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1158B1 - 약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약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1158B1
KR102751158B1 KR1020230197288A KR20230197288A KR102751158B1 KR 102751158 B1 KR102751158 B1 KR 102751158B1 KR 1020230197288 A KR1020230197288 A KR 1020230197288A KR 20230197288 A KR20230197288 A KR 20230197288A KR 102751158 B1 KR102751158 B1 KR 10275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jujube
water
scraper
so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웬떡마을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떡마을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웬떡마을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3019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1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1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독하며 유익한 대추씨를 사용하면서도 쓴 맛이 과도하게 느껴지지 않고 전체적인 풍미가 향상되는 약식을 제조하는 방법과 불린 찹쌀의 수분 함량 조절이 용이한 약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식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nutrient rice cake}
본 발명은 약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독하며 유익한 대추씨를 사용하면서도 쓴 맛이 과도하게 느껴지지 않고 전체적인 풍미가 향상되는 약식을 제조하는 방법과 불린 찹쌀의 수분 함량 조절이 용이한 약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식은 찹쌀에 대추, 밤, 잣 등의 견과류를 섞어 쪄낸 후 기름, 꿀, 간장에 버무려 먹는 한국 전통 음식이다. 잔칫상에 자주 올라가며 정월 대보름에 먹는 절식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약식이라는 이름은 먹는 것이 모두 약이라는 약식동원(醫食同源)사상에서 비롯되어 약이 된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약식을 약'밥'이라고도 부르지만 떡에 가까운 음식이라고 할 것이다.
대추는 재배되는 대추(이하 '대추'라고 함)와 야생의 산조(멧대추)로 나뉜다. 산조의 과육은 신맛이고 그 씨앗(정확히는 그 안의 핵을 산조인이라고 함)은 단맛이 난다. 산조인은 수면 개선, 불안 완화, 기억력 개선, 진정작용, 항산화/항염 작용, 고지혈증 완화 등의 유익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는 한약재이다.
반면에 약식에 사용되는 재배되는 대추는 과육이 단맛이 나고 씨앗(대추씨)은 쓴맛이 난다. 고 조리서들에 따르면 약식 제조에 있어서 쓴 맛이 나는 대추씨는 빼고 과육만 사용하라고 교시한다. 그간 대추씨에 독성이 있다는 설이 있어서 꺼름찍한 대추씨를 2시간이상 불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권장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추씨에 독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고 산조인의 유익한 효능에 비추어 식품 제조에 있어서 산조인과 종이 유사한 대추씨가 사용될 필요가 있으나 쓴 맛 때문에 여전히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약식 제조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대추 등 부재료의 함수율이 일정치 않는 점까지 고려할 때, 찹쌀을 불리고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는 경우에 약식이 너무 질게(또는 너무 되게) 제조되는 실패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는 바, 찹쌀 불림 및 수분 제거 공정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미기 및 수침기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2335308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독하며 유익한 대추씨를 사용하면서도 쓴 맛이 과도하게 느껴지지 않고 전체적인 풍미가 향상되는 약식을 제조하는 방법과 불린 찹쌀의 수분 함량 조절이 용이한 약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은,
찹쌀을 수세하고 이를 수침하여 불린 후 잉여 물기를 제거하여 얻은 불린 찹쌀을 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하는 단계; 대추, 물, 계피 및 생강을 넣고 끓여 1차 대추액을 얻고 이를 1차 대추 엑기스와 1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하는 단계; 물에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끓여 2차 대추 엑기스를 얻고 이를 2차 대추 엑기스와 2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하는 단계; 설탕이 카라멜라이징될 때까지 간접 가열하여 설탕 카라멜을 얻는 단계; 1차 대추 엑기스, 2차 대추 엑기스 및 설탕 카라멜을 혼합하고 끓여 농축된 약식소스를 마련하는 단계; 및 찐찹쌀에 일정량의 약식소스를 부어 넣은 후 밥을 지어 약식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식 제조방법은, 1차 대추 엑기스와 1차 대추 건더기를 분리하여 얻는 단계;에서 상기 대추가 대추과육과 대추씨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달리, 상기 약식 제조방법은 대추를 통째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1차 대추 엑기스와 1차 대추 건더기를 분리하여 얻는 단계;에서 상기 대추가 대추과육 및 대추씨가 모두 분쇄된 대추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달리, 상기 약식 제조방법은 1차 대추건더기로부터 분리수거한 대추씨를 볶은 후 쪼깨서 핵이 노출된 대추씨를 다시 1차 대추건더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식 제조방법은 약식 소스에 소금 및 간장을 더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식 제조방법은 약식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찐 찹쌀 위에 대추, 곶감, 밤, 호두 또는 잣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고명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식 제조장치는,
찹쌀을 세척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로부터 세척된 세척 찹쌀을 공급받아 물에 불림하는 수침부; 및 일단으로 상기 수침부에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인계받아 일렬로 경사 이동시키며 탈수 처리하며, 타단 직하부에 배치된 저울을 향해 탈수 처리된 찹쌀을 자유낙하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침부는, 상단이 개방된 상광하협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상부에 이격 설치된 상기 찹쌀이송관의 타단을 통해 세척 완료된 찹쌀 및 불림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침조;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수렴관부재; 및 상기 수렴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수렴관부재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여 상기 수침조 내 불림된 찹쌀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플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렴관부재는,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측에는 복수 개의 보수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외관; 상기 복수 개의 보수홀 각각에 결합되어 보수홀을 개폐하는 캡;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관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오프셋 배치되며 상기 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불림수의 유출은 가능하되, 찹쌀의 유출은 제한하는 투과성 망사 구조의 내관; 상기 외관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내관에서 유출된 불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불림수드레인; 및 상기 외관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관의 개방된 하단으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탈수부 위에 안착 가이드하는 커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부재는, 상기 내관의 내측 하단 지점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박판 구조의 플랩패널; 및 상기 플랩패널을 회전 작동시켜 플랩패널이 내관의 하단 관로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플랩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탈수부는, 