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9328Y1 - 와이퍼 스트립 - Google Patents

와이퍼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328Y1
KR200429328Y1 KR2020060021491U KR20060021491U KR200429328Y1 KR 200429328 Y1 KR200429328 Y1 KR 200429328Y1 KR 2020060021491 U KR2020060021491 U KR 2020060021491U KR 20060021491 U KR20060021491 U KR 20060021491U KR 200429328 Y1 KR200429328 Y1 KR 200429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trip
wiper
frame
glass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32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유리면과 밀착하는 와이퍼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이 반전되더라도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과 접촉되는 형태를 쉽게 반전할 수 있어 유리면과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홈을 프레임의 결합슬릿에 쉽게 결합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와이퍼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레일홈을 제공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목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면과 접촉하는 날부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스트립, 프레임, 커넥터, 아암, 레일홈, 날부

Description

와이퍼 스트립 {WIPER STRI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와이퍼 블레이드 52 : 프레임
54 : 결합슬릿 55 : 개구홈
56 : 커넥터 60 : 와이퍼 스트립
62 : 몸체부 63 : 홈부
64 : 상부부재 65 : 레일홈
66 : 하부부재 67 : 여유공간
68 : 날부 69 : 목부
본 고안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어 유리면과 밀착하는 와이퍼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스트립을 프레임에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유리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유리면에 접촉하는 각도가 쉽게 변하도록 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와이퍼 암(5)에 결합되며, 와이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 각도로 선회한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와이퍼 스트립(30)은 유리면과 밀착하며 유리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차량의 와이퍼 암(5)과 결합되는 메인링크(22) 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메인링크(22)에는 와이퍼 암(5)의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링크(24)가 핀(25)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미들링크(24)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30)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링크(26)가 핀(27)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서브링크(26)의 양단에는 클립(28)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에는 유리면(12)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지지부재(40)가 결합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단면도로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은 몸체부(3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3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서브링크(26)의 클립(28)이 슬라이딩되며 결합하기 위한 레일홈(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2)의 하부에는 유리면(12)과 직접 접촉되는 날부(38)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32)의 중심축선상에 형성되는 목부(3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최근에는 고속 주행시 와이퍼 스트립(30)이 유리면(12)으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방풍 기능을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20)가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20)는 별도의 방풍립을 갖거나, 와이퍼 스트립(30)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30)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방풍 기능을 갖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30)은 와이퍼 블레이드(20)의 회전 방향이 바뀔 경우, 와이퍼 스트립(30)이 유리면과 접촉된 각도가 쉽게 반전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유리면과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30)은 와이퍼 프레임과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밀착하도록 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이 반전되더라도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과 접촉되는 형태를 쉽게 반전할 수 있어 유리면과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홈을 프레임의 결합슬릿에 쉽게 결합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와이퍼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레일홈을 제공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목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면과 접촉하는 날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는 결합슬릿이 단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결합슬릿에 대응하여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 레임은 상기 레일홈이 결합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결합슬릿에 진입하는 부분의 양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레일홈에 진입하는 부분의 반대 단부의 양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이 적용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6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50)의 프레임(52)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의 선회에 따라 차량의 유리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프레임(52)은 방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리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프레임(52)은 와이퍼 스트립(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슬릿(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슬릿(54)의 일단에는 와이퍼 스트립(60)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개구홈(5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프레임(52)과 일체 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커넥터(56)에 의해 와이퍼 암(5)(도 1에 도시된 15)과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56)는 상기 프레임(52)의 경사진 각도와 대응하는 역방향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52)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52)이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유리면에 수직하게 접촉되기 위해 상기 프레임(52)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60)의 단면도이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몸체부(62)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몸체부(62)는 상기 프레임(52)과 대응하는 각도를 이룬다. 즉, 상기 몸체부(62)는 상면이 전방에 대해 경사진 형상이고, 하부는 평행인 형상으로 단면의 형상이 대략적으로 삼각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몸체부(62)의 경사진 상부면에는 상부부재(6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몸체부(62)와 소정의 간격 이격되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64)와 상기 몸체부(6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상기 프레임(52)의 결합슬릿(54)에 끼워지는 레일홈(65)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레일홈(65)에 결합시, 상기 몸체부(62)의 경사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62)의 하부에는 하부부재(6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62)와 상기 하부부재(66) 사이에는 여유공간(67)이 형성된다. 상기 여유공간(67)은 상기 몸체부(62)와 상기 하부부재(66) 사이에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형성되는 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62)와 상기 하부부재(66)가 좁은 폭(66a)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66)는 상기 몸체부(62)와 연결되는 폭(66a)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0)의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부부재(66)는 상기 여유공간(67)으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66)의 하부에는 상기 유리면과 직접 접촉하는 날부(68)가 형성된다. 상기 날부(68)는 단면의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역삼각형 또는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날부(68)는 목부(69)에 의해 상기 하부부재(66)와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결합슬릿(54)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52)은 상기 결합슬릿(54)이 단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에 대응하여 일부가 절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과 대응하게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의 길이에 대해 진입방향 및 그 반대방향의 단부가 소정길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64)와 상기 몸체부(62)를 연결하는 부재는 상기 결합슬릿(54)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의 결합시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전체적인 신장이 수축되며 상기 상부부재(64)의 끝단이 상기 개구홈(55)의 상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에 진입하는 부분(64a)의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부재(64)는 상기 프레임(52)에 결합시 상기 상부부재(64)를 상기 프레임(52)의 개구홈(55)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레일홈(65)을 상기 결합슬릿(54)에 쉽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이 단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절개된 부분이 상기 결합슬릿(54)의 개구홈(55)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64)의 절개된 부분(64c, 64d)의 양측면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64)는 상기 결합슬릿(54)에 진입하는 부분의 반대 단부(64b)의 양측면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64)가 상기 프레임(52)에 결합시 상기 상부부재(64)의 끝단이 상기 결합슬릿(54)의 개구홈(55)에 더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부재(64)의 양끝단(64a, 64b) 및 중간의 절개부(64c, 64d)는 양측면이 경사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끝단의 형상이 상기 결합슬릿(54) 또는 개구홈(55)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60)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단면도로서, 와이프 스트립(60)의 몸체부(62)는 차량의 진행방향의 후부에 홈부(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62)는 전방으로 경사진 대략적인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63)는 바닥면과 수직한 면에 형성되어 와이퍼 스트립(60)의 무게를 경량화하고, 사용되는 재료량을 절감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선회하며 진행방향이 바뀌더라도 유리면과 밀착되는 날부가 상기 유리면과 접촉된 각도를 쉽게 발전할 수 있어 유리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이 바뀔시 상기 날부에서 발생하는 떨림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면을 더욱 청결하게 닦을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 및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상부부재의 끝단이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에 쉽게 결합할 수 있어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Claims (5)

