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1704B1 -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04B1
KR100681704B1 KR1020050089186A KR20050089186A KR100681704B1 KR 100681704 B1 KR100681704 B1 KR 100681704B1 KR 1020050089186 A KR1020050089186 A KR 1020050089186A KR 20050089186 A KR20050089186 A KR 20050089186A KR 100681704 B1 KR100681704 B1 KR 10068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ellulose
acid
cosmetic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연규
김동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5008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유화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유화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으며, 사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엷은 피막이 피부에 도포되어 끈적임이 없으며 유기자외선 차단제 뿐 아니라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에도 도움을 주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상승시켜준다.
화장료, 유중수형, 유화제, 지방산,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

Description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atty Acid and Cellulose Alkyl Ether}
본 발명은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원래 외부 환경 (예를 들어 먼지, 화학물질, 미생물 등)과 체내 성분 (예를 들어 물, 지방, 전해질 등)에 대한 본래의 방어기능을 강화시키거나 회복시키는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만약 이러한 기능이 약화된다면 독성 혹은 알러지 물질의 흡착이 많아지거나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커져 독성 혹은 알러지 피부 반응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기초 화장품의 또 다른 목적은 매일매일 세안함으로써 유발되는 피부의 수분, 지방의 손실을 보충해주는 것이다. 특히 피부의 자가회복능력이 부족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게다가 기초 화장품은 환경적 요소, 특히 태양 및 바람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유화는 단순히 유화제로 둘러싸인 미세한 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상을 말한다(미세한 상이 물입자라면 유중수형 유화, 오일입자라면 수중유형 유화이다). 대체로 유화는 하나의 액체에 다른 액체를 반영구적으로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화제를 필요로 한다. 유화제는 양친매성 구조를 갖는 분자이며 친수부분과 친유부분을 갖는다. 유화에서 하나의 상안에 미세하게 분산된 입자들은 유화제막으로 싸여 있다. 유화제는 두 액체사이의 계면에 위치하여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며 상의 경계에서 오일/물의 계면막을 형성하여 입자들이 서로 합일되는 것을 막아준다.
전통적인 유화제들은 그들의 친수 부분의 성질에 따라 이온성과 비이온성으로 나뉘게 된다. 이온성 유화제들은 다시 음이온, 양이온 그리고 양쪽성 유화제로 나뉘며 음이온의 대표적인 예는 지방알코올염인 비누이며, 양이온의 대표적인 예는 쿼터너리 암모늄 화합물이다. 또한 비이온 유화제는 친수부분이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소비탄, 카보하이드레이트 및 폴리옥시에칠렌글리콜 등으로 다양하며 지방알코올, 지방알코올 등의 친유부분과 에스터결합 혹은 에테르결합으로 되어져 있다.
많은 상용화된 유화제들이 안전성 허가를 받고 사용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학적 유화제는 자극을 유발하거나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유화제는 다음의 이유로 인해 피부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유화제는 세정제처럼 피부의 지질을 가용화시켜 마이셀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그레인 바운더 리 (grain boundary)의 피부 지질은 일반 세정제와 같은 마이셀을 만드는 유화제에 가용화되기 쉽다. 지질이 손실되면 방어막은 약화되며 피부투과성이 높아진다. 투과성이 높아진 방어막은 쉽게 수분을 잃게 되고 무디고 건조한 피부를 만들게 된다. 또한,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민감한 피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일반 유화제의 성질 때문에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유화제를 찾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레시친을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순수 레시친은 변취, 변색의 문제가 있어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은 그 화학적 구조상 패킹 파라미터가 1/3보다 크고 1보다 작기 때문에 에멀젼 보다는 리포좀과 같은 이중막을 형성하려는 성질이 더 강하다.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의 예로서 유사유화제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거나 단독으로 소량 사용하였을 때 유화력이 약해 유화제품을 만들 수 없는 것들)를 사용하거나 양친매성 성질을 갖는 폴리머를 이용한 유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것은 유사유화제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유화형태를 이룬 후 고압의 에너지를 부과해 안정한 유화를 만드는 방법 (미국특허 제6,777,450호)이고, 후자는 고분자내에 친수부와 친유부를 이용해 유화시키는 방법이다. 다만 이러한 유화 방법들을 가지고서는 유중수형 형태의 유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유화 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 대신 유기 또는 무기 입자를 이용하는 피커링 유화가 있다. 이 유화방법에서 계면활성제 대신 사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입자는 분산매에는 습윤이 잘 되지만 분산상에 대해서는 습윤이 잘 되지 않는 성질 을 갖는다. 입자의 습윤능력은 물-오일의 계면에서 입자의 접촉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입자가 계면활성제와 마찬가지로 계면에 배열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실리카와 같이 물에 습윤이 잘 되는 입자일 경우 수중유형 유화를 안정화시킬 것이며, 카본 블랙과 같은 오일에 습윤이 잘 되는 입자의 경우에는 유중수형 유화를 안정화시킨다. 