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0891Y1 - 덧버선 - Google Patents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891Y1
KR200440891Y1 KR2020070009565U KR20070009565U KR200440891Y1 KR 200440891 Y1 KR200440891 Y1 KR 200440891Y1 KR 2020070009565 U KR2020070009565 U KR 2020070009565U KR 20070009565 U KR20070009565 U KR 20070009565U KR 200440891 Y1 KR200440891 Y1 KR 200440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worn
wearing
sewn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Original Assignee
성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 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1착용부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2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되어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의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덧버선, 착용부, 연결밴드, 신축밴드

Description

덧버선{AN OUTER SOCKS}
도 1은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연결밴드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은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의 앞부분에 착용하는 제1착용부와, 발이 뒷부분에 착용하는 제2착용부, 상기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되어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 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고,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발에 신는 목 없는 버선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발가락부와 발의 등을 덮어주는 발등부 및 발의 바닥면과 접하는 발바닥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덧버선은 기존의 양말과는 달리 착용시 발바닥과 발가락부분 및 발뒤꿈치부분만을 감싸도록 되어 있고, 발목을 감싸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한 것은 물론, 착용감이 편안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덧버선은 발목부위가 개방되어 있어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구두 등을 신었을 경우에도 착용상태가 노출되지 않는 등의 장점도 있으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은 선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 제 0430698호로 선등록되어 있는바,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덧버선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발가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발가락부(110)와, 발의 등을 덮어주는 발등부(120)와, 발의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부(130)로 구성되는 덧버선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110)를 발가락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최대크기 망 공을 갖는 통기망부로 형성하고, 상부 발등부(120)는 통기성이 높은 망직으로 형성하며, 바닥부(130)를 땀흡수력이 높은 면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덧버선을 착용하게 되면 발가락부분이 망공이 최대한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발가락 골에 습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의 뒷꿈치부분을 감싸는 뒷꿈치(140)를 벗겨짐 방지를 위한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별도의 직물로 구성하여서 바닥부(130)에 재봉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덧버선은 발가락 부분에 망공을 형성하여 발에 습이 차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그 외 부분으로는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덧버선은 보통 봄이나 가을, 또는 여름과 같은 더운 날씨에 맨발에 주로 신게 되는데, 덧버선을 신고 신발을 착용한 다음 보행할 경우, 발의 앞부분이 통기망부로 이루어져 어느정도 통풍이 이루어지나, 발의 앞부분 외에는 통풍 기능이 저조하여 장시간 착용할 경우 발과 덧버선에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과 관련된 각종 질병(습진, 무좀 등)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덧버선은 발의 앞부분이 망사로 이루어져 착용시 또는 보행시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덧버선을 신은 다음 굽 높은 샌들 또는 하이힐을 신을 경우 신체의 하중이 발의 앞부분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발바닥 앞부분의 망사는 하중의 압력을 완화시켜 줄 수 없으므로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덧버선을 착용하고 보행할 경우 쉽게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발에 고정하는 부분이 취약하여 구두나 운동화 등의 신발을 신고 보행하거나 달리는 과정에서 신발의 뒤꿈치부와 덧버선의 뒤꿈치를 감 싸는 부분이 마찰되는 경우 쉽게 벗겨져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1개구부를 형성한 제1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대칭형태로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여 제2착용부가 이루어짐으로써,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착용부 개구부 둘레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의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등부 와 발앞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 1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1착용부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가 구비된 제2착용부와;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연결밴드가 늘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1)은, 탄성력이 뛰어난 반원 형상의 원단(직물지)으로 이루어져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1개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1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14)가 구비되어 제1착용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착용부(10)는 소정넓이를 갖는 두겹의 원단, 즉, 발가락부(11)와 발앞바닥부(12)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뒷부분 에는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1개구부(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대칭형태로 이루어져 발 뒤꿈치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제2개구부(23)가 형성되고 제2개구부(2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24)가 구비된 제2착용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제2착용부(20)는 소정넓이를 갖는 두겹의 원단, 즉 발뒤꿈치부(21)와 발뒤바닥부(22) 원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앞부분에는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2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가락부(11)와 발뒤꿈치부(21)의 원단보다 발앞바닥부(12), 발뒤바닥부(22) 원단을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주기 위해 연결밴드(3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구비되어 양단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의 양측단 신축밴드(14,24)에 각각 봉제부착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밴드(30)는 외면을 제1,제2착용부(10,20)와 동일한 색상의 원단으로 감싸서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갖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로써,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제1, 제2착용부(10,20) 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4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40)는 연질 합성수지, 고무재질 등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선택하여 원형으로 다수개가 하향으로 돌출부착된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이 되도록 형성하였으나. 전체적인 형상이 원 뿐만 아니라, 사각, 삼각, 회사상표, 동물, 식물 등의 다양한 모양이 되도록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덧버선(1)이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밴드(30)는 외면에 원단을 입히지 않은 것이다.
즉, 상기 연결밴드(30)는 끈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투명밴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덧버선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발에 착용시 발의 앞부분과 뒷부분만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신체의 하중이 가해지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착용부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저면부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덧버선(1)을 사용자가 착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손으로 덧버선(1)의 제1착용부(10)를 잡은 상태에서 제1개구 부(13)를 벌린 다음 발의 앞부분(발가락부분)을 넣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착용부(10)와 연결밴드(3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2착용부(20)를 잡은 상태에서 발의 뒤쪽으로 잡아당긴 후, 제2개구부(23)를 벌려 발의 뒤꿈치에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덧버선(1)은 발에 착용할 경우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뒷부분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것이다.
특히, 상기 덧버선(1)은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가해지는 발바닥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제1, 제2착용부(10,20)가 각각 형성되어 보행시 어느정도 신체 하중의 압력을 완화해 주므로 편안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통풍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덧버선(1)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발에 땀이 차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발냄새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과 관련된 각종 질병(습진, 무좀 등)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밴드(3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프리(FREE)사이즈로 생산·판매되므로, 하나의 덧버선(1)으로 각기 다른 사람의 발 넓이와 길이에 상관 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덧버선(1)을 신은 다음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할 경우, 제1, 제2착용부(10,20)의 각각의 개구부(13,23)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14,24)가 봉제부착되어 탄성력을 통해 발의 외면과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신발을 신고 보행 할 경우 신발과의 마찰을 통해 덧버선(1)이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밴드(30)도 탄성력을 통해 각각의 착용부(10,20)를 잡아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도 6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착용부(10), 제2착용부(20)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40)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다.
도 7의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밴드(30)를 끈 형태의 탄성력을 갖는 투명밴드로 형성한 것으로, 맨발에 덧버선(1)을 신은 듯 하게 최대한 보이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의 덧버선(1)을 생산·판매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품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덧버선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와 발앞바닥부 원단을 구비하여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제봉하지 않은 제1개구부를 형성한 제1착용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대칭형태로 발뒤꿈치부와 발뒤바닥부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를 형성한 제2착용부를 형성함으로써, 발에 착용시 신발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발바닥 앞과 뒷부분의 보호와 땀 흡수는 물론,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만을 감싸므로 발을 감싸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통풍이 원할히 이루어져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착용부 개구부 둘레에는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착용시 탄성력을 통해 발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과의 마찰시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의 저면부에는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가락부(11)와 발앞바닥부(12)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앞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를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 1개구부(13)를 형성한 제1 착용부와;
    탄성력이 뛰어난 소정넓이의 발뒤꿈치부(21)와 발뒤바닥부(22) 원단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는 둘레를 따라 봉제부착하되, 발 뒤꿈치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를 봉제부착하지 않은 제2개구부(23)를 형성한 제2착용부(20)로 이루어진 덧버선에 있어서,
    제1개구부(1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14)가 구비된 제1착용부(10) 및 제2개구부(23)의 둘레를 따라 신축밴드(24)가 구비된 제2착용부(20)와;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의 저면에 미끄럼 방지돌기(40)가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투명 연결밴드(30)로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20)를 소정거리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호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9565U 2007-06-11 2007-06-11 덧버선 KR200440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5U KR200440891Y1 (ko) 2007-06-11 2007-06-11 덧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65U KR200440891Y1 (ko) 2007-06-11 2007-06-11 덧버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891Y1 true KR200440891Y1 (ko) 2008-07-08

