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97Y1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9297Y1 KR200429297Y1 KR2020060020603U KR20060020603U KR200429297Y1 KR 200429297 Y1 KR200429297 Y1 KR 200429297Y1 KR 2020060020603 U KR2020060020603 U KR 2020060020603U KR 20060020603 U KR20060020603 U KR 20060020603U KR 200429297 Y1 KR200429297 Y1 KR 2004292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sound
- floor
- concrete slab
- floor impact
- sound ins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5474 octano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81 polyalk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DVKJHBMWWAPEIU-UHFFFAOYSA-N toluene 2,4-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O)C=C1N=C=O DVKJHBMWWAPEI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UEEJHVSXFDXPFK-UHFFFAOYSA-N N-dimethylaminoethanol Chemical compound CN(C)CCO UEEJHVSXFDXPFK-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OFBQJSOFQDEBGM-UHFFFAOYSA-N 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QIUGAXCHLFZKX-UHFFFAOYSA-N Di-n-octyl phthalate Natural products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MQIUGAXCHLFZ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JQHLKABXJIVAM-UHFFFAOYSA-N bis(2-ethylhex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1=CC=CC=C1C(=O)OCC(CC)CCCC BJQHLKABXJIV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group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AILQKRSUWWXHIB-UHFFFAOYSA-N 1-(dimethylamino)ethanol Chemical compound CN(C)C(C)O.CN(C)C(C)O AILQKRSUWWXH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ZAXFHJVJLSVMW-UHFFFAOYSA-N 2-Aminoethan-1-ol Chemical compound NCCO HZAXFHJVJLSVM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30 Moisture cure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34 poly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6 sede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12 tertiary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상층에서 발생하는 중량충격음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진재(11),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방진재(11)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0a)의 깊이는 하부면이 콘크리트 슬래브(1)와의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진재(11)의 높이보다 낮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의 단열구조물(10), 상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난방배관(12), 그리고 상기 난방배관(12)을 덮으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와 결합하는 마감몰탈(13)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면과 상기 다수의 방진재(11)의 하부면 사이에 10mm 두께의 판상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충격음, 경량충격음, 중량충격음, 폴리우레탄, 공기층, 방진재, 필터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바닥충격음의 발생모델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의 구성도,
도 3은 선출원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의 구성도,
도 4는 선출원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의 구성요소인 단열구조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열구조물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단열구조물의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성 요소인 단열구조물 시편의 평면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단열구조물 시편의 정면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실시예1 및 비교예 1~3에서 경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표,
도 11은 실시예1 및 비교예 1~3에서 중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표,
도 12a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경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 도 12b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중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a는 비교예1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경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 도 13b는 비교예1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중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a는 비교예2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경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 도 14b는 비교예2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중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a는 비교예3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경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5b는 비교예3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대한 중량 바닥충격음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슬래브 2: 경량기포 콘크리트
3: 마감 몰탈 4: 표면마감재
10: 단열구조물 10a: 삽입홈
10b: 요홈
11: 방진재 12: 난방배관
13: 마감몰탈 15: 벽면 완충재
16: 폴리우레탄 필터폼 (filter foam)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상층에서 발생하는 중량충격음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바닥충격음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상층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 슬래브, 천장 또는 벽체를 통하여 하층 세대 내로 방사되는 음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공기 전파음을 잘 차단하기 때문에 좋은 차음재라 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구조에 충격이나 진동을 직접 가하게 되면 고체전파음으로 변하여 거의 감쇠되지 않고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어 음(소음)으로 방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닥충격음은 크게 그릇이나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충격음과,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되고 있다.
구미의 주택의 경우, 바닥충격음은 주로 사람이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소리, 즉 여성의 하이힐에 의한 충격음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중량충격음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야 하고, 한국이나 일본 주택의 경우, 생활습관이 좌식 생활을 하기 때문에 상기 중량충격음 외에 경량충격음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바닥충격음의 발생모델을 간단하게 나타내면 도 1과 같이 충격원, 바닥구조 및 하부공간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 1에서, Mt는 충격원의 질량(㎏), Vt는 충격원의 충돌속도(m/s), kc는 충격면의 탄성계수(N/m2), rc는 충격면의 마찰저항계수(N/m/s), Ms는 바닥슬래브의 질량(㎏)이다. 여기서 Mt와 Ms는 종래에는 고정되어 있어서 주로 kc와 rc를 조절하여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고 있다.
