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10Y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5410Y1 KR200455410Y1 KR20090004832U KR20090004832U KR200455410Y1 KR 200455410 Y1 KR200455410 Y1 KR 200455410Y1 KR 20090004832 U KR20090004832 U KR 20090004832U KR 20090004832 U KR20090004832 U KR 20090004832U KR 200455410 Y1 KR200455410 Y1 KR 2004554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lumbar support
- chair
- lumbar
- backr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요추받침대를 구비한 의자가 개시된다. 이 의자는 좌석부와; 자석부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지부와; 좌석부의 상부에 배치된 등받침대와; 등받침대의 하부에 배치된 요추받침대와; 등받침대와 요추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요추받침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후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is disclosed. This chair has a seat; A lower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magnet part; A backrest disposed above the seat; A lumbar support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backrest; And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backrest and the lumbar support, wherein the lumbar support is hooked to the support frame.
의자, 요추받침대, 후크 Chair, lumbar support, hook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요추받침대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근래 인체공학을 적용한 의자들이 등장되면서 등받침대 하부에 요추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요추받침대에 의해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요추가 펴지면서 건강 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ergonomic chairs, many chairs with lumbar support under the backrest have been developed. The lumbar spine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by the lumbar support is extended to help health care.
종래의 요추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들은 일반적으로 등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통해 의자의 후방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하여 전방에 위치한 요추받침대를 고정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Conventional chairs with lumbar support generally have a structure for fixing lumbar support located in the front by inserting bolts from the rear of the chair through bolt holes formed in the back of the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backrest.
그러나 이러한 볼트 고정 구조에 의하면 요추받침대가 지지프레임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요추받침대로부터 사용자의 요추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추를 편안하게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bolt fixing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lumbar spine of the user from the lumbar support is fixed, thus making it difficult to comfortably support the lumbar spine that responds to the force. there is a problem.
또한 지지프레임의 후방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하여 요추받침대를 결합하게 되 므로 볼트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조립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umbar support is coupled by inserting the bolt from the rear of the support frame, the bolt becomes lo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ing work is difficult and accurate.
또한 요추받침대를 분리하는 경우에, 요추받침대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볼트와 같은 부품이 망실될 부품이 망실될 우려도 높다. In addition, when the lumbar support is remov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component such as a bolt used to join the lumbar support is los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추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는 요추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hair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having a lumbar support tha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user's lumbar spine.
또한 볼트와 같이 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하며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quickly, accurately and easily assembled without using long parts such as bolts.
또한 요추받침대를 분리하는 경우에 요추받침대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망실 우려가 없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which is free from the risk of losing the components used to join the lumbar support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umbar suppor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석부와; 상기 자석부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지부와; 상기 좌석부의 상부에 배치된 등받침대와; 상기 등받침대의 하부에 배치된 요추받침대와; 상기 등받침대와 요추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요추받침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후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A lower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magnet part; A backrest disposed above the seat; A lumbar support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And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ackrest and lumbar support, wherein the lumbar support is hooked to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등받침대를 지지하는 등지지판과, 상기 등받침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요추받침대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의 전방에는 후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추받침대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기 후크결합부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back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backrest, and a lower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rest to support the lumbar support, and a hook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lumbar support of the lumbar support The rear hook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of the lower bracket.
상기 후크결합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크결합부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결합을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e edge of the hook coupling portion, a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o guide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lower bracket can be opened.
