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94Y1 - Overfish - Google Patents
Overfi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2594Y1 KR200442594Y1 KR2020070010930U KR20070010930U KR200442594Y1 KR 200442594 Y1 KR200442594 Y1 KR 200442594Y1 KR 2020070010930 U KR2020070010930 U KR 2020070010930U KR 20070010930 U KR20070010930 U KR 20070010930U KR 200442594 Y1 KR200442594 Y1 KR 2004425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
- toe
- elastic band
- hook portion
- h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8—Stockings without foo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앞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발가락부와, 발의 앞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에 쿠션부재가 구비된 발바닥부와,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하지 않은 개구된 상태의 삽입부로 이루어진 발 수납부와, 삽입부 일측에 연결되어 발뒤꿈치에 걸리도록 걸이부가 형성된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를 구비하되 신축밴드는 걸이부에서 삽입부 상·하테두리에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발 수납부는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된 것으로써,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신축밴드가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이 착용이 가능하며, 또한, 발 수납부를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하여 형성함으로써 걸이부의 신축밴드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ole, made of excellent elastic material, the toe part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oot, the foot part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and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on the upper part, and one side part to be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A foot receiving portion consisting of an unsealed opening portion and a hook portion formed with a hook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be hung on the heel, wherein the hook portion has elastic bands at the top and bottom thereof, and the elastic band is the hook portion. It is provided so as to extend to the upper and lower edge of the insert portion, the foot receiving portion is sewn with a plurality of pieces of fabric, the hanger consisting of stretch fabric and elastic band is securely fixed to the heel does not easily peel off from the foot In addition, the elastic band of the insertion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can be worn stably, Relates to deotbeoseon with improved fit by formed by sewing a plurality of cloth pieces to prevent the elastic band portion is hanging hook portion supported by a bias force to the elongated housing portion that is one-sided in the heel so as to have a balance.
덧버선, 삽입부, 걸이부, 발 수납부 Overlay wire, insertion part, hanger part, foot storing part
Description
도 1a,도 1b는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도.Figure 1a,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versized wire, a state of us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under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단면도.Figure 5a,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state cross-sectional view.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단면도.Figure 6a,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state cross-sectional view.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under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덧버선 10 : 발 수납부1: cover line 10: foot storage
11 : 발가락부 12 : 발바닥부11: toe part 12: sole
13 : 연결부 14 : 삽입부13
17 : 연결밴드 16 : 쿠션부재17: connecting band 16: cushion member
20 : 걸이부 30 : 신축밴드20: hook portion 30: elastic band
40 : 원적외선 방사물질 50 :발가락 끼움공40: far-infrared radiation 50: toe-fitting hole
51 : 구획부 60 : 개구부51: partition 60: opening
61 : 지지끈61: support string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삽입부를 갖는 발 수납부가 형성되고 발 수납부의 일측에 걸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이부는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가 구비되되, 상기 신축밴드는 걸이부에에서 삽입부 상하부 테두리에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으로써,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신축밴드가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며, 또한, 발 수납부를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하여 형성함으로써 걸이부의 신축밴드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the-shoulder, more specifically made of a highly elastic fabric formed foot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ortion to be worn on the front of the foot and forming a hook portion on one side of the foot receiving portion, the hook portion is the top and bottom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hook portion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hook portion, the hook portion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elastic band is securely fixed to the heel is not easily peeled off from the foot In addition, the elastic band of the insertion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for stable wearing, and the foot receiving part is formed by sewing a plurality of pieces of fabric so that the elastic band of the hook part is supported by the unbiased force supported by the heel Wear comfort by preventing unilateral stretching of foot storage It is about improved oversock.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발에 신는 목 없는 버선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발가락부와 발의 등을 덮어주는 발등부 및 발의 바닥면과 접하는 발바닥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overfoot refers to a neckless socks worn on the foot, and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toe portion covering the toes as a whole, a foot portion covering the back of the foot, and a sole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이와 같은 덧버선은 기존의 양말과는 달리 착용시 발바닥과 발가락부분 및 발뒤꿈치부분만을 감싸도록 되어 있고, 발목을 감싸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착용감이 편안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socks, the over socks are designed to cover only the sole of the foot, the toes, and the heel when worn, and there are no areas surrounding the ankle, which makes it easy to wear and comfortable to wear.
