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190A - 새로운 페이퍼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말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새로운 페이퍼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말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2190A KR20040052190A KR1020030090613A KR20030090613A KR20040052190A KR 20040052190 A KR20040052190 A KR 20040052190A KR 1020030090613 A KR1020030090613 A KR 1020030090613A KR 20030090613 A KR20030090613 A KR 20030090613A KR 20040052190 A KR20040052190 A KR 20040052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adhesive layer
- tape
- adhesive tape
- pa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8—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the adhesive tab or tab having a cleavable or delaminating lay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flying splice appl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3—Presence of paper in the substra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잉 스플라이스 작업공정시 작은 불가피한 동기화 결함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새로이 준비한 웹을 이전의 웹과 접촉시키는 초기에 두 웹 사이에 더 큰 압축을 구축하는 것을 교시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결합 부위의 초기에 압축 집결은 두 개의 접착층의 하나를 다른 것 위에 적어도 작은 중첩 영역 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접착층 둘 다는 상이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데, 제1접착층은 새로운 롤의 개시부(A)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달성가능한 점착성과 경쟁적이긴 하지만 내전단성이 특히 높은 반면, 제2접착층은 이전에 사용된 물질의 말단부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특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제1접착층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 적용되는 반면 제2접착층은 단지 한 영역 - 결합될 물질의 구동 방향에서 볼 경우 정면 영역에 적용되는 경우로서; 이 경우 두 층의 중첩 영역은 크고 제2층의 크기 영역과 동일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새로운 페이퍼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 말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제지법에서, 예를 들어 인장 강도와 함께 평활도, 광택, 및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수 코팅 또는 칼렌더링에 의한 제지 후처리 및 제지 가공에서, 이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만 요구되는 일관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공정이 있다. 예를 들어, 코팅의 두께는 코팅될 웹과 피막을 평활하게 하는 닥터 블레이드와의 거리뿐만 아니라 전진 속도에도 의존한다. 더욱이, 일부는 코팅될 제품의 온도 및 코팅 재료의 온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둘 다 웹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만 일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인 요건 이외에, 결과로서 수득되는 준비 시간의 회피 및 고 효율은 연속 공정 기술에서 상당히 유리한 인자들이다.
가능한 재개 시, 가속하는 동안과 그 후 짧은 시간 동안의 불연속성과 불가피한 세틀링 인 작업(settling-in events)의 필요한 소실로 인해 폐지로 손실되는페이퍼의 구동 길이는 대략 도달하는 속도의 제곱으로 커진다.
간섭을 제거해야 하는 중요성은 기계의 운행 속도에서의 상당한 증가로 인해 지난 30년 동안 상당히 증가했는데, 프린팅 섹터내에, 최고의 운행 속도는 신문 인쇄에서 시행되어 왔고 시행되고 있는데, 고속 호환성 잉크가 시판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래로 이는 30 내지 60 km/h에 달했는데, 이에 반해 1961년에는 통상적인 속도가 여전히 1.39 m/sec(= 5km/h) 내지 4.16 m/sec(= 15km/h)였고; 이와 관련하여는 예를 들어 문헌[참조:the report by W.H.Banks, "Problems in High Speed Printing" on the International Printing Research Institute Conference held in 1961 at Elsinore, Denmark]의 75면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동일한 속도 범위는 상기 문헌 80면 1행 및 2행에 제시되어 있고 이에 이어 86면까지의 표 2 및 8에서도 언급되어 있다. 이 보고서는 PERGAMON PRESS에 의해 발행되었다.
제지법에서 - 여기서는 잉크 이송 속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 120 km/h 이하의 운행 속도는 사실상 10년 동안 달성되어 왔고, 이러한 고속 기계는 점점 더 확립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지배적이다.
그러나, 종이는 임의의 길이의 연속 제품으로서 공급되거나 전달될 수 없다; 대신에 비록 크긴 하지만 여전히 한정적인 권취 길이를 갖는 권취된 코일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횡단면에서, 이러한 종류의 릴은 아르키메데스 나선의 형태를 나타내지만; 종이의 두께가 릴의 직경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페이퍼 릴은 롤의 외관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러한 페이퍼 릴은 당업자에게는 "페이퍼 롤"이라는 전문용어로 칭해진다.
권취 길이의 유한성으로 인해 종이의 제조나 후처리나 가공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롤의 한 쪽 말단부에 결합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필요한 연속성을 실제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결합은 종이가 감소되지 않는 속도로 운행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의 롤 교환은 당업자에게는 "플라잉"으로 칭해진다.
롤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접착 테이프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960년에 발행된 US-A 2,920,835가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소위 모든 현대 접착 테이프 스플라이싱 페이퍼의 모체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는 필수적으로 2개 부분의 접착 테이프가 기술되어 있고, 한 부분(4)은 "기저 페이퍼 피스"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실제 스플라이싱 기능을 하는 것, 즉 이전의 웹의 말단부와 새로운 웹의 개시부 사이를 연결하고자 하는 것이고, 부분(1) 또는 (5)는 플라잉 스플라이스가 수행되기 전 이전의 웹의 동기화를 위해 가속되어야 하는 새로운 롤의 최상부 권취를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권취에 파스닝시키는 역할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후자의 기능은 정확히 "롤 파스닝"으로 언급할 수 있다. 이 문헌은 주로 롤 파스닝이, 새로이 준비된 롤을 이전의 웹으로 가압함으로써 스플라이스가 일어나자마자 요구되는 필수적인 분리성을 획득하는 방법의 문제를 다룬다. 첫 번째로 언급한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이 문헌의 도 3은, 영구 점착성 접착제(이들은 그 당시 가습에 의해서만 점착성이 되는 접착제와 구별하기 위해서 칭해진 것이고; 최근에는 "감압성 접착제"로 칭해진다)의 사용과 연관지어, 커버 테이프(현재 "라이너"로도 칭해진다)의 사용을 교시하는데 이는 슬릿(10)에 의해 둘로 나뉘어져무엇보다 제1접착 영역만을 노출시켜 새로운 롤의 개시부밑을 접착시킨 다음 제2접착 영역만을 노출시켜 새로운 웹의 말단부밑을 접착시킨다.
상기 문헌은 또한 스플라이스가 수행될 때까지 롤 파스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접착제 영역이, 인열된 후, 비점착성인 상태로 남아 결국 추출된 페이퍼 섬유로 접착제 상에 잔류하는 양태를 교시한다(컬럼 2, 27행 및 28행 참조).
마지막으로 언급한 문제는 1961년에 발행된 US-A 3,006,568에서 더욱 상세히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 문헌의 컬럼 2, 63행 내지 컬럼 3, 11행에서 비점착성 상태로 남게되는, 역할을 다한 롤 파스닝의 접착성을 확보하는 추가의 가능성을 교시하고, 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전 선행 특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특허도 "탭" 또는 "태그" 또는 "라벨"로서 칭해지는, 롤 웹의 축폭의 단지 일부를 결합시키는 테이프에 만족하고 있다. 이는 결합 기능과 파스닝 기능 둘 모두에 대해서 사실이다. 비결합 영역은 주변 방향으로 정확한 각도로 절단되어, 비결합 영역이 플래핑이나 인열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 플라잉 스플라이스에 요구되는, 새로운 롤의 회전 가속동안, 새로운 롤의 주변에서의 웹 속도를 사용된 페이퍼 웹의 속도로 접근시키기 위해, 원심력이 코일내에 작용하고 공기역학력이 주변에서 작용한다. 두 범주의 힘이 증가 속도의 제곱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롤 파스닝의 힘은 스플라이스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수행될 경우 상당히 증가해야만 한다. 롤 파스닝 및 웹 결합 둘 모두의 힘이 최근 수년 동안 속도의 변화와 함께, 접착제 영역의 증가에 의해, 증가해왔다. 이러한 목적으로, 무엇보다도 탭(따라서 말단부에서 종이 절단에서 "V"로도 칭해짐)의 수가 증가하고, 최종적으로, 결합은 새로운 롤의 전체 축 범주에 따라 수행되었다.
