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1761B1 -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 Google Patents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761B1
KR101211761B1 KR1020080057838A KR20080057838A KR101211761B1 KR 101211761 B1 KR101211761 B1 KR 101211761B1 KR 1020080057838 A KR1020080057838 A KR 1020080057838A KR 20080057838 A KR20080057838 A KR 20080057838A KR 101211761 B1 KR101211761 B1 KR 10121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window
link
movement
ca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872A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5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761B1/ko
Priority to PCT/KR2009/001436 priority patent/WO2009154343A1/ko
Publication of KR2009013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6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hree or more sliding bars
    • E05C9/06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hree or more sliding bars extending along three or more sides of the wing or frame
    • E05C9/066Locks for window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tilt and tur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4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for the fastening of wings, e.g. corne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horizont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with horizontally-extending ch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with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bout a vertical as well as a horizontal axis
    • E05D15/526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프로젝트 또는 케이스먼트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프로젝트 플레이트 수직부에 형성된 측면 캠락이 슬라이드와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를 명확히 잡아줄 수 있고, 또한 상기 측면 캠락에 하부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창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57838
프로젝트, 케이스먼트, 힌지부

Description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한 창호{Windows for project and casement having improved hinge parts}
본 발명은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를 명확히 잡아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창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걸림 구조로 된 창호의 프로젝트 또는 케이스먼트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을 구동하여 창짝(SF)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케이스먼트 작동이라고 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SF)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프로젝트 작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케이스먼트 작동 또는 프로젝트 작동은 일반적으로 창틀(BF)을 둘러싸고 있는 부품, 즉 하드웨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상기 하드웨어의 작동은 핸들(H)의 작동에 의하게 되는데, 상기 핸들(H)이 작동되면 작동 플레이트가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 통상 코너측에 L자 형상의 연결밴드(30)가 장치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 밴드(3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와 치형 결합을 하는 치형 연장부(42)가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을 하고, 타측 단부에는 커넥터(C)가 장치되고, 상기 커넥터(C)에 장치되는 후크(1)가 상기 연결 밴드(3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 밴드(30) 타측 단부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치형 연장부(42)가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후크(1)를 핸들(H)에 의해 작동시켜 케이스먼트나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제어를 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창짝 구조(SF)에서 보면, 좌측 상단 모서리에 위치하는 일측(Ⅰ)에 창틀 고정 플레이트, 프로젝트 링크, 프로젝트 플레이트가 장치되는데, 이는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시에는 창짝과 결합하여 작동하고 일반적인 케이스먼트 운동시에는 창틀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링크를 명확히 잡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케이스먼트 운동시 오작동이 발생하며, 또한 창짝의 무게로 인해 창문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원활히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를 명확히 잡아 줄 수 있도록 프로젝트 플레이트 수직부에 슬라이더와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는 측면 캠락부가 형성된 창호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 캠락부의 하단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창짝 부분에는 상기 요홈과 결합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걸림부를 만들어 창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조작에 의해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창호는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시 창짝의 상부 모서리에 장치되는 프로젝트 플레이트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 및 창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장치되는 제 1 프로젝트 링크와 제 2 프로젝트 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의 수직부에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된 측면 캠락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프로젝트 링크의 하단부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 플레이트 수직부의 지지부재 하단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창짝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창문의 밀폐시 상기 요홈부에 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짝의 측면 캠락부가 슬라이더와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를 명확히 잡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 걸림부 가 형성되어 있어 창문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드웨어가 장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짝(SF)의 상부 일측(도 3에서는 상부 좌측; Ⅰ)에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 프로젝트 링크(200) 그리고 프로젝트 플레이트(300)가 장치된다.
또한, 도 3의 상부 타측(도 3에서는 상부 우측; Ⅱ)에는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힌지 플레이트(900)가 장치되며, 하부 일측(도 3에서는 하부 우측; Ⅲ)에는 후크 걸림부(400)와 슬라이더 블록(500)이 장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창짝(SF)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거나 케이스먼트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각 부분(Ⅰ, Ⅱ, Ⅲ)에 대해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창짝(SF)의 상부 좌측 부분에 장치된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프로젝트 플레이트(300) 그리고 상기 창틀 고정 플레이 트(100)와 프로젝트 플레이트(300) 사이에 장치되는 프로젝트 링크(2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후크(1a, 1b)에 대해 설명하면, 후크(1a, 1b)는 앞서 종래기술로서 설명한 후크(1)와 동일한 것이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짝에 부착되어 있는 하드웨어 중 창짝의 수직부, 즉 도 3에서 일 측면부분에 장치된 후크에 대해 도면 부호 "1a"를 부여하였으며, "1b"는 창짝의 상부 수평부에 장치된 후크이다.