다만 입자가 너무 친수성이 강하거나 너무 친유성이 강하다면 입자는 계면에 존재하지 않고 각각 물, 오일에 분산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69400호에서는 내상에 친수성 실리카와 친유성 이산화티탄을 함유시켜 수중유형 유화를 만들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54603호에서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라는 양친매성 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 유화를 만들었다. 그 외에 미국특허 제6,803,049호 및 제5,833,951호에서도 무기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유화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커링 유화는 기존 유화제를 이용한 에멀젼의 피부 안전성과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내수성을 높이기 위해 흔히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폴리머를 사용하지만 건조시간이 길고 제품 적용 중에 거품이 생길 수도 있으며 건조중의 사용성이 끈적거리고 두터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필름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으면 내수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인 유중수형 화장료보다 피부 안전성과 사용성이 개선되고 수중유형과 같은 사용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기존의 일반적인 유화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사용하여 유화를 안정화시킬 경우 사용성이 뛰어나고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사용하여 오일과 물의 계면을 안정화시키며, 수중유형 화장료와 같은 사용성을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C12-22의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Water-in-Oil)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유화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C12-22의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이 없고 유화 (오일과 물의 계면)를 안정화시키며 사용감이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에 수성 성분, 내상을 둘러싸는 외상에 유성 성분이 사용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된 외상 (유성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4.00-60.00 중량%로서, 원하는 사용성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오일과 왁스 (실리콘, 에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미네랄 및 자외선 차단제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된 내상 (수성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00-86.00 중량%로서, 정제수, 다가알콜 및 수용성 전해질 등이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필수 구성성분인 C12-22의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는 외상 (유성 성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C12-22의 지방산은 약간의 계면활성 효과를 가져 양친매성이면서 친수성 보다는 친유성 성질이 좀 더 강하고, 유상과 수상을 혼합시 짧은 시간 동안 유화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C12 -22의 지방산은 라우 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도산 및 베헤닌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팔미트산 또는 이소스테아르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스테아르산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가능한 C12 -22의 지방산은 유중수형 화장료 전체 조성에 대해 0.1-10.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5.00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C12-22의 지방산을 상기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일반적인 유화제를 함유한 유중수형 화장료에 비해 입자 크기가 적당하고 유화 안정성이 높으며 (참조: 실험예 1), 피부자극을 상당히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참조: 실험예 3).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또 다른 필수성분인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는 유상 점증효과를 가지기도 하지만 일반 점증제 보다는 효과가 떨어지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유상과 수상의 계면을 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는 에칠셀룰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펜틸셀룰로오스, 헥실셀룰로오스, 헵틸셀룰로오스, 옥틸셀룰로오스, 노닐셀룰로오스 및 데실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 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에칠셀룰로오스이다.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시된 함량의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게 되면 유화 안정도가 좋아지며 (참조: 실험예 1 및 2),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정도가 상당히 낮다 (참조: 실험예 3).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시한 C12-22의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14-60중량% 및 수성성분을 20-86중량%로 포함한다. 본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없는 살리실산, AHA와 여러 가지 전해질류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사용성이 가볍고 피부 안전성이 좋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수중유형 (Oil-in-water) 화장료보다 무방부 제품을 만들기 수월하여 보다 피부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림, 로션, 시럼, 에센스, 립스틱, 립글로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연고, 젤, 팩, 패취 및 분무제 등의 유화형태의 유중수형 화장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C12 -22의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만큼의 사용성을 나타낼 정도로 사용성이 개선되고, 피부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지방산과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고,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각 성분의 단위는 중량%이다.
