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597A -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8597A KR20040078597A KR1020040014577A KR20040014577A KR20040078597A KR 20040078597 A KR20040078597 A KR 20040078597A KR 1020040014577 A KR1020040014577 A KR 1020040014577A KR 20040014577 A KR20040014577 A KR 20040014577A KR 20040078597 A KR20040078597 A KR 20040078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oil
- skin
- ether
- formul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61—Wooden frames
- E06B2003/7073—Wooden frames with fire retardant measures in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학식 1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fatty alcohol acid ester)와 광유 또는 바셀린이 아닌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의 화학식 1에서,
B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0 내지 10의 알킬렌, 또는 화학식의 그룹이며,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10 내지 22의 지방 알콜이며,
x는 0 내지 40이고,
y는 0 내지 30이며, 단 모든 xs및 ys의 합은 6 이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보습용으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지 않고 보수성을 제공하는 당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은 광유 또는 바셀린을 함유하지 않는다.
광유 및 바셀린이 연화제인 것은 익히 공지되어 있다. 광유 및 바셀린은 석유로부터 유도된다. 두 물질은 모두 소수성이며, 번들거리는 느낌을 갖는다. 광유 및 바셀린은 이들이 적용되는 피부에 우수한 보습화를 제공한다. 이들은 통상 피부에 크림 또는 로션의 형태로 적용된다.
광유 또는 바셀린을 함유하는 크림 또는 로션은 통상 안정한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광유 또는 바셀린을 함유하는 크림 및 로션이 보습제로서 기능을 아주 잘 수행하지만, 이들은 피부에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게 된다. 많은 소비자들은 광유 또는 바셀린과 같이 보습시키지만, 피부에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지 않는 조성물을 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특허 제5,302,377호, 제5,455,025호, 제5,597,555호 및 제6,476,254호는 국소 적용용 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들은 지방족 및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트리카복실산의 지방 알콕실레이트 에스테르를 언급하고 있다. 에스테르는 연화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교시되고 있다. 본 특허들은 또한 에스테르가 광유 또는 바셀린과 혼합되거나, 이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고 교시하고 있다.
식물로부터 유도되는 오일과 같은 천연 연화제가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광유 또는 바셀린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물질은 피부를 보습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선행 기술 분야의 기재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지 않고 피부 보습화를 제공하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fatty alcohol acid ester)와 광유 또는 바셀린이 아닌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B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0 내지 10의 알킬렌, 또는 화학식의 그룹이며,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10 내지 22의 지방 알콜이며,
x는 0 내지 40이고,
y는 0 내지 30이며, 단 모든 xs및 ys의 합은 6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a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와 광유 또는 바셀린이 아닌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를 보습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피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보습방법이 제공된다.
위의 화학식 1a에서,
B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0 내지 10의 알킬렌, 또는 화학식의 그룹이며,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10 내지 22의 지방 알콜이며,
x는 0 내지 40이고,
y는 0 내지 30이며, 단 모든 xs및 ys의 합은 6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 크림, 로션 및 클린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형은 용액, 수중유 에멀젼 및 유중수 에멀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첫번째 성분은 위에서 언급한 화학식 1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x는 0이고, y는 3이며, B는 4이고, R1및 R2는 각각 14개의 긴 탄소로, 특히 미리스틸 알콜이다. 이 화합물은 디-폴리프로필렌 글리콜-3-미리스틸 에테르 아디페이트로 공지되어 있으며, CROMOLLIENT DP3A로서 크로다 인코포레이티드(Croda, Inc.)를 통해 시판중이다. 에스테르는 필름 형성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학식 1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의 양은 원하는 제형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중수 에멀젼의 경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 내지 약 90중량%의 범위일수 있다. 수중유 에멀젼의 경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4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용액의 경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9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두번째 성분은 광유 또는 바셀린이 아닌 연화제이다. 이러한 연화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15 스테아릴 에테르, PPG-10 세틸 에테르, PPG-4 라우릴 에테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라놀린, 라우로일 리신, 아몬드 오일, 참깨유, 귀리인유, 평지씨유,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대두유, 폴리디메틸실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참깨유 및 폴리디메틸실옥산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 연화제의 양은 원하는 제형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통상, 연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3 내지 약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유중수 에멀젼의 경우, 연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4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용액의 경우, 연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약 99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 유용할 수 있다. 적절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 글리코사이드(예: 옥틸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및 수크로즈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베타인 계면활성제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베타인은 알킬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으로부터 유도된다. 이들은 단지 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낮은 pH에서는 양이온성 및 중간 pH에서는 등전성. 적절한 베타인 계면활성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피로포스포베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중 베타인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와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알킬 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의 유도체이다. 이들은 pH에 따라 세 개의 상이한 형태로 존재하는 실제로 양쪽성이다: 낮은 pH에서는 양이온성, 중간 pH에서는 쯔비터 이온성 및 높은 pH에서는 음이온성. 적절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암포카복실레이트, 아미도알킬 설테인, 암포포스페이트, 카복시알킬 알킬 폴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중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라우레스 설페이트, 지방산의 나트륨 염, 세틸 포스페이트, 타우레이트, 아실아미노 산 및 락틸레이트가 포함된다.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중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약 0.1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멀젼인 경우에,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유화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톡시화 알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시화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알킬 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 실리콘 코폴리올,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된다.
