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2205A - 발향장치 - Google Patents

발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205A
KR20040042205A KR1020020070378A KR20020070378A KR20040042205A KR 20040042205 A KR20040042205 A KR 20040042205A KR 1020020070378 A KR1020020070378 A KR 1020020070378A KR 20020070378 A KR20020070378 A KR 20020070378A KR 20040042205 A KR20040042205 A KR 2004004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door
perfume
open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응하
한덕희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205A/ko
Publication of KR2004004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향장치는 향액저장부와, 송풍구조물을 포함한다. 향액저장부는 향액이 수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향액 수용부와,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향액배출유닛으로서 각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배출통로와, 배출통로에 의해 각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향액 흡수부재와, 각 흡수부재를 덮으며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향액 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대응하여 향액 수용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펌프를 구비하는 향액배출부를 구비한다. 송풍구조물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흡수부재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발향장치는 도어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나 송풍구조물에 의해 발생한 공기흐름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향장치 {SCENT EX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향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등을 원인으로 하는 각종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향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향기를 발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발향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향을 제공하기 위해 고형화된 향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향은 대개 향이 늘 발산되고 향의 발산정도 및 시간 등이 조절되지 않는다. 다른 것으로는 액체향을 스프레이 용기에 담아 분사하게 한 것이 있다. 이 스프레이 용기는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이 분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지속적으로 향이 나오게 하기 어렵다.
위와 같은 장치와는 달리 향액을 지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그 공기의 흐름에 의해 향이 퍼지도록 한 발향장치도 있다. 이러한 장치 중에는 본체 내의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면 실내의 향 밀도가 너무 높아져 쾌적함 때신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 개폐제어가 되지 않아 향액이 빠르게 소모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된 향액을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가지 이상의 향기를 교대로 제공할 수 있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가지 이상의 향기를 다양한 주기로 분사하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발산의 개시와 향발산의 정지가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 발향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발산 정지상태에서는 향의 소모가 극소화된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액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액의 변질 및 누설을 막는 밀폐구조를 갖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향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발향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발향장치의 케이스를 절단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2의 향액 저장유닛을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향장치 30 : 향액 저장유닛
32 : 향액 수용부 40 : 향액 발산부
42, 42a : 개폐도어 44 : 피스톤
45 : 탄성부재 46 : 흡수부재
50 : 개폐장치 52 : 구동모터
62, 64 : 누름날개 70 : 송풍장치
90 : 풍량조절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향액이 수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향액 수용부와,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향액배출유닛으로서 상기 각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배출통로와, 상기 배출통로에 의해 상기 각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향액 흡수부재와, 상기 각 흡수부재를 덮으며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향액 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대응하여 향액 수용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펌프를 구비하는 향액배출유닛을 구비하는 향액저장부와, 공기가 유동하며 외부로 통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흡수부재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구비한 송풍구조물을 포함하는 발향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는 일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흡수부재 위에 위치하며 반대측은 상기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향액저장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닫혔을 때 상기 향액 흡수부재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고 상기 향액 수용부와 통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발향장치는 상기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구동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발향장치는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펌프와 연결된 쪽을 누를 수 있는 누름날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발향장치는 상기 누름날개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는 홈포지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발생한 공기흐름의 양을 조절하도록 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문을 갖는 풍량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경사진 캠홈을 구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문에는 상기 캠홈에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부직포부재일 수 있다.
상기 향액저장부는 카트리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향액저장부는 2개 이상의 향액수용공간을 구비하며 각 수용공간에는 서로 다른 향액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발향장치(10)는 케이스(20)와, 향액 저장유닛(30)과, 개폐장치(50)와, 송풍장치(70)와, 풍량조절장치(90)를 구비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케이스(20)는 바닥판(22)과, 전방벽체(24)와, 후방벽체(26)를 구비한다. 바닥판(22)은 편평한 판부재로서 대체로 타원모양이다. 바닥판(22)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3)이 마련된다. 관통구멍(23)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결합플랜지(231, 232)를 구비한다. 각 결합플랜지(231, 232)는 원주방향으로 단이 져서 계단모양을 하고 있다. 이 관통구멍(23)으로 후술하는 향액 저장유닛(30)이 삽입되며 바닥판(22)에 형성된 결합플랜지(231, 232)와 후술하는 향액 저장유닛(30)의 결합플랜지(311, 312)가 결합된다. 바닥판(22)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나사못 구멍(221)들이 마련된다. 결합나사못(222)(바람직하기로는 셀프태핑 나사못)이 결합구멍(221)으로 가 끼워져 후술하는 전방벽체(24)와 후방벽체(26)의 하단부벽에 마련된 나사결합부(201)에 결합된다.
전방벽체(24)는 바닥판(22)의 대략 절반 정도를 빙 둘러 감싸며 위로 세워진 측벽(25)과, 측벽(2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된 상단부벽(251)과 하단부벽(252)을 구비한다. 상단부벽(251)에는 반원형태의 개방부(253)가 마련된다. 개방부(253)는 후술하는 후방벽체(26)의 개방부(273)와 합쳐져서 원형의 통로를 형성한다. 하단부벽(252)은 측벽(25)으로부터 안쪽으로 약간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단부벽(252) 상면에는 바닥판(22)의 결합구멍(2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결합부(후방벽체(26)의 나사결합부(201)와 동일)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나사못(222)이 바닥판(22)의 하부로부터 결합구멍(221)을 통해 나사결합부와 결합되어 전방벽체(24)와 바닥판(22)을 고정한다. 측벽(25) 내면에는 수평으로 돌출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결합판(241, 242)이 구비된다. 두 결합판(241, 242)은 약간 이격되어 있다. 두 결합판(241, 242) 사이로 후술하는 송풍장치(70)의 통로형성부재(80)의 삽입판(81)이 끼워져 고정된다. 측벽(25) 내면에는 제어회로판(15)이 수직으로 세워져 나사고정된다. 제어회로판(15)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52)와 마주보는 위치에 홈포지션 센서(153)가 구비된다. 홈포지션 센서(152)는 후술하는 회전축(61)에 달린 홈포지션 돌기(53)와 상호작용한다(도3 참조). 홈포지션 센서로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식 센서를 사용하는데,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시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회전축(61)의 위치를 알기 위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측벽(25) 외면에는 제어회로판(15)과 연결된 조작버튼(243)이 구비된다.
