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5138Y1 - 곡물불림장치 - Google Patents

곡물불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38Y1
KR200445138Y1 KR2020090002216U KR20090002216U KR200445138Y1 KR 200445138 Y1 KR200445138 Y1 KR 200445138Y1 KR 2020090002216 U KR2020090002216 U KR 2020090002216U KR 20090002216 U KR20090002216 U KR 20090002216U KR 200445138 Y1 KR200445138 Y1 KR 200445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oaking
discharge
conveyor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묵
Original Assignee
최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묵 filed Critical 최종묵
Priority to KR2020090002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곡물불림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곡물불림장치(1)는 불림탱크(1)들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3); 상기 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바(41)와 이 가이드바(41)에 안내되어 이송하는 배출호퍼(42)로 구성된 정량배출기(4);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끝단에 설치되며, 유입구(52)와 밀폐롤러(53)가 저장탱크(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51)의 일측과 타측에는 브로워연결관(54)과 배출관(55)이 구비된 이송기(5); 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곡물불림장치{Cereal soaking apparatus}
본 고안은 곡물불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워에 의한 불린 곡물의 이송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정량의 곡물을 배출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함으로써 곡물이 컨베이어의 외부로 낙하하여 손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불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이용해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예컨대 콩을 이용해 두부를 제조하거나 쌀을 이용해 면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 곡물을 물에 불린 후 제조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곡물을 이용한 식품들은 대단위로 제조됨에 따라 제조공장에는 불림된 곡물을 원활하게 제조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탱크형태로 된 다수의 불림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의 곡물불림장치는 그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호퍼형 탱크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곡물불림장치의 소정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배출구의 근접부위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된 구성이 일반적이다.
이에, 기존의 곡물불림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5- 16283호(1995.7.20)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111198호(2008.12.23)를 통해 개시된 바 있는데,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111198호에 개시된 불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불림장치는 프레임(100)과, 불림부(200)와, 상기 불림부(200)에 곡물(대두)를 공급하는 공급부(300)와, 상기 불림부(200)에 물을 급수하는 물 공급부(400)와, 불림된 곡물(대두)을 운반하는 운반부(500) 및 모터와 펌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반부(500)는 바퀴가 달린 지지틀에 운반탱크(51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기존 불림장치는 불림된 곡물을 상기 운반부(500)의 운반탱크(510)를 이용하여 다음 공정의 제조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 불림장치는 불림된 곡물을 운반부(500)의 운반탱크(510)에 쏟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모두 수작업을 통해 수행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브로워에 의해 발생하는 강력한 바람을 이용하여 다수의 불림장치에서 불림된 곡물을 다음 공정의 제조장치로 이송하고 있는데, 이때에는 브로워에 의해 심한 소음공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소음발생은 작업장의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다르게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불린 곡물을 이송하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불린 곡물을 컨베이어에 배출하는 과정에서 적정량이 배출되지 못하고 과도하게 배 출됨에 따라 곡물이 컨베이어의 외부로 낙하하여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은 컨베이어를 통해 곡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 곡물불림장치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로워에 의한 불린 곡물의 이송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물불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컨베이어를 통해 불린 곡물을 이송하되, 일정량의 곡물을 배출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함으로써 곡물이 컨베이어의 외부로 낙하하여 손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불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곡물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부와 하부에 각, 각 마련되고, 물공급수단과 배수구(23)가 구비된 다수의 불림탱크(2)를 포함하는 곡물불림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불림탱크(1)들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3);
상기 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바(41)와 이 가이드바(41)에 안내되어 이송하는 배출호퍼(42)로 구성 된 정량배출기(4);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끝단에 설치되며, 유입구(52)와 밀폐롤러(53)가 저장탱크(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51)의 일측과 타측에는 브로워연결관(54)과 배출관(55)이 구비된 이송기(5); 를 포함하는 곡물불림장치(1)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배출호퍼(42)는 가이드체(4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가이드바(41)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체(43)는 상기 가이드바(41)의 외경에 삽입되어 슬라이드이동하고, 그 일단에는 스토퍼(431)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배출호퍼(42)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전방에 곡물배출홈(421)이 구비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곡물배출홈(421)에서 배출된 곡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42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는 이송기를 구비하되, 이 이송기에 외부 브로워를 연결하여 곡물을 이송함으로써 곡물의 이송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가 있다. 