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5582A - 휴대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582A
KR20040055582A KR1020030088597A KR20030088597A KR20040055582A KR 20040055582 A KR20040055582 A KR 20040055582A KR 1020030088597 A KR1020030088597 A KR 1020030088597A KR 20030088597 A KR20030088597 A KR 20030088597A KR 20040055582 A KR20040055582 A KR 2004005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세가와모노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5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의 조작하우징에 수납되는 회로기판과 표시하우징에 수납되는 회로기판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억제함으로써 내장안테나의 방사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제1회로기판 4가 수납되는 제1하우징 1과, 제2회로기판 5가 수납되는 제2하우징 2와, 상기 제1하우징 1과 제2하우징 2를 연결하는 힌지부 3과, 상기 제1회로기판 1과 제2회로기판 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와이어와, 상기 제2회로기판 2에 설치되는 안테나 10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에 있어서, 접었을 때에, 상기 제1회로기판 4와 상기 제2회로기판 5는,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휴대 통신기기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에는 신축식의 외부안테나로서 헬리컬 안테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헬리컬 안테나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이기 때문에, 휴대전화의 낙하 시의 내공격성의 저하나 휴대 통신기기의 설계자유도의 저하의 문제점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휴대전화의 내부에, 역F안테나 등의 내장안테나를 설치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특허문헌1>
특개평 11-136015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평 11-177485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키패드나 마이크 등을 구비하는 조작하우징과 액정표시부나 스피커 등을 구비하는 표시하우징이 힌지부에 의해 연결된 폴더형의 휴대전화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조작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회로기판 혹은 표시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회로기판 중 어느 한 쪽에 내장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가 상기 조작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 및 상기 조작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이 그 일부가 사용주파수에 있어서 하이 임피던스인 미세한 선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역F안테나 등의 불평형형 안테나동작 시에 지판으로 여기되는 방사전류의 대부분은, 안테나가 설치된 회로기판으로만 여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조작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에 흐르는 방사전류의 차에 기인하는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휴대전화를 접은 상태로 하면, 상기 조작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의 사이의 방사전류의 차에 기인하는 전계가 커지며, 상기 조작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하우징에 수납된 회로기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종 디바이스는, 상기 전계 중에 배치된 손실물체로서 동작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내장안테나의 방사효율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내장안테나는, 헬리컬 안테나에 비하여 각 회로기판으로 여기되는 방사전류가 크기때문에, 그 영향이 현저해 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의 조작하우징에 수납되는 회로기판과 표시하우징에 수납되는 회로기판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억제함으로써 내장안테나의 방사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수단으로서, 제1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의 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1회로기판와 제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와이어와, 상기 제2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에 있어서, 접었을 때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은,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제2수단으로서, 상기 제1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노출된 도전성의 복수의 제1접속부와, 상기 제2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노출됨 도전성의 복수의 제2접속부를 구비하며, 접혔을 때에,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은,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제3 수단으로서, 상기 제2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는,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제4 수단으로서, 상기 제2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의 어느 한 쪽은, 도전성의 원통형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일단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통체로부터 돌출된 타단이 밀림으로써, 상기 통체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전성의 도전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의 어느 다른 쪽은, 도전성의 수부재(receiving member)인 구성을 채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 관련한 휴대전화를 펼친 상태의 전체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며, (b)는 (a)의 A-A’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전화의 접속부 6~9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전화를 접었을 때의 표시용 회로기판 4,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 및 접속부 6~9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를 펼친 상태의 전체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며, (a)은 정면도이며, (b)는 (a)의 A-A’에 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및 제2실시형태의 접속부 6~9,11~14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표시하우징
2 …… 조작하우징
3 …… 힌지부
4 …… 표시용 회로기판(제1회로기판)
5 …… 조작·제어용 회로기판(제2회로기판)
6~9,11~14 …… 접속부(제1접속부,제2접속부)
10 …… 안테나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휴대 통신기기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통신기기는, 휴대전화로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제1실시형태에 관련한 휴대전화의 열려진 상태에서의 전체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며, (b)는 (a)의 A-A’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표시 하우징(제1하우징), 2는 조작 하우징(제2하우징), 3은 힌지부, 4는 표시용 회로기판(제1회로기판), 5는 조작·제어용 회로기판(제2회로기판), 6~9는 접속부(제1접속부,제2의 접속부), 10은 안테나이다.