(1) 유상 1, 유상 2 및 수상 1을 가온하여 각각 균일하게 혼합 및 용해시켰다.
(2) 유상 1 및 유상 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60℃에서 (2)의 유상에 수상 1을 넣고 혼합시켜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를 얻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유상1 라우르산 1.50 - - - - - -
팔미트산 - 1.50 - - - - -
베헤닌산 - - 1.50 - - - -
이소스테아르산 - - - 1.50 - 1.50 -
올레산 - - - - 1.50 - -
사이클로메치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트리베타인 0.50 0.50 0.50 0.50 0.50 0.50 0.50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 - - - - - 1.50
유상2 폴리데센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에탄올 7.00 7.00 7.00 7.00 7.00 7.00 7.00
에칠셀룰로오스 1.00 1.00 1.00 1.00 1.00 - -
수상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3.00 3.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의 유화 안정성 및 사용성 비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2의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유화의 입자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4℃, 40℃ 및 45℃의 항온상태 및 -4℃ 내지 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사용감 테스트를 위하여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화의 입자 균일성,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능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유중수형 에멀젼의 입자 크기(㎛) 2.1 1.3 1.9 1.2 1.8 1000 1.1
실온 1개월 ×
2개월 ×
4℃ 1개월 ×
2개월 ×
40℃ 1개월 ×
2개월 ×
45℃ 1개월 ×
2개월 ×
Cycling (-4℃-40℃; 2회/1일) 1개월 ×
2개월 ×
사용성 4 5 3 5 3 × 2
○ : 양호, △:보통, ×:분리,측정불가 사용성 : 5-매우 우수, 0-매우 나쁨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산과 에칠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실시예 1 내지 5)의 유화 입자는 각각 유화제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를 사용한 비교예 2와 비슷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유화안정성도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사용되는 지방산에 따라 입자 크기와 유화 안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비교예 1의 결과를 통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친유성이 약하고 친수성이 강할 경우 즉, HLB가 1 내지 8이 아닌 경우 유중수형 유화가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에칠셀룰로오스를 첨가하지 않고 기존의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유화의 안정도가 좋지 않아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가 유화안정도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에멀젼 입자 균일화, 유화 안정성 및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의 유화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프로필셀룰로오스와 에칠셀룰로오스의 함량을 0.10, 0.50, 0.90, 1.30, 2.00 및 3.00 중량%로 변화시켜 상기 제조예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지방산과 에칠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4의 화장료의 조성 성분으로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유중수형 에멀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에멀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 내지 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에칠셀룰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0.10 0.50 0.90 1.30 2.00 3.00 0.10 0.50 0.90 1.30 2.00 3.00
유중수형 에멀젼의 입자 크기(㎛) 5.2 3.7 2.3 2.0 2.1 2.2 8.4 5.7 3.2 2.6 2.1 2.2
실온 1개월
2개월
4℃ 1개월
2개월
40℃ 1개월
2개월
45℃ 1개월
2개월
Cycling (-4℃~40℃; 2회/1일) 1개월
2개월
사용성 3 4 5 4 3 2 3 3 4 5 3 2
○ : 양호, △:보통, ×:분리,측정불가 사용성 : 5-매우 우수, 0-매우 나쁨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필셀룰로오스 보다는 에칠셀룰로오스가 좀더 유화안정화에 도움을 주며 에칠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장료의 유화 안정화에는 에칠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한 성분이며,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함량이 유중수형 에멀젼의 유화안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비교 측정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지방산과 에칠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4의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10일간 사용하게 하였다.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비교군으로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게 하고 자극 여부 및 강도를 설문지에 표시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의 평가는 1일 1회로 하였으며, 주관적 자극 및 객관적 자극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의 판정은 각 자극 항목이 표시된 자극 반응 건수와 강도에 따라 환산한 값을 반응 점수 (response score)로 하여 반응 점수를 최고 점수 (maximum score)로 나누어 하기 수학식 1의 공식에 따라 자극양성율 (response rate, %)을 구하였다.