경사받침대; 상기 경사받침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렴관부재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져 사선으로 경사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렴관부재로 배출된 불림된 찹쌀을 안착 이동시키는 와중에 자중에 의해 불림수가 제거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재;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타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재의 타단으로 이동한 찹쌀을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시키는 제1 스크래퍼; 및 상기 제1 스크래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컨베이어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스크래퍼에 의해 탈락되지 아니한 잔류 찹쌀을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시키는 제2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받침대에는 상기 제2 스크래퍼 직하부에서 제2 스크래퍼에 의해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되는 찹쌀을 수납하는 수납함이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좌우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일단에서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롤러작동대; 상기 제1 롤러작동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롤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타단에서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롤러작동대; 상기 제2 롤러작동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롤러; 상기 제1 작동롤러와 제2 작동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안착된 찹쌀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및 상기 제1 작동롤러 또는 제2 작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은, 분쇄되거나 깨진 대추씨로부터 용출되는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약식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설탕 카라멜로 대추씨의 쓴 맛이 효과적으로 마스킹되는 것은 물론이고 전체적인 맛의 밸런스가 향상되어 더 맛있는 약식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치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찹쌀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렇게 세척된 찹쌀을 수침하여 충분히 불림을 수행한 후 탈수하는 일련의 찹쌀 준비 과정을 수행하여 찹쌀 내 불순물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세미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세척조의 요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세미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수침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수침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수침부와 탈수부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탈수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탈수부의 타측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종래 약식 제조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약식 제조방법은, 찹쌀을 수세하고 이를 수침하여 불린 후 잉여 물기를 제거하여 얻은 불린 찹쌀을 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하는 단계(1); 대추, 물, 계피 및 생강을 넣고 끓여 1차 대추액을 얻고 이를 1차 대추 엑기스와 1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하는 단계(2); 물에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끓여 2차 대추 엑기스를 얻고 이를 2차 대추 엑기스와 2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하는 단계(3); 설탕이 카라멜라이징될 때까지 간접 가열하여 설탕 카라멜을 얻는 단계(4); 1차 대추 엑기스, 2차 대추 엑기스 및 설탕 카라멜을 혼합하고 끓여 농축된 약식소스를 마련하는 단계(5); 및 찐찹쌀에 일정량의 약식소스를 부어 넣은 후 밥을 지어 약식을 제조하는 단계(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찹쌀을 수세하고 이를 수침하여 불린 후 잉여 물기를 제거하여 얻은 불린 찹쌀을 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한다(단계 1).
본원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약식이 떡에 가까운 찰기를 지니는 전통 음식이므로 이에 부합되게 찰기를 줄 수 있는 찹쌀을 주재료로 사용한다. 찹쌀을 대략 2 ~ 3회 정도 수세(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된 찹쌀을 수침(물에 담금)하여 불린 후 흡수되지 아니한 잉여 물기를 제거하여 얻은 불린 찹쌀을 찜기를 이용하여 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한다.
일반 밥과 달리 약식에는 대추, 곶감, 밤 등의 상당한 수분을 함유하되 수분 함량이 일정하지 아니한 재료들이 고명으로 사용되므로 찹쌀을 불리는 공정에서 이를 미리 감안하여 불린 찹쌀의 함수율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실패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약식이 너무 질거나(반대로 너무 되거나)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찹쌀을 수세(세미)하고 찹쌀을 불리기 위해 침수(수침)하고 잉여 물기(함수 포함)를 제거하기 위한 본 단계를 최적화 실시하기 위한 세미기와 수침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물기가 제거된 불린 찹쌀을 찜기를 이용하여 (수)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한다.
다음으로, 대추, 물, 계피 및 생강을 넣고 끓여 1차 대추액을 얻고 이를 1차 대추 엑기스와 1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한다(단계 2).
약식소스를 마련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서, 솥에 물, 세척된 대추, 계피, 및 생강을 넣고 100 ℃를 유지하면서 6시간 이상(대략 강불 2시간, 중불 2시간, 약불 2시간)을 끓여서(달여서) 생성된 1차 대추액을 메쉬망으로 걸러서 액상의 1차 대추 엑기스와 고상의 1차 대추 건더기를 분리하여 얻는다.
대추씨에 함유된 유용 성분으로 탄닌, 5-하이드록시메틸퍼퓨럴(5-hydroxymethylfurfural), 카페킨(Catechin), 지지베오시드 Ⅱ(Zizybeoside Ⅱ), 나린제닌(Naringenin), 카엠프페롤(Kaempferol) 등이 알려져 있다.
본원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무독하여 유익한 효능을 가진 대추씨도 약식 제조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이 단계에서 대추씨가 제거되지 아니한 통대추를 사용하거나 대추씨가 분리된 채로 대추과육과 대추씨를 모두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 1차 대추 건더기에는 대추과육 일부는 물론이고 온전한 형태의 대추씨까지 포함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통대추를 사용하는 경우 1차 대추액을 얻는 단계(2)에서 대추씨의 유용 성분이 1차 대추엑기스로 침출되기 거의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추씨가 분리된 채로 대추과육과 대추씨를 사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추씨의 유용성분은 대추씨의 내부 핵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대추를 통째로 분쇄하는 단계;를 단계(2) 이전에 미리 실시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서는 1차 대추액을 얻는 단계(2);에서 사용되는 상기 대추가 대추과육 및 대추씨가 모두 분쇄된 대추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대추과육 및 대추씨가 모두 분쇄된 대추를 사용하는 바, 특히 대추씨 내부 핵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1차 대추액(그리하여, 1차 대추 엑기스)으로 용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에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끓여 2차 대추 엑기스를 얻고 이를 2차 대추 엑기스와 2차 대추 건더기로 분리한다(단계 3).
솥에 물과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100 ℃를 유지하면서 6시간 이상(대략 강불 2시간, 중불 2시간, 약불 2시간)을 끓여서(달여서) 생성된 2차 대추액을 메쉬망으로 걸러서 액상의 2차 대추 엑기스와 고상의 2차 대추 건더기를 분리하여 얻는다.
