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6840Y1 -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840Y1
KR200456840Y1 KR2020110002924U KR20110002924U KR200456840Y1 KR 200456840 Y1 KR200456840 Y1 KR 200456840Y1 KR 2020110002924 U KR2020110002924 U KR 2020110002924U KR 20110002924 U KR20110002924 U KR 20110002924U KR 200456840 Y1 KR200456840 Y1 KR 200456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ynthetic resin
paint
display device
protection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일
Original Assignee
임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693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684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남일 filed Critical 임남일
Priority to KR2020110002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84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합성수지 기재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료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료층은 실크인쇄 잉크 또는 UV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for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드코팅된 합성수지 필름 상부에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도료층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상의 선명성이나 우수한 질감을 갖도록 미관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를 포함한 각종의 휴대폰과 MP3 플레이어, PDP,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고가의 전자제품들로서 사용자들은 스크래치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들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고 외관을 더 돋보이게 치장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표면 보호필름은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PET 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전사 또는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표면 보호필름에 색상이나 문양을 부여하고 PET 필름의 표면을 하드코팅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PET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은 손가락이나 손톱, 펜 등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표면 보호필름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찍힘 등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문제를 보완할 목적으로 표면 보호필름의 표면이 높은 표면경도, 내스크래치성 또는 방오성을 갖도록 공지의 하드코팅액을 도포 후 경화시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필름은 미관상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색상이나 문양을 표면 보호필름에 부가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이전 표면 보호필름의 합성수지 필름 기재 상에 전사 또는 인쇄에 의하여 색상이나 문양을 미리 형성한 후 마지막 단계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원단으로 하여 그 표면에 색상이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면, 선명한 색상이나 질감이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하드코팅된 합성수지 필름 상부에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도료층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상의 선명성이나 우수한 질감을 갖도록 미관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합성수지 기재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료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료층은 실크인쇄 잉크 또는 UV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은 PET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층은 상기 하드코팅층의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료층은 엠보싱 패턴을 갖을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는 홀로그램 필름층 또는 금속증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드코팅된 합성수지 필름 상부에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도료층이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상의 선명성이나 우수한 질감을 갖도록 미관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층상 구조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a 및 3b에 따라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은 합성수지 기재층(110)과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점착층(120),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130) 및 하드코팅층(130)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도료층(140)을 포함한다.
합성수지 기재층(110)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광학특성을 고려하여 그 두께가 50~125㎛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열성과 내식성을 갖는 것으로 PET 재질이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점착층(120)은 표면 보호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아크릴 혹은 실리콘 재질의 점착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10~25㎛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팅층(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표면에 내스크래치성, 방오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드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2~8㎛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팅층(130)의 상부에는 도료층(140)이 형성된다. 도료층(140)은 실크인쇄층 또는 UV도료층으로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구간 즉, 디스플레이부(B)를 제외한 데코레이션부(A)에 형성된다. 이는 디스플레이부(B)는 디스플레이할 내용이 나타나는 면으로서 색상이나 문양이 형성되지 않아야 화면 디스플레이에 장애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료층(140)으로 형성되는 실크인쇄층은 공지의 실크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된다. 