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8013B1 -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13B1
KR100888013B1 KR1020070052937A KR20070052937A KR100888013B1 KR 100888013 B1 KR100888013 B1 KR 100888013B1 KR 1020070052937 A KR1020070052937 A KR 1020070052937A KR 20070052937 A KR20070052937 A KR 20070052937A KR 100888013 B1 KR100888013 B1 KR 10088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trip
wiper
members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400A (ko
Inventor
박위영
엄기복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1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립과, 그 와이퍼 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홈부를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상기 각 홈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양단 부근에서 그 지지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퍼 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측 홈부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그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Assembly for wiper blade for cleaning windows of mot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 선에 따른 단면에서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Ⅷ-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Ⅸ-Ⅸ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Ⅹ-Ⅹ 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와이퍼 스트립이 제거된 채로 결합된 상 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20...와이퍼 스트립
24...와이퍼 립 25...홈부
27...걸림턱 30...지지부재
32...걸림부 34...간격유지부
36...결합공 40...연결부재
42...간격유지턱 44...결합돌기
46...가이드부 50...연결장치
55...와이퍼 암 100...고정부
200...슬라이드부
X...와이퍼 립(지지부재)의 길이방향
Y...지지부재의 폭방향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리테이너와 블레이드가 일체로 결합된 플랫 블레이드(flat blade)가 적용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빗물을 제거하여 그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의 편의 장치인 동시에 적극적인 안전장치(active safety device)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며 고무탄성을 가지는 와이퍼 스트립과, 그 스트립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와이퍼 암에 그 와이퍼 스트립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로서 리테이너와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스트립과 리테이너 사이에 자동차의 유리의 곡률의 차이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과 자동차의 유리와의 접촉 오차를 수용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는 토너먼트(tournament)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토너먼트 구조는 와이퍼 스트립과 리테이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최근에 도로 여건이 고속주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자동차의 고성능화가 진행되면서,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즉, 160km 이상의 고속 주행 중에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양력이 작용하여 자동차의 유리와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와이핑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테이너 구조가 없는 소위 플랫 블레이드(flat blade)라고 불리는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와 같은 개념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 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미국등록특허 제6,836,927호, 미국등록특허 제6,668,419호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랫 블레이드 형태의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는 와이퍼 스트립(2)과, 지지부재(3)와, 연결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은 와이퍼 립(6)과 홈부(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이퍼 립(6)은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홈부(7)는 상기 와이퍼 립(6)에서 일체로 연장된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7)는 보통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부(7)들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의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며, 그 와이퍼 스트립(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스트립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지지부재(3)는 상기 홈부(7)에 일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의 다른 부분은 상기 홈부(7)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이 자동차의 유리에 잘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2)에 강성(stiffness)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4)는 상기 지지부재(3)들의 양단에 배치되어 그 지지부재(3)들을 서로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가 2개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연결부재(4)가 필요하다. 상기 각 연결부재(4)는 상 기 지지부재들에 용접되어 그 지지부재(3)들을 서로 결합한 상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는 브리지부(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브리지부(8)는 상기 지지부재(3)들 사이를 가로지르게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들 중 와이퍼 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연결부재(4)의 브리지부(8)에는 그 브리지부(8)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혀(tongue)모양의 스트립 고정돌기(9)가 마련되어 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 고정돌기(9)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의 상부에 압착되어 그 와이퍼 스트립(2)이 상기 연결부재(4)에 대해 상대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4)에 상대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3)들에 대해 그 지지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이유는 상기 자동차 유치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의 법규상 규정된 윈드실드 닦임 면적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이 작동 중 유동되는 경우에는 법적으로 규정된 닦임 면적(FMVSS B-Zone)보다 0.5% 정도 적은 면적이 닦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구조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브리지부(8)가 용접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은 반드시 상기 지지부재(3)와 상기 연결부재(4)가 결합된 후에 조립되어야 하는 제약조건이 발생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과 상기 지지부재(3)를 먼저 결합한 후에 상기 연결부재(4)를 용접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이 용접불꽃등에 의해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혀모양의 스트립 고정돌기(9)가 와이퍼 스트립(2)을 손상시켜서 그 와 이퍼 스트립(2)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다른 발명인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6,668,419호에 개시된 구조는 지지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못(peg)을 사용하는 구조여서 부품수가 많고 구조 자체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부재들의 단부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유리의 법규상 닦임 면적을 보장하며, 조립성과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립과, 그 와이퍼 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홈부를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상기 각 홈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양단 부근에서 그 지지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 퍼 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측 홈부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그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립과, 그 와이퍼 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홈부를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상기 각 홈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양단 부근에서 그 지지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퍼 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는 그 길이방향 측 양단에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간격유지부에 끼워져서 그 지지부재들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턱을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구간인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구간인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 중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넓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내측면과 마주하는 와이퍼 스트립의 폭은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좁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억지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이 열려 있는 홈형상이며,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홈형상의 양 측벽에 접촉하도록 된 돌기인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그 간격유지부의 내측벽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간격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지지부재는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공에 그 결합돌기가 끼워질 때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Ⅳ-Ⅳ 선에 따른 단면에서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Ⅷ-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Ⅸ-Ⅸ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Ⅹ-Ⅹ 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와이퍼 스트립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는 와이퍼 스트립(20)과, 지지부재(30)와, 연결부재(40)와, 연결장치(50)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는 고정부(100)와 슬라이드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도 3에 식별부호 100으로 표기된 구간을 의미하며, 상기 지지부재(30)가 그 길이방향(X)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20)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구간이다.