2차 대추 건더기에는 1차 대추액으로 용출되지 않은 성분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물에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다시 끓이면 대추과육 및 대추씨에 잔존하는 유용한 성분을 최대한 용출시킬 수 있다. 최대한의 용출 필요에 따라 본 단계(3)를 수 회 더 반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대추씨 내부 핵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약성 및 용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추씨를 미리 배전(볶음)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단계(2)와 단계(3) 사이에 1차 대추건더기로부터 분리수거한 대추씨를 볶은 후 쪼개서 핵이 노출된 대추씨를 다시 1차 대추건더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미리 실시할 수 있다. 대추씨를 볶으면 핵이 노출되도록 대추씨를 쪼개기가 더 용이하며 유용성분의 약성 및 용출량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핵이 노출된 대추씨를 사용하는 바, 특히 대추씨 내부 핵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전혀 유실됨 없이 2차 대추액(그리하여, 2차 대추 엑기스)으로 고스란히 용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설탕이 카라멜라이징될 때까지 간접 가열하여 설탕 카라멜을 얻는다(단계 4).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무독하며 유익한 효능을 가진 대추씨도 약식 제조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대추씨의 쓴 맛이 용출되므로 약식의 맛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쓴 맛이 상쇄되도록 본원 약식 제조방법에서는 설탕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설탕을 솥 냄비 팬 등에 넣고 대략 직간접 가열하여 열분해시켜 카라멜라이징함으로써 생성되는 설탕 카라멜 특유의 풍미로 대추씨의 쓴 맛을 마스킹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대추 엑기스, 2차 대추 엑기스 및 설탕 카라멜을 혼합하고 끓여 농축된 약식소스를 마련한다(단계 5).
앞에서 얻은 1차 대추 엑기스와 2차 대추 엑기스 및 설탕 카라멜을 혼합하고 이를 끓여서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시킴으로써 약식소스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약식소스에 소금 및 간장 등을 염미료를 첨가하여 약식소스의 풍미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찐찹쌀에 일정량의 약식소스를 부어 넣은 후 밥을 지어 약식을 제조한다(단계 6).
솥 바닥에 찐찹쌀을 평평하게 깔고 찐찹쌀에 일정량의 약식소스를 부어 넣은 후 뚜껑을 닫고 밥을 지어 약식을 제조할 수 있다.
고명으로 대추, 곶감, 각종 견과류(밤, 호두, 잣 등)를 찐찹쌀 위에 올려 넣고 밥을 지을 수 있으며, 약식의 영양 밸런스, 다양한 식감, 완성된 풍미를 위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 통대추를 사용하는 약식 제조방법
건찹쌀 20 kg을 물로 3회 세척한다. 들통에 세척된 찹쌀을 넣고 물 50 kg를 부어 넣고 1.5~2시간 동안 침수시켜 찹쌀을 불린 다음, 불려진 찹쌀을 찜기에 넣고 수증기로 쪄서 찐찹쌀을 마련한다.
솥에 세척된 통대추 15 kg(대추과육 10 kg + 대추씨 5 kg), 계피 0.5 kg, 생강 0.5 kg을 넣고 물을 200 kg 부터 넣은 후 강불로 가열한다. 끓기 시작 후 2시간 동안 강불로, 이후 2시간 동안 중불로, 이후 2시간 동안 약불로 총 6시간 동안 끓여서 1차 대추액을 얻고 이를 메시망으로 걸러서 액상의 1차 대추 엑기스와 고상의 1차 대추 건더기(대추과육과 대추씨, 계피, 생강 고형분 함유)로 분리한다.
솥에 1차 대추 건더기를 넣고 물 200 kg을 새로 부어 넣은 후 강불로 가열한다. 끓기 시작 후 1시간 동안 강불로, 이후 1시간 동안 중불로, 이후 1시간 동안 약불로 총 3시간 동안 끓여서 2차 대추액을 얻고 이를 메시망으로 걸러서 액상의 2차 대추 엑기스와 고상의 2차 대추 건더기(대추과육과 대추씨, 계피, 생강 고형분 함유)로 분리한다.
한편, 팬에 설탕 8 kg을 넣고 약불로 가열하여 100 ℃로 승온시켜 설탕을 녹여서 갈변된 설탕 카라멜을 얻는다.
1차 대추 엑기스, 2차 대추 엑기스 및 설탕 카라멜을 섞고 끓여 최종 40 kg의 약식소스(베이스)를 얻고, 소금 1.73 kg과 간장 5.4 kg을 혼합하여 약식소스를 마련한다.
마련된 찐찹쌀에 약식소스를 부어 넣고 대추, 곶감, 밤, 호두 및 잣을 찐찹살 위에 올려 놓은 다음 뚜껑을 덮고 밥을 지어 약식을 제조한다.
제2 실시예: 분쇄된 대추를 사용하는 약식 제조방법
솥에 세척된 통대추 15 kg(대추과육 10 kg + 대추씨 5 kg)를 넣는 대신에, 세척된 통대추 15 kg을 분쇄하여 분쇄된 대추과육과 분쇄된 대추씨를 솥에 넣는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약식을 제조한다.
제3 실시예: 볶은 대추씨를 사용하는 약식 제조방법
찐찹쌀을 마련하고, 액상의 1차 대추 엑기스와 고상의 1차 대추 건더기(대추과육과 대추씨, 계피, 생강 고형분 함유)로 분리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1차 대추 건더기로부터 대추씨를 분리 수거하여 팬에 올려 놓고 약불로 볶아서 수분이 제거된 대추씨를 휘저어주면서 타닥타닥 소리가 날 때까지 더 볶는다. 볶아진 대추씨들을 10 분간 공냉시킨 후 씨껍질이 깨질 정도로 망치로 가볍게 내리치니 내부의 핵이 드러난다. 껍질이 깨녀 핵이 노출된 대추씨들을 1차 대추 건더기에 다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후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약식을 제조한다.
비교예: 대추과육만 사용하는 약식 제조방법
솥에 세척된 통대추 15 kg(대추과육 10 kg + 대추씨 5 kg)를 넣는 대신에 대추씨가 제거된 대추과육 10 kg을 넣는 것과, 설탕 카라멜을 넣는 대신에 설탕 8 kg을 넣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약식을 제조한다.