표시 하우징 1는, 수지가 거의 직방체형으로 형상 설정된 것으로, 그 내부에 표시용 회로기판 4를 수납하는 것이다. 이 표시 하우징 1은, 예를 들어, 액정표시부가 노출되어 설치되는 표면부 1A와, 표시 하우징 1의 내측을 구성하는 이면부 1B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부 1A에는, 표시 하우징 1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상태로 하는 소정 형상의 구멍 1a,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1a,1b는, 힌지부 3의 회전축 L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표면부 1A의 상기 힌지부 3에 대하여 먼 쪽의 일단인 원단 1A1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하우징 2는, 상기 표시 하우징 1과 같이, 수지가 거의 직방체형으로 형상 설정된 것으로, 그 내부에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나 전지(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는 것이다. 이 조작 하우징 2는, 예를 들어, 키패드가 설치되는 표면부 2A와, 조작 하우징 2의 내측을 구성하는 이면부 2B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부 1A에는, 조작 하우징 2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상태로 하는 소정 형상의 구멍 2a,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2a,2b는, 힌지부 3의 회전축 L로부터 상기 구멍 1a,1b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표면부 2A의 상기 힌지부 3에 대하여 먼 쪽의 일단인 원단 2A1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 3은, 상기 표시 하우징 1과 상기 조작 하우징 2가 힌지부 3의 회전축 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하우징 1과 상기 조작 하우징 2를 연결하는 것이다.
표시용 회로기판 4는, 상기 표시 하우징1의 내부전체에 걸쳐 수납되는 회로기판으로, 예를 들어, 액정 표시부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용 회로기판 4에는, 접속부 6,7(제1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 6,7의 선단부 6a,7a는, 상기 구멍 1a,1b로부터 각각 독출되어 있다.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는, 상기 조작 하우징2의 내부전체에 걸쳐 수납되는 회로기판으로, 예를 들어, 키패드에 입력된 조작지령을 조작신호로 하여 각종 디바이스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에는, 접속부8,9(제2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 8,9의 선단부 8a,9a는, 상기 구멍 2a,2b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기 표시용 회로기판 4의 하단과 조작·제어용 회로기판5의 상단은, 예를 들어, 용이하게 형상변경이 가능한 필름 케이블(도 3참조) 등의 미세한 선로(플렉시블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 6~9는,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된 거의 원통형의 부재이며, 상기 표시용 회로기판 4 및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기판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접속부 6~9의 상면부) 6a~9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멍 1a,1b,2a,2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속부 6~9의 구멍 1a,1b,2a,2b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안테나 10은, 급전된 급전전력을 전파로서 외부를 향해 방사함과 동시에, 외부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에 설치된 것이다. 이 안테나 10은, 예를 들어, 역F안테나 등의 내장 안테나이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를 접었을 때의 표시용 회로기판 4,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 및 접속부 6~9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전화를 접은 상태에서는, 접속부 6의 선단부 6a와 접속부 8의 선단부 8a가 접촉하고, 접속부 7의 선단부 7a와 접속부 9의 선단부 9a가 접촉하고 있다.
표시용 회로기판 4 및 조작·제어용 회로기판5는, 안테나 10이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에만 배치되어 있으므로, 신호원으로부터 각각 다른 방사전류를 여기시키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 6의 선단부 6a와 접속부 8의 선단부 8a가 접촉하고, 접속부 7의 선단부 7a와 접속부 9의 선단부 9a가 접촉되어 있다. 즉,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가 접속부 6~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전위차는 억제되며,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도 억제된다.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종 디바이스는, 휴대전화가 접혔을 때는 상기 전계 중에 배치된 손실물체로서 기능하지만, 상기 전계가 억제된 결과, 상기 각종 디바이스에 의한 안테나 방사효율에 기여하는 전력손실은 적어진다. 따라서, 신호원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는, 전력손실이 적은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10으로 급전된다.
즉, 본 제1실시형태에 관련한 휴대전화에 의하면,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가 접속부 6~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전위차가 억제된다. 그리고,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전위차가 억제됨으로써, 각종 디바이스의 안테나 방사효율에 기여하는 전력손실량이 커지지 않으므로, 안테나 10의 방사효율이 향상된다.
(제2실시형태)
도 4는, 본 제2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전체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A-A’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부 1A에는 표시 하우징 1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상태로 하는 소정 형상의 구멍 1c,1d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1c,1d는 표면부 1A의 힌지부 3에 대하여 근방의 일단인 근단 1A2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부 2A에는 조작 하우징 2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상태로 하는 소정 형상의 구멍 2c,2d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2c,2d는 표면부 2의 힌지부 3에 대하여 근방의 일단인 근단 2A2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11~14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의 접속부 6~9와 동일한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된 거의 원통형의 부재이다. 이들 접속부 11~14 중, 접속부 11,12는 이들 선단부 11a,12a가 상기 구멍 1c,1d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표시용 회로기판 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 11~14 중, 접속부 13,14는 그들 선단부 13a,14a가 상기 구멍 2c,2d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상기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에 고정되어 있다.