상기 언급한 미국 특허 둘 모두 형성된 스플라이스를 관찰한 것이고 따라서 새로운 웹의 개시부와 이전의 웹의 말단부 둘 모두를 탭의 동일한 면에 위치시켰다.(분리성 롤 파스닝은 내면에 배치된다). 이로써 페이퍼 웹 말단부의 결합부 둘 모두가 일련의 배열이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두 결합부가 하나가 다른 하나위에 배열되는 스플라이스에 비해 집합된 웹에서 증가된 굽힘 강성을 갖는 허용되는 더 긴 영역을 생성시키긴 하지만, 굽힘 강성은 이러한 스플라이싱 영역에서는 그리 상당히 증가하는 것이 결코 아닌데, 그 이유는 하나가 다른 하나위에 위치하는 세 개가 아닌 단지 두 개의 세 개가 아닌 층이, 심지어는 - 즉, 이전의 웹의 꼬리 말단부를 포함하는 - 3개의 층이 하나가 또하나 위에 배치되는 영역에서 조차도 서로 결합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스플라이스를 "이퀄 사이디드(equal-sided)"이라 칭한다.
이컬 사이디드 스플라이스는 또한 1989년 1월 19일자로 핀랜드(출원번호: 81997)에서 출원되어 1990년 9월 28일자로 공개된 FI-89 0287에 교시되어 있다. 이 문헌은 하나가 다른 하나 뒤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접착 스플라이싱 영역의 라이너의 분할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나, 플라잉 스플라이스에 대한 말단부 용도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은데 이는 아마 어떠한 롤 파스닝도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고; 이로부터 및 그 적은 잔량의 "꼬리", 전형적으로는 플라잉 스플라이스가 완전히 절단되어 결국 "버트 스플라이스(butt splice)"를 유도한다는 사실로부터,당업자는 이러한 스플라이스가 고정되어, 환원하면, 플라잉이 아니라, 정지 상태에서 수행되고, 페이퍼는 비간섭하에 구동되는 것으로 결론짓는다. 동일한 특허부류의 일부는 1990년 7월 26일자 발행된 WO 90/08032이다.
한편, 1991년 6월 13일자로 공개된 WO 91/08159는 또한 롤 파스닝의 분리성 및 롤 파스닝을 일으켜 파스닝이 인열되어 더이상 점착성이 아닌 상태로 되는 접착제의 필요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US-A 2,920,835 및 3,006,568에 의해 이미 제안된 바와 동일한 종류의 분할성 페이퍼를 제안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분리성 롤 파스닝의 문제가 1994년 1월 21일에 출원되고 1995년 3월 21일에 공개된 CA 2,113,932에서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분할성 페이퍼 배킹(12) 및 또한 감압성 접착층(14) 및 (16)(상기 배킹(12)의 상부에 하나 및 하부에 하나)를 갖는 접착 테이프를 기재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들은 사용시까지 각각 라이너 테이프(18) 또는(20)에 의해 보호된다.
1995년 11월 27일에 출원되고 1997년 5월 28일에 발행된 DE 195 44 010 C2는 또한 이를 기술하나 롤 파스닝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고, 단지 한면, 즉 상부면은 이전의 사용된 롤의 말단부를 일련의 배열로 새로운 롤의 개시부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스플라이스 또한 단일면 스플라이스이다.
양면 접착 테이프의 하부 접착면은 이 경우 상부에서부터 두 번째인 권취에 접착되도록 고안되어 있고, 대략 이 지점에서 새로운 롤의 최상부 권취가, 결합 작동의 개시 시에 종결된다. 이어서, 최상부 권취는 접착 테이프의 상면에서 그 위로 부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이는 예를 들어, 일부, 제3의 상부 접착 테이프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래쪽 접착층에 의해 함께 붙어있는 새로운 롤은 이어서 정확한 웹 속도로 가속화되고, 즉 동시화된 다음, 여전히 자유로운 상부 접착 테이프의 그 부분에 의해 이전의 롤의 말단부에 부착된다.
부착되는 순간에, 이제까지 필수적이었던 새로운 롤과의 홀딩은 그 롤이 권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행해지지 않아야 한다. 이는 페이퍼 배킹을 분할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해결책은 상기 언급한 미국 특허 제3,006,568호의 컬럼 3, 9행, 및 또한 WO 91/08159에 이미 명백히 언급되어 있다. 이들 선행 문헌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의 하부 접착층의 과량의 잔류물은 후속되는 제지 또는 제지 후처리 또는 가공 조작을 중단시키지 않는데, 이는 페이퍼 잔류물이 상기 층에 접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결의 단점은, 페이퍼 배킹의 힘을 완전히 조절할 수 없는 방식이 페이퍼가 분할되어, 페이퍼 백킹의 힘이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페이퍼 배킹의 이러한 상당한 약화가 일어날 수 있어 페이퍼 배킹의 남은 잔류물이 더 이상 이전의 롤의 종이와 새로운 롤의 종이 사이의 경계를 충분한 힘과 안정성으로 가교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고, 이 경우 인열이 일어날 수 있다. 연속 제조공정 개시에 기술된 요건에 의해서, 이러한 요건에 충족되지 못할 경우, 높은 수준의 폐기물, 및 이들 동일한 제조 플랜트의 중단 시간으로 인해, 이들은 극히 자본 집중적인 것들로서, 대규모 플랜트에서의 단지 단일 인열에 대한 비용도 약 ?15000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1990년 10월 25일에 출원되고 1991년 10월 10일에 발행된 보다 선행 문헌인 DE 40 33 900 A1은 현재 당업자에게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페이퍼 웹의 말단부와 새로운 페이퍼 웹의 개시부 사이에 가교형 결합을 생성시키기 위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데 이는 필수적으로 그의 상부면에만 접착층을 갖는다. 이러한 접착층의 커버 쉬이트는 세로의 심(seam)(9)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 부분(4 및 5)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킹의 내면에, 바람직하게는 접착 테이프의 한 가장자리에 마찬가지로 커버 쉬이트(8)를 가진 좁은 접착 스트립(7 또는 70)이 적용되어 있다.
종이쪽으로의 이러한 접착 스트립의 접착력은 접착 스트립이 그의 다른 면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 배킹쪽으로 보다 실질적으로 높다고 한다. 이러한 좁은 접착 스트립은 이러한 접착 테이프를 파스닝하는 역할을 하고, 따라서 새로운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권취로의 최상단 권취, 상기 언급한 결합력 비율은 이러한 새로운 롤의 개시부가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이전의 롤의 말단부로 결합하는 순간인데, 이러한 결합의 분리를 일으키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분리가 일어나서, 접착 스트립(7 또는 70)이 롤(여기서는 드럼으로서 언급된다)에 잔류하게 되고, 즉, 가교 접착 테이프를 탈착시키다. 컬럼 2, 12행 및 13행에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스트립(7 또는 70)은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 문헌은 가교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탈착에 이어 상부로부터 두 번째 권취에 잔류하는 접착 스트립(7 또는 70)의 잔류물이 더 이상 그의 탈착 표면에서 점착성이지 않다는 사실을 확실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그것이 비점착성으로 될 필요성은 당업자에게 오랜 동안 명백해 왔기 때문에(상기 언급한 US-A 2,920,835 및 3,006,568 및 또한 WO 91/08159 참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지 산업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서, 전체 접착 테이프는 리펄퍼블한(repulpable) 것이 필수적이고, 따라서 접착 테이프 배킹도 종이로 제조되어야 한다. 페이퍼 배킹에서, 접착 스트립(7/70)에 직면한 면에서의 탈착을 촉진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 바로 지점에서 페이퍼 배킹을 거칠게 하는 것이다.