에멀젼 안정화제가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적절한 에멀젼 안정화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틸 알콜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가 포함된다. 에멀젼 안정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물의 양은 원하는제형의 형태에 따라 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9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농후화제, 폐색제, 2차 컨디셔너, 보습제, 킬레이트화제 및 이들의 외관, 감촉과 향료를 개선하는 부가제(예: 착색제, 향료, 방부제, pH 조절제 등)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적절한 점도를 부여할 수 있는 시판중인 농후화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사용되는 경우에, 농후화제는 조성물의 브룩필드 점도(Brookfield viscosity)를 원하는 점도로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해야 한다. 적절한 농후화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1) 화학식 HO-(CH2CH2O)zH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여기서, z는 약 3 내지 약 200의 정수이다) 및 2)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인 지방산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에톡시화 폴리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및 글리세린의 모노 및 디에스테르의 에톡시화 유도체;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즈; 알킬 셀룰로즈; 하이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즈; 크산탄 고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농후화제는 크산탄 고무 및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폐색제(occlusive agent)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폐색제는 폴리데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우에, 폐색제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조성물에 보습화 및 컨디셔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판중인 보습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보습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중량%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절한 보습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1)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액체 폴리올; 2) 화학식 HO-(R"O)b-H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여기서, R"는 탄소수가 약 2 내지 약 3인 알킬렌 그룹이고, b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이다); 3) 화학식 CH3-C6H10O5-(OCH2CH2)c-OH의 메틸 글루코즈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여기서, c는 약 5 내지 약 25의 정수이다); 4) 우레아 및 5)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고, 글리세린이 바람직한 보습제이다.
적절한 킬레이트화제의 예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하고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제는 EDT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표명 "Versene 100XL"로 시판중인 사나트륨 EDTA(미국 미시간주에 소재하는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mpany) 제조)이고,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0.5%,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1%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절한 방부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표명 "Dowcil 200"으로 시판중인 쿼터늄(Quaternium)-15(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하는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제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에틸파라벤,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되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조성물 중에 약 0 내지 약 2% 및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7.5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 내지 약 7.0의 범위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적절한 활성 성분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α 하이드록시산, 방부제 및 일광차단제가 포함된다.
위에서 언급한 조성물은 적절한 용기에 원하는 성분을 합하고, 기계적으로 교반되는 프로펠러 및 패들 등과 같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혼합방법에 의해 주위 조건하에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혼합 순서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위의 성분들을 주요 혼합물로 가하기 전에 특정 성분들(예: 향료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을 미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성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에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실시예: 보습용 조성물의 제조
세 개의 수중유 에멀젼 제형을 위한 물질을 표 1, 2 및 3에 기재한다.
