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891Y1 - Overfish - Google Patents
Overfi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0891Y1 KR200440891Y1 KR2020070009565U KR20070009565U KR200440891Y1 KR 200440891 Y1 KR200440891 Y1 KR 200440891Y1 KR 2020070009565 U KR2020070009565 U KR 2020070009565U KR 20070009565 U KR20070009565 U KR 20070009565U KR 200440891 Y1 KR200440891 Y1 KR 2004408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
- worn
- wearing
- sewn
- circumfere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6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 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1착용부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2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되어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의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ock, and is provided with a toe portion and a front bottom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are sewn together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but not sewn on one side to be worn on the front of the foot. A first wear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ba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heel portion and the bottom sole fabric of a predetermined width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re sewn and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A second wear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which is not sewn on one side so as to be worn on the heel portion, and having a stretch ban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ening, the first wear portion and the second wear portion It is composed of connecting bands that interconnect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tects and absorbs sweat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sol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shoes or the floor when worn on the feet, Ventilation is performed smoothly with the rest of the body, which does not wrap up to maximize breathability, and each wearing part has elastic bands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hrough elastic force when worn, so that the foot can be easily peeled off during friction with the shoe. 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is related to the over the rope to prevent slipping when walking indoors by forming a non-slip projection.
덧버선, 착용부, 연결밴드, 신축밴드 Overfoot, wearing part, connecting band, elastic ban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verbearing lin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under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연결밴드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and of the overly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under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의 앞부분에 착용하는 제1착용부와, 발이 뒷부분에 착용하는 제2착용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되어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 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고,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ock, and more particularly, a first wearing part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a second wearing part worn on the rear part of the foot, and the first wearing part and the second wearing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nsists of a connecting band that connects the foot to protect the front and back of the foot and the sweat absorbed when worn on the foot or foot, as well as wraps only the front and heel of the foot, so the ventilation is smooth with the rest of the foot Each wearing part is equipped with an elastic band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hrough elastic force when worn, thereby preventing the foot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during friction with the sho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ded wire that can prevent slipping when walking indoors by forming.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발에 신는 목 없는 버선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발가락부와 발의 등을 덮어주는 발등부 및 발의 바닥면과 접하는 발바닥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overfoot refers to a neckless socks worn on the foot, and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toe portion covering the toes as a whole, a foot portion covering the back of the foot, and a sole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이와 같은 덧버선은 기존의 양말과는 달리 착용시 발바닥과 발가락부분 및 발뒤꿈치부분만을 감싸도록 되어 있고, 발목을 감싸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착용감이 편안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socks, the over socks are designed to cover only the sole of the foot, the toes, and the heel when worn, and there are no areas surrounding the ankle, which makes it easy to wear and comfortable to wear.
또한, 종래의 덧버선은 발목부위가 개방되어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구두 등을 신었을 경우에도 착용상태가 노출되지 않는 등의 장점도 있으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ver socks have the advantage that the ankle part is open, so that the wear feeling is excellent and the wearing state is not exposed even when shoes are wor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ventil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은 선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 제 0430698호로 선등록되어 있는바,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conventional overcoat is pre- filed and registered a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0698. The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발가락부(110)와, 발의 등을 덮어주는 발등부(120)와, 발의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부(130)로 구성되는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110)를 발가락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최대크기 망 공을 갖는 통기망부로 형성하고, 상부 발등부(120)는 통기성이 높은 망직으로 형성하며, 바닥부(130)를 땀흡수력이 높은 면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을 착용하게 되면 발가락부분이 망공이 최대한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발가락 골에 습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verfoot, the
또한, 발의 뒷꿈치부분을 감싸는 뒷꿈치(140)를 벗겨짐 방지를 위한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별도의 직물로 구성하여서 바닥부(130)에 재봉형성하였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종래의 덧버선은 발가락 부분에 망공을 형성하여 발에 습이 차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그 외 부분으로는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ver-the-shoulder can form a net in the toe portion to prevent the foot from getting wet to some ext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ion is not made at all in other parts.