또한, 프로젝트 플레이트(300) 수직부의 지지부재(330) 하단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창짝(SF)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1c)가 형성되어 창문의 밀폐시 상기 요홈부에 돌기(1c)가 삽입되어 창문 처짐을 방지한다.
한편, 창짝(SF)의 상부 모서리, 본 실시예에서는 창짝(SF)의 상부 좌측 모서리부는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와,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 및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 사이에 장치되는 프로젝트 링크(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는 상부 캠 락(320)과 측면 캠 락(310)을 포함하는데, 상부 캠 락(320)은 상기 상부 모서리,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창짝(SF)의 상부 좌측 모서리 중 수평부에 장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캠 락(320)에 상기 수평부에 장치되는 후크(1a)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창짝(SF)의 상부측이 상기 상부 캠 락(320)에 고정되어 프로젝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a)를 삽입, 걸림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상부 캠 락(320)에 캠 삽입 그루브(3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는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후크(1a)를 삽입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후크(1a)의 삽입, 슬라이딩 운동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상의 캠 삽입 그루브(322)는 상기 후크(1a)의 걸림을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하는 한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의 형상에 대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부 캠 락(320)의 측면 즉 상기 좌측 상부 모서리 중 수직부에 상기 측면 캠 락(310)이 장치된다.
상기 측면 캠 락(310)은 상기 수직부에 장치되는 후크(1b)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슬릿(slit) 형상의 지지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3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31)와 결합되어 후크(1b)가 삽입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332)가 장착되어 있다.
프로젝트 운동시 측면 캠 락부의 작동은 후크(1b)가 지지부재(330)의 입구부(33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332)의 하단부(336)의 윗면에 닿아 아래로 미는 방식으로, 제 2 프로젝트 링크(210)의 하단 돌출부(215)가 슬라이딩 부재(332)의 상단부(335)에 의해 걸리지 못하게 되어 프로젝트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332)를 사용하는 이유는 케이스먼트 운동시 창짝(SF)의 상부 좌측 부분에 장치된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프로젝트 플레이 트(300) 그리고 상기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프로젝트 플레이트(300) 사이에 장치되는 프로젝트 링크(200)의 결합체는 창틀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기존에는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부를 잡아줄 수 있는 구조가 볼 형식으로 되어 있어 오작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부를 명확히 잡아줄 수 있도록 슬라이더와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30)의 하단부에는 요홈부(333)가 형성되고, 창짝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창문의 밀폐시 상기 요홈부에 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걸림부를 가진다.
이는 기존의 창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상부 밖에 없어서 취약한 것을 보완한 것으로, 요홈부(333)를 만들어 이중으로 처짐 방지 구조가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캠 락(320)과 측면 캠 락(3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서리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장치되어 직교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캠 락(320)과 측면 캠 락(310)으로 구성되는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에 프로젝트 링크(200)가 장치되며, 상기 프로젝트 링크(200)는 창틀에 고정되어 있는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에 장치된다.
상기 프로젝트 링크(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의 측면 캠 락(310) 사이에 장치되어 창짝의 프 로젝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젝트 링크(200)는 상기 측면 캠 락(3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프로젝트 링크(210)와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제2프로젝트 링크(220)를 포함(도 6 참조)한다.