실험예: 약식 풍미 테스트
10대부터 60대까지 남녀 각 5인으로 구성된 총 60인을 약식 풍미 평가단 패널로 위촉하여 본원 발명에 따르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과 종래 방법에 따르는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을 시식케하고 약식의 쓴맛에 대해 5점 척도(5점: 매우 씀, 4점: 약간 씀, 3점: 보통, 2점: 쓰지 않음, 1점: 전혀 쓰지 않음)과 전체적인 풍미에 대해 5점 척도(5점: 매우 맛있음, 4점: 맛있음, 3점: 보통, 2점: 맛없음, 1점: 매우 맛없음)로 설문 평가하도록 한다.
쓴 맛에 대한 설문 평가는 연령대 구분 없이 전체 합산 후 평균값을 계산하고, 전체적인 풍미에 대한 설문 평가 결과는 연령대별로 합산 후 평균값을 계산한 약식 풍미 테스트 결과는 아래의 표로 정리된다.
쓴 맛 비교예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전체 연령대 1.5 2.1 2.3 2.6
전체적 풍미 비교예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10대 2.3 3.5 3.6 3.9
20대 3.3 4.2 4.4 4.5
30대 3.6 4.4 4.5 4.7
40대 3.7 4.5 4.6 4.7
50대 3.9 4.6 4.7 4.8
60대 3.8 4.6 4.8 4.9
위 표의 쓴 맛 설문 평가 결과를 살펴보건대, 본원 발명에 따르는 대추씨도 사용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은 대추씨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에 비해 쓴 맛이 강하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미미한(최소 0.6 ~ 최대 1.1)하며 제3 실시예의 경우도 절대적으로 쓰지 않다고 평가된 바, 설탕 카라멜에 의한 쓴 맛 마스킹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전체적인 풍미 설문 평가 결과를 살펴보건대, 약식을 좋아하지 않는 10대 패널들을 제외하고는 20대 ~ 60 대까지 본원 발명에 따르는 대추씨도 사용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은 전체적인 풍미가 좋거나 매우 좋은 것으로 평가된 반면, 대추씨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은 전체적인 풍미가 보통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은 쓴 맛을 포함하여 다양한 맛이 조화를 이룬 반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약식은 단 맛이 압도하는 단조로운 풍미로 인해 전체적인 풍미의 밸런스가 좋지 않는 탓으로 해석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약식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장치는 전술한 찹쌀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찹쌀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렇게 세척된 찹쌀을 수침하여 충분히 불림을 수행한 후 탈수하는 일련의 찹쌀 준비 과정을 수행하여 찹쌀 내 불순물을 최대한 배제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약식 제조장치는 크게, 세미부(100), 수침부(200) 및 탈수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미부(100), 수침부(200) 및 탈수부(300)는 전후로 인접 배치되어 찹쌀의 세척, 불림 및 탈수를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세미부(100)로 공급된 찹쌀은 먼저, 세미부(100)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 이어서 수침부(200)에서 불림 처리되고, 이어서, 탈수부(300)에서 적절히 탈수 처리가 이루어진 후 정량 배출이 이루어진다.
먼저, 세미부(100)는 찹쌀을 세척하는 구성으로, 찹쌀에 세척수를 혼합한 후 이를 회전력을 통해 교란하여 기계적인 힘으로 찹쌀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세미부(100)는 크게, 세척조(110), 패들부재(120), 세척수드레인(130) 및 쌀배출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세척조(110)는 세미부(100)의 전체적인 외관(221)을 구성하며,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찹쌀과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세척조(110)의 상단은 개방 형성되어 내부로 찹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세척 과정에서 세척조(110)의 밀폐를 위해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도어(111)가 설치될 수 있다. 세척조(110)에는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112)이 직결되어 급수관(112)을 통해 세척조(1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척조(110)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와 찹쌀은 후술 될 패들부재(120)에 의해 서로 강하게 혼합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찹쌀의 세척이 유도된다.
세척조(110) 내에서 찹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수와 찹쌀은 각각 세척조(110)로부터 분리 배출한 후 세척수의 경우 재사용을 위해 환류시키거나 혹은 폐기 처리하고, 찹쌀의 경우 후술 될 수침부(200)로 전달한다.
이때, 세척조(110) 내에 혼재된 찹쌀과 세척수의 개별적인 분리 배출을 위하여 세척조(110)의 내측 바닥면에 제1 배출구(113)와 제2 배출구(114)가 형성된다.
제1 배출구(113)로는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고, 제2 배출구(114)로는 세척 완료된 찹쌀이 배출되어 수침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3)와 제2 배출구(114)는 각각 서로 연통되지 아니한 독립적인 구성으로서, 특히, 제1 배출구(113)를 통해 찹쌀이 배출돼 유실되지 아니하도록, 제1 배출구(113)에는 세척조(110) 내 찹쌀의 배출을 제한하는 그레이팅(1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출구(113)가 개방되면 세척조(110) 내 저류된 세척수만 제1 배출구(113)를 통과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찹쌀의 경우 그레이팅(115)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서 세척조(110) 내 잔류하게 되는 한편, 세척조(110) 내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됨에 따라 제2 배출구(114)가 개방되면 세척조(110) 내 세척 완료된 찹쌀은 제2 배출구(114)를 통해 수침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세척수드레인(130)은 제1 배출구(113)와 직결되어 제1 배출구(113)로 유입된 세척조(110) 내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관형 구성으로서, 경로상에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제1 컨트롤밸브(131)가 설치되어 제1 컨트롤밸브(131)의 제어에 의해 세척조(110) 내 세척수를 배출 제어할 수 있다,
세척수드레인(130)의 일단은 제1 배출구(113)에, 타단은 폐수처리시설을 향해 배치돼, 사용한 세척수를 그대로 폐기하거나 혹은 별도의 정화장치를 경유하여 세척수를 적절히 정화처리한 후 급수관(112)으로 연합하여 한 번 사용한 세척수를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찹쌀배출부재(140)는 제2 배출구(114)에 직결되어 세척조(110) 내 찹쌀을 수침부(200)로 압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찹쌀배출부재(140)를 통해 세척조(110) 내 세척 완료된 찹쌀이 수침부(200)로 공급돼 수침부(200)에서 불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침부(200)로 이동하는 찹쌀에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세척 과정에서 사용한 잔류 세척수를 포함한 상태일 수 있다.