상기 요추받침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롤링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롤링 가능하다. The lumbar support is rollable relative to the support frame, preferably elastically rollable.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요추받침대를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하부브라켓에 후크 방식으로 롤링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요추받침대로부터 요추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속하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요추받침대를 조립할 수 있고, 요추받침대의 분리 시에도 요추받침대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를 요추받침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relieve the force applied to the lumbar spine from the lumbar support by coupling the lumbar support to the lower bracket formed in the support frame in a rollable mann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assemble the lumbar support, and to prevent the loss of the components used to join the lumbar support even when the lumbar support is rem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by integrally forming the hook portion in the lumbar support.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구성이나 작용 등 외에도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을 더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further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or ac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and action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실시예에 따른 의자(1)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ha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는 좌석부(100)와; 하부지지부(200)와; 등받침대(300)와; 요추받침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1)는 팔받침대(500)와; 머리 받침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hai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좌석부(10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The
하부지지부(200)는 좌석부(100) 하부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부(200)는 다리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공지된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는 다리가 없이 단순히 바닥에 지지되는 방석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The
등받침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백(dual back)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또는 싱글 백(single back)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싱글 백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요추받침대(500)를 의자(1)의 전방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The
요추받침대(500)는 등받침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해준다. 요추받침대(5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The
목받침대(600)는 등받침대(300)의 상부 중앙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The
상술한 등받침대(300), 요추받침대(400) 및 목받침대(600)는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프레임(7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700)는 등받침대(300)를 지지하는 등지지판(720)과, 등지지판(7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요추받침대(400)를 지지하는 하부브라켓(740)과, 등지지판(720)의 상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목받침대(600)를 지지하는 상부브라켓(7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등지지판(720), 상부브라켓(760) 및 하부브라켓(740)은 모두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되는 경 우, 상부브라켓(760)과 하부브라켓(740)은 모두 등지지판(7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The
상부브라켓(7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전방이 폐쇄된 박스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부브라켓(760) 내에는 목받침대(6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목지지프레임(6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목지지프레임(620)의 중앙 영역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슬롯(6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622)에는 등지지판(7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고정핀(640)이 끼워지고, 고정핀(640)을 조임으로써 목지지프레임(620)을 상부브라켓(76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640)은 나사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브라켓(760)의 전방이 개구된 경우에는, 고정핀(640)의 말단부가 의자(1)의 전방에서 보일 수 있다. The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목지지프레임(620)이 등지지판(720) 후방에서 조작되는 고정핀(640)에 의해 상부브라켓(76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고정핀(64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목지지프레임(620)은 상부브라켓(760)의 내측벽(762)에 대해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됨으로써 상부브라켓(760) 내에서 위치 고정되거나 의자(1)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참조번호 642는 고정핀(640)의 말단부에 결합된 너트를 나타낸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in which the
하부브라켓(7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이 폐쇄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하부브라켓(740)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요추받침대(400)가 결합되는데 지장이 없는 한 다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The
하부브라켓(740) 내에는 좌석부(100)로부터 연장된 좌석지지프레임(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좌석지지프레임(120)의 중앙 영역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슬롯(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122)에는 등지지판(7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고정핀(140)이 끼워지고, 고정핀(140)을 조임으로써 좌석지지프레임(120)을 하부브라켓(74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고정핀(140)은 나사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브라켓(740)은 상부브라켓(760)과는 달리 전방이 개구되지 않고, 게다가 요추받침대(400)가 하부브라켓(74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고정핀(140)의 말단부는 의자(1)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는다. The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IV-IV선 및 V-V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좌석지지프레임(120)이 등지지판(720) 후방에서 조작되는 고정핀(140)에 의해 하부브라켓(74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고정핀(14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좌석지지프레임(120)은 하부브라켓(740)의 내측벽(742)에 대해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됨으로써 하부브라켓(740) 내에서 위치 고정되거나 의자(1)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참조번호 142는 좌석지지프레임(12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고정핀(140)의 말단부를 잡아주는 너트를 나타낸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IV-IV and VV of FIG. 2, respectively, and the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좌석지지프레임(120)이 하부브라켓(74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실제로는 좌석지지프레임(120)에 대해 하부브라켓(740)이 승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등받침대(300)의 좌석부(100)에 대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브라켓(740)의 전방 중앙 영역에는 후크결합부(7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결합부(744)의 상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부(7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746)는 그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요추받침대(400)의 후크부(420)가 후크결합부(744)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한다. 2, the