샘플 1 - 성분 | 양 |
물 | 82.00 |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 0.25 |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 0.40 |
크산탄 고무 | 0.30 |
콜로이드성 귀리 가루 | 0.25 |
글리세린 | 2.0 |
EDTA | 0.05 |
참깨유 | 6.0 |
CROMOLLIENT DP3A | 5.0 |
RHODORSIL 5193 | 0.2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 100 스테아레이트 | 1.25 |
세틸 알콜 | 1.25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 0.02 |
아몬드 오일 | 0.01 |
귀리인유 | 0.01 |
메틸파라벤 | 0.20 |
에틸파라벤 | 0.15 |
프로필파라벤 | 0.10 |
수산화나트륨(20% 용액) | 0.10 |
향료 | 0.15 |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 0.30 |
농후화제 및 귀리 가루를 물에 분산시킨다. 배치를 50 ℃(140 ℉)로 가열하고, 세틸 알콜, ARLACEL 165, BHT, 파라벤, 라우로일 리신, 참깨유, CROMOLLIENT, 디메티콘, 폴리데센, 아몬드 오일 및 귀리 오일을 가한다. 배치가 니폼(niform)인 경우, NaOH로 중화시킨다. 배치를 냉각시키고, 글리세린, VERSENE 100xL, 향료 및 디아졸리디닐 우레아를 45℃(113℉) 이하에서 가한다. 배치를 균질화시켜 크림상의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한다.
샘플 2 - 성분 | 양 |
물 | 82.82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1.25 |
스테아르산 | 1.25 |
올레산 | 1.25 |
폴리소르베이트 61 | 1.20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 1.0 |
디메티콘 | 1.0 |
참깨유 | 1.5 |
CROMOLLIENT DP3A | 1.0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80 |
합성 밀납 | 0.80 |
세틸 알콜 | 0.50 |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 0.02 |
스테아릴 알콜 | 0.50 |
벤질 알콜 | 0.30 |
메틸파라벤 | 0.15 |
부틸파라벤 | 0.05 |
프로필파라벤 | 0.10 |
수산화나트륨(50% 용액) | 0.26 |
향료 | 0.25 |
Carbomer 934 | 0.30 |
위이 성분들을 혼합하여 크림상의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한다.
샘플 3 - 성분 | 양 |
물 | 70.64 |
콜로이드성 귀리 가루 | 1.00 |
염화나트륨 | 0.01 |
VARISOFT TA-100 | 5.00 |
글리세린 917 | 12.00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 1.0 |
디메티콘 | 1.25 |
참깨유 | 4.0 |
CROMOLLIENT DP3A | 2.0 |
벤질 알콜 | 0.60 |
세틸 알콜 | 2.50 |
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크림상의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한다.
두 개의 유중수 에멀젼 제형을 위한 물질이 하기의 표 4 및 5에 제시되어 있다.
샘플 4 - 성분 | 양 |
물 | 68.20 |
카프릴 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 8.00 |
염화나트륨 | 0.80 |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 5.00 |
아보벤존 | 2.00 |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 5.0 |
디메티콘 코폴리올 | 5.00 |
펜옥시에탄올/파라벤 | 1.0 |
CROMOLLIETN DP3A | 5.0 |
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크림상의 유중수 에멀젼을 형성한다.
샘플 5 - 성분 | 양 |
물 | 79.30 |
염화나트륨 | 0.70 |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 9.0 |
디메티콘 코폴리올 | 5.00 |
펜옥시에탄올/파라벤 | 1.0 |
CROMOLLIENT DP3A | 5.0 |
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크림상의 유중수 에멀젼을 형성한다.
두 개의 용액 제형을 위한 물질이 하기의 표 6 및 7에 제시되어 있다.
샘플 6 - 성분 | 양 |
참깨유 | 36.00 |
PPG 15 스테아릴 에테르+ | 49.00 |
PEG 40 소르비탄 퍼올레에이트 | 1.0 |
향료 | 5.00 |
CROMOLLIENT DP3A | 9.0 |
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용액을 형성한다.
샘플 7 - 성분 | 양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 36.00 |
PPG 15 스테아릴 에테르 | 49.00 |
PEG 40 소르비탄 퍼올레에이트 | 1.0 |
향료 | 5.00 |
CROMOLLIENT DP3A | 9.0 |
위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용액을 형성한다.
보습화 시험
샘플 1의 조성물은 보습제로서 유용한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험한다. 생체내에서, 두 갈래로 나뉜 섬유가 부착된 Vector 22 FTIR 분광계(Bruker Analytical, GmbH, Hamburg, Germany)를 사용하여 스펙트라를 측정한다. ZnSe 결 정(직경 = 3 ㎜)을 섬유의 결합 말단에서 내부 반사율 원소(Internal Reflectance Element; IRE)로서 사용한다. 섬유 및 결정은 모두 렘스펙 코포레이션(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터브리지에 소재하는 켐스펙 코포레이션(Remspec Corp.) 제조)으로부터 입수한다. 섬유에 의해 수거된 신호는 액체 질소-냉각시킨 HgCdTe(MCT) 검출기(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빌에 소재하는 이지 운트 지(EG & G) 제조)로 보낸다. 입사광은 결정/피부 계면에서 두 개의 45°의 전반사를 한다.
