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55Y1 - A chair - Google Patents
A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955Y1 KR200471955Y1 KR2020120004133U KR20120004133U KR200471955Y1 KR 200471955 Y1 KR200471955 Y1 KR 200471955Y1 KR 2020120004133 U KR2020120004133 U KR 2020120004133U KR 20120004133 U KR20120004133 U KR 20120004133U KR 200471955 Y1 KR200471955 Y1 KR 2004719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backrest
- support
- upper support
- ch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지지대에 결합시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우수하고 노출된 체결구에 녹이 슬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체결구의 노출로 인한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좌판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지지대에 각각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좌우 상부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고정 결합되되 상부지지대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몸체와, 상기 수직몸체의 상하 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말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매립 설치되는 수평단부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의 하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어 등받이 좌우 양측면에 매립된 브라켓의 수평단부를 등받이와 고정 결합시키는 장볼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backrest is coupled to the support, fasteners such as bolts or piece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problem of excellent aesthetics and rust on the exposed fasteners can be solved. It relates to a chair that can eliminate the risk of exposure to the spher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for supporting the seat of the buttocks from below;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from below; Upper supporters coupled to lower supporter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late and extending upwardly; A backrest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upper supports to support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One sid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pport and is formed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and A bracket extending horizontally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end thereof and having horizontal ends respectively embedd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ackrest is fastened to include a long bolt for fastening the horizontal end of the bracket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지지대에 결합시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우수하고 노출된 체결구에 녹이 슬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체결구의 노출로 인한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backrest is coupled to the support, fasteners such as bolts or piece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problem of excellent aesthetics and rust on the exposed fasteners can be solved. It relates to a chair that can eliminate the risk of exposure to the sphere.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그리고 팔걸이나 등받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자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데, 가장 심플한 형태로 가느다란 봉으로 하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를 형성하고, 각 지지대에 좌판, 등받이 및 팔걸이를 피스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의자의 일례로서, 도 1 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910호에 따른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다.
In general, the chair includes a seat plate,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at the bottom, and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armrest or the backrest. These chairs have a variety of forms and structures, the simplest form of the slender rods to form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and the method of fastening and fixing the seat plate, backrest and armrest with a piece or bolt to each support. As an example of such a chair, the configura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Model No. 20-0365910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의자는 앞다리(1)와 뒷다리(2)가 링크(4)와 힌지축(41,42)으로 연결되고, 좌판프레임(3)이 앞다리(1)와 뒷다리(2)에 힌지축(31,32)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앞다리(1)에 팔걸이(5)의 일단을 힌지축(51)으로 연결시키고, 팔걸이(5)에 팔걸이링크(6)의 일단을 힌지축(61)으로 연결시키며, 팔걸이링크(6)의 또 다른 단부를 링크(4)에 힌지축(62)으로 연결시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다리(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봉에는 등받이가 피스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위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의자는 앞다리 및 뒷다리, 그리고 팔걸이가 동시에 절첩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As shown, the chair according to the above registered utility model is the front leg (1) and the rear leg (2) is connected by the link (4) and the hinge axis (41, 42), the seat plate frame (3) is the front leg (1) In the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legs (2) by the hinge shafts (31, 32), one end of the armrest (5) to the front leg (1) by the hinge shaft (51), armrest link (6) to the armrest (5) Is connected to the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와 등받이 등의 부품이 앞다리 또는 앞다리로부터 연장된 봉이나 뒷다리를 구성하는 봉형상의 지지대에 힌지축, 피스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측면에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체결구들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구들이 외부에 노출되면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방치시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녹이 슬게 되며, 체결구의 체결 작업시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체결구의 외부 돌출로 인하여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However, in this type of chair, parts such as armrests and backrests are engaged from the side by means of fasteners, such as hinge shafts, pieces or bolts, to rod-shaped supports that constitute the rods or hind legs extending from the front or front legs. As a result, these fasten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s such, when the fasten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the rust is rusted by oxygen in the air when left for a long time, and safety accidents may occur when the fastener is fastened by using a tool such as a drill. In addition, due to the external protrusion of the fastener may cause a problem such as injuring the us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팔걸이나 등받이 등을 지지대에 결합시, 체결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우수하고,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하여도 체결구의 부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체결구에 