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6509Y1 -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09Y1
KR200456509Y1 KR2020090009832U KR20090009832U KR200456509Y1 KR 200456509 Y1 KR200456509 Y1 KR 200456509Y1 KR 2020090009832 U KR2020090009832 U KR 2020090009832U KR 20090009832 U KR20090009832 U KR 20090009832U KR 200456509 Y1 KR200456509 Y1 KR 200456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rotruding
slide
frame
opening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169U (ko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20090009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0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의 열림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게시한다.
본 고안은 창호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된 고정홀이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고정홀에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에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창호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드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슬라이드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되는 창호의 열림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레임, 고정홀, 슬라이드, 걸림돌기, 링크,

Description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OPEN ANGLE CONTROL DEVICE OF THE WINDOW}
본 고안은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가 열리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여닫이 방식으로 일정 각도 안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창호 지지링크는 창호와 창호틀의 접촉면이 상단부 및 하단부나 양 측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창문을 외측으로 밀거나 당겨 여닫는데 사용되며, 창호틀에 고정되는 링크와, 상기 창호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되는 링크와 각 링크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또 다른 링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창호 지지링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미도시)에 고정되는 프레임(11)의 상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 지지링크(12)와, 프레임(11)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된 슬라이드(13)와, 슬라이드(13)에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제1 지지링크(12)의 중간 영역부에 힌지결합된 제2 지지링크(14)와, 제1 지지링크(12)의 타측 끝단에 그 중강영역부가 힌지 결합되고 창호(미도시)에 고정되는 제3 지지링크(15)와, 슬라이드(13)에 그 일 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제3 지지링크(15)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4 지지링크(16)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의 중간부에는 스토퍼(11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캡(17)이 압입되어 작동 중 스토퍼(11a)와 캡(16) 사이 구간을 운동궤적으로 하는 슬라이더(13)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호 지지링크가 장착된 창호를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각각의 링크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더(13)가 스토퍼(11a)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되고, 창호를 닫게되면 각각의 링크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스토퍼(11a) 측에 위치했던 슬라이더(13)가 캡(16)이 장착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창호 지지링크는 창호를 완전히 연 상태와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만 정지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창호를 열어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창호를 다양한 각도로 열어둘 수 있도록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창호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창호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된 고정홀이 배열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고정홀에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된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에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창호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는 일측에 상기 링크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걸림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가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를 가동시키는 가압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된 수직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고정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돌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부를 관통하며 상기 걸림돌기를 돌출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구간과, 상기 걸림돌기를 인입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인입구간과,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인입구간을 연결하는 연결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돌출된 끝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가압하는 가압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에는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여닫이 방식으로 열고 닫히는 창호의 열림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드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일시적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창호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작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슬라이더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슬라이더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는 창호틀(1)에 장착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30)와, 슬라이드(3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창호(2)에 힌지결합되는 링크(4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슬라이드(3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홀(21)이 관통된다. 양 끝단에는 슬라이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2)가 장착된다.
슬라이드(30)는 일측에 링크(40)의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베이스(31)와, 베이스(3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부재(32)와, 가동부재(32)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31)에 장착되는 가압부재(33)로 이루어진다.
베이스(31)에는 일측부에 링크(40)를 힌지결합하는 힌지축(41)이 고정되고, 중앙영역에는 가동부재(32)와 가압부재(33)가 장착되는 장착홀(31a)이 관통되고, 타측부에는 가압부재(3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31b)이 장착된다. 베이스(31)에는 장착홀(31a)에 장착되는 가동부재(32)와 가압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31c)가 장착된다. 커버(31c)에는 후술할 걸림돌기(34a)가 관통되는 관통공(31d)이 형성된다.
가동부재(32)는 고정홀(21)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4a)가 형성된 평면부(34)와, 평면부(34)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고 관통된 가이드홀(35)이 구비된 수직부(34b)로 이루어진다. 걸림돌기(34a)의 끝단부에는 고정 홀(21)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끝단 모서리부가 모따기부(34c)로 이루어지고, 걸림돌기(34a)는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이드홀(35)은 걸림돌기(34a)를 돌출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구간(35a)과 걸림돌기(34a)를 인입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인입구간(35b)과 돌출구간(35a)과 인입구간(35b)을 연결하는 연결구간(35c)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부재(33)는 베이스(31)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36)와 손잡이부(36)에서 직각방향인 장착홀(31a)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7)과 돌출부(37) 끝단에 장착되고 가이드홀(35)에 삽입되는 가압핀(38)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36)는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일측에 고정핀(31b)이 끼워지는 장공(36a)이 형성된다. 고정핀(31b)에 의해 고정되는 장공(36a)의 길이가 가압부재(33)의 슬라이딩 구간이 되는 것이다. 돌출부(37)는 가동부재(32)의 수직부(34b)를 사이에 두고 짝을 이루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홀(31a) 내부에는 가동부재(3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탄성부재는 스프링(39)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프링(39)이 없더라도 가이드홀(35)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압핀(38)에 의해 가동부재(32)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이 스프링(39)이 추가로 장착되면 가이드홀(35)의 걸림돌기(34a)가 돌출되어 고정홀(21)에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링크(40)의 타측에는 또 다른 힌지축(42)에 힌지결합되고, 힌지축(42)은 창호(2)에 장착되는 브라켓(43)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창호를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33)가 일측 방향으로 밀착되면 가압핀(38)이 돌출구간(35c)에 위치한다. 가압핀(38)이 돌출구간(35c)에 위치하게 되면 가동부재(32)의 걸림돌기(34a)가 고정홀(21)에 삽입된다. 이때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4a)가 고정홀(2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34a)가 고정홀(21)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슬라이더(30)는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슬라이더(30)와 링크(40)로 연결된 창호(1)가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되어있던 창호(2)의 열림각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36)를 잡고 가압부재(33)를 이동시킨다. 가압부재(33)가 이동되면 돌출구간(35c)에 위치했던 가압핀(38)이 연결구간(35c)을 지나 인입구간(35b)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핀(38)이 인입구간(35b)에 위치하게 되면 가동부재(32)는 가압핀(38)에 의해 고정홀(21)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고정홀(2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돌기(34a)는 고정홀(21)을 이탈하게 되고 스프링(39)은 압축상태가 된다.
걸림돌기(34a)가 고정홀(21)에서 이탈된 상태가 되면 슬라이더(30)의 구속상태가 해지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더(30)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창호(2)를 닫거나 원하는 각도만큼 열리도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창호(2)를 열면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4a)를 고정홀(21)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창호 지지링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슬라이더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슬라이더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레임
21 : 고정홀
30 : 슬라이드
32 : 가동부재
33 : 가압부재
34a : 걸림돌기
40 : 링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창호틀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된 고정홀이 배열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고정홀에 일시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가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를 가동시키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에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창호틀에 장착되는 창호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림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된 수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고정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부를 관통하며
    상기 걸림돌기를 돌출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구간과, 상기 걸림돌기를 인입시키는 위치에 형성된 인입구간과,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인입구간을 연결하는 연결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돌출된 끝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가압하는 가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에는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20090009832U 2009-07-27 2009-07-27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56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32U KR200456509Y1 (ko) 2009-07-27 2009-07-27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32U KR200456509Y1 (ko) 2009-07-27 2009-07-27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69U KR20110001169U (ko) 2011-02-08
KR200456509Y1 true KR200456509Y1 (ko) 2011-11-03