또한, 발목부위가 개방되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구두 등을 신었을 경우에도 착용상태가 노출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nkle is op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aring condition is excellent and the wearing state is not exposed even when shoes are worn.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은 실용신안등록 제 0430698호로 선등록되어 있는바,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conventional overcoat is register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0698.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as follows.
도 1a, 도 1b는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도로써, 발의 통기성을 높을 수 있게 발가락부분만이 덮여지는 발가락덮개부(100)와 상기 발가락덮개부(100)의 착용상태가 유지되게 발가락덮개부(100)의 후단 양단부에 구속되며 발뒷굽치에 걸려지고 착용상태가 보여지지 않게 투명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200)로 구성된 것이다.Figure 1a,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over the line,
여기서, 상기 발가락덮개부(100)는 발가락에서 발생하는 땀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면직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부(110)와, 보행과정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하부덮개부(120)로 구성된 것이다.Here, the
또한, 상기 하부덮개부(120)는 망직층에서 면직층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섬유로 구성된 쿠션부재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발가락부분만 덮여지는 발가락덮개부(100)와 뒤꿈치에 걸려지는 걸이부(200)로 구성하므로써, 여성들이 여름철에 샌들이나 하히힐을 신었을 경우 맨발에 신은 듯하게 보이는 효과와 함께, 그 착용성과 미관성은 향상되나, 발의 앞부분에 발가락덮개부(100)를 신고 투명밴드를 발뒷꿈치에 걸어 착용한 후, 신발을 신고 보행할 경우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And, by configuring only the
즉, 상기 걸이부(200)는 눈에 쉽게 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밴드로 이루어지고 그 넓이도 얇게 형성되므로 발에 착용한 후 신발을 신고 보행을 하게 되면 걸이부(200)가 신발과의 마찰로 인해 발에서 쉽게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투명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200)를 발 뒤꿈치에 걸어 밀착시킨 상태로 장시간 착용할 경우, 착용한 부분의 피부에 자국이 생길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피가 통하지 않아 벌겋게 부어오르는 등의 피부트러블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발가락덮개부(100)를 발에 착용할 경우 발이 들어가는 입구부분이 발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종래의 덧버선을 착용할 경우, 발가락덮개부(100)는 걸이부(200)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일방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wearing a conventional over the line, the
즉, 상기 걸이부(200)는 신축성을 이용하여 발뒤꿈치에 걸려지게 되고, 원단으로 이루어진 발가락덮개부(100)는 걸이부(200) 쪽으로 늘어나면서 발 앞부분에 무리하게 밀착되어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착용시 발가락덮개부(100) 원단 자체가 늘어나게 되어 결국 덧버선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삽입부를 갖는 발 수납부를 형성하고 발 수납부의 일측에 걸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이부는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를 구비하되, 상기 신축밴드를 걸이부에에서 삽입부 상하부 테두리에 연장되도록 구비한 것으로써,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신축밴드가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de of excellent elastic fabric to form a foot receiving portion having an insertion portion to be worn on the front of the foot and to form a hook portion on one side of the foot receiving portion, the hook portion The upper and lower elastic bands are provided, and the elastic bands ar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hook portion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ser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the elastic band is fixed to the heel so that the foot is easily fixed to the foot. Not only do not peel off, but the purpose of the elastic band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to provide a stable socks to enable wearing.