즉, 덧버선은 보통 봄이나 가을, 또는 여름과 같은 더운 날씨에 맨발에 주로 신게 되는데, 덧버선을 신고 신발을 착용한 다음 보행할 경우, 발의 앞부분이 통기망부로 이루어져 어느정도 통풍이 이루어지나, 발의 앞부분 외에는 통풍 기능이 저조하여 장시간 착용할 경우 발과 덧버선에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과 관련된 각종 질병(습진, 무좀 등)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usually worn on bare feet in hot weather such as spring, autumn, or summer.When walking after wearing shoes with shoes, the front part of the foot is ventilated to some extent, but the front part of the foot If the ventilation function is poorly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odor occurs in the foot and the underline but also causes various diseases related to the foot (eczema, athlete's foot, etc.).
그리고, 상기의 덧버선은 발의 앞부분이 망사로 이루어져 착용시 또는 보행시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덧버선을 신은 다음 굽 높은 샌들 또는 하이힐을 신을 경우 신체의 하중이 발의 앞부분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발바닥 앞부분의 망사는 하중의 압력을 완화시켜 줄 수 없으므로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overfoot line has a problem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foot is easily broken when worn or walking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foot is worn. Also, when the high-heeled sandals or high heels are worn after the top line, the body load is directed to the front of the foot. Since the mesh cannot relieve the pressure of the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mfortable walking.
또한, 종래의 덧버선을 착용하고 보행할 경우 쉽게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발에 고정하는 부분이 취약하여 구두나 운동화 등의 신발을 신고 보행하거나 달리는 과정에서 신발의 뒤꿈치부와 덧버선의 뒤꿈치를 감 싸는 부분이 마찰되는 경우 쉽게 벗겨져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was a drawback of easily flowing down when walking and wearing a conventional over the line. In other words, the part fixed to the foot while worn on the foot is vulnerable,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when the part of the heel part of the shoe and the part of the heel that wraps the shoe are rubbed while walking or running while wearing shoes or sneakers. There is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1개구부를 형성한 제1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대칭형태로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여 제2착용부가 이루어짐으로써,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ovided with a to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width with excellent elasticity and the front of the foot fabric sewn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one side to be worn on the front of the foot A first wearing portion formed with a first opening that is not sewn on and a heel portion and a foot bottom fabric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first wearing portion, and are sewn together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the heel portion The second wearing part is formed by forming a second opening that is not sewn on one side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foot. It only wraps the heel so that the rest of the foot does not wrap, so the ventilation is smooth. .
그리고, 각각의 착용부 개구부 둘레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d,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n overshoe line that is provided around the opening portion of each wear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hrough the elastic force when worn to prevent peeling off the foot easily when friction with the shoe.
