 (en) * 2015-06-25 2016-12-29 Intel Corporation Retention mechanism for shielded flex cable to improve emi/rfi for high speed signaling
KR20230114943A (ko) 2022-01-26 2023-08-02 이미경 플렉서블 케이블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992Y1 (ko) 2003-07-25 2003-10-2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커넥터장치
KR20030096081A (ko) * 2002-06-14 2003-1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성 인쇄회로용 커넥터
KR20090092671A (ko) * 2008-02-27 2009-09-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KR20100003320U (ko) * 2008-09-17 2010-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081A (ko) * 2002-06-14 2003-1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성 인쇄회로용 커넥터
KR200330992Y1 (ko) 2003-07-25 2003-10-2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커넥터장치
KR20090092671A (ko) * 2008-02-27 2009-09-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용 커넥터
KR20100003320U (ko) * 2008-09-17 2010-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479A1 (en) * 2015-06-25 2016-12-29 Intel Corporation Retention mechanism for shielded flex cable to improve emi/rfi for high speed signaling
US9755334B2 (en) 2015-06-25 2017-09-05 Intel Corporation Retention mechanism for shielded flex cable to improve EMI/RFI for high speed signaling
KR20230114943A (ko) 2022-01-26 2023-08-02 이미경 플렉서블 케이블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8916B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KR20230019919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993540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6921060B (zh) 刚性-柔性电路连接器
US716597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7442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CN102738607B (zh) 具有电缆的连接器组件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JP5574403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4425058B2 (ja)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CN103168395B (zh) 电路板对电路板连接器
US7513786B2 (en) Connector,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JP5286190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8444438B2 (en) High-speed card connector having wide power contact
JP2006236657A (ja) コネクタ装置
TW201103207A (en) Shielded inser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at cable connector
US92638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shell with rear wall
KR101588262B1 (ko) 전기 커넥터
TW201528295A (zh) 軟排線、電連接器及其組合
CN103378492A (zh) 电连接器
US2009002333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60172Y1 (ko) 고속신호전송용 커넥터
JP546804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0205576A (ja) コネクタ
JP5606157B2 (ja) 高周波対応の配線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4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4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