Family

ID=4164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565U KR200440891Y1 (ko) 2007-06-11 2007-06-11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8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78Y1 (ko) 2008-04-17 2010-06-09 이흥훈 덧버선
KR101571692B1 (ko) * 2014-05-20 2015-12-04 제이엘피트레이딩(주) 다기능 덧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78Y1 (ko) 2008-04-17 2010-06-09 이흥훈 덧버선
KR101571692B1 (ko) * 2014-05-20 2015-12-04 제이엘피트레이딩(주) 다기능 덧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9254015B2 (en) Non-gaiter bootleg cover
DK2753205T3 (en) BARFODSSKO
KR200474152Y1 (ko)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TWD116091S1 (zh) 鞋面
US20020166257A1 (en) Slip-on shoe
TWM455386U (zh) 鞋體改良結構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200442594Y1 (ko) 덧버선
KR200440891Y1 (ko) 덧버선
US20090265954A1 (en) Shoe and Sandal Footwear Combination
JP5120743B1 (ja) ジャンピングシューズ及びジャンピングシューズの製造方法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90110968A (ko) 샌들 겸용 운동화
TWM459743U (zh) 鞋體結構
MXPA06010502A (es) Soporte para tobillo para ser fijado a calzado, y calzado equipado con el.
JP6950982B2 (ja) 足上面安全保護具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200396954Y1 (ko) 검도용 실내 덧신
CN219249311U (zh) 一种铁头鞋
KR20200072698A (ko)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양말
CN201104530Y (zh) 用于击剑的鞋产品
CN215992923U (zh) 一种防臭男鞋
JP3027760U (ja) 多目的シューズ
KR102709605B1 (ko) 탄성 밴드가 부착된 덧버선 및 그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6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7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2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20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12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