자극양성율 (response rate, %) = (반응 점수/최고 점수) ×100
상기 수학식 1에서 최고점수는 총피검자수 ×시험일수 ×자극 건수 ×3 (최고자극강도 점수) 값이다.
구 분 주관적자극 (자극양성율%) 객관적자극 (자극양성율%) 합 계 (자극양성율%)
실시예 4 0.72 0.83 0.78
비교예 2 1.07 1.11 1.09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대신에 지방산과 에칠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4의 화장료가 비교예 2의 화장료에 비해서 주관적자극 및 객관적자극의 정도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함유한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성이 뛰어나며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C12 -22의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12-22의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아라키도산 및 베헤닌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12-22의 지방산은 팔미트산 또는 이소스테아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는 에칠셀룰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펜틸셀룰로오스, 헥실셀룰로오스, 헵틸셀룰로오스, 옥틸셀룰로오스, 노닐셀룰로오스 및 데실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는 에칠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함량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0.10-10.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의 함량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5.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i) C12 -22의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와 함께 실리콘, 에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미네랄 또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성 성분 14-60 중량%; 및
    (ii) 정제수, 다가알콜 또는 수용성 전해질을 포함하는 수성 성분 20-86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로션, 시럼, 에센스, 립스틱, 립글로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연고, 젤, 팩, 패취 및 분무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89186A 2005-09-26 2005-09-26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86A KR100681704B1 (ko) 2005-09-26 2005-09-26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186A KR100681704B1 (ko) 2005-09-26 2005-09-26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704B1 true KR100681704B1 (ko) 2007-02-15

Family

ID=3810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186A KR100681704B1 (ko) 2005-09-26 2005-09-26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7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02A1 (ko) * 2009-06-11 2010-12-1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안정한 역상 에멀젼
KR101856496B1 (ko) 2017-06-30 2018-05-11 광성기업 주식회사 개질된 미소섬유상 셀룰로오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67A (ko) * 1987-12-01 1989-08-01 허신구 립 오버코오팅용 조성물
JPH07157413A (ja) * 1993-06-10 1995-06-20 L'oreal Sa 化粧料用又は皮膚科用組成物
US5833951A (en) 1994-07-16 1998-11-10 Beiersdorf Ag Emulsifier-free, finely disperse cosmetic or dermatological formulations of the oil-in-water type
KR20040081457A (ko) * 2002-01-15 2004-09-2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67A (ko) * 1987-12-01 1989-08-01 허신구 립 오버코오팅용 조성물
JPH07157413A (ja) * 1993-06-10 1995-06-20 L'oreal Sa 化粧料用又は皮膚科用組成物
US5833951A (en) 1994-07-16 1998-11-10 Beiersdorf Ag Emulsifier-free, finely disperse cosmetic or dermatological formulations of the oil-in-water type
KR20040081457A (ko) * 2002-01-15 2004-09-2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802A1 (ko) * 2009-06-11 2010-12-1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안정한 역상 에멀젼
KR101856496B1 (ko) 2017-06-30 2018-05-11 광성기업 주식회사 개질된 미소섬유상 셀룰로오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776B1 (ko) 계면활성제-무함유 폼 제제
KR101547528B1 (ko)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508246B (en) Stabilization of an unstable retinoid in oil-in-water emulsions for skin care compositions
CN101919791B (zh) 减少眼部刺激的个人护理防晒剂组合物
KR100787328B1 (ko)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854101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EA021149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е или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е пенные составы, их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KR102337025B1 (ko) 유화 입자의 크기 편차를 개선한 수중유형(o/w)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2213336A2 (en) Personal care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reduced eye irritation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7111A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123322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ызывающая искусственный загар и/или искусственное потемнение кож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8B1 (ko) 고 에탄올 함유 수중유적형 유화겔크림의 제조방법
KR102248067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4B1 (ko) 지방산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63961B1 (ko) 탄성감이 있는 고경도 액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09351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ase formulation for a dermatological sunscreen composition and for the preparation of a dermatological sunscreen composition
KR102250171B1 (ko) 유기농 원료를 이용한 피부 보습용 리포솜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40245594A1 (en) Clean beauty emulsification system
KR102390010B1 (ko)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95333B1 (ko) 오일 드롭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