스펙트라는 통상 4㎝-1리솔루션으로 128interferogram의 동시 부가에 의해 생성된다. ∼2850 및 2920㎝-1에서 적외선 피크가 지질로부터 발생되고(CH 대칭 및 비대칭 스트레칭 모드), ∼3300㎝-1에서 적외선 피크는 각질층의 수화 수준과 관련된다. 이들 피크의 세기는 각 스펙트럼에 대해 아미드 I 피크(∼1650㎝-1에서)로 규정화하여 접촉에 의해 유도된 변환들을 피하게 하고, 이들 비는 피부 표면 위의 지질 및 물 함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펙트럼 파라미터로서 사용한다.
장시간의 지속 효과: IR 스펙트라는 샘플 1의 국소 적용 전에 6명의 개체의 아래 내부 팔 위에서 측정한다. 스펙트라는 또한 동일한 부위에 대해 적용한 지 3, 6, 8 및 24시간 후에 측정한다. 스펙트럼 비를 계산하고, 상이한 개체에 대해 평균을 낸다.
폐색: IR 스펙트라는 밀폐 랩(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쓰 앤드오버에 소재하는 보덴 팩키징(Borden Packaging) 제조)을 사용하여 폐색 전 및 후에 2명의 개체의 아래 내부 팔 위에서 측정한다. 피부 부위는 1 및 4시간 동안 폐색시킨다. 샘플 1의 조성물 및 시판중인 베이비 오일(광유)로 처리한 피부 부위의 IR 스펙트라를 적용 전 및 적용한 지 1 및 4시간 후에 또한 측정한다. 피부 수화시 샘플 1의 조성물의 폐색 효과는 IR 비로 평가하고, 베이비 오일(광유)과 비교한다. 비폐색 시험에 대한 물 분석의 결과가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피부 위의 물과 피부 위의 지질에 대한 폐색 시험 결과가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시간(hour) | 피부 위의 물의 상대적인 양 |
0 | 1 |
2 | 2.58 |
6 | 2.61 |
8 | 2.90 |
위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보습화제로서 잘 기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피부 속의 물의 양은 샘플 1의 조성물을 적용한 후에 상당히 증가되었고, 물은 8시간이 경과하도록 보유된다.
피부 속의 물 | 0시간 | 1시간 | 2시간 |
샘플 1 | 0.28 | 0.62 | 0.85 |
광유 | 0.29 | 0.49 | 0.74 |
피부 위의 지질 | |||
샘플 1 | 0.21 | 1.04 | 1.03 |
광유 | 0.16 | 1.21 | 1.44 |
위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표면 위에서 보습화 및 보유면에서 시판중인 광유와 유사하게 작용함을 나타내고 있다.
소비자 시험
소비자(연령이 25 내지 54세인 132명의 여성)에게 샘플 1의 조성물을 이들의 피부에 적용하도록 요청하고,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제공한다. 결과가 하기의 표 10에 보고되어 있다.
질문 | 동의율(%) |
확실히/아마도 제품을 사겠는가 | 78 |
보습제가 양호한가 | 92 |
건조하고 자극성인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가 | 90 |
건조한 피부를 완화시키는가 | 90 |
당신의 피부를 실크 감촉으로 만들어 주는가 | 89 |
피부에 신속히 흡수되는가 | 92 |
피부에 번들거리고/지성인 느낌을 남기지 않는가 | 91 |
위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에 보습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고, 피부에 지성이거나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보습용으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번들거리는 느낌을 남기지 않고 보수성을 제공하는 당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2)
- 화학식 1의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fatty alcohol acid ester)와 광유 또는 바셀린이 아닌 하나 이상의 연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화학식 1위의 화학식 1에서,B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0 내지 10의 알킬렌, 또는 화학식의 그룹이며,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 포화되거나 불포화되고,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는 탄소수 10 내지 22의 지방 알콜이며,x는 0 내지 40이고,y는 0 내지 30이며, 단 모든 xs및 ys의 합은 6 이상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알콕시화 지방 알콜 산 에스테르가 디-폴리프로필렌글리콜-3 미리스틸 에테르 아디페이트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연화제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15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10 세틸 에테르, 스테아레스-10, 올레스-8, 폴리프로필렌 글리콜-4 라우릴 에테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라놀린, 라우로일 리신, 아몬드 오일, 참깨유, 귀리인유, 디메틸폴리실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연화제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15 스테아릴 에테르, PPG-10 세틸 에테르, PPG-4 라우릴 에테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라놀린, 라우로일 리신, 아몬드 오일, 참깨유, 귀리인유, 평지씨유,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대두유, 폴리디메틸실옥산,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카프릴 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수중유 에멀젼인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유중수 에멀젼인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에멀젼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에멀젼 안정화제가 세틸 알콜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폐색제(occlusive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폐색제가 폴리데센인 조성물.
