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3804A -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804A
KR20040053804A KR1020030090452A KR20030090452A KR20040053804A KR 20040053804 A KR20040053804 A KR 20040053804A KR 1020030090452 A KR1020030090452 A KR 1020030090452A KR 20030090452 A KR20030090452 A KR 20030090452A KR 20040053804 A KR20040053804 A KR 20040053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device
imaging
substrate
op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또마사시
아따라시유우이찌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노루따 호르딩구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노루따 호르딩구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노루따 호르딩구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8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부재, 촬상 소자, 기판의 크기나 형상에 의한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적절하게 제조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것을 내장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또한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IMAGE SENS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탑재 가능한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탑재 가능한 소형이고 고성능인 촬상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촬상 장치는, 예를 들어 기판 상에 A/D 변환기나 드라이버 등의 전기 부품, 화상 처리 IC 회로에 접속되는 CCD 베어 칩(촬상 소자) 등이 부착되는 것 외에 결상 렌즈와, 상기 기판 상에 배치하기 위한 다리부를 구비한 렌즈부(광학 부재) 등이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284617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기 공보에 개시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의 결상 렌즈(120a)의 크기는 도13a에 도시되는 렌즈부(110)와 다르지 않지만, CCD 베어 칩이나 기판(모두 도시하지 않음)이 보다 소형화되는 것과 아울러 렌즈부(120)의 다리부(120b)가 렌즈의 유효 직경(120aa)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CCD 베어 칩의 촬상 영역의 외측에 접촉하도록 배치해야만 하는 경우, 렌즈부(120)의 다리부(120b)에 있어서의 기판과 접촉하는 부분만을 작게 형성해야만 한다. 그 경우, 다리부(120b)가 촬상 렌즈(120a)의 유효 직경(120aa)의 내측까지 집어 넣어진 형상이 되어 언더컷부(121, 121)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금형의 상태에 의해 이와 같은 형상의 렌즈부(120)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CCD 베어 칩이나 기판의 크기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한 렌즈부(광학 부재)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단면 Ⅱ에 따라서 얻은 일부 생략 단면도.
도3은 광학 부재의 사시도.
도4는 촬상 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부재와 촬상 소자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5는 광학 부재의 제1 변형예와 촬상 소자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6은 광학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7은 광학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8은 광학 부재의 제4 변형예와 촬상 소자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생략 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기판 및 촬상 소자의 평면도.
도11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생략 단면도.
도12a 및 도12b는 각각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
도13a 및 도13b는 각각 종래의 광학 부재 및 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 15, 18, 21 : 광학 부재
2, 202 : 촬상 소자
4 : 경프레임
5 : 차광판
6 : IR 커트 필터
7 : 압박 부재
9, 16, 19 : 렌즈 부재
10, 17, 20, 22, 330 : 렌즈 지지 부재
13, 303 : 조리개판
23 : 다리부
100, 200, 300 : 촬상 장치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광학 부재, 촬상 소자, 기판의 크기나 형상에 의한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적절하게 제조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것을 내장한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제1 태양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및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기판의 크기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촬상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부착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2 태양에 있어서는,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의 렌즈 지지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박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사이를 거쳐서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렌즈 부재, 촬상 소자, 기판 등의 사이즈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실현되게 되어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의 외측단부의 위치가 촬상 소자보다도 외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3 태양에 있어서는, 제1 또는 제2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부의 크기가 촬상 소자보다도 큰 등, 지지부의 상기 측단부의 위치가 촬상 소자보다도 외측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장없이 촬상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부재의 크기에 관계없이 촬상 소자를 작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에 있어서, 렌즈 부재는 렌즈 지지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4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지지부에 있어서, 렌즈 부재는 렌즈 지지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게 되어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4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렌즈 부재는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지지부는 렌즈 부재의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상부가 개구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5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4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부재는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지지부는 이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상부가 개구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렌즈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게 되어 제조의 용이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렌즈 지지 부재는 