또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의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wearing portion and the second wearing portion by forming a non-slip projec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cover wire that can prevent slipping when walking indoo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등부 와 발앞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 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1착용부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instep of the foot and the front fabric of the predetermined width with excellent elasticity to sew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not sewn on one side to be worn on the front of the foot A first wear portion forming a first opening and having an elastic ban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2착용부와;It is provided with a heel portion and a foot bottom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are sewn together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a second opening which is not sewn on one side to be worn on the heel portion. A second wearing part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wo openings;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wearing portion and the second wear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nection band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연결밴드가 늘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ve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ve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and of the cove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versized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1)은, 탄성력이 뛰어난 반원 형상의 원단(직물지)으로 이루어져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1개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1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14)가 구비되어 제1착용부(1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상기 제1착용부(10)는 소정넓이를 갖는 두겹의 원단, 즉, 발가락부(11)와 발앞바닥부(12)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뒷부분 에는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1개구부(13)를 형성한다.The first wearing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대칭형태로 이루어져 발 뒤꿈치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2개구부(23)가 형성되고 제2개구부(2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24)가 구비된 제2착용부(20)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irst wearing
상기 제2착용부(20)는 소정넓이를 갖는 두겹의 원단, 즉 발뒤꿈치부(21)와 발뒤바닥부(22)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앞부분에는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23)를 형성한다.The second
이때, 상기 발가락부(11)와 발뒤꿈치부(21)의 원단보다 발앞바닥부(12), 발뒤바닥부(22) 원단을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기 위해 연결밴드(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연결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양단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의 양측단 신축밴드(14,24)에 각각 봉제부착된 것이다.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연결밴드(30)는 외면을 제1,제2착용부(10,20)와 동일한 색상의 원단으로 감싸서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갖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로써,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제1, 제2착용부(10,20) 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40)가 형성된 것이다.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versoil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made of the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40)는 연질 합성수지, 고무재질 등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선택하여 원형으로 다수개가 하향으로 돌출부착된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이 되도록 형성하였으나. 전체적인 형상이 원 뿐만 아니라, 사각, 삼각, 회사상표, 동물, 식물 등의 다양한 모양이 되도록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밴드(30)는 외면에 원단을 입히지 않은 것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versoil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screw
즉, 상기 연결밴드(30)는 끈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투명밴드로 이루어진 것이다.That is, the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over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본 고안은 발에 착용시 발의 앞부분과 뒷부분만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신체의 하중이 가해지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front and back of the soles to which the body load is applied by forming only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oot when worn on the foot, and also maximizes breathability by smoothly ventilating the rest of the foot that does not cover the foot. The wearing part of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hrough elastic force when worn, thereby preventing the foot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during friction with the shoe. Also, the bottom part prevents slipping from slipping when walking indoors. It can be prevented.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1)을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손으로 덧버선(1)의 제1착용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제1개구 부(13)를 벌린 다음 발의 앞부분(발가락부분)을 넣게 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in order to wear the
그런 다음, 상기 제1착용부(10)와 연결밴드(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착용부(20)를 잡은 상태에서 발의 뒤쪽으로 잡아당긴 후, 제2개구부(23)를 벌려 발의 뒤꿈치에 넣으면 되는 것이다.Then, while holding the second wearing
이와 같이, 상기 덧버선(1)은 발에 착용할 경우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뒷부분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것이다.As such, when the cover wire (1) is worn on the foot, the front and rear of the sole and the sweat absorbing contact with the sole or the bottom surface, as well as the front and back of the foot only covers the front and back of the foot, so that the ventilation is smoothly made to the rest of the foot Maximized breathability to improve fit.
특히, 상기 덧버선(1)은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가해지는 발바닥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제1, 제2착용부(10,20)가 각각 형성되어 보행시 어느정도 신체 하중의 압력을 완화해 주므로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verfoot (1) is comfortable walking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wearing parts (10, 20)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ole to which the wearer's body load is applied, respectively, to relieve the pressure of the body load to some extent when walking. This can be done
또한, 상기와 같이 통풍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덧버선(1)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발에 땀이 차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발냄새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과 관련된 각종 질병(습진, 무좀 등)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ventil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you wear the overcoat (1) for a long time can prevent the sweat on the foot to prevent the smell of the foot, as well as to induce various diseases (eczema, athlete's foot, etc.) associated with the foot You can prevent it.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프리(FREE)사이즈로 생산·판매되므로, 하나의 덧버선(1)으로 각기 다른 사람의 발 넓이와 길이에 상관 없이 착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덧버선(1)을 신은 다음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할 경우, 제1, 제2착용부(10,20)의 각각의 개구부(13,23)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14,24)가 봉제부착되어 탄성력을 통해 발의 외면과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신발을 신고 보행 할 경우 신발과의 마찰을 통해 덧버선(1)이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밴드(30)도 탄성력을 통해 각각의 착용부(10,20)를 잡아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alking with wearing shoes after wearing the
도 6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착용부(10), 제2착용부(20)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40)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다.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earing
도 7의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밴드(30)를 끈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투명밴드로 형성한 것으로, 맨발에 덧버선(1)을 신은 듯 하게 최대한 보이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의 덧버선(1)을 생산·판매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품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장점이 있다.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7, the
본 고안의 덧버선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제봉하지 않은 제1개구부를 형성한 제1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대칭형태로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한 제2착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verstressed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with excellent elasticity and a fabric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which is sewn to be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but forms a first opening which is not sewn on one side to be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e first wearing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foot fabric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first wearing portion to be sewn along the circumference facing each other, but not sewn to one side to be worn on the heel portion. By forming a second wearing portion that has a second opening that is not formed, it protects the front and back of the soles and the soles of the soles that contact the shoes or the bottom surface when worn on the feet, and also covers only the front and heel of the foot, so that the rest is not wrapped. The ventilation is made smoothly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breathability.