1994년 10월 27일에 PCT에 따라 출원되고 1995년 11월 2일에 발행된, EP 0 757 657 B 1에 대한 독일어 번역문 DE 694 07 822 T2는 마찬가지로 플라잉 롤 교환동안 스플라이스용(약어로 "플라잉 스플라이스")으로 사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를 개시한다. 상기 언급한 선행 문헌으로 제한하지 않고, 이 문헌은(예를 들어, 제 1항의 마지막 특징부 참조)은 새로운 롤의 상부로부터 두 번째 플라이의 외부 표면이 원심력 보호가 제거된 후, 비점착성 상태로 남게 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이 문헌은 상기 언급한 US-A 3,006,568 및 US-A 2,290,835로부터 더 상세한 참작의 맥락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들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그 전의 US-A 2,920,835 및 FI-89 0287과 마찬가지로 DE 694 07 822도 스플라이싱용으로 준비될 새로운 롤에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한 접착 테이프의 접착면을, 환원하면, 하나의 제한에 따라, "제1영역"으로 언급되는 스플라이싱의 배킹 부분 영역을 일련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접착층으로 나눈다. 이들 층의 제1목적은 새로운 롤의 선두 말단부를 배킹 부분에 파스닝하는 것이고 제2 목적은 배킹 부분을 이전에 사용된 롤의 추가의 웹 물질에 파스닝하는 것이다. 제1접착층은 배킹 부분의 폭에 걸쳐 연장되고, 필수적으로는 배킹 부분의 제1의 세로 가장자리로부터 그의 중앙쪽으로 위치한 "제1 위치"로 연장되는 반면, 제2접착층은 상기 제1접착 위치에서 또는 뒤에서 중첩함이 없이 개시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고, 배킹 부분의 제2의 세로 가장자리쪽으로 위치한 "제2 위치" 까지 배킹 부분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예에서, 접착층 둘 모두는 동일한 접착제로부터 한 피스에서 제조된다.
이 문헌의 도면, 특히 도 6은 상기 "제1 위치"가, 라이너 테이프가 분할되어 두 개의 반쪽부(10) 및 (11)로 분할되는 지점과 일치함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문헌의 도 11은 제조하기에 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실시양태를 취급하기가 더 용이한데, 이에 따라 두 개의 라이너 테이프 반쪽부(10) 및 (11)를 서로 동일 평면이 아니라 지붕 타일과 유사하게 서로 중앙에 대해 위쪽으로 배치하여 라이너 테이프의 돌출된 필름형 말단부가 닿기에 더욱 용이하도록 하였다.
DE 694 07 822의 경우에도, 문제가 있는데, 제2접착층이 - 특히 그의 개시부에서 - 제1접착층 보다 슬립 및 전단에서 상당히 격렬하게 하중된다는 점이다. 이 이유는 정지 상태에서 롤을 사용하면, 제1접착층이 새로운 롤의 페이퍼에 부착되고, 또한 스플라이스의 신속한 준비에 의해, 그곳에서의 접착제는 수초, 또는 수분의 범위 내에 주어질 수 있어 완전한 안정성에 달성 할 수 있는 반면, 제2접착층은밀리세컨드 범위내에 필요한 안정성을 개발하여야 하고, 또한 100% 동시성이 결코 완전히 달성될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압도적으로 하중되고, 따라서 접촉 시간에 남아있는 웹 속도에서의 작은 차이가 동요하면서 송출되는 반면 작은 슬립 및 최대 전단응력은 결합시에 일어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 그 동안 판로가 실질적으로 확보되어 있는 테사 이지스플라이스(tesaREasySpliceR) 계열의 제품에서와 같이- 제1접착층보다 더 넓은 보다 높게 하중된 제2접착층을 제조하여 페이퍼의 구동 방향에서 볼 때, 제2접착층이 제1접착층보다 길게 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테사 이지스플라이스(tesaREasySpliceR) 계열의 제품은 또한 롤 파스닝의 분리를 위한 메카니즘, 즉 최상부 권취와 새로운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의 두번째 권취 사이의 임시 결합, 즉 페이퍼 분할에 의한 것을 갖는데, US-A 2,920,835 및 US-A 3,006,568에 이미 교시되어 있다. DE 196 32 689 A1(및 이로부터, EP 0 831 046 B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다루어진 인용에서 언급된 접착층(7/70)은 양면 접착 테이프인데 대략 그 중앙에 그 종류의 페이퍼 배킹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탈착 순간에 분할된다, 이 문헌에서도 상기 인정된 CA 2,113,932에서와 유사하지만; DE 196 32 689 A1에 따라서, 분할되는 주요 페이퍼 배킹이 아니라 단지 제2 페이퍼 배킹인데 이는 하부 접착 스트립에 배열되어 있으며, 새로운 롤의 개시부와 이전의 롤의 말단부 사이의 가교력과 그 안정성에 전혀 중요하지 않다.
테사 이지스플라이스(tesaREasySpliceR) 계열에 관한 추가의 특허들은 DE 196 28 317 A1, DE 198 30 673 A1, DE 198 30 674 A1 및 DE 199 02 179 A1이다.
플라잉 스플라이스 및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접착 테이프에 관한 추가의 특허는 US-A 2,377,971, DE-B 12 67 930, EP 0 566 880 B1, EP 0 696 254 B1, DE 38 34 334 A1, WO 93/12025, 및 DE 42 10 329 A1이다. 또한 사진 롤 필름 등의 패키징에 대한 파스너로서 DE-B 10 06 786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EP 0 831 046 B1과 관련된 조사 보고서로부터, GB 2 294 235 A, WO 91/08159 A, WO 95/29115 A, 및 EP 0 418 527 A이다.
본 발명은 DE 694 07 822 T2의 기술에서 "제2접착층"이 과하중으로 유지됨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 또는 추가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제1접착층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접착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페이퍼 플라이 또는 권취에 이미 부착된 양태이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하지만 라이너 테이프가 제1접착층으로부터 이미 제거된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하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최상부 페이퍼 플라이(= 최상부 또는 최종 권취)가 라이너 테이프의 사전 제거를 통해 노출된 제1접착층의 하부 영역에 이미 부착되고, 이 후 이렇게 준비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파스닝되고 결국 원심력에 내성이 충분히 있게 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하지만 제2접착층으로 부터 테이프의 라인이 제거된 이후이고, 그 후 페이퍼 롤은 실제로 가속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따라 준비되어 정확한 회전 속도로 가속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이전의 페이퍼 롤에 이르고 이에 대해 압축되고, 그 후 두 페이퍼 웹이 결합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새로운 페이퍼 롤(P)의 고정의 인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약 1/2 밀리세컨드 내지 1 밀리세컨드 후에 일어나고, 따라서 후속의 손상된 플라이가 마찬가지로 제거될 수 있다.