차광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6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지지 부재는 차광성을 갖기 때문에, 렌즈 부재에 대한 내면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조리개판과 IR 커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7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조리개판과 IR 커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삽입한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렌즈 지지 부재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은 균일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8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지지 부재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은 균일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 지지 부재와 촬상 소자는 다점접지가 됨으로써, 렌즈 지지 부재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면, 광전 변환부를 구비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전기 신호의 외부 접속용 단자를 갖는 기판과, 광전변환부에 피사체 화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와, 개구부를 갖고 광학 부재를 덮는 차광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 이하인 촬상 장치이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제9 태양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 이하라는 비교적 소형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광학 부재가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사이를 거쳐서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렌즈 부재, 촬상 소자, 기판 등의 사이즈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실현되게 되어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제10 태양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한 태양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은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제조상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수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원리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써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기판(PC)과, 그 기판(PC)의 한 쪽 면 상에 배치된 촬상 소자(2)와, 이 촬상 소자(2)의 촬상 영역[후술하는 광전 변환부(2a)]에 집광시켜 피사체상을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이 광학 부재(1)에 입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과, 촬상 소자(2)를 덮어 가리는 경프레임(4)과,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5)과, 차광판에 지지되는 IR 커트 필터(6)와, 광학 부재(1)를 촬상 소자(2)의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와, 경프레임(4)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과, 기판(PC) 상에 배치된 그 밖의 전기 부품류(8)와, 기판(PC)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기판(FPC)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광학 부재(1)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는 렌즈 부재(9)와, 이 렌즈 부재(9)를 지지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2)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10)로 구성된다.
렌즈 부재(9)는 볼록 렌즈 형상의 렌즈부(9a)와, 렌즈부(9a)측 하방에 형성되어 렌즈 지지 부재(10)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9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부재(9)의 상단부에는 상면부(9b)가 형성되고, 이 상면부(9b)의 중앙에 렌즈부(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부(9c)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부재(9)는 비교적 소형인 촬상 장치에 이용할 수 있도록 렌즈부(9a)의 광축 방향의 길이가 10 ㎜ 이하이고, 또한 중량이 15 g 이하가 되어 있다.
렌즈 지지 부재(10)는 렌즈 부재(9)의 내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차광성을 구비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 렌즈 지지 부재(10)의 상단부에는 렌즈 부재(9)의 끼워 맞춤부(9c)와 끼워 맞추어 렌즈 부재(9)를 지지하는 받침 그릇형의 지지부(10a)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10a)의 하방에 관형의 다리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10b)의 하방에 촬상 소자(2)에 접촉하는 4개의 접촉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0a)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부재(9)의 돌기부(9d…)와 끼워 맞추는 오목부(10d…)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렌즈 부재(9)는 렌즈 지지 부재(10)에 고정되어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지 않는 구조가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10c…)의 촬상 소자(2)와의 접촉면은 균일한 요철면의 거친 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촬상 소자(2) 상에 있어서 다점접지가 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부재(9)의 외경이 촬상 소자(2)의 긴 변보다도 길다. 또한, 지지부(10a)의 외측단부의 위치가 촬상 소자(2)의 긴 변측의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렌즈 지지 부재(10)의 다리부(10b) 및 접촉부(10c…)는 렌즈부(9)의 유효 직경(9aa)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10c…)는 촬상 소자(2)의 비촬상 영역(2b) 상이고, 또한 점선으로 나타낸 렌즈부(9)의 유효 직경(9aa)에 상당하는 원(c)의 내측 위치에 배치된다.
즉, 렌즈 부재(9)를 그 상태에서의 크기로는 촬상 소자(2) 상에 배치할 수 없지만, 렌즈 지지 부재(10)를 경유함으로써 촬상 소자(2) 상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이미지 센서로,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의 하면은 기판(PC)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상면 중앙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된 촬상 영역으로서의 광전 변환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측의 비촬상 영역(2b)에 렌즈 지지 부재(10)의 접촉부(10c…)가 접촉하는 피접촉부(2c…)가 설치되는 동시에, 처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접촉부(2c…)는 렌즈부(9a)의 유효 직경(9aa)에 상당하는 원(c)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처리부의 외부 모서리 근방에는 복수의 패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결선용 단자인 패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W)를 거쳐서 기판(PC)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W)는 기판(PC) 상의 소정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조리개판(3)은 렌즈부(9a) 주위의 상면부(9b)에 고정되어 있다. 이 조리개판(3)은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렌즈부(9a)의 조리개값(F값)을 규정하는 제1 조리개로서의 개구(3a)를 갖는다.
