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5234B1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234B1
KR101585234B1 KR1020140038304A KR20140038304A KR101585234B1 KR 101585234 B1 KR101585234 B1 KR 101585234B1 KR 1020140038304 A KR1020140038304 A KR 1020140038304A KR 20140038304 A KR20140038304 A KR 20140038304A KR 101585234 B1 KR101585234 B1 KR 10158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ing
wiper
strip
protrusions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774A (ko
Inventor
백운산
Original Assignee
백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산 filed Critical 백운산
Priority to KR102014003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2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2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가 구비된 와이핑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연결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굴절작동편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굴절작동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보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홀더 결합홈이 구비된 홀더 결합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스트립 결합홈과, 상기 홀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 및 통상의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구성하는 와이핑 돌기는 교호로 배치되어 와이핑 돌기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또는 눈물은 수로를 통하여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이 유리창에 밀착되어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성에를 제거함과 아울러 유리창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은 에지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와이핑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for windscreen wip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유리창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눈은 물론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과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퍼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레버 조립체와, 레버 조립체에 결합되는 스트립 홀더 및, 스트립 홀더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와이핑부는 차량의 유리창에 직접 접촉하면서 빗물 또는 눈물, 그리고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와이핑하는 부분으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종래 차량용 와이퍼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나 주로 소위 토너먼트 레버 조립체라고 불리는 레버 조립체와 와이퍼 암과 레버 조립체를 연결하는 블레이드 어댑터의 개발에 치중되어 왔으며, 차량의 유리창에 직접 접촉하여 와이핑하는 와이퍼 스트립, 특히 와이핑부에 대해서는 재질 변경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구조적으로는 크게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9는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00)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110은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와이핑부이고, 120은 연결부이며, 130은 스트립 홀더(200)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이다.
상기 와이핑부(110)는 유리창(G)에 접촉하는 에지부(111)와 상기 에지부(1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112)로 구성되며, 연결단부(112)가 두껍고 에지부(111) 쪽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는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와이핑부(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21)와, 상기 돌기(121)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122)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결합부(130)는 상기 굴절작동편(122)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어 스트립 홀더(200)의 결합홈(21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31)와, 상기 굴절작동편(1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돌기(132) 및, 상기 결합돌기(131)와 돌기(132) 사이에 형성되어 스트립 홀더(200)의 결합용 절곡부(220)가 삽입되는 결합홈(133)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230은 스트립 홀더(200)를 와이퍼 암(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암 연결부이다.
이러한 와이퍼 스트립(100)에 의하여 차량의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100)이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연결부(120)의 굴절작동편(122)이 우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10)가 우측으로 휘어져서 에지부(111)와 좌측면(113)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되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100)이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연결부(120)의 굴절작동편(122)이 좌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10)가 좌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되어 에지부(111)와 우측면(114)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100)이 운전석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에지부(111)와 좌측면(113)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100)이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되며, 와이퍼 스트립(100)이 조수석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에지부(111)와 우측면(114)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긁어내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와이퍼 스트립(100)이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는 경우에는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에 의하여 와이퍼 스트립(100)을 유리창(G)으로부터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퍼 스트립(100)의 에지부(111)와 좌측면(113)이 유리창(G)의 표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미세하지만 유리창(G)의 표면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기 때문에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충분히 와이핑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에지부(111)와 좌측면(113)이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성에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00)으로서는 차량의 유리창(G)을 깨끗하게 와이핑하지 못하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와이퍼 스트립(100)이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긁어내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되므로 와이퍼 스트립(1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는 경우와 같은 현상이 매우 미흡하게 일어나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50819호(2011.07.14. 