즉, 실크인쇄층은 문양이 형성된 마스킹필름을 하드코팅층(130)의 표면에 놓고 스퀴지를 이용하여 실크 인쇄잉크를 밀어낸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며 단색 또는 다색의 실크인쇄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조사의 마크나 홍보용 문구 또는 도안이 실크인쇄에 의하여 간단히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표면 보호필름을 판촉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크인쇄층은 하드코팅층(130) 표면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지만, 실크인쇄 잉크의 조성이나 경화 방법 및 경화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하드코팅층(130)과의 앵커리지가 촉진됨으로써 선명한 실크인쇄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 색상이나 문양이 번지거나 조악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료층(140)을 실크인쇄층으로 형성한 표면 보호필름의 예가 도 2a에 도시된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표면 보호필름의 데코레이션부(A)에 실크인쇄 방식에 의한 실크인쇄층이 선명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코레이션부(A)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표면 보호필름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h) 및 절취부(d)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패턴(c)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에 따라 조작패턴(c)의 형태는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조작패턴(c)을 실크인쇄 방식으로 데코레이션부(A)가 형성될 때 도안을 추가하여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패턴(c)이 소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는 선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색상의 번짐이나 선의 끊어짐 없이 선명하게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UV도료를 사용하여 도료층(140)으로서 형성되는 UV도료층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먼저 이미지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음각부를 구비한 금형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금형의 음각부 내에 UV(Ultra Violet) 반응을 갖는 UV도료를 금형 상부 전면에 도포한다. 이후 금형의 상면으로 합성수지 기재층(110) 상에 하드코팅층(130)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얹어 안착 배치시키고,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평탄하고 압착 처리하게 된다. 이때, 압착롤러를 통한 압착작업에 의해서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압착 처리할 수 있으며, UV도료 측에 금형의 음각부에 형성된 이미지 또는 패턴이 전사되고 합성수지 필름과 UV도료는 접착되어 결합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압착작업을 통해 상호 접착 결합상태에 있게 되는 UV도료와 합성수지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과의 반응을 통해 UV도료를 경화시키는데, 이때 자외선은 합성수지 필름을 투과하여 UV도료에 도달되어 자외선 감광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금형으로부터 합성수지 필름을 탈리시켜 분리해 낸 후,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형상으로 절단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도료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필름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레이션부(A)에는 금형의 음각부에 형성된 이미지 또는 패턴에 대응하여 양각패턴이 형성되어 진다.
금형의 음각부에 형성되는 이미지나 패턴은 레이저나 헤어라인 또는 에칭, CNC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가공 처리될 수 있으며, 정교한 패턴형성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이미지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표라벨이나 로고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패턴은 홀로그램이나 스핀 등의 정교한 패턴을 포함하는 각종 문양의 패턴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음각부 내에는 부분적으로 매우 섬세한 정도의 미세한 양각의 이미지나 패턴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음각과 양각의 이미지나 패턴을 함께 표출시킴으로써 이중적 표현 및 더욱 뛰어난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사의 마크나 홍보용 문구 또는 도안을 음각부 형성시 삽입시키면, UV도료층 형성시 간단히 제작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표면 보호필름을 판촉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UV도료층은 하드코팅층(130) 표면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지만, UV도료의 조성이나 경화 방법 및 경화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하드코팅층(130)과의 앵커리지가 촉진됨으로써 선명한 UV도료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미지나 패턴이 번지거나 조악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b의 데코레이션부(A)에도 다수의 통공(h) 및 절취부(d)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패턴(c)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조작패턴(c)이 소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는 선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 보호를 위해 부착되는 표면 보호필름의 데코레이션부를 이미 하드코팅이 이루어진 원단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의 상부에 도료층(140)으로서의 실크인쇄층 또는 UV도료층을 형성함으로써 공정 자체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드코팅층(130) 표면에 도료층이 직접 형성됨으로써 선명한 색상이나 우수한 질감을 갖는 고급스러운 미관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된 도 3의 (a), (b)에 따르면,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상부에는 하드코팅층(130)이 형성되며, 하드코팅층(130)의 상부로 표면 보호필름의 전면에 걸쳐 엠보싱 패턴을 가진 도료층(140)이 형성된다. 점착층(120)은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료층(140)이 표면 보호필름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엠보싱 패턴을 가지면서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는 것이다.
도료층(140)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V도료를 금형에 도포한 후 금형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합성수지 필름을 압착롤러로 압착한 후 경화시켜 형성된다.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상부 하드코팅층(130)에 형성된 UV도료층은 올록볼록한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합성수지 기재층(110)은 우레탄(TPU)이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와 같이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즉, 액정화면이 형성되지 않은 쪽에 부착되는 표면 보호필름이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표면 보호필름에는 엠보싱 패턴이 표면 보호필름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미관의 향상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매끄러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감싸도록 부착됨으로써 엠보싱 패턴에 의해 사용 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표면 보호필름에는 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상 장애가 없도록 다수의 절개부(c) 내지 통공(h)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료층(140)으로서 엠보싱 패턴이 하드코팅층(130) 표면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되지만, UV 도료의 조성이나 경화 방법 및 경화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하드코팅층(130)과의 앵커리지가 촉진됨으로써 선명한 패턴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패턴이나 문양이 번지거나 조악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 따르면,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저면에 홀로그램 필름층 또는 금속증착층(150)이 형성된다. 이는 홀로그램 문양이나 금속질감이 표현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부착시 미관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홀로그램 필름층 또는 금속증착층(150)은 공지의 홀로그램 필름을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저면에 합지시키거나 공지의 금속 증착법에 의하여 합성수지 기재층(110)의 저면에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하드코팅이 이루어진 원단을 이용하여 하드코팅층의 상부에 도료층을 형성함으로써 선명한 색상이나 고급스러운 미관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 자체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합성수지 기재층 120: 점착층 130: 하드코팅층 140: 도료층