경프레임(4)은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 광학 부재(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경프레임(4)에는,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주형의 하부(4a)와, 원통형의 상부(4b)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4a)의 하단부는 기판(PC) 상에 접착제(B)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또한, 경프레임(4)의 하부(4a)와 상부(4b) 사이의 격벽(4c)의 내주면과, 광학 부재(1)의 렌즈 지지 부재(10)의 다리부(10c)는 밀착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해 광학 부재(1)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 렌즈부(9a)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경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을 기초로 하여 경프레임(4)을 위치 결정하여 배치함으로써,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광학 부재(1)를 배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판(PC)에 구비된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과, 경프레임(4)에 끼워 맞추어진 광학 부재(1)의 렌즈부(9a)의 광축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1)는 경프레임(4)에 위치 규제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소정 위치에 경프레임(4)이 배치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1)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기 어렵고, 예를 들어 광학 부재(1)의 렌즈부(9a)의 광축 중심과,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차광판(5)은, 경프레임(4)의 상부(4b)의 상단부에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차광판(5)은 그 중앙에 제2 조리개로서의 개구(5a)를 갖고 있다.
IR 커트 필터(6)는 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차광판(5) 중앙의 개구(5a)의 하방에 접착제(B)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광판(5)과 IR 커트 필터(6)로 커버 부재(1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기판(PC)과 경프레임(4)과 커버 부재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촬상부(10)는 방진, 방습의 구조를 갖는다.
압박 부재(7)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광학 부재(1)와, 차광판(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광판(5)이 경프레임(4)에 부착됨으로써 차광판(5)이 압박 부재(7)를 압박하여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된다. 이 압박 부재(7)는 광학 부재(1)를 도2 중 하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고, 광학 부재(1)를 촬상 소자(2)에 압박한다. 여기서, 차광판(5)으로부터 하방의 촬상 소자(2)를 향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 압박 부재(7)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힘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이 작용하므로, 그 힘은 직접 촬상 소자(2)로는 전달되지 않아 촬상 소자(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기 부품(8…)은 촬상 장치(100)를 동작시켜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 부품이다. 이와 같이 전기 부품(8…)이 기판(PC)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10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다양한 전자 기기에 탑재하기 쉬워진다.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이 있고, 도2에 있어서, 기판(PC) 상의 촬상 소자(2)와 경프레임(4) 사이이며, 경프레임(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PC)으로부터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는 기판(PC)으로부터 촬상 소자(2)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보다도 높아져 있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경프레임(4)의 하부(4a)에 있어서의 고정 부착 부위의 내측의 4각을 둘러싸도록 하여 4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경프레임(4)을 기판(PC) 상에 고정 부착할 때의 경프레임(4)의 위치 결정 지표가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의 상단부가 촬상 소자(2)의 상단부보다도 높아져 있으므로, 경프레임(4)이 촬상 소자(2)에 접촉하여 촬상 소자(2)의 와이어(W)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은, 예를 들어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100)에 필요한 전기 부품이면 된다.
가요성 기판(FPC)은 외부 접속용 단자로서, 촬상 장치(100)를 전자 기기에 탑재할 때에 전자 기기의 기판 등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광학 부재(1)는 렌즈 부재(9)와 렌즈 지지 부재(1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촬상 소자(2), 혹은 광전 변환부(2a) 사이즈 등의 구조상, 촬상 소자(2)의 광학 부재(1)의 다리부(2b) 및 접촉부(2c…)가 렌즈부(9a)의 유효 직경(9a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다시 말하면 렌즈부(9a)의 유효 직경(9aa)보다도 촬상 소자(2)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본딩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둘러싸인 영역의 최대 길이가 짧은 경우라도 렌즈 부재(9)를 그대로의 형상으로 촬상 소자(2)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소자(2)의 사이즈나 형상이 다양한 경우, 렌즈 부재(9)를 그것에 맞추어형성하지 않아도 렌즈 지지 부재(10)의 다리부(10c)를 촬상 소자(2)의 사이즈나 형상에 맞추어 변경한 것을 형성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렌즈 부재(9)의 크기에 좌우되는 일 없이 촬상 소자(2)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촬상 소자(2)를 렌즈 부재(9)보다도 작게 하는 등, 촬상 소자(2), 그것에 수반하는 촬상 장치(100)의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촬상 소자(2)를 렌즈 부재(9)의 크기에 좌우되는 일 없이 작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촬상 장치(100)의 소형화에 공헌하게 된다.