등록) "와이퍼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된 와이퍼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차량의 유리창에 묻어 있는 빗물이나 눈은 물론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과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가 구비된 와이핑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연결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굴절작동편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굴절작동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보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홀더 결합홈이 구비된 홀더 결합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는 하나의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스트립 결합홈과, 상기 홀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 및 통상의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핑부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가 구비된 와이핑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연결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굴절작동편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굴절작동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보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홀더 결합홈이 구비된 홀더 결합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과;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가 구비된 와이핑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연결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굴절작동편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굴절작동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와 보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홀더 결합홈이 구비된 홀더 결합부와, 상기 와이핑부의 우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좌측 와이퍼 스트립과 우측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스트립 결합홈과, 상기 좌측 와이퍼 스트립과 우측 와이퍼 스트립의 홀더 결합홈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 및 통상의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좌측 와이퍼 스트립의 우측면과 우측 와이퍼 스트립의 좌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구성하는 와이핑 돌기는 에지부와 평행한 밑변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각 열의 와이핑 돌기들은 교호로 배치하여 와이핑 돌기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핑 블레이드의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구성하는 와이핑 돌기는 교호로 배치되어 와이핑 돌기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또는 눈물은 수로를 통하여 흘러내리게 되고,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이 유리창에 밀착되어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도는 성에를 제거함과 아울러 유리창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은 에지부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와이핑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빗물이나 눈물, 그리고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성에를 효과적으로 와이핑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2는 와이퍼 스트립과 스트립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와이퍼 스트립의 측면도,
도 4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8은 와이퍼 스트립과 스트립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와이퍼 스트립의 측면도,
도 10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와이퍼 스트립과 스트립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와이퍼 스트립의 측면도,
도 16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9 내지 도 21은 종래 차량용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와이퍼 스트립과 스트립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와이퍼 스트립(S)을 채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와이핑 작용을 하는 와이퍼 스트립(S)과, 와이퍼 스트립(S)을 와이퍼 암(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홀더(H)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S)은,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와이핑부(10)와, 상기 와이핑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홀더(H)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3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와이핑부(10)의 양측면(13, 14)에서 돌출되는 와이핑 돌기열(突起列)(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핑부(10)는 유리창(G)에 접촉하는 에지부(11)와 상기 에지부(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연결단부(12)로 구성되며, 연결단부(12)가 두껍고 에지부(11) 쪽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는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와이핑부(10)의 연결단부(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기(21)와, 상기 연결돌기(21)의 중앙에서 유리창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굴절작동편(22)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결합부(30)는 상기 굴절작동편(22)의 유리창 반대쪽에 형성되어 스트립 홀더(H)의 스트립 결합홈(5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1)와, 상기 굴절작동편(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돌기(32) 및, 상기 결합돌기(31)와 보강돌기(32) 사이에 형성되어 스트립 홀더(H)의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52)가 삽입되는 홀더 결합홈(33)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핑 돌기열(40)은 복수열로 구성되며, 각 열의 와이핑 돌기열(40)은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41, 42, 43)로 구성되고, 각 와이핑 돌기(41, 42, 43)는 에지부(11)와 평행한 밑변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핑 돌기(41, 42, 43)들이 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핑 돌기열(40)은 3개의 열로 구성하고, 각 열의 와이핑 돌기(41, 42, 43)들은 교호로 배치하여 와이핑 돌기(41, 42, 43)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홀더(H)는 하나의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결합홈(51)과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52) 및 와이퍼 암(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퍼 암 연결부(53)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여 차량의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이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우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우측으로 휘어져서 에지부(11)와 좌측면(13)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이 운전석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에지부(11)와 좌측면(13)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이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면(13)의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에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이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좌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좌측으로 휘어져서 에지부(11)와 우측면(14)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이 조수석 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에지부(11)와 우측면(14)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되는 상태가 되며,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이 긁어내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빗물 또는 눈물은 에지부(11)와 우측면(14) 및 유리창(G) 사이에 완전히 포집된 상태가 아니고 유리창(G)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는 상태이지만 일부 빗물 또는 눈물은 와이핑 돌기(41, 42, 43) 사이에 형성된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나 눈물, 그리고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성에를 효과적으로 와이핑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핑 돌기열(40)은 좌측면(13)과 우측면(14)에 모두 형성하고 있으나, 좌측면(13)에만 형성하여 와이퍼 스트립(S)이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와이핑할 때에만 와이핑 돌기열(40)에 의한 이물질이나 성에 제거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와이퍼 스트립(S)이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면서 와이핑할 때에는 에지부(11)와 우측면(14)에 의한 와이핑 작용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스트립 홀더(H)와 두 개의 와이퍼 스트립(Sa, Sb)을 채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와이핑 작용을 하는 좌우 한 쌍의 와이퍼 스트립(Sa, Sb)과, 한 쌍의 와이퍼 스트립(Sa, Sb)을 와이퍼 암(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홀더(H)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Sa, Sb)은, 각각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와이핑부(10)와, 상기 와이핑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홀더(H)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3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은 와이핑부(10)의 좌측면(13)에서 돌출되는 와이핑 돌기열(突起列)(40)을 포함하며,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은 와이핑부(10)의 우측면(14)에서 돌출되는 와이핑 돌기열(40)을 포함한다.