세척조(110) 내 찹쌀을 압송하기 위한 쌀배출부재(140)는 크게, 찹쌀이송관(141), 배출펌프(142) 및 제2 컨트롤밸브(1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찹쌀이송관(141)은 찹쌀이 이송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관형 구조로서, 일단은 제2 배출구(114)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침부(200)의 직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러한 찹쌀이송관(141)의 경로상에 배출펌프(142)와 제2 컨트롤밸브(143)가 설치되는 한편 배출펌프(142)는 세척조(110) 내 찹쌀을 수침부(200) 방향으로 압송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여 세척조(110) 내 세척 완료돼 보관된 찹쌀을 찹쌀이송관(141)으로 유도해 수침부(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밸브(143)는 찹쌀이송관(141)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2 컨트롤밸브(143)의 제어에 의해 세척조(110) 내 찹쌀을 배출 제어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밸브(131)와 제2 컨트롤밸브(143)는 찹쌀의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와 찹쌀의 임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세척수드레인(130)과 찹쌀이송관(141)을 폐쇄할 수 있고, 세척이 완료됨에 따라, 제1 컨트롤밸브(131)가 먼저 작동해 세척수드레인(130)을 개방하여 세척수드레인(130)으로 세척수가 배수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세척조(110) 내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1 컨트롤밸브(131)가 작동해 세척수드레인(130)을 폐쇄함에 이어서, 제2 컨트롤밸브(143)가 작동해 찹쌀이송관(141)을 개방해 배출펌프(142)의 흡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찹쌀을 압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세척조(110) 내 세척수의 과공급 및 패들부재(120)의 작동에 의해 세척조(110) 내에서 세척수가 강하게 요동칠 경우 세척수가 세척조(110) 내 제한 수위를 초과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척조(110)의 상단에는 세척수가 일정 수위를 넘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수위조절부재(116)가 형성되어 급수 또는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가 세척조(110) 밖으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례로, 수위조절부재(116)는, 세척조(110)의 상단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저류홈(116a) 및 저류홈(116a)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저류홈(116a)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세척조(11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홀(116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세척조(110) 내 제한 수위를 초과한 세척수는 1차적으로 상기 저류홈(116a)으로 넘쳐 흘러 유입되면서 세척조(110) 기존 세척수와 격리 수용되고, 이렇게 저류홈(116a)으로 유입된 초과량의 세척수 또는 세척 과정에서 과하게 넘쳐 흐르는 세척수는 저류홈(116a)에 구비된 배수홀(116b)을 타고 세척조(110) 밖으로 배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들부재(120)는 세척조(1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조(110) 내부로 채워진 찹쌀과 세척수를 교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세척조(110) 내에 채워진 세척수와 찹쌀이 불규칙하게 교란 내지 혼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패들부재(120)의 회전 작용에 따라 세척조(110) 내부에서는 강한 회전 와류의 물살이 형성되고 동시에, 패들부재(120) 자체의 회전력에 의해 세척수에 혼합된 찹쌀에 관성 충돌을 유도하여 찹쌀의 불순물이 세척수에 용이하게 해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들부재(120)는 크게, 구동모터(121), 수평교란대(122) 및 연결대(1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구동모터(121)는 세척조(110)의 외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작동하는 작동축(121a)이 세척조(110)의 내측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세척조(110) 내부를 가로지른 작동축(121a)에 수평교란대(122)와 연결대(123)가 연계 설치되어 구동모터(121)의 회전력에 의해 세척조(110) 내에서 정역방향 회전 작동할 수 있다.
수평교란대(122)는 구동모터(121)의 작동축(121a) 주변에서 작동축(121a)에 일정 거리 편심된 상태로 작동축(121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작동축(121a) 주위에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교란대(122)는 작동축(121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를 회전 이동하면서 세척조(110) 내 찹쌀을 퍼 올리거나 혹은 세척수에 와류를 가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원통형 막대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수평교란대(122)를 원통형 막대 구조로 구현하여 회전 이동하는 수평교란대(122)에 의해 찹쌀의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만일, 강한 와류 발생 및 교반 효율을 고려해 수평교란대(122) 자체를 날카로운 블레이드나 나선형 구조로 구현하게 되면 찹쌀의 세척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에 의해 찹쌀이 과도하게 세척되어 찹쌀의 표면에 형성된 유효성분들까지 제거가 되는 문제가 있으며, 심하게는 찹쌀 입자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렇게, 찹쌀의 세척 단계에서 찹쌀 입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후술 될 수침부(200)에서 찹쌀의 불림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수평교란대(122)는 이러한 찹쌀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 유리한 특징이 있다.
연결대(123)는 상기 복수 개의 수평교란대(122) 또는 수평교란대(122)와 작동축(121a)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작동축(1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수평교란대(122) 또는 수평교란대(122)와 작동축(121a)을 부분적으로 연결한다.
인접한 수평교란대(122), 수평교란대(122)와 작동축(121a) 또는 각각의 연결대(123)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는 구조이고, 이렇게 형성된 공극으로 찹쌀과 세척수의 통과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패들부재(120)에 회전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침부(200)는 세미부(100)로부터 세척된 세척 찹쌀을 공급받아 물에 불림하는 구성이다.