또한, 렌즈 부재(9)와 렌즈 지지 부재(10)는 렌즈 부재(9)의 돌기부(9d…)와 렌즈 지지 부재(10)의 오목부(10d…)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렌즈부(9a)의 광축 중심과 촬상 소자(2)의 광전 변환부(2a)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100)의 광학 부재(1)의 형상, 구성 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5 내지 도8을 이용하여 광학 부재(1)의 변형예(12, 15, 18, 2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
도5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의 광학 부재(12)는 렌즈 부재(9)와, 렌즈 지지 부재(10) 사이에 조리개판(13)과, IR 커트 필터(14)가 배치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광학 부재(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부재(9)와 렌즈 지지 부재(10) 사이에 조리개판, IR 커트 필터 등의 부품을 조립한 구성이라도 좋다.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
또한, 도6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의 광학 부재(15)는 원형상의 렌즈부(16a)를 구비한 렌즈 부재(16)와, 이 렌즈 부재(1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7)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 부재(16)에 있어서, 렌즈 지지 부재(17)와 끼워 맞추기 위한 돌기부(16b…)가 렌즈부(16a)의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렌즈 지지 부재(17)에 있어서,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부(17a)에 상기 돌기부(16b)와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로서의 오목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 부재(16)의 돌기부(16b)를 렌즈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b)에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렌즈 부재(16)가 렌즈 지지 부재(17)에 지지되는 동시에, 렌즈 부재(16)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오목부(17b…)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이 되어 있으므로, 렌즈 부재(16)를 상방으로부터 렌즈 지지 부재(17)에 정확하게 끼워 넣을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돌기부(16b…)는 렌즈 부재(16)를 금형 성형할 때의 게이트를 이용해도 좋고, 이 경우, 돌기부(16b)를 일부러 성형하는 비용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
또한, 도7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의 광학 부재(18)는 파인더 렌즈형의 렌즈부(19a)를 구비한 렌즈 부재(19)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 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 부재(19)에 있어서, 렌즈 지지 부재(20)와 끼워 맞추기 위한돌기부(19b…)가 렌즈부(19a)의 광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렌즈 지지 부재(20)에 있어서 이 돌기부(19b…)와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로서의 오목부(20b…)가 지지부(20a)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인더 렌즈형의 렌즈부(19a)를 촬상 장치에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
또한, 도8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의 광학 부재(21)는 도7에 도시한 렌즈 부재(19)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지지 부재(22)에 있어서, 렌즈 부재(19)의 돌기부(19b…)와 끼워 맞춤 가능한 피끼워 맞춤부로서의 오목부(22b…)가 지지부(22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22a) 및 오목부(22b)의 하방에 2 쌍의 정육면체 형상의 다리부(23, 23)가 형성되고, 촬상 소자(2)의 피접촉부(2d…)에 접촉하는 다리부(23, 23)로 해도 좋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9, 도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이하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9,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는 개구부(201)가 형성된 기판(PC)과, 그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개구부(201)를 막도록 구비된 촬상 소자(202)와,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201)를 통해 그 촬상 소자(202)의 표면인 수광면에 접촉하고, 촬상 소자(202)에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 부재(1)와, 이 광학 부재(1)에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과, 촬상 소자(202)와 개구부(201)를 덮어 가리는 외부 프레임 부재로서의 경프레임(4)과, 경프레임(4)에 구비된 차광성을 갖는 차광판(5)과, 차광판(5)에 지지되는 필터(6)와, 차광판(5)과 광학 부재(1) 사이에 구비되어 광학 부재(1)를 기판(PC)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와, 