그리고, 각각의 착용부 개구부 둘레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band is provided around the opening of each wearing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through elastic force when worn, thereby preventing the foot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during friction with the shoe.
또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의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non-slip protrusion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wearing portion and the second wearing por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event slipping when walking indoor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9565U KR200440891Y1 (en) | 2007-06-11 | 2007-06-11 | Overfi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9565U KR200440891Y1 (en) | 2007-06-11 | 2007-06-11 | Overfis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0891Y1 true KR200440891Y1 (en) | 2008-07-08 |
Family
ID=4164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9565U Expired - Lifetime KR200440891Y1 (en) | 2007-06-11 | 2007-06-11 | Overfi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0891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978Y1 (en) | 2008-04-17 | 2010-06-09 | 이흥훈 | Overfish |
KR101571692B1 (en) * | 2014-05-20 | 2015-12-04 | 제이엘피트레이딩(주) | Multi-booties |
-
2007
- 2007-06-11 KR KR2020070009565U patent/KR200440891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978Y1 (en) | 2008-04-17 | 2010-06-09 | 이흥훈 | Overfish |
KR101571692B1 (en) * | 2014-05-20 | 2015-12-04 | 제이엘피트레이딩(주) | Multi-booti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1440B2 (en) |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 |
DK2753205T3 (en) | BARFODSSKO | |
US20130133228A1 (en) | Universal, readily interchangeable, and non-gaiter cover for wraping around and decorating only the shaft of an any sized and mundane boot and not the foot of the any sized and mundane boot | |
CN207949063U (en) | It is a kind of to wear quick and safe shoes | |
KR200474152Y1 (en) | Outer socks for preventing from peeling | |
TWD116091S1 (en) | Footwear upper | |
US20020166257A1 (en) | Slip-on shoe | |
JP2007529265A (en) | Ankle support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the ankle support | |
KR102416454B1 (en) | Shoes changeable to Sandal or Slipper | |
TWM455386U (en) | Improvement on a shoe | |
JP5120743B1 (en) | Jumping sho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umping shoes | |
US20090265954A1 (en) | Shoe and Sandal Footwear Combination | |
KR200442594Y1 (en) | Overfish | |
KR200440891Y1 (en) | Overfish | |
KR100420766B1 (en) | A nude socks in shose | |
KR20090110968A (en) | Sandals | |
TWM459743U (en) | Structure of shoes body | |
MXPA06010502A (en) |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 |
KR101188698B1 (en) | Shoes for gips patient | |
KR200396954Y1 (en) | Socks for the art of the fencing | |
CN219249311U (en) | Iron head shoes | |
KR20200072698A (en) | Slip-on socks with anti-peeling function | |
CN201104530Y (en) | Footwear for fencing | |
CN215992923U (en) | Deodorant shoes for men | |
JP3027760U (en) | Multipurpose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61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7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702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20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12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