찹쌀의 불림 처리를 통하여 충분한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적당한 불림 처리가 됨으로 인해 찹쌀이 촉촉하고 윤기가 흐르게 되며 탄력있는 식감과 풍미를 제공함은 물론 증숙 과정에서 설익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수침부(200)는 불림 이후의 불림수와 찹쌀의 분리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불림 이후의 찹쌀 배출시 배출 압력을 최소화해 이 과정에서 찹쌀의 수분이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만일, 찹쌀의 배출 과정에서 과도한 압력이 찹쌀에 가해지게 되면 찹쌀이 머금은 수분을 되려 유출하게 되는 압착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침부(200)는 크게, 수침조(210), 수렴관부재(220) 및 플랩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수침조(210)는 상단이 개방된 상광하협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상부에 이격 설치된 상기 찹쌀이송관(141)의 타단을 통해 세척 완료된 찹쌀 및 불림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찹쌀은 수침조(210) 내부에서 불림이 수행되고, 후술 될 수렴관부재(220)와 플랩부재(230)의 작용에 따라 자중에 의해 탈수부(300) 측으로 배출 처리가 유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렴관부재(220)는 수침조(2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수침조(210) 내 찹쌀 및 불림수를 중앙으로 모아 탈수부(300)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특히, 수렴관부재(220)는 불림 완료된 찹쌀은 자중에 의해 탈수부(300)로 자유낙하시키고, 불림에 사용된 불림수는 별도 폐수처리시설을 향해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 배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수렴관부재(220)는 외관(221), 내관(222), 캡(223), 불림수드레인(224) 및 커튼(2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외관(221)은 수렴관부재(220)의 최외부를 구성하며, 수침조(210)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단은 탈수부(3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개방 자유단 형태를 이루는 관형 구조물이다.
내관(222)의 경우 수침조(210)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관(221)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오프셋 배치되어 외관(221)과 2중관 구조를 구현한다.
이에 외관(221)과 내관(222)의 사이에는 불림수유출공간(226)이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내관(222)은 외관(221)을 향하는 방향으로 불림수의 유출은 가능하되, 찹쌀의 유출은 제한하는 투과성 망사관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관(222)으로 유입된 불림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불림수유출공간(226)으로 유도되고, 찹쌀은 불림수유출공간(226)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외관(221)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보수홀(221a)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보수홀(221a)에 캡(223)이 결합되어 보수홀(221a)을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캡(223)을 분리해 보수홀(221a)을 개방하면 내관(222)을 개방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개방된 내관(222)에 낀 스케일이나 찹쌀 등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불림수드레인(224)은 외관(221)에서 분기 형성되며 내관(222)에서 유출돼 불림수유출공간(226)에 저장된 불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관로를 제공한다.
불림수드레인(224)의 일단은 불림수유출공간(226)과 연통되고, 타단은 폐수처리시설로 연결되어 불림수를 폐수처리시설로 배출 처리하는 한편, 불림수드레인(224)의 관로상에는 제3 컨트롤밸브(224a)가 설치되어 불림수드레인(224)의 관로를 개폐 제어할 수 있다.
커튼(225)은 외관(221)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관(221)의 개방된 하단으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탈수부(300) 위에 안착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후술 될 탈수부(300)는 자중에 의한 탈수를 고려해 일정 각도 사선으로 경사 배치되어 찹쌀을 일렬로 이송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커튼(225)은 이러한 탈수부(300)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이 이루어지게끔 하단은 탈수부(300)의 경사 각도에 맞게 경사 형성이 이루어지고, 탈수부(300)로 배출된 찹쌀이 탈수부(300)의 이송 방향해 추종해 통과 가능하게끔 타측 일부분이 터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튼(225) 내측으로 배출된 찹쌀은 커튼(225) 내부에 가로막혀 탈수부(300) 위에서 튐이나 불규칙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탈수부(300)의 이송 역방향으로의 흐름이 제한되면서 탈수부(300)를 타고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 배출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찹쌀과 함께 유출된 불림수는 탈수부(300) 위에서 커튼(225)과의 틈으로 빠져나가 원활히 배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커튼(225)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실리콘이나, 고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플랩부재(230)는 수렴관부재(220)에 설치되며 수렴관부재(220)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여 상기 수침조(210) 내 불림된 찹쌀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플랩부재(230)가 수렴관부재(220)의 내부 관로를 폐쇄할 경우 찹쌀의 배출이 제한될 수 있고, 플랩부재(230)가 수렴관부재(220)의 내부 관로를 개방할 경우 찹쌀의 배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랩부재(230)의 작용과는 별개로 수침조(210) 내 불림수는 제3 컨트롤밸브(224a)의 제어를 통해 수침조(210) 내에서 독립적으로 배출이 가능한 구조상 찹쌀의 불림이 완료되면 불림수의 선 배출 후 이어서, 찹쌀을 배출하여 찹쌀에 배출 압력이 불필요하게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플랩부재(230)는 일례로, 플랩패널(231) 및 플랩모터(2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플랩부재(230)는 내관(222)의 내측 하단 지점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박판 구조의 구조물이며, 플랩부재(230)의 배치 각도에 따라 내관(222)의 하부 관로가 개폐될 수 있다.
플랩모터(232)는 외관(221)의 외측에 장착된 상태로 플랩부재(2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플랩부재(230)를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플랩패널(231)이 내관(222)의 하단 관로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랩패널(231)이 내관(222)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그 위로 찹쌀이 적층되어 내관(222) 내측을 채우게 되며, 이때, 불림수의 경우 내관(222) 사방으로 유출이 되면서 불림수드레인(224)을 통해 임의 선배출 처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탈수부(300)는 불림 처리된 찹쌀의 탈수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탈수부(300)에서 진행되는 찹쌀의 탈수라 함은 불림된 찹쌀이 머금은 물기를 완전히 건조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찹쌀에 흡수되지 아니한 잉여 물기를 제거하는 정도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잉여 물기를 제거하지 않게 되면 찹쌀의 계량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탈수부(300)는 찹쌀의 과도한 탈수를 막고, 잉여 물기만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일단으로 상기 수침부(200)에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인계받아 일렬로 경사 이동시키며 탈수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탈수부(300)의 타단 직하부에는 저울이 배치될 수 있고, 탈수부(300)는 이러한 타단 직하부에 배치된 저울을 향해 탈수 처리된 찹쌀을 자유낙하시킬 수 있으며, 저울에 올려진 찹쌀이 기설정된 무게가 되면 탈수부(300)의 작동이 자동으로 중단되어 찹쌀의 계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수부(300)는, 경사받침대(310), 컨베이어부재(320), 제1 스크래퍼(330) 및 제2 스크래퍼(3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경사받침대(310)는 컨베이어부재(320)를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경사받침대(310) 위에 설치된 컨베이어부재(320)는 일단은 수렴관부재(220)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져 사선으로 경사 배치됨으로써 수렴관부재(220)로 배출된 불림된 찹쌀을 안착 이동시키는 와중에 자중에 의해 불림수가 제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컨베이어부재(320)의 일단으로 안착된 찹쌀은 컨베이어부재(320)의 타단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잉여 물기는 자중에 의해 흘러 제거가 되고, 타단에서 자유낙하하여 저울에 안착된다.