- 제1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피부를 보습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피부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보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379,075 | 2003-03-04 | ||
US10/379,075 US20040175403A1 (en) | 2003-03-04 | 2003-03-04 |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8597A true KR20040078597A (ko) | 2004-09-10 |
Family
ID=3282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4577A KR20040078597A (ko) | 2003-03-04 | 2004-03-04 | 피부 보습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175403A1 (ko) |
EP (1) | EP1454622A1 (ko) |
JP (1) | JP2004269527A (ko) |
KR (1) | KR20040078597A (ko) |
CN (1) | CN1531920A (ko) |
AU (1) | AU2004200911A1 (ko) |
BR (1) | BRPI0401642A (ko) |
CA (1) | CA2459424A1 (ko) |
MX (1) | MXPA04002102A (ko) |
TW (1) | TW20050009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9691B1 (ko) * | 2021-01-26 | 2021-06-02 | 주식회사 티어코퍼레이션 |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114561A1 (de) * | 2001-03-24 | 2002-09-26 | Wella Ag | Verwendung von Mitteln enthaltend Kreatin, Kreatin und/oder deren Derivaten zur Verstärkung und Strukturverbesserung von keratinischen Fasern |
JP5090906B2 (ja) * | 2004-06-29 | 2012-12-05 | クローダ・シンガポール・プライヴェート・リミテッド | 顔料分散系 |
FR2880265B1 (fr) * | 2004-12-30 | 2008-11-14 | Oreal |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ester d'alcool alcoxyle et une huile hydroxylee |
FR2880264B1 (fr) * | 2004-12-30 | 2007-03-30 | Oreal |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 ester d'alcool alcoxyle et une huile ester hydrocarbonee |
FI20050453A0 (fi) * | 2005-04-29 | 2005-04-29 | Aromtech Ltd | Ihonhoitokoostumus |
GB0704709D0 (en) * | 2007-03-12 | 2007-04-18 | Croda Singapore P L | Dispersion, gel and emulsification system |
JP2011190177A (ja) * | 2010-03-11 | 2011-09-29 | Kao Corp | 皮膚外用剤組成物 |
US20120128602A1 (en) | 2010-11-19 | 2012-05-24 | Kao Corporation |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low levels of colorants |
JP5756370B2 (ja) * | 2011-08-22 | 2015-07-29 | 花王株式会社 | 皮膚の角層の性状の評価方法 |
EP2929007B1 (en) | 2012-12-07 | 2016-11-16 | Colgate-Palmolive Company | Bar soap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
WO2015028507A1 (en) * | 2013-08-27 | 2015-03-05 |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 Sunscreen formulations comprising gemini surfactants and silicone based surfactants |
EP3909562A3 (en) * | 2014-07-11 | 2022-01-26 | Mary Kay Inc. |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lip |
JP2015003930A (ja) * | 2014-10-08 | 2015-01-08 | 花王株式会社 | 皮膚外用剤組成物 |
GB2584647A (en) * | 2019-06-06 | 2020-12-16 | Boston Healthcare Ltd | Skin treatment composition |
US20220110855A1 (en) * | 2020-10-12 | 2022-04-14 | Doris Day | Topical barrier composition for dermal application |
WO2023122466A2 (en) * | 2021-12-21 | 2023-06-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crose ester and lauroyl lysine |
WO2023245098A1 (en) * | 2022-06-15 | 2023-12-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7555A (en) * | 1992-04-02 | 1997-01-28 | Croda, Inc. | Fatty alkoxylate esters of aliphatic an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
US5455025A (en) * | 1992-04-02 | 1995-10-03 | Croda, Inc. | Non-aqueous emollient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
US5302377A (en) * | 1992-04-02 | 1994-04-12 | Croda, Inc. | Fatty alkoxylate esters of aliphatic and aromatic dicarboxylic and tricarboxylic acids as emollients |
US5599533A (en) * | 1994-12-15 | 1997-02-04 | Estee Lauder, Inc. | Stable water-in-oil emulsion system |