종래의 공동주택의 바닥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 상기 슬래브(1)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단열을 위한 경량기포콘크리트(2),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2) 위에 도포되며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마감 몰탈(3), 그리고 상기 마감 몰탈(3) 위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표면마감재(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전술한 계수 kc와 rc를 조절하여 경량충격음은 만족할 만한 정도로 차단하고 있으나, 중량 충격음은 만족할만한 정도로 차단하지 못하여 입주자에게 소음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중량 충격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의 두께를 현재 150 내지 180 mm에서 210mm로 크게 하든지, 아니면 콘크리트 슬래브(1)의 두께를 그대로 두는 대신에 슬래브가 210mm로 한 경우와 동등한 차음효과를 내도록 하는 바닥구조를 개발하여 시공하도록 강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슬래브(1)를 두껍게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건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아파트의 층고가 높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쉽게 채용하지 못하고 차음구조를 개선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의 두께가 210mm 인 경우와 동일한 차음효과를 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본 고안자의 일부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를 개발하여 제2005-103013호로 특허 출원을 한 바 있다.
이 선출원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면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진재(11),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방진재(11)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0a)의 깊이는 하부면이 콘크리트 슬래브(1)와의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진재(11)의 높이보다 낮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의 단열구조물(10), 상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에 배치된 난방배관(12), 그리고 상기 난방배관(12)을 덮으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와 결합하는 마감몰탈(13)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번호 15는 벽면완충재이다.
상기 단열구조물(10)은 발포폴리스티렌으로서 폴리에스틸렌 수지에 펜탄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시켜 가열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수지로 만들고 스티렌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한다.
단열구조물(10)에는 하부면에 삽입홈(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홈 깊이를 방진재(11)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방진재(11)의 삽입시에 방진재(11)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면과 단열구조물(10)의 하 부면 사이에는 공기층인 틈새(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구조물(10)의 상부면에는 상부의 마감 몰탈(13)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홈(10b)이 형성되어 있다.
방진재(11)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EVA(Ethylene Vinyl Acetate), 고무, PE(Polyethylene), EPP(Expandable Polypropylene )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방진재(11)는 마이크로 셀 구조를 자진 연질 포옴이며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며, 방진성능 및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고 충격을 가해도 파괴되지 않으며 내후성이 우수하다.
선출원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와 단열구조물(10)사이에 방진성능이 뛰어난 전술한 방진재(11)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공기층인 틈새(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게 된다.
또한 단열구조물(10)은 난방배관(12)의 열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 아니라 바닥충격음 차음, 즉 차음 및 방진의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바닥충격음 차단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에 주거하는 사람은 상층에서 들리는 충격음을 보다 완격하게 차음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보다 나은 차음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 충격음, 특 히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충격음의 바닥충격음의 차단효과를 개선하여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진재,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방진재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하부면이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진재의 높이보다 낮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의 단열구조물, 상기 단열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난방배관, 그리고 상기 난방배관을 덮으며 단열구조물의 상부와 결합하는 마감몰탈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면과 상기 다수의 방진재의 하부면 사이에, 밀도 31.72 Kg/㎥, 경도(I.L.D 25%) 25.34 Kg/314㎠, 인장강도 1.453 Kg/㎠. 신장율 121.42%, 인열강도 1.150 Kg/㎝, 탄성 35%의 물성치를 갖는, 10mm 두께의 판상 폴리우레탄 필터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필터폼이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64 wt%, 폴리에테르 코폴리머 폴리올 7 wt%,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1 wt%, 제1활성제인 올게닉 스텐네스 옥토에이트 0.5 wt%, 제2활성제인 제3아민/글리콜 혼합물 0,4 wt% 과 N,N-디메탈 아미노 에탄올 0.8 wt%, 실리콘 계면활성제인 폴리알킬렌 옥시디메틸 실록산 코폴리머 0.2 wt%, 그리고 칼라 페이스트 1 wt%의 구성 성분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도 3 내지 도 6과 마찬가지로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진재(11),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방진재(11)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0a)의 깊이는 하부면이 콘크리트 슬래브(1)와의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진재(11)의 높이보다 낮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의 단열구조물(10), 상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와 결합하는 마감몰탈(13)을 포함하고 있다. 도 7에서 마감몰탈(13) 내부에 배설되는 난방배관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고안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가 도 3의 차음구조와 다른 점은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면과 상기 다수의 방진재(11)의 하부면 사이에 판상의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은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ether Polypropylene Glycol) 64 wt%, 폴리에테르 코폴리머 폴리올(Polyether Copolymer Polyol) 7 wt%,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nate) 26.1 wt%, 제1활성제인 올게닉 스텐네스 옥토에이트(Organic Stanneus Octoate) 0.5 wt%, 제2활성제인 제3아민/글리콜 혼합물(Tertiary Amine/Glycol Mixtuer) 0,4 wt% 과 N,N-디메틸 아미노 에탄올(N,N-Dimethyl Amino Ethanol) 0.8 wt%, 실리콘 계면활성제인 폴리알킬렌 옥시디메틸 실록산 코폴리머(Polyalkylene Oxidemethyl Siloxane Copolymer) 0.2 wt%, 그리고 칼라 페이스트(color paste) 1 wt%의 구성 성분으로 제조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은 다음 표1과 같은 물성치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측정항목 | 단 위 | 물성치 | 측정 방법 |
밀 도 | Kg/㎥ | 32±3 | JIS-K-6401 |
경 (I.L.D 25%) | Kg/314㎠ | 25.34 | 〃 |
인장강도 | Kg/㎠ | 1.453 | JIS-K-6301 |
신 장 율 | % | 121.42 | 〃 |
인열강도 | Kg/㎝ | 1150 | 〃 |
탄 성 | % | 35 | JIS-K-6401 |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은 판상으로 제조되는데,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시험결과 10mm 로 나타났다.