도 2에는 가이드부(746)가 후크결합부(744)의 상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이드부(746)는 설계상 필요에 따라 후크결합부(744)의 좌우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 좌우 가장자리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크결합부(744)의 형상도 사각형에 한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을 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의 형상과 위치도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부(42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요추받침대(400)가 하부브라켓(740)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롤링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롤링 작용은 의자(1)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요추받침대(400)로부터 요추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즉, 요추가 요추받침대(400)를 누르는 힘의 방향을 따라 요추받침대(400)가 적절히 변형되므로 요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요추받침대(400)가 의자(1)의 상하 방향으로 롤링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설계상 필요에 따라 의자(1)의 좌우 방향으로 또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어느 방향으로든 롤 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요추받침대(400)는 후크부(420)의 탄성에 의하여 롤링 작용을 하지만, 요추받침대(400)의 후크부(420)와 하부브라켓(740)의 후크결합부(744)의 구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서도 롤링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상기한 후크부(420)의 롤링에 의해 요추받침대(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추받침대(400)는 후크부(420)가 돌출되는 영역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후크지지대(44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요추받침대(400)의 후크부(420)의 말단부와 좌석지지프레임(120)을 등지지판(720)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40)의 말단부가 하부브라켓(740)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핀(140)과 후크부(420)가 서로 저촉하지 않고도 같은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후크부(420)의 말단부와 고정핀(140)의 말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요추받침대(4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등받침대(300)를 좌석부(100)에 대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 and 5,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 sliding or fixing the distal end of the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브라켓(740)은 그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사람의 손이나 공구를 하부브라켓(740) 내부로 삽입하여 후크부(420)를 후크결합부(74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2 and 5, the upper end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요추받침대를 지지프레 임에 형성된 하부브라켓에 후크 방식으로 롤링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요추받침대로부터 요추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속하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요추받침대를 등받침대의 하부에 조립할 수 있고, 요추받침대의 분리 시에도 요추받침대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를 요추받침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formed in the support frame to be rollable in a hooked manner, thereby appropriately relie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umbar spine from the lumbar suppo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lumbar support in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quickly, accurately and easily, and to prevent the loss of the components used to join the lumbar support even when the lumbar support is rem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by integrally forming the hook portion in the lumbar support.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ly devise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도 5는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면의 참조번호 리스트><List of Reference Numbers in Drawings>
100: 좌석부 120: 좌석지지프레임100: seat 120: seat support frame
122: 슬롯 200: 하부지지부122: slot 200: lower support
300: 등받침대 400: 요추받침대300: backrest 400: lumbar support
420: 후크부 440: 후크지지대420: hook portion 440: hook support
500: 팔받침대 600: 목받침대500: armrest 600: neckrest
620: 목지지프레임 622: 슬롯620: wooden frame 622: slot
640: 고정핀 700: 지지프레임640: fixed pin 700: support frame
720: 등지지판 740: 하부브라켓720: back support plate 740: lower bracket
742: 내측벽 744: 후크결합부742: inner wall 744: hook coupling portion
746: 가이드부 760: 상부브라켓746: guide portion 760: upper bracket
762: 내측벽762: inner wall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4832U KR200455410Y1 (en) | 2009-04-22 | 2009-04-22 |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4832U KR200455410Y1 (en) | 2009-04-22 | 2009-04-22 |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105U KR20090013105U (en) | 2009-12-29 |
KR200455410Y1 true KR200455410Y1 (en) | 2011-09-05 |
Family
ID=4929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048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5410Y1 (en) | 2009-04-22 | 2009-04-22 |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5410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1797Y1 (en) * | 2000-03-10 | 2000-08-16 | 길영옥 |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
KR200432192Y1 (en) * | 2006-08-28 | 2006-11-30 | 주식회사 다원산업 | Chair with backrest |
-
2009
- 2009-04-22 KR KR20090004832U patent/KR20045541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1797Y1 (en) * | 2000-03-10 | 2000-08-16 | 길영옥 |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
KR200432192Y1 (en) * | 2006-08-28 | 2006-11-30 | 주식회사 다원산업 | Chair with backre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105U (en) | 2009-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43118B2 (en) | Nestable chair | |
KR101129781B1 (en) | Structure for sliding of seat | |
JP2011103933A (en) | Chair | |
KR200425803Y1 (en) | Sofa with sliding seat cushion | |
JP2013132402A (en) | Chair | |
KR100991359B1 (en) | Chair with protruding back plate to support lumbar spine | |
JP6172988B2 (en) | Chair | |
KR200455410Y1 (en) | chair | |
KR200458497Y1 (en) | Back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 |
KR200423149Y1 (en) | Functional chair with backrest | |
US20110095588A1 (en) |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 |
KR100456722B1 (en) | Use is convenient all style desk course chair | |
KR200371544Y1 (en) |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 |
JP6490378B2 (en) | Chair | |
KR200463157Y1 (en) | Chair with a combination desk and foothold | |
KR200295304Y1 (en) | Use is convenient all style desk course chair | |
KR200428716Y1 (en) | Functional sofa | |
KR200471916Y1 (en) | Chair having Supporting member | |
KR200421447Y1 (en) | Fastening device and furniture using the same | |
KR20090001434U (en) | Folding chair | |
KR200395726Y1 (en) | A folding chair | |
JP6670069B2 (en) | Chair | |
JP3219224U (en) | Chair for seat type massage machine | |
JP5597792B2 (en) | Chair | |
KR200471955Y1 (en) | A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4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08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8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8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