또한, 발 수납부를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하여 형성함으로써 걸이부의 신축밴드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oot housing by sewing a plurality of pieces of fabric to prevent the unilateral stretching of the foot storage unit by the unbalanced force that the elastic band of the hook is supported on the heel to provide a sense of balance by providing a feeling of balance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앞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발가락부와, 발의 앞부분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에 쿠션부재가 구비된 발바닥부와,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하지 않은 개구된 상태의 삽입부로 이루어진 발 수납부와, 삽입부 일측에 연결되어 발뒤꿈치에 걸리도록 걸이부가 형성된 덧버선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highly elastic fabric, the toe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the foot par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and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on the upper surface, and work to be worn 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In the foot storage portion consisting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open state not sewn on the side portion, and the overlying wire formed with a hook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hang on the heel,
상기 걸이부는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를 구비하되 신축밴드는 걸이부에서 삽입부 상·하테두리에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발 수납부는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ok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t the top and bottom but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hook portion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sewing a plurality of fabric piece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ver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ver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covering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te of us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1)은 신축성이 뛰어나고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발의 앞부분 상부에 위치하여 발가락부분을 덮을 수 있게 발가락부(11)가 구비되며, 발의 앞부분 하부에 위치하는 발바닥 앞부분을 덮을 수 있게 발바닥부(12)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상기 발바닥부(12)는 상부면에 쿠션부재(16)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쿠션부재(16)는 스펀지 등과 같이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부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소정두께를 갖으며 발바닥부(12) 상부면 전체에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쿠션부재(16)의 소정두께는 하히힐과 같이 굽높은 구두를 신었을 경우 발바닥 앞부분이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완화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원단으로 발가락부(11)와 발바닥부(12)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대향되는 둘레를 따라 봉제연결되는 연결부(13)가 구비되어 발 수납부(10)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발 수납부(10)는 다수의 원단 조각이 봉제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ame fabric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between the
또한, 상기 발 수납부(10)에는 발의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위에 봉제하지 않은 개구된 상태의 삽입부(1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연결부(13)의 양측에는 연결부(13)에서 일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띠 형태의 걸이부(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상기 걸이부(20)는 발의 측면 둘레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소정넓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연장형성되어 서로 만나는 끝단에는 연결밴드(17)가 구비되며 연결밴드(17)의 양측에 걸이부(20)의 양단이 각각 봉제부착된다.The
그리고, 상기 걸이부(20)의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30)가 구비되되, 삽입부(14)의 상·하 테두리에 연장되도록 구비된다.And, the
상기 신축밴드(17,30)는 투명한 색상으로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과 같이 탄성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져 외면이 피부색과 동일한 색상의 실로 촘촘하게 감겨져 형성된다.The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단면도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발바닥부(12)의 상부면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이 코팅된 것이다.Figure 5a,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versoil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state cross-sectional view, the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사용상태단면도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발 수납부(10)의 선단부에는 각각의 발가락에 대응되도록 발가락 끼움공(50)이 형성되고, 발가락 끼움공(50)과 발가락 끼움공(50) 사이에 구획부(51)가 형성된다.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발 수납부(10)의 선단부에는 발가락 전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구부(60)가 형성된 것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overshoe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개구부(60) 초입의 양측에는 지지끈(61)이 각각 구비되되, 지지 끈(61)의 양단이 개구부(60) 내측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봉제부착된 것이다.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opening 60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상기 발 수납부(10)의 구획부(51)와 지지끈(61)은 내측면에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이 코팅된 것으로,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40) 외에도 은나노 물질이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제2, 제3, 제4실시예에서의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은 옥, 게르마늄, 숯, 황토, 맥반석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ar-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over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본 고안의 덧버선은,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신축밴드가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며, 또한, 발 수납부를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함으로써 걸이부의 신축밴드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것이다.The overstressed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ily detached from the foot because the hook part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elastic band is fixed to the heel, and the elastic band of the insertion part adheres closely to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for stable wearing. By sewing the foot receiving portion with a plurality of pieces of fabric, the elastic band of the hook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unilaterally stretched by the biased force supported by the heel, thereby improving the fi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을 착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손으로 덧버선(1)의 발 수납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삽입부(14)를 벌려 발의 앞부분을 집어 넣게 된다.As shown in Figure 2 to 4, in order to wear the overshoe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rt of the foot is inserted by opening the