Claims (5)

  1.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에 있어서,
    합성수지 기재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아크릴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에 실크인쇄 잉크 또는 UV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료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표면 보호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될 때, 상기 도료층이 상기 표면 보호필름의 최상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은 PET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층은 상기 하드코팅층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층은 엠보싱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는 홀로그램 필름층 또는 금속증착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KR2020110002924U 2011-04-07 2011-04-07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Ceased KR200456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24U KR200456840Y1 (ko) 2011-04-07 2011-04-07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24U KR200456840Y1 (ko) 2011-04-07 2011-04-07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840Y1 true KR200456840Y1 (ko) 2011-11-21

Family

ID=4556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24U Ceased KR200456840Y1 (ko) 2011-04-07 2011-04-07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8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507A1 (ko) * 2012-06-22 2013-12-27 Lim Namil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입체 성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3174B1 (ko) 2013-02-27 2014-12-16 크루셜텍 (주)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507A1 (ko) * 2012-06-22 2013-12-27 Lim Namil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입체 성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3174B1 (ko) 2013-02-27 2014-12-16 크루셜텍 (주) 액정보호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436B (zh) 包括金屬質感立體圖案的穿插模具轉印膠片的製造方法
US8377540B2 (en) Transfer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ransfer method and object surface structure
CN105303970B (zh) 显示器装置用装饰膜的制造方法和保护面板的制造方法
JP7026692B2 (ja) 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
KR20100123421A (ko) 인서트 사출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방법
KR20130006160A (ko) 다기능성 코팅층과 내장된 컬러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투명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2081B1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2782A (ko)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559793B1 (ko)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101333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045684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면 보호필름
CN102152441A (zh) 软性模具与制作方法及模内装饰材料和注塑外观件
CN109274786A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JP2014018411A (ja) 遊技板
KR20140080188A (ko) 실제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683B1 (ko) 두께감 및 메탈감을 갖는 고광택 문양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방법 및 그 데코필름
KR101511524B1 (ko) 로고 라벨 제조 방법
JP5707176B2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4217B1 (ko) 인써트 사출용 3차원 장식무늬 전사필름
CN114023182B (zh) 一种浮雕烫金标签的制作方法
KR20140136401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입체 성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4964276B2 (ja) 装飾体、装飾体の製造方法
TW201321462A (zh) 功能性保護貼之製造方法
KR102061310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3253055A (zh) 模内装饰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4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1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111115

Request date: 2012083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30422

Appeal identifier: 201210000232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1111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120914

Appeal identifier: 201210000243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1304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831

Effective date: 201304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914

Effective date: 20130422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30423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1210000243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130422

Request date: 20120914

Patent event date: 20130423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121000023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30422

Request date: 201208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U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30423

Patent event code: UJ20011S05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Decision date: 20131219

Appeal identifier: 2013200005032

Request date: 20130612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Patent event date: 20130423

Patent event code: UJ20011S02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Decision date: 20131219

Appeal identifier: 2013200005025

Request date: 2013061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UJ0202 Trial for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UJ02021E01I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5

Appeal identifier: 2013105000113

Request date: 20131023

Decision date: 20140204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12

Effective date: 20131219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612

Effective date: 20131219

U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40121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UJ13021S01D

Request date: 20130612

Decision date: 20131219

Appeal identifier: 2013200005032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130612

Decision date: 20131219

Appeal identifier: 2013200005025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1023

Effective date: 20140204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UJ13011S03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identifier: 2013105000113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40204

Request date: 201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