컨베이어부재(32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21), 제1 롤러작동대(322), 제2 롤러작동대(324), 제1 작동롤러(323), 제2 작동롤러(325), 벨트(326) 및 컨베이어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321)은 좌우로 대칭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내부로 제1 작동롤러(323), 제2 작동롤러(325) 및 벨트(326)의 설치공간을 구성한다.
지지프레임(321)의 일단에는 제1 롤러작동대(322)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제2 롤러작동대(324)가 설치되는 한편, 제1 롤러작동대(322)와 제2 롤러작동대(324) 상에 제1 작동롤러(323)와 제2 작동롤러(325)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끔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21)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 가이드홀(321a)과 제2 가이드홀(321b)이 지지프레임(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홀(321a)과 제2 가이드홀(321b)의 형성 범위 내에서 제1 롤러작동대(322)와 제2 롤러작동대(324)가 위치 이동하여 제1 작동롤러(323)와 제2 작동롤러(325)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프레임(321)의 일단에는 제1 고정너트(32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에는 제2 고정너트(32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너트(321c)에는 후술 될 제1 롤러작동대(32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제2 고정너트(321d)에는 제2 롤러작동대(324)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롤러작동대(322)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21)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321) 일단에서 제1 작동롤러(323)를 지지한 채로 지지프레임(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롤러작동대(322)는 제1 작동롤러(323)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베어링축(322a)과 제1 베어링축(322a) 단부에 수직으로 교차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너트(321c)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1 나사체(322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나사체(322b)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제1 가이드홀(321a)의 형성 범위 내에서 제1 베어링축(322a) 및 이에 결합 지지된 제1 작동롤러(323)가 왕복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롤러작동대(324)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21)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321) 타단에서 제2 작동롤러(325)를 지지한 채로 지지프레임(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롤러작동대(324)는 제2 작동롤러(325)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어링축(324a)과 제2 베어링축(324a) 단부에 수직으로 교차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너트(321d)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제2 나사체(324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나사체(324b)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제2 가이드홀(321b)의 형성 범위 내에서 제2 베어링축(324a) 및 이에 지지된 제2 작동롤러(325)가 왕복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벨트(326)는 제1 작동롤러(323)와 제2 작동롤러(325)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안착된 찹쌀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제1 작동롤러(323)와 제2 작동롤러(325)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이에 감기는 벨트(326)의 장력을 조절한다거나 혹은 찹쌀 이동 경로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컨베이어모터는 제1 작동롤러(323) 또는 제2 작동롤러(325)에 결합돼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그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는 찹쌀을 컨베이어부재(320)의 벨트(326)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기 위한 구성으로, 벨트(326) 위 찹쌀에는 잉여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점성에 의해 벨트(326)에 흡착되는 성질로 인해 벨트(326)로부터 자중에 의한 탈락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가 벨트(326)에 흡착된 찹쌀을 강제 탈락시킴으로써 탈수부(300)로부터 찹쌀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먼저, 제1 스크래퍼(330)는 컨베이어부재(320)의 타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재(320)의 타단으로 이동한 찹쌀을 컨베이어부재(320)의 벨트(326)로부터 탈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스크래퍼(330)는 고정형 구성이고, 이러한 고정형 제1 스크래퍼(330)를 벨트(326)가 통과하는 와중에 벨트(326) 위 찹쌀이 제1 스크래퍼(330)에 걸려 벨트(326)로부터 자연스럽게 탈락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크래퍼(330)에 의해 탈락된 찹쌀은 저울로 낙하되는 한편, 경우에 따라 제1 스크래퍼(330)의 작용에 의해서도 벨트(326)로부터 탈락되지 못한 찹쌀은 이어서 배치된 제2 스크래퍼(340)를 통과하며 벨트(326)로부터 완전히 탈락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2 스크래퍼(340)는 제1 스크래퍼(33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컨베이어부재(3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스크래퍼(330)에 의해 탈락되지 아니한 잔류 찹쌀을 컨베이어부재(320)의 벨트(326)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다.