의해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hair as described above, when combining the armrest or the backrest with the support, the fasten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simple and excellent, even if left in the air for a long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in which corrosion of the fasten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astening operation is easy, and the user can be injured by the faste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좌판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지지대에 각각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좌우 상부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고정 결합되되 상부지지대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몸체와, 상기 수직몸체의 상하 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말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매립 설치되는 수평단부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의 하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어 등받이 좌우 양측면에 매립된 브라켓의 수평단부를 등받이와 고정 결합시키는 장볼트를 포함한다.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at plate for supporting the seat of the buttocks from below;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from below; Upper supporters coupled to lower supporter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late and extending upwardly; A backrest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upper supports to support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One sid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pport and is formed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and A bracket extending horizontally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end thereof and having horizontal ends respectively embedd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ackrest is fastened to include a long bolt for fastening the horizontal end of the bracket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대에 결합되는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맞대어질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결합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요홈의 상하부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의 상하 수평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브라켓단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 브라켓단부삽입홈 사이에는 브라켓의 수직몸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홈 내 상부측 브라켓단부삽입홈 상측에는 너트안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볼트는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부측 브라켓단부삽입홈과 브라켓지지부 및 상부측 브라켓단부삽입홈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단부에는 상기 너트안치홈 내에서 고정너트가 조여진다.
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is formed with a circular arc-shaped coupling groov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is seate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ends of the bracket are fitted into the center A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s, a bracke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vertical body of the bracket is formed, and a nut seating groove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in the coupling recess. The long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and the bracket support part and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from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nd the fixing nut is tightened in the nut set groove at the end.
그리고, 상기 브라켓지지부는 브라켓의 수직몸체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수평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수직몸체의 볼록한 전면과 맞닿아 상기 수직몸체를 지지하되, 결합요홈의 표면 보다 더 깊은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요홈과 단차지게 형성됨에 따라 브라켓이 결합요홈의 표면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The bracket support is cur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vertical body of the bracket and contacts the convex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body to support the vertical body, but is form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to engage the groove. As it is formed to step with the bracket is configured not to protrude beyond the surface height of the coupling groove.
한편, 상기 상부지지대에는 팔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팔걸이는 하단부가 상부지지대의 상부 중공에 억지끼움되며, 상기 팔걸이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평행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pport is provided with an armrest, the armrest is the lower end is fitted to the upper hollow of the upper suppor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arallel proj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rmres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팔걸이나 등받이 등을 지지대에 결합시, 체결구가 지지대와 등받이 사이 결합부에 매립되어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심플하면서도 우수하고,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하여도 체결구의 부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드릴 등의 공구 사용없이 수작업으로 체결 작업이 가능하고, 체결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체결구에 의해 부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해소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가져온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mrest or the backrest is coupled to the support, the fastener is embedded i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ackrest so that the fasten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simple and excellent, long time in the air Even if it is left unattended, corrosion of the fastener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fasten manually without the use of tools such as drills. It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solved.
도 1 은 종래 통상적인 의자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분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결합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지지대와 등받이 결합 구조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chai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upling por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and the back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좌판(10), 지지대, 브라켓(40), 등받이(50), 장볼트(60) 및 팔걸이(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좌판(10)은 착석자의 둔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판부재로서, 대체로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하부지지대(20) 중 가로대(26)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10)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지지대는 좌판(10), 등받이(50), 팔걸이(70) 등을 지지하기 위한 봉형상 부재로서, 하부지지대(20)와 가로대(26) 및 상부지지대(30)로 구성된다.