제2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양태의 예를 참조하면서 완전히 유사한 순서로,
도 8은 제1접착층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서는 연장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접착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페이퍼 플라이 또는 권취에 이미 부착된 양태이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하지만 라이너 테이프가 제1접착층으로부터 이미 제거된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과 동일하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최상부 페이퍼 플라이(= 최상부 또는 최종 권취)가 라이너 테이프의 사전 제거로 인해 노출된 제1접착층의 하부영역에 이미 부착되고, 이 후 이렇게 준비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고정되고 결국 원심력에 내성이 있게 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과 동일하지만 제2접착층으로 부터 테이프의 라인이 제거된 이후이고, 그 후 페이퍼 롤은 결합 또는 즉시 결합 가능 접착층으로 실제로 가속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라 준비되어 정확한 회전 속도로 가속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이전의 페이퍼 롤에 이르고 이에 대해 압축되고, 그 후 두 페이퍼 웹이 결합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새로운 페이퍼 롤(P)의 고정의 인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약 1/2 밀리세컨드 내지 1 밀리세컨드 후에 일어나고, 따라서 후속의 손상된 플라이가 마찬가지로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인 특징으로부터 시작한다면, 이는(우리 견해로는 가장 인접한 선행 기술인) DE 694 07 822 T2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는데:
두 물질 웹(I, II)을 결합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페이퍼 롤(P)의 개시부(A)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 말단부(E)에 결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K)로서,
a) 상기 테이프(K)는 결합될 물질 웹(I, II) 위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부착되기에 적합하고,
b) 상기 테이프(K)는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이루어진 배킹(1)을 가지며,
c) 상기 (1)의 상부면에는 제1접착층(2.1)과 제2접착층(2.2)이 배치되고,
d) 상기 제1접착층(2.1)은 새로운 물질 웹(I)의 개시부(A)(선두 말단부)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고,
e) 반면, 상기 제2접착층(2.2)은 이전의 사용된 물질 웹(II)의 말단부(E)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고,
f) 제1접착층(2.1)은 접착 테이프(K)의 폭 크기로, 배킹(1)의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인접한 제1위치(a)로부터 접착 테이프(K)의 두 경계 가장자리(4.1, 4.2) 사이에 또는 제2 경계 가장자리(4.2)에 위치한 제2 위치(b)로 연장되고,
g) 제2접착층(2.2)은 접착 테이프(K)의 폭 크기로, 접착 테이프(K)의 배킹(1)의 두 경계 가장자리(4.1, 4.2) 사이에 위치한 제3 위치(c)로부터 배킹(1)의 다른 경계 가장자리(4.2)에 인접한 제4 위치(d)로 연장되고,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h) 제2 위치(b)가 제3 위치(c)보다 배킹(1)의 제1 경계 가장자리(4.1)로부터 다 멀리 배치되어,
i) 제2접착층(2.2)이 제1접착층(2.1)에 중첩한다는 점에 있다.
두 접착층의 중첩의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에서 접착제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가 달성된다. 따라서, 접촉 초기에 상대적으로 큰 압축이 중첩 영역에 구축되고, 그 결과 작은 불가피한 동기화 결함을 보정하는 동안 슬립이 감소한다. 이러한 슬립의 감소는, 후속적으로 접촉하는 결합 영역 부위의 단위 면적당 압축이 개시부에 대한 압축 집결에 의해 감소할지라도, 후속적으로 접촉하는 이러한 결합 영역 부위의 단위 면적당 내하력에서 이득이 된다. 이러한 이점을 제품 신뢰성의 추가의 증가의 형태 및 /또는 협소한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플라이스의 부위가 롤 페어 등과 같은 장치를 통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구동 균일성 방해가 추가로 감소하게 된다.
두 개의 상이한 결합 경우에 상이한 결합 영역을 추가로 최적화하기 위해, 두 개의 결합 영역을 두 개의 상이한 접착제로부터 적합하게 제조한다.
이 경우, 제1접착층(2.1)의 접착제 제형은 - 이는 개시부, 즉 새로운 롤의 선두 말단부를 고정시켜 이것이 이전의 웹의 말단부에 결합하기 전에 목적하지 않는 비권취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 - 즉, 소위, 휴지상태에서도 그의 전체 내전단성을 가져오고 제1접착제로서 하기에서 언급될 접착제 - 제2접착제보다 더 높은 내전단성을 위해 제형화되어야 한다. 높은 내전단성은 바람직하게는 2배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4배만큼 높다.
내전단성 측정을 위해서:
접착제를 m2당 접착제25g가 적용되는 두께로 25μm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피복한다. 접착제의 건조 및 가능한 가교결합후, 13 mm 폭 및 20 mm 이상의 길이의 스트립을 절단하고 규격 페이퍼 유형으로 결합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그라비야 종이 "네오프레스(Neopress) T 54"(StoraEnso 제조) 또는 코팅 베이스페이퍼, 예를 들면, 미디어프린트(Mediaprint) 135 g/m2이다. 결합 영역은 13mm ×20mm 치수의직사각형이다.
결합 동안의 적용되는 압력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시험 견본은 서서히 2회 오버롤처리하는데, 롤러의 중량은 2 kg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시험 견본을 결합 평면과 평행하게 1kg하중(=9.865N)으로 하중하는데 접착 스트립이 종이에 잔류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상이한 접착제간의 더 효율적인 차등화를 위해서, 시험은 상이한 시험 온도에서 수행하는데; 달리 언급이 없는 경우, 온도는 실온, 즉 약 21℃이다.
저항성에 있어서의 추가의 증가 및 결과적으로 실패 빈도수의 추가의 감소의 이익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특이화는 또한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의 제1접착층을 특히 좁게 유지시키는데 - 즉, 이를 결합될 종이의 구동 방향에서 보는 경우 특히 짧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결합 영역의 단축화로 인해 스플라이스 부위가 롤 페어를 통해 또는 편향 롤러 또는 다른 운용 장치에서 시행되는 경우에 종이의 구동에서 균일성에 부수하는 방해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1접착제는 내전단성을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제2접착제 보다 40% 이상 크며; 최적으로는 그의 내전단성은 3배 이상까지 크다.
또한 제2접착제의 제형, 즉 제2접착층(2.2)은 - 이는 전속력으로 구동되는 이전의 사용된 물질 웹(바람직하게는 페이퍼 웹)의 말단부에 매우 단시간 접촉 시간내로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 - 제1접착제 제형보다 더 점착성으로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득한 이러한 정도의 자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1접착제의 점착성보다 3배 이상까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배까지 이러한 제2접착제의 점착성을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접착제의 내전단성이 제1접착제 보다 적고; 최소한 이 경우 허용된다면, 이러한 제2접착층은 - 원칙상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 제1접착층보다 넓어서 이러한 단점을 보충해야 하고, 체인이 그의 가장 약한 링크보다 단지 강하다는 교시와도 일치해야 한다.
이제까지 불균일성은 새로운 로울의 개시부에 부착하는 제1결합 영역이 접착 테이프 폭의 약 40%를 차지하고 나머지 60%는 이전의 사용된 웹에 부착됨으로써 설명된 반면, 이러한 불균일성은 두 개의 상이하게 특이화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및 20 내지 80% 수치로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는 특히 높은 내전단성을 위한 제1영역의 접착제의 특이화 제형이 훨씬 강한 품질의 개선을 가능케하고 따라서 고 점착성을 위한 제2 영역의 접착제의 특이화된 제형 보다도 결합 영역의 폭이 감소하게 된다.
두 개의 상이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중첩 영역에서 접착성이 더 강한(점착성이 더 큰) 접착층을 접착성이 더 약한 접착층위에 놓이는데, 즉 제1층위에 제2층이다. 따라서, 점착성이 큰 접착층일 수록 결합될 상대편(이 경우 페이퍼)에 직면하게 되고 높은 초기 결합력의 이점이 최대화된다. 이를 위해, 점착성이 더 큰 접착층을 중첩 영역에서 접착 테이프 배킹에서 더 멀리 위치시켜야하지만, 그 아래 제1접착층이 - 추천되는 바와 같이 - 특히 내전단성일 경우는 특히 좀처럼 파열 효과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에 따라서, 제1접착층은 접착 테이프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압축에서의 증가가 제2접착층의접촉 영역으로의 도입 개시시에 달성된다. 제1접착층이 전 영역에 걸쳐 적용되지 않는 변형과 비교하여 - 환원하면, 즉 특징부 k), 여기서는 제1접착층이 제2 위치(b)로 연장되고 이는 접착 테이프의 두 경계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 이러한 변형은 제조하기가 더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이는 그 부위에서의 미세공기를 포함하는 위험을 해소시키는데, 여기서 그렇지 않으면 제2접착층은 배킹으로 내려오게 될 것이고; 이러한 내포물들을 비롯하여 탈착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전 영역의 실시양태의 제1접착층을 사용하여도 마찬가지로 두 접착층에 상이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성이 큰 (제2)접착층은 상부에 위치시켜야 하고, 환원하면, 배킹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시켜야 하는 반면, 내전단성이 큰 (제1)접착층은 하부에 위치시키는데, 환원하면 배킹에 더 인접하게 또는 바람직하게는 배킹에 직접 위치시켜야한다.