휴대전화를 접은 상태에서, 접속부 6의 선단부 6a와 접속부 8의 선단부 8a가 접촉하고, 접속부 7의 선단부 7a와 접속부 9의 선단부 9a가 접촉함과 동시에, 접속부 11의 선단부 11a와 접속부13의 선단부 13a가 접촉하며, 접속부 12의 선단부 12a와 접속부 14의 선단부 14a가 접촉한다. 그리고,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5가 접속부 6~9,11~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의 전위차가 억제된다.
즉, 본 제2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에 의하면,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가 접속부 6~9,11~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전위차가 제1실시형태의 휴대전화보다 더 억제된다. 그 결과, 각종 디바이스의 안테나 방사효율에 기여하는 전력손실량이 커지지 않으므로 안테나 10의 방사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또는 제2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와 같은 변형 예도 생각할 수 있다.
(1) 상기 제1및 제2실시형태의 접속부 6~9 및 제2실시형태에서의 접속부 11~14는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된 거의 원통형의 부재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6,7,11,12와 접속부 8,9,13,14 중 어느 한 쪽은 도전성의 원통형의 통체 15와, 상기 통체 15의 내부에 일단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통체 15로부터 돌출한 타단이 밀림으로써, 상기 통체 15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전성의 도전부재 16을 가지며, 접속부 6,7,11,12와 접속부 8,9,13,14 중 어느 쪽인가 다른 쪽은 도전성의 수부재(receiving member) 17인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2) 상기 제1및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10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의 상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표시용 회로기판 4상에 설치되어도 된다.
(3) 상기 제1및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10의 발신 시의 설명으로 하였다. 그러나, 수신 시에 있어서도 상기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와의 전위차는 억제되고 있으므로, 수신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4)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 6~9의 선단부 6a~9a를 각각 구멍 1a,1b,2a,2b로부터 돌출시키고, 상기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 11~14의 선단부 11a~14a를 각각 구멍 1c,1d,2c,2d로부터 돌출시켰다. 그러나, 휴대전화를 접었을 때에, 상기 표시용 회로기판 4와 조작·제어용 회로기판 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선단부 6a~9a,11a~14a를 반드시 구멍 1a~1d,2a~2d로부터 돌출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와이어와, 상기 제2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 통신기기에 있어서, 접어졌을 때에,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은,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내장 안테나의 방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제1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1 하우징과, 제2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와이어와, 상기 제2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의 휴대 통신기기에 있어서,
    접었을 때에, 상기 제1회로기판와 상기 제2회로기판은,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기기.
  2. 상기 제1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노출된 도전성의 복수의 제1접속부와, 상기 제2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노출된 도전성의 복수의 제2접속부를 구비하며, 접었을 때에,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가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은, 서로의 전위차를 억제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휴대통신기기.
  3.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는, 도전성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기재의 휴대 통신기기.
  4.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중 어느 한 쪽은, 도전성의 원통형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일단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통체로부터 돌출된 타단이 밀림으로써, 상기 통체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전성의 도전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중 어느 다른 쪽은, 도전성의 수부재(receiving memb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기재의 휴대 통신기기.
KR1020030088597A 2002-12-20 2003-12-08 휴대 통신기기 KR20040055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9616A JP2004201180A (ja) 2002-12-20 2002-12-20 携帯通信機器
JPJP-P-2002-00369616 2002-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82A true KR20040055582A (ko) 2004-06-26

Family

ID=3276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597A KR20040055582A (ko) 2002-12-20 2003-12-08 휴대 통신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201180A (ko)
KR (1) KR20040055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37B1 (ko) * 2006-11-2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310A (ja) * 2004-07-15 2006-02-02 Toshiba Corp 無線装置
JP4696887B2 (ja) * 2005-12-08 2011-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37B1 (ko) * 2006-11-2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01180A (ja)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8084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CN1617458B (zh) 用于通信装置的天线系统
EP1753079A1 (en) Multi-band antenna, circuit substrate and communication device
JP4227141B2 (ja) アンテナ装置
JP5250625B2 (ja) 無線機
JP2005006096A (ja) 携帯無線機
JPWO2006046712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WO2007032330A1 (ja) 携帯無線機
KR101037898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채택한 디바이스용 전자파 적합성 장치
JP2005340887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JP4371914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7512789A (ja) 導電性の筐体を備える機器のアンテナ構造
JP2006129386A (ja)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7089123A (ja) 携帯無線機
JP2005117099A (ja) 携帯無線通信機
KR20040055582A (ko) 휴대 통신기기
JP2006067133A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JP2002171111A (ja) 携帯無線機及び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JP2006148669A (ja) スライド式携帯電話装置
JP2006166260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6304072A (ja) 携帯無線装置
JP4447446B2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4642588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3264414A (ja) 折畳式携帯無線端末
JP2006197528A (ja) 折り返し線状逆f型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0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