프로젝트 운동시 상기 측면 캠 락(310)과 같이 제1프로젝트 링크(210)가 회전하여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220)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상기 창짝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와 제2프로젝트 링크(220)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와 제2프로젝트 링크는, 판체 형상의 링크 본체(211, 221)와, 상기 링크 본체(211, 2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회전공(212, 222)과, 중앙부측에 형성되는 링크 회전공(213, 223)과, 하부측에 형성되는 고정공(214, 2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의 상부 회전공(212) 및 고정공(214)은 상기 측면 캠 락(3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220)의 상부 회전공(222) 및 고정공(224)은 상기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 및 제2프로젝트 링크(220)의 각 링크 회전공(213, 223)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프로젝트 운동시 상기 측면 캠 락(310)과 같이 제1프 로젝트 링크(210)가 회전하여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220)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상기 창짝(SF)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와 제2프로젝트 링크(220)는 하단부 일측이 꺾여져서 단턱(211a, 221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단턱(211a, 221a)이 형성되는 부분에 요홈부(211b)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210)와 제2프로젝트 링크(220)가 합쳐지는 경우, 창짝(SF)이 완전히 닫힐 때 하단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하여 상기 창짝(SF)이 닫힐 때 그 닫히는 작동 스트로크를 제한하여 창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로젝트 링크(210)의 하단부에는 돌기(215)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재(330) 내에 장치된 슬라이딩 부재(335)의 상단 돌기부(335)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먼트 운동시에는 서로 맞물려 프로젝트 링크가 작동이 안 되게 구조가 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운동시에는 후크(1b)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332)가 내려가면서 맞물려 있던 구조가 해제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창틀 고정 플레이트(100)와 프로젝트 링크(200) 그리고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의 구성에 의해 프로젝트와 케이스먼트 운동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창짝(SF)의 수평부 및 수직부의 후크(1a, 1b)가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와 캠 삽입 슬릿(3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 링크(200)가 벌어짐에 의해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가 프로젝트 운동하면서 창짝(SF)의 프로젝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창짝(SF)의 수평부 및 수직부의 후크(1a, 1b)가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와 캠 삽입 슬릿(312)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창짝(SF)이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되어 케이스먼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7과 도 8은 프로젝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후크(1a, 1b)가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와 캠 삽입 슬릿(312)에 삽입되어, 창짝(SF)이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후크(1a, 1b)의 작용은 핸들의 조작에 의해 가능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창짝(SF)의 하측 부분을 실외측으로 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와 창짝(SF)이 같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게 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젝트 링크(200)가 상호 벌어짐에 의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먼트 운동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의 후크(1b)가 측면 캠 락 지지부재(330) 슬릿의 최상부층까지 올라와서 상기 캠 출입부(334)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수평부의 후크(1a)는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로부터 이탈되어 결국 창짝(SF)은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부의 후크(1a)는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로부터 빠져나와 있으므로 상기 캠 삽입 그루브(322)와 고정되지 않고, 수직부의 후크(1b)는 상기 캠 삽입 슬릿(330)의 캠 출입부(313)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역시 고정되지 않는다.
이때 창짝의 좌측을 실외측으로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짝(SF)이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창짝(SF)의 우측에 장치되는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기준으로 상기 창짝의 좌측부분이 케이스먼트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창짝의 프로젝트와 케이스먼트 운동을 제어가능하게 되며, 이하 창짝의 상부 우측에 장치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창짝(SF)의 상부 우측에 장치되어 상기 창짝(SF)의 프로젝트 운동 및 케이스먼트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힌지 플레이트(900)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에 결합되어 있는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를 포함하여,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에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가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케이스먼트 운동(X방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힌지 플레이트(900)에 장치되어 있는 프로젝트 링크(후술됨)가 벌어지거나 합쳐지는 운동에 의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를 기준으로서,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가 회전(Y방향)하여 프로젝트 운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케이스먼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D)와 상기 슬라이더 (D)및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장치되는 케이스먼트 링크(CL)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창짝(도시되지 않음)의 상부 모서리 중 우측에 장치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가 창짝의 상부 모서리의 우측에 장치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케이스먼트 운동을 위해 창짝의 상부 우측 모서리에 장치되는 한편 힌지(도시되지 않음)와 핀 결합하는 힌지 플레이트(900)에 장치되는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D)와 상기 슬라이더(D) 및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장치되는 케이스먼트 링크(CL)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일측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부분이 창틀(도시되지 않음) 또는 스윙 운동 유닛(800, 후술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타측, 즉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부분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D)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가 상기 창틀 및 슬라이더(D)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구성은 예를 들어 핀 결합이나 리벳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회전가능하도록 장치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 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한데, 도 12 및 도 13에서는 본 실시예의 구성이 창짝(SF)의 상부 좌측에 장치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구성이 창짝(SF)의 상부 좌측에 장치되면, 본 실시예의 구성은 창짝(SF)의 우측에 장치하면 된다.