정확하게는 높은 내전단성의 제1접착층이 배킹위에 완전히 및 직접 존재하는 경우, 이는 초기에 예기치못한 추가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사실상, 배킹의 인열 파급 저항이 명백히 증가한다는 점이다. 경험에 따르면, 그 이유는 일종의 갭-브릿징 효과이다. 이러한 이점을, 어떠한 경우에도 이미 극히 낮은 인열율을 훨씬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하거나, 페이퍼 구동 속도를 훨씬 높이거나 배킹의 두께를 훨씬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데, 이로써 스플라이스 운행동안 평활 주행성에 대한 파열을 더 감소시킨다.
전 영역에 적용되지 않는 제1접착층을 사용하는 양태로 구체화된 바람직한 개발은 또한 제1접착층이 전 영역에 적용되는 양태에 유사하게 적용한다. 따라서,특히, 제2접착층은 - 이는 추가의 개발에 따르면 점착성이 높은 - 접착 테이프 폭의 60% 이상으로 연장함을 알 수 있다.
비교한다면, 제1접착층이 전 영역에 적용되지 않는 변형은, 현 기술 수준에 비해, 한편으로는 덜 접착성인 상태로 다룰 수 있고, 따라서 약간 더 저렴해질 수 있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스플라이스에서 최고의 굽힘 강성 영역을 더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 또는 가공될 페이퍼의 주행성을 개선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예시적인 실시 양태를 참조로 하기에 설명되는데, 그 중 하나는 도 1 내지 7에 2차원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도 8 내지 14에 도시하였는데, 간략하게, 제3 차원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여기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도시된 절단 평면이 도시된 접착 테이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및 결합될 페이퍼 웹에 걸쳐 일정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의 바람직한 폭은 (적용에 따라 다른데) 2.5 내지 약 7cm로서, 이는 현재 표준실시에서 80cm 내지 3m일 수 있는 새로운 페이퍼 롤의 직경보다 수개의 등급크기 순으로 작고, 이것이 새로운 롤의 상응하는 페이퍼 웹의 곡률이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이유이다.
이를 살펴보면, 도 1은 제1접착층(2.1)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서는 연장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K)를 도시한 것이다; 대신에, 이는 "a"로 표기된 제1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이는 최소한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인접하여야 하고,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양태는 정확히는 경계 가장자리(4.1)에서 위치(b)로 위치되며, 도면에서 이는 더 우측으로 위치해 있지만 우측에 도시한 제2경계 가장자리(4.2)보다는 좌측에 위치한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더 가깝다.
상기 접착 테이프(K)의 제2접착층(2.2)는 배킹(1)의 동일면에 연장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면으로서 또한 언급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는 "제3 위치"로 또한 칭해지는 위치(c)에서, "제4 위치"로 또한 칭해지는 위치(d)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이한 특징은 위치(c)가 위치(b)보다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다는 점이다. 환원하면, 도면에서 선택되어지는 면의 배열에서 (c)가 (b) 보다 더 좌측에 있다. 두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제4 위치(d)는 배킹의 다른(우측) 경계 가장자리(4.2)에 뿐만이 아니라 사실상 정확히 그 곳에 있다.
(c)의 특징이 (b)의 좌측에 있는 결과로서, 영역(a-b)와 (c-d)가 중첩되고, 두 개의 접착층(2.1) 및 (2.2)이 (c)와 (b)사이에서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접착층이 상이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경우, 여기서 좌측에 도시된 제1접착층(2.1)이, 우측에 있으면서 중첩되는 제2접착층(2.2)보다 내전단성이 더 높아야 하는 반면, 후자의 접착층(2.2)는 점착성이 더 커야한다.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두 개의 접착층(2.1) 및 (2.2)는 각각 라이너 테이프(3.1) 및 (3.2)로 각각 라이닝되고, 이 경우 라이너 테이프(3.1)은 물론, 더 우측으로 연장되는 접착층(2.1)가 어떠한 경우에도 접착층(2.2)에 의해 이미 커버되지 않을 정도로 우측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K)는 특히 제조하기가 특히 간단한데, 라이너(또는 라이너 테이프)(3.1)은 정확히 좌측 경계 가장자리(4.1)에 위치시키고, 라이너(3.2)는 정확히 우측 경계 가장자리(4.2)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접착 테이프(K)는 사용하기도 더욱 용이한데, 이는 라이너 테이프(3.1) 및 (3.2)가 어는 정도, 최소한 한 면에서, 라이닝된 결합 영역으로 돌출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 이들이 탈착 개시를 위해서 핑거를 잡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반면, 후속되는 도면에서는 이러한 상세내용은 생략되어 있는데 순서대로 우선 이러한 예시될 저비용의 해결을 위해서이고, 두 번째는 본 발명의 핵심에 대해 집중하기 위해서이다.
본원에서 배킹(1)용으로 선택되는 물질은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대한 것으로서, 고강도이지만 수용성이어서 리펄퍼블한 페이퍼이다. 접착층의 적용 전에, 배킹(1)은 접착 촉진제로 한 면 또는 양면에 처리될 수 있다.
두 접착층의 반대 쪽에 있으면 또한 명세서에서 하부면으로서 언급되는 배킹(1)의 측면에는, 적합하게는 분리성 파스닝(5)가 있는데 이의 목적은 가속상에서조숙 비권취에 대해 새로운 페이퍼 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어떠한 목적하는 디자인의 분리성 파스닝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DE 196 28 317. 5로부터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또한 여기에 도시된 파스너이다: 이러한 파스너(5)는 두 개의 접착층(5.1) 및 (5.2) 사이에 있으며 파슨너의 개방 순간에 대략 그의 중간면을 따라 분할되는 분할성 페이퍼의 플라이(5.2)를 갖는다. 여기서, 분할성 페이퍼가 두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응착이 이들 사이에 위치한 분리성 접착층의 접착보다 강하다는 사실에 의해 또는 페이퍼가 그의 표면 영역에서 더 압착되고 있어 그의 중앙 영역에서 보다 더 강하다는 사실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분할 특성을 수득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심지어 저장 및 운송중에 신뢰할 만한 그의 작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3.3)으로 표시되어 있는, 이러한 분리성 파스너의 하부 접착층(5.3)은 라이너 테이프를 갖는다. 이러한 라이너 테이프는 또한 플러쉬를 마무리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면 이상에서 돌출되도록 고안된다, 또한 - 도 8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테이프(3.3)을 전적으로 생략할 수 있는데, 이는 라이너 테이프(3.2)가 예를 들어 왁스 처리나 실리콘 처리의 결과로, 그의 하부면 뿐만 아니라 상부면에서 방출 특성을 갖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부면은 (3.3)의 기능을 마찬가지로 갖게 된다.