상기 슬라이드부(200)는, 도 3에 식별부호 200으로 표기된 구간을 의미하며, 상기 지지부재(30)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20)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구간이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양단 중 와이퍼 암(55)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방향(X)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은 와이퍼 립(24)과 홈부(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이퍼 립(24)은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퍼 립(24)은 자동차의 유리에 묻은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홈부(25)는 상기 와이퍼 립(24)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몸체부 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부(25)들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폭 방향(Y)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5)들은 서로 나란하게 상기 와이퍼 립(24)의 길이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양측 홈부(25)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27)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27)은 상기 고정부(100)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7)은,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홈부(25)들이 부분적으로 단절된 부위이다. 즉, 부분적으로 상기 홈부(25)들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퍼 스트립(20)의 목(28)의 두께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껍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100)에서 상기 걸림턱(27)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일단부측으로는 상기 홈부(25)들의 깊이가 상기 슬라이드부(200)에 형성된 와이퍼 스트립의 홈부(25)들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그 홈부(25)들 사이의 목(28)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00)에 형성된 상기 홈부(25)들의 깊이는 상대적으로 가장 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에 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자동차의 유리에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스프링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스트립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지지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들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30)는 상기 각 홈부(25)에 일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다른 부분은 상기 각 홈부(25)로부터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폭방향(Y)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들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방향(X)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30)는 상기 걸림턱(27)에 대응하는 걸림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2)는 상기 걸림턱(27)에 걸려서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에 대해 그 와이퍼 스트립(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내측면과 마주하는 와이퍼 스트립의 목(28)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보다 넓다. 즉, 상기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을 압축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부(200)에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넓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200)에서는 상기 연결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들과 상기 연결부재(40)간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방향 양단측에는 간격유지부(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방향이 열려 있는 홈형상이다. 상기 간격유지부(34)는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그 간격유지부(34)의 내측벽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각 지지부재(30)는 그 상면(upper surface)으로부터 하면(lower surface)으로 관통하는 결합공(36)을 구 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길이방향(X) 양단 부근에서 그 지지부재(3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연결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간격유지부(34)에 끼워져서 그 지지부재(30)들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턱(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측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돌기이다.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홈형상의 양 측벽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턱(42)은 상기 간격유지부(34)에 마련된 상기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또한 상기 결합공(36)에 끼워지는 결합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돌기(44)는 상기 결합공(36)에 그 결합돌기(44)가 끼워질때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가이드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100)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좁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억지끼워져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재들에 끼워질때 탄성변형이 일어나며, 그 지지부재(30)들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축탄성 복원력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5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50)는 상기 지지부재(30)들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50)에는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퍼 암(5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암(55)의 타단부는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 와이퍼 모터 모듈(미도시)에 축(pivot)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먼저, 상기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조립과정을 서술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홈부(25) 양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30)들을 각각 접근시킨다. 상기 지지부재(30)를 상기 홈부(25)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를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접근 시킨다. 상기 연결부재(40)의 양쪽 측벽이 상기 지지부재(30)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부재(30)에 마련된 결합공(36)에 상기 연결부재(40)에 마련된 결합돌기(44)가 끼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44)가 마련된 가이드부(46)는 상기 결합돌기(44)와 상기 결합공(36)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에 마련된 간격유지부(34)에 상기 연결부재(40)에 마련된 간격유지턱(42)이 끼워진다. 상기 간격유지부(34)는 홈형상인데, 그 홈의 양측벽에 상기 간격유지턱(42)이 각각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와 상기 간격유지턱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2개의 연결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측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와 지지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에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거동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상기 걸림턱(27)이 상기 지지부재(30)의 걸림부(32)에 걸려서 그 와이퍼 스트립(20)이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목(28)의 두께가 그 고정부(100)에 배치된 지지부재(30)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00)에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목(28)은 상기 지지부재(30)들의 내측면에 의해 압축탄성변형된 상태에 있다. 