광학 부재(1)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해 기판(PC)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위치 결정 전기 부품(8a…) 및 그 밖의 기판(PC)에 배치된 전기 부품(8…)과, 기판(PC)으로부터 연장된 외부 접속용 단자로서의 가요성 기판(FPC)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02)는,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박판형의 촬상 소자(20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이 기판(PC)의 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촬상 소자(202)의 상면 중앙에는 화소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촬상 영역으로서의 직사각 형상의 광전 변환부(202a)가 형성되어 있고, 촬상 소자(202)가 기판(PC)의 이면에 부착될 때, 기판(PC)에 형성된 개구부(201)를 통해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광전 변환부(202a)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02)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면과, 기판(PC)의 이면측은 전극으로서의 범프(203)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고, 촬상 소자(202)와 기판(PC)은 범프(20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PC)의 이면에는 촬상 소자(202)와의 접속 부재로서의 본딩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202)에 있어서, 광전 변환부(202a)의 외주의 상기 본딩 패드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도시 생략) 상에 범프(2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범프(203)를 거쳐서 촬상 소자(202)의 입출력 단자와, 기판(PC)의 본딩 패드가 접합됨으로써 촬상 소자(202)와 기판(PC)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접합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용착 외에 ACF(이방성 도전성 필름), ACP(이방성 도전성 페이스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200)에 있어서, 촬상 소자(202)가 기판(PC)의 이면측으로부터 기판(PC)의 개구부(201)를 막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201)를 통해 그 촬상 소자(202)의 광전 변환부(202a)에 접촉하도록 광학 부재(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판(PC)의 두께만큼 기판(PC)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의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광학 부재(1)의 돌출을 억제한 만큼 촬상 장치(2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실시예와 같은 부위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동시에,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있어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촬상 장치(3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300)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301)는 제1 렌즈 부재(310)와, 이 제1 렌즈 부재(310)에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판(303)을 거쳐서 제1 렌즈 부재(310)의 상방에 구비된 보조 광학 부재로서의 제2 렌즈 부재(320)와, 제1 렌즈 부재(310)를 지지하는 동시에 기판(PC)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201)를 통해 촬상 소자(202)의 표면에 접촉하는 렌즈 지지 부재(3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렌즈 부재(310)와 제2 렌즈 부재(320)의 광축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 렌즈 부재(310)는 렌즈부(310a) 주위에 관형의 하부 다리부(310b)를 구비한 것이고, 하부 다리부(310b)의 하단부에는 렌즈 지지 부재(330)에 접촉하는 접촉부(310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렌즈 부재(310)의 외주부는 경프레임(4)의 격벽(4c)에 접촉하여 끼워 맞추어져 있고, 제1 렌즈 부재(310)의 위치 결정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제1 렌즈 부재(310)에 있어서의 관형의 하부 다리부(310b)의 상면이며, 렌즈부(310a)의 주위에는 차광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렌즈부(310a)의 F번호를 규정하는 조리개로서의 개구(303a)를 갖는 조리개판(30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렌즈 부재(320)는 렌즈부(320a)의 주위에 관형의 상부 다리부(320b)를 구비한 것이고, 상부 다리부(320b)의 하면측에는 조리개판(303)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렌즈 부재(320)는 제2 렌즈 부재(320)와, 차광판(5) 사이에 배치된 압박 부재(7)에 의해 제2 렌즈 부재(320)를 도11 중 하방을 향해 소정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하고, 조리개판(303)을 거쳐서 제1 렌즈 부재(310)를 촬상 소자(202)를 향해 압박한다.