도 2는 도1과 동일한 접착 테이프(K)를 도시한 것이지만, 하부 라이너(3.3)이 이미 제거되어 있는 것이고, 접착 테이프(K)는 새로운 페이퍼 롤로부터 두번째인 페이퍼 플라이(P2) 또는 권취에 의해 접착층(5.3)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하지만 라이너 테이프(3.1)가 접착 영역(2.1)으로부터 이미 제거된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하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최상부 페이퍼 플라이(P1)(= 최상부 또는 최종 권취)가 라이너 테이프(3.1)의 사전 제거로 인해 노출된 접착 영역(2.1)에 이미 부착되고, 이 후 이렇게 준비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파스닝되어 결과적으로 원심력 및 권취에 충분한 내성이 있게 되고 최대 동기화를 목적으로(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전의 페이퍼 웹을 사용한 경우의 회전 속도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이것이 바로 일어나지 않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하지만 접착층(2.2)으로부터 라이너 테이프(3.2)가 제거된 이후이고, 그 후 페이퍼 롤은 그의 결합 - 즉시 결합 가능 접착층(2.2)를 갖추고 실제로 가속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따라 준비되어 새로운 페이퍼 롤이 회전 속도(n)을 그의 최외각 권취(P1)의 웹 속도 즉, n×π×D가 이전의 페이퍼 웹의 웹 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정도로 하여, 이전의 페이퍼 웹의 말단부(E)에 이르고 이에 대해 압축되고, 그 후 두 페이퍼 웹이 결합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7은 약 120km/h의 웹 속도로 개시하면서, 새로운 페이퍼 롤의 파스너(5)의 인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약 1/2 밀리세컨드 내지 1 밀리세컨드 후에 일어나고, 이는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플라이(P2)로부터 새로운 페이퍼 롤의 최상부 플라이(P1)의 탈착을 수반한다. 따라서 후속의 손상된 플라이가 또한 제거될 수 있다.
도 8 내지 14는 제2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양태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서, 완전히 유사한 순서로 도시된다. 이미 선행 도 2 내지 7의 경우에서와 같이 도 9 내지 14에서도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의 폭(바람직하게는 7cm)과 비교하여 페이퍼 권취의 약간의 곡률(롤 직경 약 2m)은 무시된다.
도 8은 그의 상부면에 배치된 접착 영역(2.1)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 본 발명의 접착 스플라이싱 테이프(K)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위치 "b"는 위치 "d" 아래로 정확히 놓이게 되는 정도로 우측으로 옮겨간다.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위치 "a"는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최소한 인접,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정확히 놓인다. 유사하게, "d"는 제2 경계 가장자리(4.2)에 또는 그 위에 놓인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K)의 제2접착층(2.2)은 제1접착층(2.1)과 마찬가지로 배킹(1)의 동일면으로 연장한다. 제1실시예의 명칭을 유지하면서, 제1접착층(2.1)는 위치"a"로부터 위치"b"로 연장되고, 제2접착층(2.2)는 위치 "c"에서 위치 "d"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특이한 특징은 위치 c가 위치 b 보다도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가깝다는 것이다. 환원하면, 도면에서 선택된 면의 배열에서, (c)는 (b)보다 더 좌측에 있다는 것이다.
(c)가 (b) 좌측에 있는 특이한 특징으로 인해, 영역(a-b)와 (c-d)가 중첩되고, 두 접착층(2.1) 및 (2.2)이 (c)와 (b)사이에 중첩하고: 따라서, 이 경우 중첩되는 폭이 제2접착층(2.2)의 폭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두 접착층이 상이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경우, 제1접착층(2.1)은, 이 경우 좌측 또는 더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데, 우측에 위치하면서 중첩하는 제2접착층(2.2)보다 내전단성이 높은 반면, 제2접착층(2.2)는 점착성이 더 크다.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두 접착층(2.1) 및 (2.2)는 각각 라이너 테이프(3.1)과 (3.2)에 각각 라이닝되어야 하고 이 경우 라이너 테이프(3.1)는 물론, 더 우측으로 연장되는 접착층(2.1)이 어떠한 경우에도 접착층(2,2)에 의해 이미 커버되지 않는 정도로 우측으로 단지 연장되어야 한다. 특히 간단한 방벗으로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K)를 제조할 수 있기 위해서는, 라이너(또는 라이너 테이프)(3.1)(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좌측 경계 가장자리가 좌측 경계가장자리(4.1)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배치되어야 하고, 라이너(3.2)의 우측 경계 가장자리는 우측 경계 가장자리(4.2)에 정확히 배치되어야 한다.
두 접착층의 반대 쪽에 있으며 또한 명세서에서 하부면으로서 언급되는 배킹(1)면에는, 적합하게는 이미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성 파스닝(5)가 있다. 이는 가속상에서 조숙 비권취에 대해 새로운 페이퍼 롤(P)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어떠한 목적하는 디자인의 분리성 파스닝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DE 196 28 317. 5로부터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또한 본원에 도시된 파스너이다: 이러하 파스너(5)는 두 개의 접착층(5.1) 및 (5.2)사이에 있으며 파슨너의 개방 순간에 대략 그의 중앙면을 따라 분할되는 분할성 페이퍼의 플라이(5.2)를 갖는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접착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지만, 접착층(5.3)에 의해 새로운 페이퍼 롤의 상부로부터 두 번째인 페이퍼 플라이(P2) 또는 권취에 이미 부착된 양태이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하지만, 라이너 테이프(3.1)이 접착 영역(2.1)의 노출가능한 부분으로부터 이미 제거된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과 동일하지만, 새로운 페이퍼 롤의 최상부 페이퍼 플라이(P1)(= 최상부 또는 최종 권취)가 라이너 테이프(3.1)의 사전 제거로 인해 노출된 접착 영역(2.1)이하에 이미 부착되고, 이 후 이렇게 준비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파스닝되어 결과적으로 원심력 및 권취에 충분이 내성이 있게 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과 동일하지만, 접착층(2.2)으로 부터 라이너 테이프(3.2)가 제거된 이후이고, 그 후 페이퍼 롤은 결합 - 즉시 결합 가능 접착층(2.2)로 실제로 가속되는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서는 도 12에 따라 준비된 새로운 페이퍼 롤이 회전 속도(n)을 그의 외부 주변에서의 웹 속도 즉, n×π×D가 이전의 페이퍼 웹 속도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정도로 하여, 이전의 페이퍼 웹의 말단부(E)에 이르고 이에 대해 압축되고, 그 후 이것이 (실제 스플라이스 형성) 새로운 페이퍼 웹의 상부 권취(P1)에 결합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4는 약 120km/h의 웹 속도로 개시하면서, 파스너(5)의 인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약 1/2 밀리세컨드 내지 1 밀리세컨드 후에 새로운 페이퍼 롤의 2개의 주변부 (P1) 및 (P2) 사이에서 일어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파스너의 이러한 개방 후, 후속의 손상된 플라이가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플라잉 스플라이스 작업공정시 작은 불가피한 동기화 결함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새로이 준비한 웹을 이전의 웹과 접촉시키는 초기에 두 웹 사이에 더 큰 압축을 구축하는 것을 교시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결합 부위의 초기에 압축 집결은 두 개의 접착층의 하나를 다른 것 위에 적어도 작은 중첩 영역 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서, 접착층 둘 다는 상이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데, 제1접착층은 새로운 롤의 개시부(A)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달성가능한 점착성과 경쟁적이긴 하지만 내전단성이 특히 높은 반면, 제2접착층은 이전에 사용된물질의 말단부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더 큰 접착성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특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데, 제1접착층이 접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쳐 적용되는 반면 제2접착층은 단지 한 영역 - 결합될 물질의 구동 방향에서 볼 경우 정면 영역에 적용되는 경우로서; 이 경우 두 층의 중첩 영역은 크고 제2층의 크기 영역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특히 스플라이스와 연관될 수 있는 그러한 인열율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참조 부호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참조 부호들의 목록:
a - 배킹(1)의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최소한 인접(또한 "그 곳에 정확히")한 "제1 위치"로서 언급되는 부위
b - "제2 위치"로 언급되는 부위로서, 이는 배킹(1)의 다른 경계 가장자리(4.2)에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지만, 경계 가장자리(4.2)보다 경계 가장자리(4.1)에 더 근접할 수 있다.