아울러,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불린 곡물을 이송하되, 정량배출기를 마련하여 일정량의 곡물을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함으로써 곡물이 컨베이어의 외부로 이탈하여 손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곡물불림장치(1)는 다수의 불림탱크(2)와, 이송컨베이어(3)와, 정량배출기(4)와, 이송기(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불림탱크(2)는 기존과 같이 그 상부에 곡물투입구(2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2)가 마련되며, 그 소정부에는 물공급수단(도면에 미도시됨.) 및 공급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불림탱크(2)는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되는데, 각 불림탱크(2)의 배출구(22)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2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불림탱크(2)들은 프레임(24)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불림탱크(2)들은 별도의 공급수단에 의해 곡물이 투입된 후, 상기 물공급수단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소정시간 동안 곡물을 불림하고, 곡물을 불린 후에는 상기 배수구(23)를 통해 물을 배수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은 상기 불림탱크(2)들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컨베이어(3)는 통상의 구동 롤러 컨베이어(live-roller conveyor), 즉 구동모터와 동력연결된 롤러를 구동시켜서 폐곡선으로 된 이송벨트(31)를 회전시키는 구조인 구동 롤러 컨베이어가 적용된다.
상기 정량배출기(4)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정량배출기(4)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나란한 형태로 설치된 가이드바(41)와, 이 가이드바(41)에 안내되어 이송하는 배출호퍼(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출호퍼(42)는 상기 가이드바(41)의 외경에 설치된 가이드체(4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가이드바(41)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체(43)는 상기 가이드바(41)의 외경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며 그 일단에는 스토퍼(431)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체(43)는 금속제로 된 가이드바(41)의 외경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토퍼(431)는 상기 가이드체(43)를 관통하는 볼트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호퍼(42)는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데,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전방에 곡물배출홈(421)이 구비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곡물배출홈(421)에서 배출된 곡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42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호퍼(42)의 후방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밀폐패킹(423)이 설치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이송기(5)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끝단, 즉 배출단에 설치되는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에 있어, 이송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기(5)는 함체로 된 저장탱크(51)의 상부에 통상의 호퍼형태로 된 유입구(52) 및 밀폐롤러(53)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51)의 일측과 타측에는 브로워연결관(54)과 배출관(55)이 내부와 연통되는 형태로 설치된 다. 이때, 상기 밀폐롤러(53)는 상기 저장탱크(51)가 브로워(6)와 연결시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 예컨대 패킹역할을 수행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곡물의 불림작업이 종료된 불림탱크(2)의 배출구(22)측으로 정량배출기(4)의 배출호퍼(42)를 이동시키되, 이때에는 가이드체(43)를 매개체로 연결되는 가이드바(41)에 안내되어 배출호퍼(42)를 이동시킨다. 이후, 스토퍼(431)에 의해 가이드체(43)를 가이드바(41)에 고정한 상태에서 불림탱크(2)의 배출구(22)를 개방하여 불림된 곡물(10)을 배출시키면, 배출되는 곡물(10)은 배출호퍼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후 이러한 배출호퍼(42)의 전방에 마련된 곡물배출홈(421)을 통해 이송컨베이어(3)의 이송벨트(31)로 정량배출된다. 다시 말하면, 배출호퍼(42)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곡물(10)은 배출호퍼(42)의 전방에 마련된 곡물배출홈(421)을 통해서만 배출되므로 이러한 곡물배출홈(421)의 크기에 대응하는 양만큼만 정량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호퍼(42)의 전방측으로 돌출설치된 이탈방지편(422)은 이송컨베이어(3)의 이송벨트(31)로 배출된 곡물이 이송벨트(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곡물(10)은 이송컨베이어(3)의 배출단에 설치된 이송기(5)로 공급되어 유입구(52)와 밀폐롤러(53)를 경유하여 저장탱크(51)에 충진되는데, 이러한 이송 기(5)의 브로워연결관(54)에는 브로워(도면에 미도시됨.)를 연결하고 배출관(55)에는 다음 공정의 제조장치, 예컨대 쌀 면제조장치 또는 두부제조장치로 곡물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관(도면에 미도시됨.)이 연결된다. 이때, 브로워연결관(54)에 연결되는 브로워(6)는 작업장의 외부에 설치하되,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브로워연결관(54)에 관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이송기(5)의 저장탱크(51)에 충진된 곡물(10)은 브로워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배출관(55)측으로 배출되어 다음 공정의 제조장치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곡물불림장치(1)는 정량배출기(4)의 배출호퍼(42)를 원하는 불림탱크(2)에 위치시킨 후 불림된 곡물의 배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정량배출기(4)의 배출호퍼(42)에는 곡물배출홈(421)과 이탈방지편(422)이 구비되어 있어 정량의 곡물을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이송벨트(31)에서 곡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송기(5)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로워(6)에 연결되어 곡물을 이송함에 따라 브로워(6)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111198호에 개시된 불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에 있어, 이송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불림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곡물불림장치 2 : 불림탱크
3 : 이송컨베이어 4 : 정량배출기
5 : 이송기 6 : 브로워
10 : 곡물