와이핑 돌기열(4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와이핑 돌기(41, 42, 43) 및 이들 와이핑 돌기(41, 42, 43)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44)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홀더(H)는 두 개의 와이퍼 스트립(Sa, Sb)을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결합홈(51a, 51b)과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52a, 52b)와 와이퍼 암(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와이퍼 암 연결부(53) 및 연결편(54)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여 차량의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a, Sb)이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이 선행하고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이 후행하게 되며,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우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우측으로 휘어져서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은 에지부(11)와 좌측면(13)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되고,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은 에지부(11)와 좌측면(13)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a, Sb)의 에지부(11)와 좌측면(13)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a, Sb)이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선행하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의 좌측면(13)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에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행하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은 에지부(11)와 좌측면(13)이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최종적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a, Sb)이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이 선행하게 되고,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이 후행하게 되며,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좌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좌측으로 휘어져서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은 에지부(11)와 우측면(14)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되고,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은 에지부(11)와 우측면(14)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a, Sb)의 에지부(11)와 우측면(14)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a, Sb)이 긁어내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선행하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의 우측면(14)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행하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은 에지부(11)와 우측면(14)이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최종적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나 눈물, 그리고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성에를 효과적으로 와이핑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스트립 홀더(H)와 두 개의 와이퍼 스트립(Sa, Sb)을 채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는 실질적으로 와이핑 작용을 하는 좌우 한 쌍의 와이퍼 스트립(Sa, Sb)과, 한 쌍의 와이퍼 스트립(Sa, Sb)을 와이퍼 암(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홀더(H)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Sa, Sb)은, 각각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와이핑부(10)와, 상기 와이핑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홀더(H)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부(3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와이퍼 스트립(Sa, Sb)은 와이핑부(10)의 좌측면(13)과 우측면(14)에서 돌출되는 와이핑 돌기열(突起列)(40)을 포함한다.
와이핑 돌기열(4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와이핑 돌기(41, 42, 43) 및 이들 와이핑 돌기(41, 42, 43)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44)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립 홀더(H)는 두 개의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결합홈(51a, 51b)과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52a, 52b)와 와이퍼 암(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와이퍼 암 연결부(53) 및 연결편(54)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여 차량의 유리창을 와이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a, Sb)이 차량의 운전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이 선행하고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이 후행하게 되며,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우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우측으로 휘어져서 와이퍼 스트립(Sa, Sb)은 에지부(11)와 좌측면(13)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a, Sb)의 에지부(11)와 좌측면(13)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a, Sb)이 긁어올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선행하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의 좌측면(13)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한편, 후행하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의 좌측면(13)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3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최종적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에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Sa, Sb)이 차량의 조수석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이 선행하게 되고,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이 후행하게 되며, 연결부(20)의 굴절작동편(22)이 좌측으로 휘어짐과 아울러 와이핑부(10)가 좌측으로 휘어져서 와이퍼 스트립(Sa, Sb)은 에지부(11)와 우측면(14)의 와이핑 돌기열(40)이 유리창(G)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Sa, Sb)의 에지부(11)와 우측면(14) 및 유리창(G) 사이에 빗물 또는 눈물이 포집된 상태가 되고, 포집된 빗물 또는 눈물을 와이퍼 스트립(Sa, Sb)이 긁어내리는 식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여기서 선행하는 우측 와이퍼 스트립(Sb)의 우측면(14)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2차로 와이핑하게 된다.