c - 제3 위치로서 언급되는 부위로서, 접착 테이프(K)의 배킹(1)의 두 경계 가장자리(4.1)과 (4.2)사이에 위치하며 선행 기술에 따르면 (b)에 또는 (4.2) 방향으로 더 배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b) 보다는 (4.1)에 더 가까운데, 이는 두 접착층의 중첩을 의미하는 것이다.
d - 배킹(1)의 다른 경계 가장자리(4.2)에 인접한 제4 위치로서 언급되는 부위
A -(P)의 개시부
E -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 말단부
K - 접착 테이프
P - 새로운 페이퍼 롤의 플라이, 구체적으로
P1 - 새로운 페이퍼 롤(P)의 최상부(또는 최종) 플라이
P2 - 새로운 페이퍼 롤(P)의 상부에서 두 번째(두 번째 상부) 플라이
I - 결합될 제1의 두 물질 웹(새로운 롤)
II - 결합될 제2의 두 물질 웹(이전의 롤)
1 - 접착 테이프의 배킹
2 - 접착층, 구체적으로
2.1 - 배킹(1)의 상부면상의 제1접착층으로, 새로운 롤(P)의 개시부(A)의 비권취-고정 파스닝을 위한 것
2.2 - 배킹(1)의 상부면상의 제2접착층
3 - 라이너 테이프, 구체적으로
3.1 - 접착층(2.1)의 라이너 테이프
3.2 - 접착층(2.2)의 라이너 테이프
3.3 - 접착층(5.3) 하부의 라이너 테이프
4 - 배킹(1)의 경계 가장자리, 즉
4.1 - 제1 경계 가장자리
4.2 - 제2 경계 가장자리
5 - 새로운 페이퍼 롤(P)의 분리성 파스너
5.1 - 배킹(1)에 부착시키기 위한 분리성 파스너(5)의 접착층
5.2 - 파스너(5)를 분해시켜 비권취용으로 새로운 페이퍼 롤의 방출을 위한 분할성 페이퍼
5.3 - 새로운 페이퍼 롤(P)의 상부로부터의 두 번째 플라이(P2)로의 부착을 위한 분리성 파스너(5)의 접착층.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더 좁은 차원을 두 개의 페이퍼 웹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 스트립에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후속 페이퍼 공정에서의 스트립의 파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스플라이스를 함유하는 롤에서의 불균형이 감소할 것이다. 그러나, 그 대신에, 또는 추가로, 제2접착층의 최적화가 또한 이용되어 더 큰 슬립을 가능케하고 따라서 동기화의 불일치의 결과로 결합동안에 생성되는 저크를 특히 완화시킬 수 있고, 이는 허용가능한 페이퍼 구동 속도에서의 추가 증가의 핵심이 될 수 있다.
Claims (16)
- 두개의 물질 웹(I, II)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K)로서,a) 상기 테이프(K)가 결합될 물질 웹(I, II) 위로 횡단하여 부착되기에 적합하고,b) 상기 테이프(K)가 페이퍼로 이루어진 배킹(1)을 가지며,c) 상기 (1)의 상부면에는 제1접착층(2.1)과 제2접착층(2.2)이 배치되고,d) 상기 제1접착층(2.1)이 새로운 물질 웹(I)의 개시부(=선두 말단부)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고,e) 반면, 상기 제2접착층(2.2)이 이전의 사용된 물질 웹(II)의 말단부(E)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고,f) 상기 제1접착층(2.1)이, 접착 테이프의 폭 크기로, 배킹(1)의 제1 경계 가장자리(4.1)에 인접한 제1위치(a)로부터 접착 테이프(K)의 두 경계 가장자리(4.1, 4.2)사이에 또는 제2 경계 가장자리(4.2)에 위치한 제2 위치(b)로 연장되고,g) 상기 제2접착층(2.2)이, 접착 테이프(K)의 폭 크기로, 접착 테이프(K)의 배킹(1)의 두 경계 가장자리(4.1, 4.2) 사이에 위치한 제3 위치(c)로부터 배킹(1)의 다른 경계 가장자리(4.2)에 인접한 제4 위치(d)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K)에 있어서,h) 제2 위치(b)가 제3 위치(c)보다 배킹(1)의 제1 경계 가장자리(4.1)로부터더 멀리 위치하여,i) 제2접착층(2.2)이 제1접착층(2.1)에 중첩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접착층(2.1, 2.2)이 상이한 접착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2항에 있어서, 제1접착층(2.1)의 접착제가 제2접착층(2.2)의 접착제보다 내전단성이 큼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3항에 있어서, 제1접착제의 내전단성이 제2접착제의 내전단성보다 4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4항에 있어서, 제1접착제의 내전단성이 제2접착제의 내전단성의 3배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2항에 있어서, 제2접착제의 점착성이 제1접착제의 점착성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3항에 있어서, 제2접착제의 점착성이 제1접착제의 점착성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점착성을 25℃ 온도에서 PSTC-6에 따라 측정한 경우 제2접착제의 점착성이 제1접착제의 점착성보다 3배 이상 큼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결합 영역이 테이프(K) 폭의 최대 30%만을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첩 영역에서 내전단성이 더 큰 접착층(2.1)이 내전단성이 더 작은 접착층(2.2) 아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첩 영역에서 점착성이 더 큰 접착층(2.2)이 점착성이 더 작은 접착층(2.1) 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접착층(2.1)이 테이프(K)의 전체 폭 위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이 35mm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1항에 있어서, 새로운 페이퍼 롤(P)의 개시부(A)를 이전에 사용된 페이퍼 롤의 말단부(E)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 5항에 있어서, 제1접착제의 내전단성이 제2접착제의 내전단성의 약 15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 제 8항에 있어서, 제2접착제의 점착성이 제1접착제의 점착성보다 8 내지 12배 큼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58667A DE10258667A1 (de) | 2002-12-13 | 2002-12-13 | Klebeband zum Aneinanderfügen des Anfanges einer neuen Papierrolle an das Ende einer zur Neige gehenden alten Papierrolle |
DE10258667.5 | 2002-12-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2190A true KR20040052190A (ko) | 2004-06-22 |
Family
ID=3231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90613A Withdrawn KR20040052190A (ko) | 2002-12-13 | 2003-12-12 | 새로운 페이퍼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말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086627B2 (ko) |
EP (1) | EP1428861B1 (ko) |
JP (1) | JP2004197089A (ko) |
KR (1) | KR20040052190A (ko) |
CA (1) | CA2450328C (ko) |
DE (2) | DE102586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58667A1 (de) * | 2002-12-13 | 2004-07-08 | Tesa Ag | Klebeband zum Aneinanderfügen des Anfanges einer neuen Papierrolle an das Ende einer zur Neige gehenden alten Papierrolle |
DE102004040814A1 (de) * | 2004-08-24 | 2006-03-02 | Tesa Ag |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Splice-Verbindung |
WO2006039940A1 (en) * | 2004-10-13 | 2006-04-20 | Nitto Europe N.V. |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changing a reel |
DE102004053189A1 (de) * | 2004-11-04 | 2006-05-11 | Tesa Ag |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bahnförmigen Substraten mit mindestens zwei Klebstoffe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Klebeband sowie seine Verwendung |
US20090304998A1 (en) * | 2005-01-17 | 2009-12-10 | Ishida Co., Ltd. | Film roll |
JP4520313B2 (ja) * | 2005-01-17 | 2010-08-04 | 株式会社イシダ | フィルムロール |
DE102008021247A1 (de) | 2008-04-28 | 2009-10-29 | Tesa Se | Klebeband für den Rollenwechsel von Flachbahnmaterialien |
DE102008023020B4 (de) | 2008-05-09 | 2015-05-07 | Tesa Se | Klebeband für die Durchführung eines fliegenden Rollenwechsels |
DE102008047966A1 (de) | 2008-09-18 | 2010-03-25 | Tesa Se | Repulpierbare Klebmassen |
US8999098B2 (en) | 2010-02-05 | 2015-04-07 | Orbital Atk, Inc. | Backing for pre-preg material |
US9321220B2 (en) | 2010-04-13 | 2016-04-26 | Orbital Atk, Inc. | Automated bias-ply preparation device and process |
EP2674465A1 (de) * | 2012-06-11 | 2013-12-18 | Orafol Europe GmbH | Klebeband für einen fliegenden Rollenwechsel |
US9949439B2 (en) * | 2013-05-31 | 2018-04-24 | Tama Plastic Industry | Hinged covering for adhesive surface |