Claims (3)

  1. 곡물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부와 하부에 각, 각 마련되고, 물공급수단과 배수구(23)가 구비된 다수의 불림탱크(2)를 포함하는 곡물불림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불림탱크(1)들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3);
    상기 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바(41)와 이 가이드바(41)에 안내되어 이송하는 배출호퍼(42)로 구성된 정량배출기(4);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끝단에 설치되며, 유입구(52)와 밀폐롤러(53)가 저장탱크(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51)의 일측과 타측에는 브로워연결관(54)과 배출관(55)이 구비된 이송기(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불림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퍼(42)는 가이드체(4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가이드바(41)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체(43)는 상기 가이드바(41)의 외경에 삽입되어 슬라이드이동하고, 그 일단에는 스토퍼(4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불림장치(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퍼(42)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전방에 곡물배출홈(421)이 구비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곡물배출홈(421)에서 배출된 곡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42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불림장치(1).
KR2020090002216U 2009-02-27 2009-02-27 곡물불림장치 KR200445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16U KR200445138Y1 (ko) 2009-02-27 2009-02-27 곡물불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16U KR200445138Y1 (ko) 2009-02-27 2009-02-27 곡물불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138Y1 true KR200445138Y1 (ko) 2009-07-01

Family

ID=4135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16U KR200445138Y1 (ko) 2009-02-27 2009-02-27 곡물불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56A (ko) * 2018-12-11 2020-06-19 고윤한 쌀 세척장치
CN115633794A (zh) * 2022-10-28 2023-01-24 重庆味轩州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豆干加工的原料浸泡设备
KR20230073476A (ko) 2021-11-19 2023-05-26 김유진 곡물 침지 장치
KR102751158B1 (ko) * 2023-12-29 2025-01-09 웬떡마을영농조합법인 약식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283A (ko) * 1993-11-02 1995-06-17 배순훈 텔레비젼 수상기의 자동꺼짐장치
KR20030041752A (ko) * 2001-11-21 2003-05-27 한준호 식물성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283A (ko) * 1993-11-02 1995-06-17 배순훈 텔레비젼 수상기의 자동꺼짐장치
KR20030041752A (ko) * 2001-11-21 2003-05-27 한준호 식물성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56A (ko) * 2018-12-11 2020-06-19 고윤한 쌀 세척장치
KR102145671B1 (ko) 2018-12-11 2020-08-18 고윤한 쌀 세척장치
KR20230073476A (ko) 2021-11-19 2023-05-26 김유진 곡물 침지 장치
CN115633794A (zh) * 2022-10-28 2023-01-24 重庆味轩州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豆干加工的原料浸泡设备
KR102751158B1 (ko) * 2023-12-29 2025-01-09 웬떡마을영농조합법인 약식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138Y1 (ko) 곡물불림장치
CN108155117B (zh) 超临界流体制造装置和基板处理装置
JP2006206325A5 (ko)
WO2014153553A3 (en) Framed transport and distribution container for bulk granular product and method
EP1661634A3 (de) Vorrichtung zum kontaktlosen Reinigen eines Förderelementes und Anordnung zum Transportieren und/oder Speichern stabförmiger Artikel mit einer Vorrichtung zum kontaktlosen Reinigen eines Förderelementes
WO200813667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ffering products
NO20073683L (no) Oppbevaringsbeholder for granulaert brensel, en anordning og en fremgangsmate for a mate brenselet fremover
CN104144614A (zh) 面条蒸制方法及面条蒸制装置
EP1982936A2 (en) Transfer conveyor device
CN107108059A (zh) 用于将产品填充到容器中的设备和方法
CN211366910U (zh) 一种洗涤剂连续灌装设备
KR101867560B1 (ko)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TWI612000B (zh) 加壓槽、將粉體送入輸送管之送入裝置及其送入方法
KR20170130147A (ko) 식품이송장치
CN205289073U (zh) 一种种子水洗烘干装置
CN108517263B (zh) 焖料机
JP3881965B2 (ja) 物品処理装置
JP6918892B2 (ja) 育苗箱洗浄機
KR20140037641A (ko) 배추김치 제조 장치
KR101142086B1 (ko) 완충기
CN216493162U (zh) 一种海蜇加工用干燥装置
ATE547362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leeren eines containers
CN202238822U (zh) 盛装生物保鲜竹笋用空瓶的清洗装置
CN207090409U (zh) 一种膨润土传送转运装置
CN209403532U (zh) 芝麻脱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6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