The support is a rod-shaped member for supporting the
하부지지대(20)는 상기 좌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며 좌판(10) 자체와 좌판(10)에 앉는 착석자의 하중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전방각부(前方脚部;22) 및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후방각부(後方脚部;2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각부(22)와 후방각부(24)의 상부 말단은 상호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절첩식 의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각부(22)와 후방각부(24)의 하부말단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한 캐스터(23,25)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로대(26)는 좌판(10)의 하부 좌우 양측에 구비된 각 하부지지대(20)를 상호 연결하도록 가로로 배치된 봉형상 부재로서, 좌우 양측의 하부지지대(20)를 상호 결합함과 동시에 상부에 좌판(10)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가로대(26)는 좌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이나 갯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고, 상기 좌판(10)은 가로대(26)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나 별도의 브라켓(40)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부지지대(30)는 좌판(10)의 좌우 양측에서 각 하부지지대(20)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봉형상 부재로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50)와 팔걸이(70)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The
상기 상부지지대(30)는 중공의 봉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하부 발단은 하부지지대(20)에 고정 결합되거나 등받이(5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힌지결합부(32)에 의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결합부(3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 상부지지대(30)는 등받이(50) 또는 팔걸이(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단부는 적절한 각도로 절곡되어 대체로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등받이(50)는 좌우 양측 상부지지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팔걸이(70)는 상부지지대(30)의 상단부 중공에 삽입 결합된다. 이하, 이러한 상부지지대(30)와 등받이(50) 및 팔걸이(7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3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상부지지대(30)를 등받이(50)의 하부 측면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브라켓(40)이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일측이 상부지지대(30)의 상부 외주면 내측에 맞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지지대(30)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몸체(40a)와, 상기 수직몸체(40a)의 상하 단부에 상기 수직몸체(40a)와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평단부(40b,4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0)의 수평단부(40b,40b')에는 후술하는 장볼트(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40)은 후술하는 등받이(50)의 하부 좌우 측면에 매립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3, a
등받이(50)는 좌우 상부지지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둔부와 허리 및 등이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는 전면이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는 상부가 후방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50)에는 착석시의 편안함을 위하여 쿠션(5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상부지지대(30)가 결합되는 등받이(50)의 좌우 양측 하부는 상부측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두꺼운 좌우 양측 하부에는 외측으로부터 단면이 원형의 봉형상 부재인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맞대어질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결합요홈(52)이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요홈(52)은 상부지지대(30)의 반부 외주면이 안착되어 맞대어질 수 있도록 상부지지대(30)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부지지대(30)의 상단부 외주면에 소정 길이만큼 맞대어지도록 수직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50)의 좌우 양측 하부의 결합요홈(52)에는 상부지지대(30)의 반부 외주면이 안착되어 결합되되,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에는 브라켓(40)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등받이(50)의 결합요홈(52)에 매립 설치된다.
As already mention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lf half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40)의 매립 설치를 위해, 결합요홈(52)의 상하부 중앙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브라켓(40)의 상하 수평단부(40b,40b')가 끼워지는 브라켓단부삽입홈(54a,54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 브라켓단부삽입홈(54a,54b) 사이에는 브라켓(40)의 수직몸체(40a)를 지지하는 브라켓지지부(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지지부(56)는 브라켓(40)의 수직몸체(40a)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수평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수직몸체(40a)의 볼록한 전면과 맞닿아 상기 수직몸체(40a)를 지지한다. 상기 브라켓지지부(56)는 결합요홈(52)의 표면 보다 더 깊은 위치(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요홈(52)과 단차지게 형성됨에 따라 브라켓(40)이 결합되어도 결합요홈(52)의 표면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매립되어 결합요홈(52)에 상부지지대(30)가 안정적으로 안치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install the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50)의 결합요홈(52)내 상부 브라켓단부삽입홈(54b) 상측에는 너트안치홈(58)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단부삽입홈(54a)과 브라켓지지부(56), 상부 브라켓단부삽입홈(54b) 및 너트안치홈(58)을 관통하는 볼트공(57)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공(57)으로는 장볼트(60)가 삽입되어 상부지지대(30)에 결합된 브라켓(40)과 등받이(50)를 체결 고정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54b in the