그 결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은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해 상대고정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200)에서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목(28)의 두께보다 상기 지지부재(30)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가 더 넓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은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20) 중 상기 고정부(100)에 배치된 부분은 상기 지지부재(30)에 상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200)에 배치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은 고무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가 승용차와 같은 자동차의 윈드실드에 장착된 상태에 있다면, 상기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10)가 작동할 때, 유리와의 마찰력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이 신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100)에서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의 신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닦이는 유리의 면적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와이퍼 스트립(20)의 경계선은 변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외곽측 경계선은 법적 닦임면적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외곽측 경계선이 변하지 않으면, 자동차 유리의 법적인 닦임 면적을 보장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40)의 결합구조가 용접과 같은 영구적인 결합이 아니라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34)와 상기 간격유지턱(42)이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방향 양단에 위치하여 조립상태가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27)과 걸림부(32)의 결합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20)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 와이퍼 스트립(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구간인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구간인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고정부와 슬라이드부가 구간으로 한정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 중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예컨대 상기 고정부가 그 와이퍼 스트립의 양측에 배치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넓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내측면과 마주하는 와이퍼 스트립의 폭은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보다 넓은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그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좁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억지끼워져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지부들에 억지끼워진 경우가 아니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이 열려 있는 홈형상이며,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홈형상의 양 측벽에 접촉하도록 된 돌기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예컨대, 상기 간격유지부가 돌출된 돌기 형상이고, 상기 간격유지턱이 오목한 홈형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그 간격유지부의 내측벽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지며, 상기 간격유지턱은 상기 간격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테이퍼 형상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지지부재는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결합공과 상기 결합돌기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공에 그 결합돌기가 끼워질때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에 마련된 걸림턱에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그 와이퍼 스트립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제한됨 으로써 윈드실드의 법적인 닦임면적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간격유지부와 상기 간격유지턱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지지부재들 간의 간격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이 착탈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며,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체적인 품질이 안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2)

  1.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립과, 그 와이퍼 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홈부를 구비한 와이퍼 스트립;
    상기 각 홈부에 일부분이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양단 부근에서 그 지지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들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퍼 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측 홈부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그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구간인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으로 그 와이퍼 스트립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구간인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 중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넓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내측면과 마주하는 와이퍼 스트립의 폭은 상기 지지부재들의 내측면간 최단거리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면들간의 거리보다 좁은 내측벽을 가져, 그 지지부재들의 폭방향 외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억지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52937A 2007-05-30 2007-05-30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88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37A KR100888013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37A KR100888013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400A KR20080105400A (ko) 2008-12-04
KR100888013B1 true KR100888013B1 (ko) 2009-03-09

Family

ID=4036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937A KR100888013B1 (ko) 2007-05-30 2007-05-30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2017B (zh) * 2010-11-10 2016-06-01 阿斯莫有限公司 刮水片
CN108082129A (zh) * 2016-11-21 2018-05-29 株式会社美姿把 刮水器刮片
CN113615962A (zh) * 2020-05-09 2021-11-09 合肥美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刷罩、清洁刷、清洁装置以及色选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348A (ja) * 1988-08-17 1990-05-11 Swf Auto Electric Gmbh 自動車のワイパ装置用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530433B1 (ko) * 1997-07-11 2005-11-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유리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348A (ja) * 1988-08-17 1990-05-11 Swf Auto Electric Gmbh 自動車のワイパ装置用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530433B1 (ko) * 1997-07-11 2005-11-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유리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400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0210C (en) Universal coupler for a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KR100868798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JP4791486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デバイス
KR101484062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US7028368B2 (en) Wiper blade assembly for motor vehicle
JP4856348B2 (ja) 車両ウィンドガラス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100702826B1 (ko) 자동차 윈드실드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06322B1 (ko) 자가 잠금식 단부 캡을 구비하는 비임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US9845077B2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KR100888013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840000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20080093335A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158523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5873713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08136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35269B1 (ko) 채터링 방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US9032586B2 (en) Wiper blade
KR10255950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용 러버
JP7161378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313032Y1 (ko) 차량용 와이퍼
KR20040935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429328Y1 (ko) 와이퍼 스트립
KR20130022037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