상기 단열구조물(10)은 발포폴리스티렌으로서 폴리에스틸렌 수지에 펜탄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시켜 가열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수지로 만들고 스티렌모노머를 중합시켜 제조한다.
방진재(11)는 폴리우레탄조성물로서,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DOP ; dioctyl phthalate) 20 내지 30중량%,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튼 3 내지 5중량%, 5 내지 10㎛의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탄산칼슘 10 내지 20중량% 및 잔량으로서 유리 NCO기가 5 내지 10%로 조절된 통상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조성물과;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 30 내지 40중량%, 에틸렌옥사이드 5 내지 10중량%, 물 10 내지 20중량% 및 잔량으로서 5 내지 10㎛의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탄산칼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조성물; 들을 그 혼합비가 제1조성물 : 제2조성물이 1 : 2.5 내지 3.5 의 중량비로 되도록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방진재(11)는 그 물성치가 다음 표2와 같도록 하고 그 크기는 50mm×50mm×40mm의 것을 이용한다.
구분 | 값 | 단위 | 시험기준 | 비고 |
밀도 | 150 | ㎏/㎥ | KSM3014 | |
정적 탄성계수 | 0.003-0.008 | N/㎟ | DIN 53513 | |
동적 탄성계수 | 0.018-0.036 | N/㎟ | DIN 53513 | 하중, 주파수와 관련(동적탄성계수를 유지하는 정적탄성계수가 클수록 방진재의 처짐량이 작음) |
영구압축 수축률 | 3.6 | % | KSM3016 | |
인장강도 | 2 | ㎏/㎠ | KSM3014 | 최소 |
신장률 | 300 | % | KSM3014 | 최소 |
전기 저항률 | 1015 | Ω·㎝ | DIN 53482 | 건조한 재질 |
열전도성 | 0.05 | ㎉/(mh℃) | JIS1420 | |
난연등급 | B2 | DIN 4102 | 표준 난연성 |
본 고안의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와 방진재(11) 사이에 중량충격음을 차단하는 최적의 물성치를 갖는 판상의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충격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보다 뛰어나게 된다.
실시예1
도 7에 도시된 바닥 충격음 구조를 아래의 같이 구성하고 경량충격시험과 중량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 슬래브(1)의 두께는 180mm 이고, 단열구조물(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치수를 갖는 1000mm×1000mm×40mm의 크기의 것을 사용하였고, 방진재(11)는 전술한 표2의 물성치를 갖되 정적 탄성계수 0.011, 동적 탄성계수 0.048인 크기 50mm×50mm×40mm의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감몰탈(13)의 두께는 50mm 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은 두께가 10mm 이고 전술한 표1의 물성치를 갖되 밀도가 31.72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바닥구조에 대하여 KSF 2810-1의 표준경량충격원에 의한 시험방법과 KSF 2810-2의 표준중량충격원에 의한 시험방법에 의하여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과 역A특성 중량충격음레벨을 각각 측정하였다.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0의 표 및 도 12a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경우는 역A특성가중규준화바닥충격음레벨(L'n,AW)이 46으로서 양호한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역A특성 중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1의 표 및 도 12b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바닥충격음레벨(L'n,Fmax,AW)이 39로서 극히 양호한 1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비교예1
전술한 실시예1에 비하여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을 제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경량충격시험과 중량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0의 표 및 도 13a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규준화바닥충격음레벨(L'n,AW)이 46으로서 실시예1과 유사한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역A특성 중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1의 표 및 도 13b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바닥충격음레벨(L'n,Fmax,AW)이 43로서 실시예1보다 낮은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비교예2
전술한 실시예1에 비하여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의 두께를 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경량충격시험과 중량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0의 표 및 도 14a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규준화바닥충격음레벨(L'n,AW)이 46으로서 실시예1과 유사한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역A특성 중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1의 표 및 도 14b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바닥충격음레벨(L'n,Fmax,AW)이 44로서 실시예1보다 낮은 3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비교예3