이하 도 12와 도 13에서는 창짝(SF)의 상부 좌측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일측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도시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우측 부분이 슬라이더(D)에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가 좌측 부분을 중심으로 원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창짝의 일측 예를 들어 좌측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우측부분이 개방되는 경우 상술한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원운동에 의해 상기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일측 즉, 도 12에서 좌측부분은 앞서 설명한데로 창틀에 고정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고,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에 고정되는 스윙 운동 유닛(8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스윙 운동 유닛(8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원운동에 의해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일측에 트랙(T)을 장치하는 것도 설치의 편의성을 증진하는 측면이나, 부품 생산의 편의성 증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힌지(도시되지 않음) 반대편 측면(즉,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원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더(D)가 운동하는 측)에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에 면접촉하며 장치되는 트랙(T)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 단부측에 상기 트랙(T)을 장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D)가 상기 트랙(T) 상에서 운동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창짝(SF)의 케이스먼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트랙(T)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 단부측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결국 창짝의 수평부분(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랙(T)과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평부(710)와의 연결 내지 상기 트랙(T)과 창짝과의 결합은 다양한 고정수단,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각종 고정수단(F1, F2)에 의해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D)가 상기 트랙(T)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케이스먼트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먼트 운동의 스트로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스트로크를 제한하지 않으면,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을 제한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창짝이 일측면이 과도하게 열리게 되어 창짝의 파손될 수 있다.
상기 트랙(T)에 장치되어 슬라이더(D)의 슬라이딩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토퍼(S)는 상기 슬라이더(D)와 접촉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D)의 운동을 제한하고, 그 결과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원운동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도 13에서는 스토퍼(S)를 고정수단(F)에 의해 트랙(T)에 장치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스토퍼(S)의 존재 여부에 불문하고, 상기 트랙(T) 또는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 상에 장치되어 상기 슬라이더(D)와 부딪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D)의 운동을 제한하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D)가 상기 트랙(T)상에서 슬라이딩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더(D)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T)을 상기 슬라이더(D)가 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요홈되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D)의 경우 상기 트랙(T)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 본체(D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D1)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 본체(D1)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삽입바(A)와, 상기 삽입바(A)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더 본체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 본체(D1)의 체적 증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D)와 트랙(T)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상기 창짝의 케이스먼트 운동 특성을 조절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 본체(D1)의 삽입공에 삽입봉(A)이 삽입되면, 삽입된 체적만큼 상기 슬라이딩 본체(D1)의 체적이 증가할 것이고, 이에 의해 상기 트랙(T)의 요홈되는 부분에서 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D)와 상기 트랙(T)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반대의 경우 상기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공은 상기 슬라이더(D)의 본체(D1) 임의의 장소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바(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족하다.
이러한 마찰력의 제어에 의해 상기 케이스먼트 운동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와 상기 슬라이더(D)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 본체(D1)의 일측면에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와 핀 결합하도록 하는 핀 결합 수단(도면부호 없음)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링크 고정공(D1b)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케이스먼트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바,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예의 구성이 창짝(SF)의 상부 우측에 장치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14는 케이스먼트 운동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와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 및 트랙(T)이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먼트 운동 즉 힌지(H)를 기준으로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 와 트랙(T)이 회전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가 스윙 운동 유닛(800, 후술됨)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며, 이에 의해 창짝(SF) 상기 힌지(H)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를 스윙 운동 유닛(800)에 의해 창틀에 고정시켜 스윙 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윙 운동 유닛(800)은 앞서 도 13,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와 상기 창틀(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 일측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820)와 스윙 핀(810)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820)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홀더 본체(821)와, 상기 홀더 본체(821)의 일측면에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823)와, 상기 걸림부(823)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공(823a)과, 상기 홀더 본체(821)의 반대측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걸림부(823)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8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홀더 본체(821)는 판체 형상으로서 하측면에는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편 그 내부는 비어있는 걸림부(82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823)가 형성되는 면의 상면에서는 상기 개방부(82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823)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823)에 상기 삽입공(823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윙 핀(810)은 수직부(812)와 수평부(811)로 형성되어 전체적으 로 T자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수직부(812)는 상기 홀더 본체(821)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823a)을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823a)를 관통한 부분은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 일측에 삽입되어, 그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가 원운동을 할 수 있도록 즉 회동가능하도록 장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811)는 상기 수직부(812)가 삽입된 경우 상기 홀더 본체(821)의 걸림부(823)에 걸림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윙 핀(81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811)가 상기 걸림부(823)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812)가 상기 걸림부(823)의 삽입공(823a)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스윙 핀(810)은 상기 수평부(811)가 걸림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812)가 스윙 운동 즉, 그네처럼 앞뒤로 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윙 핀(810)의 스윙 운동에 의해 상기 스윙 핀(810)과 결합되는 케이스먼트 링크(800) 또한 스윙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창짝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는 경우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창짝 중 상부 수평 창짝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 부분이 앞뒤 즉 실내와 실외측으로 운동할 때 상기 상부 수평 창짝 부분은 스윙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 또한 스윙 운동을 하게 되며, 상술한 본 발명의 스윙 운동 유닛(800)에 의해 상기 케이스먼트 링크(CL)의 스윙 운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술한 프로젝트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윙 핀(810)의 수직부(812)가 상술한 케이스먼트 링크(CL)에 삽입된 후 핀(P)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상기 스윙 핀(8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스윙 운동 유닛(800)에 의해 프로젝트 운동이 가능하나, 원활한 프로젝트 운동을 위해 다음에 설명하는 링크 구조가 설명하다.