즉, 벨트(326) 위 찹쌀은 상기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벨트(326)로부 터 완전히 탈락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그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 상황에 따라 벨트(326)로부터 이격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일례로, 각각의 지지프레임(321)에는 힌지대(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 양 단부는 상기 힌지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대(311)를 기준으로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의 설치 각도를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의 양 단부에는 상기 힌지대(311)에 축결합하는 힌지축(331,341)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331, 341)의 양단에는 힌지축이 일정한 각도로 설정된후에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나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구조의 일례로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스크래퍼(340)는 힌지축(341)에 'ㄷ'자 형태의 고정집게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고, 제1 스크래퍼(330)는 힌지축(331)에 긴 막대가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 맞닿는 긴 막대가 부착된 형태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1 스크래퍼(330)와 제2 스크래퍼(340)의 설치 각도를 다르게 하여, 제1 스크래퍼(330)의 말단과 벨트(326)사이의 거리가 제2 스크래퍼(340)와 벨트(326)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는 제1 스크래퍼(330)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찹쌀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제1 스크래퍼(330)의 말단과 벨트(326)사이의 거리가 좁으면 찹쌀이 부서질 가능성이 있으며,
제2 스크래퍼(340)와 벨트(326)사이의 거리가 좁은 이유는 여기서 찹쌀이 떨어지지 않으면 찹쌀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1 스크래퍼(330)에 의해 탈락된 찹쌀은 저울로 자유낙하하게 되고, 제2 스크래퍼(340)에 의해 탈락되는 찹쌀을 별도 회수 처리를 하기 위하여 경사받침대(310)에는 제2 스크래퍼(340) 직하부에서 제2 스크래퍼(340)에 의해 컨베이어부재(320)의 벨트(326)로부터 탈락되는 찹쌀을 수납하는 수납함(31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받침대(310)에는 상기 수납함(312)이 서랍 방식으로 인출입 되도록 수납함(312)을 지지하는 함안착대(313)가 구비되어 수납함(312)에 회수된 찹쌀을 보다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회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0: 세미부
200: 수침부
300: 탈수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찹쌀을 세척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로부터 세척된 세척 찹쌀을 공급받아 물에 불림하는 수침부; 및
    일단으로 상기 수침부에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인계받아 일렬로 경사 이동시키며 탈수 처리하며, 타단 직하부에 배치된 저울을 향해 탈수 처리된 찹쌀을 자유낙하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침부는,
    상단이 개방된 상광하협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상부에 이격 설치된 찹쌀이송관의 타단을 통해 세척 완료된 찹쌀 및 불림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수침조;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수렴관부재; 및
    상기 수렴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수렴관부재의 관로를 개폐 제어하여 상기 수침조 내 불림된 찹쌀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플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렴관부재는,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측에는 복수 개의 보수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외관;
    상기 복수 개의 보수홀 각각에 결합되어 보수홀을 개폐하는 캡;
    상기 수침조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관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오프셋 배치되며 상기 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불림수의 유출은 가능하되, 찹쌀의 유출은 제한하는 투과성 망사 구조의 내관;
    상기 외관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내관에서 유출된 불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불림수드레인; 및
    상기 외관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관의 개방된 하단으로 배출되는 불림된 찹쌀을 탈수부 위에 안착 가이드하는 커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부재는,
    상기 내관의 내측 하단 지점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박판 구조의 플랩패널; 및
    상기 플랩패널을 회전 작동시켜 플랩패널이 내관의 하단 관로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플랩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경사받침대;
    상기 경사받침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수렴관부재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져 사선으로 경사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렴관부재로 배출된 불림된 찹쌀을 안착 이동시키는 와중에 자중에 의해 불림수가 제거되도록 하는 컨베이어부재;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타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재의 타단으로 이동한 찹쌀을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시키는 제1 스크래퍼; 및
    상기 제1 스크래퍼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컨베이어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스크래퍼에 의해 탈락되지 아니한 잔류 찹쌀을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시키는 제2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받침대에는 상기 제2 스크래퍼 직하부에서 제2 스크래퍼에 의해 컨베이어부재로부터 탈락되는 찹쌀을 수납하는 수납함이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좌우로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일단에서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롤러작동대;
    상기 제1 롤러작동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롤러;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타단에서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롤러작동대;
    상기 제2 롤러작동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롤러;
    상기 제1 작동롤러와 제2 작동롤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안착된 찹쌀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및
    상기 제1 작동롤러 또는 제2 작동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 제조장치.
KR1020230197288A 2023-12-29 2023-12-29 약식 제조장치 Active KR10275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7288A KR102751158B1 (ko) 2023-12-29 2023-12-29 약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7288A KR102751158B1 (ko) 2023-12-29 2023-12-29 약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1158B1 true KR102751158B1 (ko) 2025-01-09

Family

ID=942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7288A Active KR102751158B1 (ko) 2023-12-29 2023-12-29 약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11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794Y1 (ko) * 2003-11-05 2004-02-05 정은수 곡물 세척기
KR200445138Y1 (ko) * 2009-02-27 2009-07-01 최종묵 곡물불림장치
KR100922606B1 (ko) * 2007-10-11 2009-10-21 김태규 대추분말 및 대추씨 추출액을 이용한 면류 및 제조방법
KR102335308B1 (ko) 2019-04-17 2021-12-03 용숙희 약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794Y1 (ko) * 2003-11-05 2004-02-05 정은수 곡물 세척기
KR100922606B1 (ko) * 2007-10-11 2009-10-21 김태규 대추분말 및 대추씨 추출액을 이용한 면류 및 제조방법
KR200445138Y1 (ko) * 2009-02-27 2009-07-01 최종묵 곡물불림장치
KR102335308B1 (ko) 2019-04-17 2021-12-03 용숙희 약식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밥솥 약밥 만드는 법 약식 만들기 영양찰밥, 네이버 블로그(2022.11.17), 인터넷(https://blog.naver.com/pingu528/222930898413) 1부.* *
전통 약식, 흑설탕없이 만들기, 대추고 레시피 ⓦ 홈플러스 설 선물세트, 네이버 블로그(2017.1.20), 인터넷(https://blog.naver.com/mh950621/220916164846)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30325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ocknung einer wässrigen Suspension von körnigen Nahrungsmitteln
CN106722671A (zh) 一种带茶叶清香的南瓜子生产方法及其装置
KR102340028B1 (ko) 커피 체리 가공 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된 추출 생성물
KR101952885B1 (ko) 진공저온유탕기
KR102751158B1 (ko) 약식 제조장치
CN107267278A (zh) 木榨醇香菜籽油的生产方法
KR102751155B1 (ko) 쑥구리 단자 제조장치
KR101596886B1 (ko) 냉각용 이송기 사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CN112273580A (zh) 一种鲜腐竹生产加工工艺
CN113142441A (zh) 一种诺丽果汁及其制备方法
KR100788496B1 (ko) 현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US2209889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glace fruit
KR102557931B1 (ko) 새싹 보리 식혜를 이용한 조청의 제조 방법
KR101596884B1 (ko) 정선기 이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CN107711983A (zh) 一种防治老年便秘的饼干及其制备方法
CN114468229A (zh) 一种耐储存风味豆腐乳的制作工艺
KR20080025887A (ko) 식용 도토리분말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도토리분말 그리고 이 도토리 분말을 함유한 음식
KR101708382B1 (ko) 양파즙의 제조방법
KR101596881B1 (ko)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참기름
CN110786464A (zh) 一种兰花豆的制备方法及兰花豆
KR101778977B1 (ko)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JPH02100656A (ja) かきジュ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24174A (ko) 박피 참기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7591817B2 (ja) 豆類処理装置、あんの製造装置、及び豆類の渋切り管理方法
JPS5696663A (en) Buckwheat t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