도 5 에는 이러한 상부지지대(30)와 브라켓(40) 및 등받이(50)의 결합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30)의 외주면에는 브라켓(40)이 용접 또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브라켓(40)은 결합요홈(52)내에 안착 매립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0)의 수직몸체(40a)는 결합요홈(52) 내측의 브라켓지지부(56)에 맞대어져 지지되며 수평단부(40b,40b')는 브라켓단부삽입홈(54a,54b)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현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볼트공(57)을 통하여 장볼트(60)가 삽입되어 브라켓(40)의 하부 수평단부(40b')에 형성된 관통공(40c')을 통과한 후 브라켓지지부(56)를 관통하고 다시 브라켓(40)의 상부 수평단부(40b)에 형성된 관통공(40c)을 통과한 후 너트안치홈(58)까지 삽입된다. 그 다음, 너트안치홈(58)에 고정너트(62)가 삽입되어 장볼트(60)의 단부에 너트가 조여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부지지대(30)에 결합된 브라켓(40)이 등받이(50)의 결합요홈(52) 내에 매립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부지지대(30)와 등받이(50)가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며, 상부지지대(30)의 외측에 등받이(50) 고정을 위한 볼트나 피스 등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In FIG. 5,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한편, 상부지지대(30)에는 팔걸이(70)가 구비되는 바, 상기 팔걸이(70)는 상부지지대(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하여 수평하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부지지대(30)의 상부에 끼움결합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팔걸이(70)가 상부지지대(30)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팔걸리의 하단부가 상부지지대(30)의 상부 중공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팔걸이(70)의 하단부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평행한 돌기(7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팔걸이(70)가 상부지지대(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illustrat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좌판 20 : 하부지지대
22 : 전방각부 23 : 캐스터
24 : 후방각부 25 : 캐스터
26 : 가로대 30 : 상부지지대
32 : 힌지결합부 40 : 브라켓
40a : 수직몸체 40b,40b' : 수평단부
40c,40c' : 관통공 50 : 등받이
51 : 쿠션 52 : 결합요홈
54a,54b : 브라켓단부삽입홈 56 : 브라켓지지부
57 : 볼트공 58 : 너트안치홈
60 : 장볼트 62 : 고정너트
70 : 팔걸이 72 : 돌기 10: seat 20: lower support
22: front leg 23: caster
24: rear corner portion 25: caster
26: crossbar 30: upper support
32: hinge coupling portion 40: bracket
40a:
40c, 40c ': Through hole 50: Backrest
51: cushion 52: coupling groove
54a, 54b: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56: Bracket support
57: bolt hole 58: nut set groove
60: long bolt 62: fixing nut
70: armrest 72: protrusion
Claims (4)
상기 좌판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좌판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지지대에 각각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좌우 상부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고정 결합되되 상부지지대의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호형상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몸체와, 상기 수직몸체의 상하 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말단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매립 설치되는 수평단부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의 하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되어 등받이 좌우 양측면에 매립된 브라켓의 수평단부를 등받이와 고정 결합시키는 장볼트를 포함하는 의자. A seat plate supporting the seated buttocks from below;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 plate from below;
Upper supporters coupled to lower supporter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late and extending upwardly;
A backrest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upper supports to support the seat of the seated person;
One sid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pport and is formed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and A bracket extending horizontally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each end thereof and having horizontal ends respectively embedd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 chair including a long bolt inserted and fastened from the bottom of the backrest to securely couple the horizontal end of the bracket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to the backrest.
상기 상부지지대에 결합되는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부지지대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맞대어질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결합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요홈의 상하부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의 상하 수평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상부브라켓단부삽입홈과 하부브라켓단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단부삽입홈과 하부브라켓단부삽입홈 사이에는 브라켓의 수직몸체를 지지하는 브라켓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홈 내 상부브라켓단부삽입홈 상측에는 너트안치홈이 구비되고, 상기 장볼트는 등받이의 좌우 양측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부브라켓단부삽입홈과 브라켓지지부 및 상부브라켓단부삽입홈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단부에는 상기 너트안치홈 내에서 고정너트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ckrest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are formed with an arc-shaped coupling groov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can be seated therebetween, an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ends of the bracket are fit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recess. An end insertion groove and a low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are formed, and a bracke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vertical body of the bracke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and the low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and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in the coupling groove It is provided with a nut set groove, the long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and the bracket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bracket end insertion groove from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and the fixing nut in the nut set groove at the end A chair characterized by being tightened.