즉,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은 프로젝트 링크(600)가 필요한데, 상기 프로젝트 링크(600)는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제2프로젝트 링크(6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는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는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에 회동가능하게 장치된다.
이때,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의 일측면은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의 일측면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프로젝트 운동시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같이 제1프로젝트 링크(610)가 회전하여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상기 창짝이 프로젝트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제2프로젝트 링크(620)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프로젝트 링크(610, 620)는, 판체 형상의 링크 본체(611, 621)와, 상기 링크 본체(611, 621)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상 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회전공(612, 622)과, 중앙부측에 형성되는 링크 회전공(613, 623)과, 하부측에 형성되는 고정공(614, 624)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의 상부 회전공(611)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의 상부 회전공(622)은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수직부(7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 및 제2프로젝트 링크(620)의 각 링크 회전공(613,623)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의 고정공(614)은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 특히 수직부(7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의 고정공(624)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9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운동시 상기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와 같이 제1프로젝트 링크(610)가 회전하여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상기 창짝이 프로젝트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제2프로젝트 링크(620)의 형상을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단부 일측을 절곡하여 단턱(611a, 621a)을 형성한 후, 상기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이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611b, 621b)를 형성하여,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제2프로젝트 링크(620)가 합쳐지는 경우 하단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프로젝트 운동에서 복귀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창짝의 하측 부분을 실외측으로 밀어낸 후 다시 원상복귀하는 경우(다시 닫는 경우), 원상복귀되는 스트로크의 제한이 필요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프로젝트 링크(610)와 제2프로젝트 링크(620)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하면, 닫힐 때, 상기 교차되는 부분이 상호 걸림되므로 상기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창짝 닫음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트 링크(600)의 회동가능하게 장착 또는 결합되는 구성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R)에 의할 수 있고, 다른 구성에 의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젝트 링크(600)에 의해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바, 이하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프로젝트 운동 전 즉,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링크(600)가 상호 합쳐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프로젝트 운동을 하면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트 링크(600)가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610)가 코너 힌지 플레이트(7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고, 그 결과 상기 제2프로젝트 링크(620)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한편, 도 20과 도 21에는 앞서 설명한 스윙 운동 유닛(8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운동 유닛(800)에 의해 원활한 프로젝트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의 조작에 의해 후크(1)를 이동 시켜 창짝의 프로젝트 작동 및 케이스먼트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젝트와 케이스먼트 겸용 창호로서, 창틀에 장치되는 슬라이더 블럭(500)과, 상기 후크(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후크 걸림부(400)와, 상기 후크 걸림부(400)가 장치되는 힌지(H)로 구성된다.
즉, 상기 후크 걸림부(400)가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후크(1)에 의해 컨트롤하여 케이스먼트 또는 프로젝트 작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을 창틀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본체(510)와, 상기 본체(510) 양측을 상호 대향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 레일(520)과, 상기 레일(520)의 일정부분이 제거되어 개방된 개방부(53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크 걸림부(400)는 힌지 플레이트(410)와 후크 슬라이더(420)로 구성되는데, 상기 힌지 플레이트(410)는 판체 형상의 본체(411)와 상기 본체(411) 표면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슬릿(slit; 411a)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1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은 상기 힌지(도시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는 슬릿(41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상기 본체(411) 일측에 힌지핀 삽입공(412a)이 형성된 힌지 결합부(4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411a)은 상기 본체(411)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 슬라이더(420)는 상기 슬릿(411a)을 따라 운동하는 것으로 서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에 삽입되어 운동하는 슬라이더(422)와 상기 슬라이더(422)와 연동되는 한편, 상기 슬릿(411a)상에서 운동하는 후크 홀더(421)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422)는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의 레일(520)에 끼움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된다.