한편, 후행하는 좌측 와이퍼 스트립(Sa)의 우측면(14)에 형성된 와이핑 돌기열(40)은 와이핑 돌기(41, 42, 43)가 교호로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수로(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눈물 등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리게 되고, 와이핑 돌기(41, 42, 43)가 유리창(G)에 밀착되면서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3차로 제거하게 되고, 에지부(11)가 수로(44)를 통해 흘러내려 유리창(G)에 남아 있는 빗물 또는 눈물을 최종적으로 와이핑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기온이 낮은 경우 유리창(G)에 서리는 성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나 눈물, 그리고 유리창(G)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성에를 효과적으로 와이핑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Sa, Sb : 와이퍼 스트립 H : 스트립 홀더
10 : 와이핑부 11 : 에지부
13 : 좌측면 14 : 우측면
20 : 연결부 21 : 연결돌기
22 : 굴절작동편 30 : 홀더 결합부
31 : 결합돌기 33 : 홀더 결합홈
40 : 와이핑 돌기열 41, 42, 43 : 와이핑 돌기
44 : 수로 51, 51a, 51b : 결합홈
52, 52a, 52b : 스트립 결합용 절곡부 53 : 와이퍼 암 연결부

Claims (5)

  1.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가 구비되어 와이핑 작용을 하는 와이핑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부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에지부와 평행한 밑변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와, 상기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부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3. 차량의 유리창에 접촉하는 에지부가 구비되어 와이핑 작용을 하는 와이핑부를 포함하는 좌, 우측 와이퍼 스트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좌측 와이퍼 스트립의 와이핑부의 좌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에지부와 평행한 밑변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와, 상기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측 와이퍼 스트립의 와이핑부의 우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에지부와 평행한 밑변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와, 상기 복수개의 와이핑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를 가지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와이퍼 스트립의 우측면과 우측 와이퍼 스트립의 좌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열의 와이핑 돌기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5. 삭제
KR1020140038304A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Active KR10158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304A KR101585234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304A KR101585234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74A KR20150113774A (ko) 2015-10-08
KR101585234B1 true KR101585234B1 (ko) 2016-01-13

Family

ID=5434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304A Active KR101585234B1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6U (ko) 2021-10-14 2023-04-21 (주)대한솔루션 와이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자동차용 와이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265B1 (ko) 2019-08-19 2021-04-16 김영돈 이물질 제거 브러쉬가 구비된 차량용 와이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33Y1 (ko) * 2001-09-18 2001-12-28 백운산 윈드 실드 와이퍼용 겹날형 블레이드
JP2003182531A (ja) 2001-12-21 2003-07-03 Fukoku Co Ltd 粗面化処理ワイパーブレードラバーおよびワイ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33Y1 (ko) * 2001-09-18 2001-12-28 백운산 윈드 실드 와이퍼용 겹날형 블레이드
JP2003182531A (ja) 2001-12-21 2003-07-03 Fukoku Co Ltd 粗面化処理ワイパーブレードラバーおよびワイパ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6U (ko) 2021-10-14 2023-04-21 (주)대한솔루션 와이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자동차용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74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2994B (zh) 用于清洁车辆车窗的擦拭器刮片,以及擦拭器装置
CA2818258C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end cap
EP2470402B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JP2007153324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6474784B2 (ja) 風防ワイパ装置
KR10158523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29145B1 (ko) 압력 분산형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87765Y1 (ko) 긁음부와 이중 꺾임부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CN105620428A (zh) 雨刮器的雨刮胶条
CN105774756B (zh) 风挡擦拭器
KR100888013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WO2015153596A1 (en) Winter wiper assembly
KR102461203B1 (ko) 와이퍼 장치
CN211493986U (zh) 一种具有双刮刀结构的雨刷胶条及无骨雨刮器
CN108463382A (zh) 汽车用雨刷片
KR1008136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45232Y1 (ko)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KR10255950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착용 러버
CN211642116U (zh) 一种新型雨刷胶条
CN108501877B (zh) 刮水片
KR20210059319A (ko)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RU2173643C1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2236341A (zh) 车辆挡风玻璃雨刮器叶片
KR20250017772A (ko)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JP3155480U (ja) 車両用ワイパ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