렌즈 지지 부재(330)는 제1 렌즈 부재(310)의 내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차광성을 구비한 플라스틱 재료를 소재로 하여 그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1 렌즈 부재(9)의 접촉부(310c)와 접촉하여 제1 렌즈 부재(310)를 지지하는 받침 그릇형의 지지부(330a)와, 지지부(330a)의 하방에 형성된 관형의 다리부(330b)와, 상기 다리부(330b)의 하방에 형성되어 촬상 소자(202)에 접촉하는 4개의 접촉부(330c…)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300)에 있어서, 광학 부재(301)로서 제1 렌즈 부재(310)와 제2 광학 부재 렌즈 부재(320)를 복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1 렌즈 부재(310)와 제2 렌즈 부재(320)의 각각의 광학 기능 등을 복합함으로써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된 촬상 장치라도 보다 고기능인 촬상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부재(310)의 접촉부(310c)의 하방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렌즈 지지 부재(330)의 지지부(330a)에 상기 돌기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갖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렌즈 부재(310)와, 렌즈 지지 부재(330)가 보다 고정되어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촬상 장치(100)를 일예로 하여 상기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도12a 및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예는, 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 전화기(T)[이하, 단순히 휴대 전화기(T)라 함]이고,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71)과,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72)이 힌지(73)를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촬상 장치(100)는상부 하우징(71)의 내표면측[표시 화면(D)을 갖는 측]에 설치된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고, 촬상 장치(100)[광학 부재(1)]가 상부 하우징(71)의 외표면으로부터 빛을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T)에 박형화된 촬상 장치(100)를 내장함으로써, 휴대 전화기(T)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고, 촬상 대상과의 거리나, 촬상 환경에 맞추어 촬상 장치(100)의 기능을 구별지어 사용함으로써, 부가 가치가 높은 휴대 전화기(T)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T)의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휴대 전화기(T)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을 행한 촬상 장치(100)를 탑재한 구성으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제2, 제3 실시예에서 설명을 행한 촬상 장치(200, 300)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기판(PC)의 두께만큼 광학 부재(1)의 광축 방향의 돌출분이 적어지므로, 휴대 전화기(T)의 박형화가 실현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개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참조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어 해석되면 안되고, 적절하게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2,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광학 부재(1)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광학 부재(1)의 변형예인 광학 부재(12, 15, 18, 21)를 탑재해도 좋다.
또한, 각종 설명을 행한 광학 부재에 있어서, 광학 부재를 구성하는 렌즈 부재 및 렌즈 지지 부재의 형상 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의 끼워 맞춤 부분의 형상, 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또한, 렌즈 지지 부재에 있어서, 촬상 소자와의 접촉하는 다리의 형상, 수 등도 마찬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렌즈 지지 부재와 촬상 소자는 거친 면에서 접촉해도 좋고, 밀착면에서 접촉해도 좋다.
또한, 기판(PC)은 딱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2, 202)로서, CMOS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CCD(Charged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라도 좋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PDA, AV 장치, 텔레비전, 가정 전화 제품 등 다양한 것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및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기판의 크기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촬상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촬상 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광학 부재의 렌즈 지지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촬상 장치는 기판의 두께만큼 박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사이를 거쳐서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렌즈 부재, 촬상 소자, 기판 등의 사이즈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실현되게 되어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부의 크기가 촬상 소자보다도 큰 등 지지부의 상기 측단부의 위치가 촬상 소자보다도 외측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장없이 촬상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 부재의 크기에 관계없이 촬상 소자를 작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지지부에 있어서 렌즈 부재는 렌즈 지지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게 되어 광학 부재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켜 소정의 광학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부재는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지지부는 이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상부가 개구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렌즈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게 되어 제조의 용이화가 실현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지지 부재는 차광성을 갖기 때문에 렌즈 부재에 대한 내면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조리개판과 IR 커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삽입한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렌즈 지지 부재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은 균일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 지지 부재와 촬상 소자는 다점접지가 됨으로써 렌즈 지지 부재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적합하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 이하라는 비교적 소형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광학 부재가 렌즈 부재와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렌즈 부재와 촬상 소자 사이를 거쳐서 렌즈 지지 부재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렌즈 부재, 촬상 소자, 기판 등의 사이즈나 형상 등의 관계성에 제약을 받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실현되게 되어 제조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휴대 단말은 그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여 제조상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Claims (10)