전술한 실시예1에 비하여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의 두께를 8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경량충격시험과 중량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0의 표 및 도 15a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규준화바닥충격음레벨(L'n,AW)이 45으로서 실시예1과 유사한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역A특성 중량바닥충격음 레벨의 측정결과는 도 11의 표 및 도 15b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A특성가중바닥충격음레벨(L'n,Fmax,AW)이 42로서 실시예1보다 낮은 2급의 차음효과를 보였다.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1,2,3에서 역A특성 경량바닥충격음 레벨은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유사하나, 역A특성 중량바닥충격음 레벨은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면에 10mm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을 배치하는 실시예1의 경우가, 종래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1과, 다른 두께의 폴리우레탄 필터폼이 배치된 비교예2, 3에 비하여 탁월한 차음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충격음의 바닥충격음의 차단효과를 크게 개선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공동주택에서 상층에서 발생하는 바닥충격음, 특히 중량충격음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진재(11),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방진재(11)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0a)의 깊이는 하부면이 콘크리트 슬래브(1)와의 사이에 틈새(c)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진재(11)의 높이보다 낮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의 단열구조물(10), 그리고 상기 단열구조물(10)의 상부와 결합하는 마감몰탈(13)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면과 상기 다수의 방진재(11)의 하부면 사이에, 밀도 31.72 Kg/㎥, 경도(I.L.D 25%) 25.34 Kg/314㎠, 인장강도 1.453 Kg/㎠. 신장율 121.42%, 인열강도 1.150 Kg/㎝, 탄성 35%의 물성치를 갖는, 10mm 두께의 판상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필터폼(16)은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64 wt%, 폴리에테르 코폴리머 폴리올 7 wt%,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1 wt%, 제1활성제인 올게닉 스텐네스 옥토에이트 0.5 wt%, 제2활성제인 제3아민/글리콜 혼합물 0,4 wt% 과 N,N-디메틸 아미노 에탄올 0.8 wt%, 실리콘 계면활성제인 폴리알킬렌 옥시디메틸 실록산 코폴리머 0.2 wt%, 그리고 칼라 페이스트 1 wt%로 제 조된 것을 특징으로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0603U KR200429297Y1 (ko) | 2006-07-31 | 2006-07-31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0603U KR200429297Y1 (ko) | 2006-07-31 | 2006-07-31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2213A Division KR100743246B1 (ko) | 2006-07-31 | 2006-07-31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9297Y1 true KR200429297Y1 (ko) | 2006-10-19 |
Family
ID=4177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0603U Ceased KR200429297Y1 (ko) | 2006-07-31 | 2006-07-31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929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141B1 (ko) | 2007-08-23 | 2008-12-08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층간 차음재 제조 방법 |
KR100986446B1 (ko) | 2008-06-11 | 2010-10-08 | 박연준 | 상부 표면보호층이 구비된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
KR102240355B1 (ko) | 2019-12-09 | 2021-04-1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
2006
- 2006-07-31 KR KR2020060020603U patent/KR200429297Y1/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141B1 (ko) | 2007-08-23 | 2008-12-08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층간 차음재 제조 방법 |
KR100986446B1 (ko) | 2008-06-11 | 2010-10-08 | 박연준 | 상부 표면보호층이 구비된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 |
KR102240355B1 (ko) | 2019-12-09 | 2021-04-1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0641B1 (ko) |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 |
KR102481352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 |
KR101740046B1 (ko) | 층간소음 방지재 | |
KR200429297Y1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
KR100743246B1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
KR100643036B1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
KR100716665B1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
KR20100062050A (ko) |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 |
KR100806728B1 (ko) |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 |
KR200484453Y1 (ko) | 숯 분말과 돌가루가 포함된 차음재 | |
KR100357024B1 (ko)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및 그 차음구조에이용되는 폴리우레탄 | |
WO2010064833A2 (ko) | 차음재의 제조방법 | |
KR200328912Y1 (ko) |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 |
KR20190033995A (ko) | 나노기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억제 공법 | |
CN101597924B (zh) | 泡沫聚苯乙烯构件及具有该构件的吸音板 | |
JP2691321B2 (ja) | 防音床材 | |
KR20090115391A (ko)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층간소음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22521B1 (ko) | 슬래브 바닥구조물 | |
KR20090010378U (ko) | 차음재 | |
KR200215099Y1 (ko) | 방음기능을 가진 바닥장식재 | |
KR100420826B1 (ko) | 건축물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
KR200447815Y1 (ko) | 건물 바닥용 복층 구조의 완충재 조립체 | |
KR200247174Y1 (ko) | 건축물 슬라브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
KR200203981Y1 (ko) | 제진 바닥재 | |
KR20060037485A (ko) | 바닥 충격음 차음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