상기 후크 홀더(421)는 상기 후크에 걸림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에 걸림되기 위해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후크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422)와 후크 홀더(421)로 이루어진 후크 슬라이더(420)가 상기 슬릿(411a)을 따라 운동해야 하므로 상기 슬라이더(422)와 후크 홀더(421)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422)와 후크 홀더(421)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 홀더 일측(421)에 돌출되어 상기 힌지 플레이트(410)의 슬릿(411a)에 따라 운동하는 돌출바(421a)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422)에는 상기 돌출바(421a)가 삽입되는 삽입공(422a)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후크 홀더(421)가 후크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후크 홀더(421)의 돌출바(421a)가 상기 삽입공(422a)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되므로, 상기 슬라이더(422)가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의 레일(520)을 따라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홀더(421)는 후크에 의해 승하강 이동하게 되는 고, 상기 슬라이더(422)가 개방부(530)에 위치할 때 케이스먼트 작동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런데,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홀더(421)에 끼움되나, 견고하게 고정되지는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먼트 상황에서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홀더(421)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창짝의 좌측이 오픈되면서 상기 창짝의 하측 우측이 개방될 수 있어 정확한 케이스먼트와 프로젝트 제어가 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크와 후크 홀더(421)를 잠금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것이 후크 락(430)이다. 상기 후크 락(430)은 상기 힌지 플레이트(410)의 본체(411)에 장치되는 한편 "U"자 형상을 가져 상기 후크 홀더(4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후크가 상기 후크 홀더(421)에 끼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 락(430)에 삽입되면 상기 후크가 이탈되지 못하므로 프로젝트 작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케이스먼트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프로젝트 작동과 케이스먼트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상태는 창짝의 좌측이 개방되는 케이스먼트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의 레일(520) 내부에서 운동하는 슬라이더(422)가 상기 레일(520)의 개방부(530)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는 상술한 후크가 "ㄷ"자 형상의 후크 홀더(421) 가운데에 삽입된 상태에 서 핸들에 의해 상기 후크를 이동시키면 이에 의해 상기 후크 홀더(421)가 이동되게 되고, 결국 상기 호크 홀더(421)와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422)를 상기 개방부(530)에 위치시킴에 의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슬라이더(422)가 상기 개방부(230)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4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어 프로젝트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플레이트(410)가 상기 슬라이더 블럭(50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먼트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실제 창틀과 창짝에 장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25이고, 반대측에서 바라보아 힌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 도 26이다.
이하,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창짝의 아랫측이 개방되는 프로젝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로젝트 작동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 플레이트(410)가 슬라이더 블럭(5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후크 홀더(421)에 끼움되는 후크가 상기 후크 홀더(421)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작동을 하기 위해, 상기 후크 홀더(421) 및 슬라이더(422)의 위치가 상기 레일(520)의 개방부(530)가 아닌 곳에 위치해야 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422)가 개방부(5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면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422)와 후크 홀더(421)가 상기 후크 락(430)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상태가 상기 레일(520)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로 셋팅을 하면, 케이스먼트의 경우에서와 같이 분리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22)와 후크 홀더(421)가 빠져나와 있으면 후크가 상기 후크 홀더(421)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어 창틀의 아랫 부분이 오픈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프로젝트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도 24에 도시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젝트와 케이스먼트 겸용 창호에 있어서, 케이스먼트시 힌지측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프로젝트와 케이스먼트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먼트의 예로서 좌측이 개방되는 것을 예로 들고, 프로젝트시 창짝의 하부측이 개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도 1a 및 도 1b는 창짝의 케이스먼트 작동과 프로젝트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케이스먼트 작동과 프로젝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창틀을 구성하는 핸들과 플레이트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케이스먼트 작동과 프로젝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창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 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젝트 링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프로젝트 링크를 구성하는 제1프로젝트 링크와 제2프로젝트 링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프로젝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케이스먼트 운동시 각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프로젝트 운동시 