  1. 촬상 소자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갖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이면측에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부착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영역에 피사체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기판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단부의 위치가 상기 촬상 소자보다도 외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는 상기 렌즈 지지 부재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는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돌기부를 끼워 맞추는 상부가 개구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 부재는 차광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지지 부재 사이에 조리개판과 IR 커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 상에 접촉하는 접촉면은 균일한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광전 변환부를 구비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전기 신호의 외부 접속용 단자를 갖는 기판과, 상기 광전 변환부에 피사체 화상을결상시키는 광학 부재와, 개구부를 갖고 상기 광학 부재를 덮는 차광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 이하인 촬상 장치이며, 상기 광학 부재는,
    렌즈 부재와,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촬상 소자의 비촬상 영역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렌즈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가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030090452A 2002-12-13 2003-12-12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Ceased KR20040053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2708 2002-12-13
JP2002362708A JP2004194223A (ja) 2002-12-13 2002-12-13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804A true KR20040053804A (ko) 2004-06-24

Family

ID=3232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452A Ceased KR20040053804A (ko) 2002-12-13 2003-12-12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29168A3 (ko)
JP (1) JP2004194223A (ko)
KR (1) KR20040053804A (ko)
CN (1) CN1507067A (ko)
TW (1) TW200425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5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2686B2 (en) 2004-02-20 2011-01-18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Integrated lens and chip assembly for a digital camera
US7796187B2 (en) 2004-02-20 2010-09-14 Flextronics Ap Llc Wafer based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259401B2 (en) * 2004-11-19 2012-09-04 Eastman Kodak Company Castellated optical mounting structure
JP2006148710A (ja) * 2004-11-22 2006-06-08 Sharp Corp 撮像モジュール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348826B2 (ja) * 2005-02-17 2013-11-2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壁部内への一体化のためのレンズ装置、結合ハウジングおよびレンズ装置と共に壁部一体化された装置、装置を据え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を有する輸送設備
KR100770846B1 (ko) 2005-05-13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DE102005044770A1 (de) * 2005-09-20 2007-03-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Montage und Justage einer elektrooptischen Vorrichtung sowie Messgerät montiert und justiert nach einem derartigen Verfahren
JP2007181043A (ja) * 2005-12-28 2007-07-12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US8092102B2 (en) 2006-05-31 2012-01-10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premolded lens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844475B1 (ko) 2010-12-24 2018-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5155241A1 (en) * 2014-04-10 2015-10-15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holding an optical component
CN105163015B (zh) * 2015-09-29 2019-03-08 北京伊神华虹系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反射式全景摄像机
JP6778262B2 (ja) 2016-06-10 2020-10-2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8627942B (zh) * 2017-03-15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潜望式镜头模组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778A (en) * 1992-08-28 1994-04-12 Eastman Kodak Company Semiconductor insulation for optical devices
CN1100437C (zh) * 1995-05-31 2003-01-29 索尼公司 摄象装置及其制造方法、摄象拾音装置、信号处理装置及信号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JP3836235B2 (ja) * 1997-12-25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523924B (en) * 2001-01-12 2003-03-11 Konishiroku Photo In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lens
JP2002252797A (ja) * 2001-02-26 2002-09-0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4061936B2 (ja) * 2002-03-22 2008-03-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5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5493A (en) 2004-11-16
EP1429168A2 (en) 2004-06-16
JP2004194223A (ja) 2004-07-08
EP1429168A3 (en) 2004-07-28
CN1507067A (zh)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125B1 (ko) 촬상 장치
KR20040053804A (ko)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0928011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카메라 모듈
JP3846158B2 (ja) 鏡筒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100816844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US12181728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20110096224A1 (en) Camera module package
KR20040027377A (ko)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CN101518050A (zh) 固态摄像装置及其制作方法
KR20020091792A (ko) Cmos형 이미지 센서
JP2003283892A (ja) 撮像装置
KR100512318B1 (ko) 소형 촬상모듈
KR101327622B1 (ko) 카메라 모듈
CN109672806B (zh) 摄像模组和感光组件及其封装方法
JP2002341218A (ja) 撮像装置
JP2004048287A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4180243A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4178895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406193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6078941A (ja) 撮像装置
KR101003597B1 (ko) 카메라 모듈
JP2002320149A (ja) 撮像装置
KR100935993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43480A (ko) 카메라 모듈
JP2003319230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