DE102015222282A1 (de) | 2015-11-12 | 2017-05-18 | Tesa Se |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
US10457512B2 (en) | 2016-09-19 | 2019-10-29 | New Era Converting Machinery, Inc. | Automatic lapless butt material splice |
RU2727208C9 (ru) * | 2016-12-12 | 2020-09-02 | Алексей Анатольевич Алексеев | Трехслойная лен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77971A (en) | 1943-12-15 | 1945-06-12 | Wood Newspaper Mach Corp | Means for use in splicing webs |
DE1006786B (de) | 1954-09-02 | 1957-04-18 | Agfa Ag | Verschluss von Verpackungen |
US2920835A (en) | 1954-09-13 | 1960-01-12 | Daily Mirror Newspapers Ltd | Securing tabs for printing paper rolls |
US3006568A (en) | 1960-03-02 | 1961-10-31 | Crabtree & Sons Ltd R | Adhesive tab |
DE1267930B (de) | 1964-10-30 | 1968-05-09 | Zerand Corp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oss-an-Stoss-Verbinden zweier Materialbahnen |
DE3834334C2 (de) | 1988-10-08 | 1995-01-19 | Voith Gmbh J M | Bearbeitungseinrichtung zur Vorbereitung des Bahnendes einer Rolle einer Warenbahn |
FI81997C (fi) | 1989-01-19 | 1991-01-10 | Lindell Ab Oy | Foerfarande och tejp foer sammanfogning av pappersbanor. |
EP0418527A3 (en) | 1989-09-19 | 1992-01-22 |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 Method to prepare a roll of breadths of print cloth for an automatic reel changer |
SE466346B (sv) | 1989-12-01 | 1992-02-03 | Jan Olof Norrman | Saett att skarva en loepande materialbana med ett vidhaeftningselement |
ATE142596T1 (de) | 1990-04-03 | 1996-09-15 | Voith Gmbh J M |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plice-stelle am bahnanfang eines bahnwickels |
DE4033900C2 (de) | 1990-04-03 | 1995-07-27 | Voith Gmbh J M | Splice-Stelle am Bahnanfang eines Wickels zum Verbinden des Bahnanfangs mit dem Bahnende eines anderen Wickels |
US5323981A (en) | 1991-12-13 | 1994-06-28 | Sequa Corporation | Splicer tape system |
DE4210329A1 (de) | 1992-03-30 | 1993-10-07 | Koenig & Bauer Ag | Anordnung zum Verbinden aufeinanderfolgender, zu Rollen gewickelter Papierbahnen |
NL9300707A (nl) | 1993-04-26 | 1994-11-16 | Knp Papier Bv | Werkwijze voor het lassen van een papierbaan en een kleefstrook ten gebruike bij deze werkwijze. |
CA2113932A1 (en) | 1993-09-20 | 1995-03-21 | Pierre Caudal | Cleavable release structure |
JP3553960B2 (ja) | 1994-04-26 | 2004-08-11 |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 添えつぎテープ、添えつぎ方法及び添えつぎテープを使用した添えつぎ |
GB9420900D0 (en) | 1994-10-17 | 1994-11-30 | Barrett Gary A | Dry peel nose tab |
DE19544010C2 (de) | 1995-11-27 | 2001-10-04 | Peter Prinz | Etikett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
DE19628317A1 (de) | 1996-07-13 | 1998-01-15 | Beiersdorf Ag | Klebeband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
DE19632689A1 (de) | 1996-08-14 | 1998-02-19 | Beiersdorf Ag | Klebeband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
DE19830673A1 (de) | 1998-07-09 | 2000-01-13 | Beiersdorf Ag |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
DE19830674A1 (de) | 1998-07-09 | 2000-01-13 | Beiersdorf Ag |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
DE19902179B4 (de) | 1999-01-21 | 2005-04-28 | Tesa Ag | Klebeband und Spliceverfahren |
DE10112636B4 (de) | 2001-03-14 | 2006-04-13 | Koenig & Bauer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lebestellenvorbereitung einer Materialrolle |
DE10258667A1 (de) * | 2002-12-13 | 2004-07-08 | Tesa Ag | Klebeband zum Aneinanderfügen des Anfanges einer neuen Papierrolle an das Ende einer zur Neige gehenden alten Papierrolle |
-
2002
- 2002-12-13 DE DE10258667A patent/DE1025866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2-12-17 US US10/321,237 patent/US708662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
- 2003-11-19 EP EP03026403A patent/EP1428861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1-19 DE DE50302721T patent/DE5030272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1-20 CA CA2450328A patent/CA245032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2-05 JP JP2003407583A patent/JP2004197089A/ja active Pending
- 2003-12-12 KR KR1020030090613A patent/KR20040052190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28861A3 (de) | 2004-07-14 |
EP1428861B1 (de) | 2006-03-22 |
CA2450328C (en) | 2011-11-08 |
JP2004197089A (ja) | 2004-07-15 |
US20040115427A1 (en) | 2004-06-17 |
US7086627B2 (en) | 2006-08-08 |
CA2450328A1 (en) | 2004-06-13 |
DE50302721D1 (de) | 2006-05-11 |
DE10258667A1 (de) | 2004-07-08 |
EP1428861A2 (de) | 2004-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52190A (ko) | 새로운 페이퍼 롤의 개시부를 이전의 사용된 페이퍼 롤의말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 | |
JP4903353B2 (ja) |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のテープ、使用方法および製造方法 | |
US6416604B1 (en) | Adhesive tape and its use | |
US6637697B1 (en) | Adhesive tape and its use | |
EP0696254B1 (en) |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splice using the splicing tape | |
JP2503356B2 (ja) | ロ―ル体として巻かれたロ―ルウェブ相互を接合するための接合手段 | |
JPH1088088A (ja) |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H09512242A (ja) | 添えつぎテープ、添えつぎ方法及び添えつぎテープを使用した添えつぎ | |
US7152825B2 (en) | Adhesive tape for flying splice | |
US8354152B2 (en) | Adhesive tape and its use | |
KR20130106377A (ko) | 접착 테이프 및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 |
US8343605B2 (en) | Adhesive tape and its use | |
US7108220B2 (en) | Adhesive tape | |
KR20040080428A (ko) | 기계적으로 탐지 가능한 접착 테이프 | |
GB2294235A (en) | Joining of coiled stock | |
US6951676B2 (en) | Butt splicing tapes and butt splicing methods | |
KR100929299B1 (ko) | 자체-접착 조성물을 가지는 접착 테잎 및 접착 테잎을 이용한 접합 방법 | |
CN1740254B (zh) | 用于形成接合的胶粘带 | |
JPH09501901A (ja) | フライング・スプライス用接着テープ | |
JP2003252534A (ja) | 平らなウエッブ材料のロールの製造法 | |
EP1197452A1 (en) | Butt splicing tapes and butt splicing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