상기 브라켓지지부는 브라켓의 수직몸체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로 수평방향으로 만곡 형성되며 수직몸체의 볼록한 전면과 맞닿아 상기 수직몸체를 지지하되, 결합요홈의 표면 보다 더 깊은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요홈과 단차지게 형성됨에 따라 브라켓이 결합요홈의 표면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3. The method of claim 2,
The bracket support portion is cur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vertical body of the bracket and abuts against the convex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body to support the vertical body, but is form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step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s formed.
상부지지대에는 팔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팔걸이는 하단부가 상부지지대의 상부 중공에 억지끼움되며, 상기 팔걸이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평행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support is provided with an armrest, the armrest is the lower end of the 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tted in the upper hollow of the upper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rmres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allel proj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133U KR200471955Y1 (en) | 2012-05-17 | 2012-05-17 | A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133U KR200471955Y1 (en) | 2012-05-17 | 2012-05-17 | A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893U KR20130006893U (en) | 2013-12-02 |
KR200471955Y1 true KR200471955Y1 (en) | 2014-03-25 |
Family
ID=5243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133U Expired - Lifetime KR200471955Y1 (en) | 2012-05-17 | 2012-05-17 | A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955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1465Y1 (en) | 2006-01-19 | 2006-11-23 | 부호체어원(주) | Folding chair |
US20100327643A1 (en) | 2006-03-21 | 2010-12-30 | Ditto Sales, Inc. | Nestable and stackable chair |
US20110175412A1 (en) | 2010-01-21 | 2011-07-21 | Pro-Cord S.P.A. | Nestable chair with seat rotation and stop arrangement |
-
2012
- 2012-05-17 KR KR2020120004133U patent/KR200471955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1465Y1 (en) | 2006-01-19 | 2006-11-23 | 부호체어원(주) | Folding chair |
US20100327643A1 (en) | 2006-03-21 | 2010-12-30 | Ditto Sales, Inc. | Nestable and stackable chair |
US20110175412A1 (en) | 2010-01-21 | 2011-07-21 | Pro-Cord S.P.A. | Nestable chair with seat rotation and stop arran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893U (en) | 2013-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8803B1 (en) | The chair for protect a backbone and a waist | |
KR200421443Y1 (en) | Chair with backrest | |
KR101405302B1 (en) | Attachable back of chair | |
KR200471955Y1 (en) | A chair | |
KR200431273Y1 (en) | Easy to deform shape couch system | |
JP5243566B2 (en) | Chair | |
JP5606767B2 (en) | Chair | |
KR20110111678A (en) | Chair back | |
KR200275534Y1 (en) | Chair that feet-prop is included | |
KR101468048B1 (en) | a shower chair with general purpose | |
KR20180093552A (en) | Frame structure for a folding type chair | |
KR200458497Y1 (en) | Back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 |
KR200471916Y1 (en) | Chair having Supporting member | |
KR20150144606A (en) | Audience chair with triangulation seat | |
CN214433103U (en) | Surrounding chair | |
KR200408300Y1 (en) | Table prefabricated chairs | |
KR102757337B1 (en) | A standing desk with a hip holder | |
JP3128444U (en) | bench | |
KR101448350B1 (en) | All-in-one type chair armrest frame and a chair using the same | |
JP6188541B2 (en) | Chair | |
CN210672764U (en) | Single sofa | |
KR200375178Y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duo-back on chair | |
KR20160004153A (en) | The sofa | |
KR200421447Y1 (en) | Fastening device and furniture using the same | |
KR200316892Y1 (en) | A teaching desk having a footstool h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51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31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