이때, 상기 발 수납부(10)의 삽입부(14) 상·하 테두리에는 신축밴드(30)가 구비되어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됨으로써, 발에 안정적으로 착용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또한, 상기 발바닥부(12)의 상부면 전체에 쿠션부재(16)가 구비된 것으로, 여름철 굽 높은 샌달이나 하이힐을 신을 경우 신체의 하중의 발의 앞부분에 쏠려 발에 무리가 가는 것을 쿠션부재(16)가 완화해줌으로써 더욱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그런 다음, 연결부(13)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띠 형태의 걸이부(20)를 잡아 당겨 발 뒷부분으로 올린 후, 발의 뒤꿈치로 걸어서 착용하면 된다.Then, pull the hook-shaped
이때, 상기 걸이부(20)는 연결부(13)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연결부(13)와 동일하게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과 하단에 신축밴드(30)가 구비된 것으로써,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30)가 이중으로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덧버선(1) 착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걸이부(20)는 연결부(13)에서 일정넓이를 갖으며 연장형성되어 발의 둘레를 자연스럽게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발에 편안하게 착용되어 피부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도 뛰어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발 수납부는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발의 앞부분 상부에 위치하는 발가락부(11)와, 발의 앞부분 하부에 위치하는 발바닥부(12)와, 발가락부(11)와 발바닥부 (12)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봉제연결되는 연결부(13)와 같이 다수의 원단 조각이 상호 봉제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걸이부(20)에 구비된 신축밴드(30)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켰다.And, the foot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excellent elastic
도 5a, 도 5b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발바닥부(12)의 상부면 전체에 원적 외선 방사물질(40)(옥, 게르마늄, 숯, 황토, 맥반석 중 어느 하나)을 코팅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물질(40)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발의 피로회복과 혈액순환 촉진은 물론, 나아가 신체의 신진대사가 원할히 이루어져 각종 질병의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ure 5a, Figure 5b, by coating the far-infrared radiation material 40 (any one of jade, germanium, charcoal, ocher, elvan)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ole 12, far infrared Far-infrared radiation emitted from the
도 6a, 도 6b의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발 수납부(10)의 선단부에는 각각의 발가락에 대응되도록 발가락 끼움공(50)을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덧버선(1)을 착용할 경우 발가락 끼움공(50)으로 발가락이 나오도록 착용함으로써, 보행시 땀이 많이 차는 발가락 부분에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발에 무좀이 있는 사람이 사용할 경우 효과적이다.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ure 6a, Figure 6b, toe
즉, 무좀은 발가락과 발가락 사이를 띠우는 것으로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이 효과적이다.In other words, athlete's foot can also be prevented by wearing between the toes and toes as above method is effective.
또한, 상기 발가락 끼움공(50)과 발가락 끼움공(50)에는 구획부(51)가 형성되어 발가락과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구획부(51)의 내측면에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을 코팅함으로써, 발가락 부분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발의 신선도를 유지시켜 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무좀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e
도 7의 제4실시예와 같이, 발 수납부(10)의 선단부에는 발가락 전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구부(6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덧버선(1) 착용시 발 앞부분 전체가 개구부(60)를 통해 드러남으로써, 발에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철 발가락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는 슬리퍼나 샌달을 신었을 경우, 샌달의 앞부분으로 발가락 전체가 드러나게 되어 맨발에 샌달 을 신은 것처럼 보임으로써 자연스럽게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7, the
또한, 상기 개구부(60) 초입의 양측에는 지지끈(61)이 각각 봉제부착된 것으로, 일측의 지지끈(61)은 첫번째 발가락과 두번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고, 타측 지지끈은 네번째 발가락과 다섯번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덧버선(1) 착용시 발이 개구부(60)로 드러나 바깥쪽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덧버선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upport straps 61 are sewn and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또한, 상기 지지끈(61)의 내측면에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을 코팅함으로써 무좀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hlete's foot can be prevented by coating the far-
한편, 상기 제2, 제3, 제4실시예에서 원적외선 방사물질(40)을 코팅하였으나 원적외선 물질 외에도 향균작용이 뛰어난 은나노 물질을 코팅하여 무좀을 예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far-
한편, 상기 발 수납부(10)는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으로 이루어져 프리(FREE)사이즈로 생산·판매되므로, 하나의 덧버선(1)으로 각기 다른 사람의 발 넓이와 길이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본 고안의 덧버선은, 신축재질의 원단과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발뒤꿈치에 밀착고정되어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삽입부의 신축밴드가 발등과 발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overstressed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ok part made of elastic material and elastic band, which is fixed to the heel so that it is not easily peeled off from the foot, and the elastic band of the insertion part adheres to the instep and the sole of the foot so that it can be worn stably. have.