EP1117374B1 (en) * | 1998-10-02 | 2010-12-15 | Croda, Inc. | Alkoxylated fatty alcohol dicarboxylic acid esters |
US6830746B2 (en) * | 2001-09-21 | 2004-12-14 | Playtex Products, Inc. | Sunscreen compositions |
EP1469813B1 (en) * | 2002-01-31 | 2016-12-21 | Croda, Inc. | Additives and products including oligoesters |
EP1532211A1 (en) * | 2002-08-30 | 2005-05-25 | Ciba SC Holding AG | Coulored gloss pigments having at least one coating of siox, with x=0.03 to 0.95 for use in cosmetic and personal care formulations |
-
2003
- 2003-03-04 US US10/379,075 patent/US2004017540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
- 2004-03-03 EP EP04251232A patent/EP145462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3-03 TW TW093105461A patent/TW200500092A/zh unknown
- 2004-03-03 CA CA002459424A patent/CA24594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3-03 AU AU2004200911A patent/AU200420091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3-03 JP JP2004059427A patent/JP2004269527A/ja active Pending
- 2004-03-04 CN CNA2004100330991A patent/CN1531920A/zh active Pending
- 2004-03-04 KR KR1020040014577A patent/KR200400785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3-04 BR BR0401642-4A patent/BRPI0401642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3-04 MX MXPA04002102A patent/MXPA04002102A/es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9691B1 (ko) * | 2021-01-26 | 2021-06-02 | 주식회사 티어코퍼레이션 |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459424A1 (en) | 2004-09-04 |
CN1531920A (zh) | 2004-09-29 |
US20040175403A1 (en) | 2004-09-09 |
EP1454622A1 (en) | 2004-09-08 |
JP2004269527A (ja) | 2004-09-30 |
MXPA04002102A (es) | 2005-02-17 |
TW200500092A (en) | 2005-01-01 |
BRPI0401642A (pt) | 2005-01-18 |
AU2004200911A1 (en) | 2004-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63111B2 (ja) | 半透明の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品、皮膚科、及び/または眼科におけるその使用 | |
KR20040078597A (ko) | 피부 보습용 조성물 | |
KR100423458B1 (ko) | 피부외용제 | |
TW508246B (en) | Stabilization of an unstable retinoid in oil-in-water emulsions for skin care compositions | |
BRPI0805072B1 (pt) | Organized compositions understanding betaine | |
US20030077299A1 (en) | Dilatant composition | |
CN101522166A (zh) | 皮肤外用剂及皮肤清洁剂 | |
JPH09506359A (ja) | 皮膚感触の改善された化粧品および/または薬用の製剤 | |
CN111568782A (zh) |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 |
RU2123322C1 (ru) |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ызывающая искусственный загар и/или искусственное потемнение кож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 |
US20020071820A1 (en) | Use of cubic gel particles as an anti-pollution agent, in particular in a cosmetic composition | |
EP1704897B1 (de) | Schäumbar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 |
KR101629502B1 (ko) |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 |
US20020048593A1 (en) | Use of phytanetriol as an anti-pollution agent, in particular in a cosmetic composition | |
KR20220148632A (ko) |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308960B1 (ko) |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US8173112B2 (en) | Emulsified composition for hair | |
KR100681705B1 (ko) |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US20200268628A1 (en) |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ether oil | |
EP1557161A1 (en) | Method for cleansing sensitive skin using an alkanolamine | |
CN115209859A (zh) | 用于化妆品的组合物 | |
JPS6377535A (ja) | 乳化組成物 | |
JPH09104614A (ja) | 皮膚化粧料 | |
JP2000264830A (ja) | 化粧品組成物 | |
KR100681704B1 (ko) |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