각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힌지 플레이트와 코너 힌지 플레이트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케이스먼트 링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케이스먼트 링크가 좌측 부분을 중심으로 원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케이스먼트 운동시 창짝의 일부 영역(우측 상부)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케이스먼트 링크을 스윙 운동시키기 위하여 장착된 스윙 운동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프로젝트 링크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프로젝트 링크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프로젝트 링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프로젝트 운동전 즉,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프로젝트 운동 후 프로젝트 링크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후크에 의하여 프로젝트 작동 및 케이스먼트 작동이 제어되는 창호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슬라이더 블럭을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Claims (3)

  1. 핸들의 조작에 의해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에 있어서,
    창짝의 프로젝트 운동시 창짝의 상부 모서리에 장치되는 프로젝트 플레이트와, 창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 및 창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장치되는 제 1 프로젝트 링크와 제 2 프로젝트 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의 수직부에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로 구성된 측면 캠락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단부는 탄성부재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프로젝트 링크의 하단부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스먼트 운동시 힌지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한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플레이트 수직부의 지지부재 하단부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창짝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어 창문의 밀폐시 상기 요홈부에 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걸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한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젝트 링크와 제2프로젝트 링크의 하단부 일측이 꺽여져 단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에 요홈부를 형성하 여, 제1프로젝트 링크와 제2프로젝트 링크가 합쳐지는 경우 하단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 가능한 창호.
KR1020080057838A 2008-06-19 2008-06-19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121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38A KR101211761B1 (ko) 2008-06-19 2008-06-19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PCT/KR2009/001436 WO2009154343A1 (ko) 2008-06-19 2009-03-20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38A KR101211761B1 (ko) 2008-06-19 2008-06-19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72A KR20090131872A (ko) 2009-12-30
KR101211761B1 true KR101211761B1 (ko) 2012-12-12

Family

ID=4143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838A KR101211761B1 (ko) 2008-06-19 2008-06-19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1761B1 (ko)
WO (1) WO2009154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7640B (zh) * 2012-12-31 2016-04-13 河北奥润顺达窗业有限公司 对开门窗从扇用联动锁闭装置
CN105545173B (zh) * 2016-01-21 2018-02-06 瑞安市亚尔门窗五金有限公司 外开上悬双开式窗户
US11585122B2 (en) * 2018-12-19 2023-02-21 Jeld-Wen, Inc. Shoot bolt for limiting movement of a fenestration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052A (ja) 2006-02-02 2007-08-16 San Tanaka:Kk 多方向開放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4525B (el) * 2003-01-14 2004-04-06 Κλειθροποιια Domus A.E.B.E. Μηχανισμος ανοιγο-ανακλινομενου κουφωματος μικρου πλατους
PL210917B1 (pl) * 2003-10-30 2012-03-30 Fakro Pp Spo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Dwufunkcyjne okno dachowe uchylno-obrotowe
ITBO20030723A1 (it) * 2003-11-28 2005-05-29 Gsg Int Spa Elemento di rinvio angolare per infiss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052A (ja) 2006-02-02 2007-08-16 San Tanaka:Kk 多方向開放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72A (ko) 2009-12-30
WO2009154343A1 (ko)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334B1 (ko) 현수식 교실출입문 및 그 교실출입문의 제작 방법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US11866966B2 (en) Device for constraining the opening of doors or windows
JP6748605B2 (ja) 戸車および建具
KR10125123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JP2018040191A (ja) 開閉制御装置及び建具
JP2834115B1 (ja) 自動ロック型錠装置
WO2009149708A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TWM530871U (zh) 平開上翻窗
JP4907363B2 (ja) すべり出し窓用のステー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1265925B1 (ko) 창짝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겸용 하드웨어
JP6934649B2 (ja) 障子の開口部装置
KR102523467B1 (ko) 연동 도어 레일 구조체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JP2020105843A (ja) 避難扉
KR100752550B1 (ko) 2단의 문체가 동일선상으로 정렬되며 닫히는 미닫이문
KR10120257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장치
JP3127802B2 (ja) サッシ
JPS5813022Y2 (ja) 開き窓等の開放保持装置
JP4693535B2 (ja) 施錠装置
JP3156011U (ja) ステ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