Family

ID=4420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32U Expired - Lifetime KR200456509Y1 (ko) 2009-07-27 2009-07-27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22B1 (ko) * 2012-09-04 2013-02-04 주식회사창대종합건축사사무소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60Y1 (ko) * 2004-01-13 2004-04-01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399182Y1 (ko) 2005-07-22 2005-10-20 이판대 창문 개방각도 조절장치
JP2006283301A (ja) * 2005-03-31 2006-10-19 Shibutani:Kk 開き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60Y1 (ko) * 2004-01-13 2004-04-01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JP2006283301A (ja) * 2005-03-31 2006-10-19 Shibutani:Kk 開き窓
KR200399182Y1 (ko) 2005-07-22 2005-10-20 이판대 창문 개방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69U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4088B2 (ja) 蓋体装置
US10441035B1 (en) Cord lock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0456509Y1 (ko)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064162B1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KR101943525B1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1809790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051313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200402223Y1 (ko)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KR200372390Y1 (ko) 로킹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20100010031U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KR102537390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KR102375245B1 (ko) 개폐가 용이한 도어용 도어래치
KR20050009588A (ko) 창문 개폐장치의 틸트시 열림 방지장치
KR100614889B1 (ko) 창문 개폐장치의 틸트시 열림 방지장치
JP3787268B2 (ja) 戸装置
KR20070041192A (ko) 루프 랙용 몰딩의 커버 구조
KR100632982B1 (ko) 미닫이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0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