또한, 발 수납부를 다수의 원단 조각으로 봉제하여 형성함으로써 걸이부의 신축밴드가 발뒤꿈치에 걸려 지지되는 편중된 힘에 의해 발 수납부가 일방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oot receiving portion sewn with a plurality of pieces of fabric to prevent the unilateral stretching of the foot receiving portion by the unbiased force that the elastic band of the hanger is supported on the heel to have a sense of balance by improving the fit is effective. .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0930U KR200442594Y1 (en) | 2007-07-03 | 2007-07-03 | Overfi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0930U KR200442594Y1 (en) | 2007-07-03 | 2007-07-03 | Overfis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2594Y1 true KR200442594Y1 (en) | 2008-11-25 |
Family
ID=4164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0930U KR200442594Y1 (en) | 2007-07-03 | 2007-07-03 | Overfi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594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2558B1 (en) | 2010-10-22 | 2012-11-19 | 정진열 | manufacturing method of outer socks |
KR101260656B1 (en) | 2011-10-19 | 2013-05-13 | 정진열 | outer socks with porous elastic silicon band |
KR101272453B1 (en) | 2011-07-28 | 2013-06-07 | 김재동 | Outer socks with tight contact system |
KR102012665B1 (en) * | 2019-04-15 | 2019-08-21 | 김동건 | Athlete's foot preventive treatment apparatus |
KR102149811B1 (en) * | 2020-03-25 | 2020-09-01 | 김동건 | manufacturing methods for toe socks and toe socks |
-
2007
- 2007-07-03 KR KR2020070010930U patent/KR20044259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2558B1 (en) | 2010-10-22 | 2012-11-19 | 정진열 | manufacturing method of outer socks |
KR101272453B1 (en) | 2011-07-28 | 2013-06-07 | 김재동 | Outer socks with tight contact system |
KR101260656B1 (en) | 2011-10-19 | 2013-05-13 | 정진열 | outer socks with porous elastic silicon band |
KR102012665B1 (en) * | 2019-04-15 | 2019-08-21 | 김동건 | Athlete's foot preventive treatment apparatus |
KR102149811B1 (en) * | 2020-03-25 | 2020-09-01 | 김동건 | manufacturing methods for toe socks and toe sock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4152Y1 (en) | Outer socks for preventing from peeling | |
US20050155137A1 (en) | Clog sock | |
US1219354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 |
WO2013152211A2 (en) |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 |
KR101988651B1 (en) | An outer socks using silicon th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42594Y1 (en) | Overfish | |
JP6335072B2 (en) | Foot cover | |
US20170295851A1 (en) |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 |
KR100919969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oversock socks without seam and oversock socks manufactured thereby | |
US20190059453A1 (en) |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enhanced features | |
KR100420766B1 (en) | A nude socks in shose | |
CN205143508U (en) | Novel sports sock | |
TWM465804U (en) | Sock-shoes structure | |
CN205143507U (en) | Ventilative sport socks | |
KR102161697B1 (en) | Shoes | |
KR20190069855A (en) | Shoes reinforcement pad | |
KR200440891Y1 (en) | Overfish | |
KR20170003643U (en) | Outer socks | |
CN222264519U (en) | A shoe body structure with slightly elastic instep | |
US9532616B2 (en) | Foot loop | |
KR200422863Y1 (en) | foot pad | |
KR101307130B1 (en) | Functional toe socks | |
KR20090002557U (en) | Toe sac | |
KR200495829Y1 (en) | Functional Shoes | |
JP3224804U (en) | Heeled foot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1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1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