  1.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과 경사지게 결합되며 유리면을 이동하여 이물질을 닦는 와이퍼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레일홈을 제공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목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면과 접촉하는 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홈에 결합하는 결합슬릿이 단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결합슬릿에 대응하여 일부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차량의 진행방향의 후부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홈이 결합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결합슬릿에 진입하는 부분의 양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레일홈에 진입하는 부분의 반대 단부의 양측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스트립.
KR2020060021491U 2006-08-10 2006-08-10 와이퍼 스트립 Expired - Lifetime KR200429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91U KR200429328Y1 (ko) 2006-08-10 2006-08-10 와이퍼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491U KR200429328Y1 (ko) 2006-08-10 2006-08-10 와이퍼 스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328Y1 true KR200429328Y1 (ko) 2006-10-20

Family

ID=4177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491U Expired - Lifetime KR200429328Y1 (ko) 2006-08-10 2006-08-10 와이퍼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3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241B2 (en) Flat wiper blade with spoiler
US730573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73362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0584671C (zh) 风挡雨刷装置
JP5043933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CN1974280B (zh) 刮水片
KR100688047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CN100554049C (zh) 刮水片
JP5765723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CN104114419A (zh) 雨刮装置
US20150059116A1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JP2007504995A5 (ko)
KR20080108360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20060055471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100753248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6573599A (zh) 风挡雨刮器装置
US2017008090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429328Y1 (ko) 와이퍼 스트립
KR200419901Y1 (ko) 와이퍼 스트립
KR100888013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70566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136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3946076B (zh) 风挡刮水器装置
JPS6167650A (ja) ワイパ−ブレ−ド
JP2008126853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72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