후방벽체(26)는 상기 전방벽체(24)와 비슷한 형태로서, 측벽(27)과, 상단부벽(271)과, 하단부벽(272)을 구비한다. 상단부벽(271)과 하단부벽(272)의 형태는 상기 전방벽체(24)의 형태와 동일하며, 하단부벽(272)은 같은 방식으로 바닥판(22)에 고정된다. 측벽(27)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기통로(274)들이 구비된다. 이 공기통로(274)들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된다. 전방벽체(24), 후방벽체(26), 바닥판(22)이 결합되어 케이스(20)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후술하는 조절용 회전체(95)가 돌출되는 원형의 통로가 마련된다.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향액 저장유닛(30)은 세워진 원통형태로서, 하부에 위치하는 향액 수용부(32)와, 상부에 위치하는 향액 배출부(40)를 구비한다. 향액 저장유닛(30)의 하단(향액 수용부(32)의 하단)에는 결합부(31)가 마련된다. 결합부(31)는 반경방향으로 바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결합플랜지(311, 312)를 구비한다. 두 개의 결합플랜지(311, 312)는 케이스(20)의 바닥판(22)의 결합플랜지(231, 232)와 결합가능하도록 대응되며 단이 져 있다. 향액 저장유닛(30)을 바닥판(22)의 관통구멍(23)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저장유닛(30)을 회전시키면 결합부(31)의 결합플랜지(311, 312)와 관통구멍(23)의 결합플랜지(231, 232)가 맞물려 고정된다. 결합플랜지(311, 312)는 향액 저장유닛(30)이 후술하는 개폐도어(42)와 누름날개(62, 64)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형태가 결정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향약 저장유닛(30)을 결합시와 반대로 돌리면 향액 저장유닛(30)을 바닥판(22)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빼낼 수 있다. 결합부(31)의 밑면에는 저장유닛(30)을 돌리기 쉽도록 돌출된 직선형 돌출손잡이(313)가 마련된다. 지금까지, 바닥판(22)과 향액저장유닛(30)은 바닥판(22)의 결합플랜지(231, 232)와 저장유닛(30)의 결합플랜지(311, 312)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판(22)과 향액저장유닛(30)은 다른 결합구조로도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냅핏(snap-fit)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바닥판(22)에는 돌출된 결합단턱을 형성하고, 향액저장유닛(30)에는 상기 결합단턱에 걸리며 탄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31) 위에 마련되는 향액 수용부(32)의 내부 중간에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으로 세워진 중간 분리벽(321)이 마련된다. 이 분리벽에 의해 향액 수용부(32) 내부는 좌우의 두 향액 수용공간(322)으로 분리되며, 두 수용공간(322)에 다른 향 또는 다른 기능을 갖는 향액이 수용될 수 있다.
향액 수용부(32) 위에 결합되는 향액 배출부(40)는 상기 향액 수용부(32) 내부의 분리된 두 향액 수용공간(322)에 각각 대응하는 배출유닛을 구비한다. 두 배출유닛은 동일한 구성이고 중간 분리벽(32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한 배출유닛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배출부(40)의 몸체에는 해당 향액 수용부의 해당 향액수용공간(322)에 연결되는 향액배출통로(47)와 압력연결통로(43)가 형성된다. 또한, 배출부(40)는 개폐도어(42)와, 피스톤(44)을 구비한다. 개폐도어(42)는 배출부(40)의 상단에 수평으로 위치하는데, 중간이 회전축(421)으로 몸체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다. 개폐도어(42)는 수평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일측은 아래로 내려갈 수 있고 반대측은 위로 올라갈 수 있다.
개폐도어(42)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일측(하강작동측) 아래에는 가압연결통로(43)로 향액 수용공간(322)과 연결된 실린더(41)가 마련되고 그 내에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44)이 구비된다. 피스톤(44)은 상하로 이동하도록 실린더(41)에 수용된다. 피스톤(44)의 상단은 개폐도어(42)의 하강작동측 하부에 접한다. 피스톤(44)에는 밀봉링(441)이 끼워져 실린더(41)와 외부를 밀폐시킨다. 실린더(41) 내부에는 탄성부재(45)가 구비되는데, 탄성부재(45)의 상단은 피스톤(44)의 하단에 접하고 탄성부재(45)의 하단은 실린더(41)의 바닥에 접한다. 탄성부재(45)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피스톤(44)을 항상 위로 민다. 피스톤(44)의 상단에 접한 개폐도어(42)의 하강작동에 힘이 가해져 내려가면 피스톤(44)이 탄성부재(45)의 힘을 이기며 밀려 내려가고, 반대로 힘이 제거되면 피스톤(44)이 탄성부재(45)에 밀려 올라가면서 개폐도어(42)의 하강작동측이 올라간다. 실린더(41)의바닥에는 향액 수용부(32)의 수용공간(322)으로 통하도록 마련된 가느다란 압력전달용 연결통로(43)가 있어 피스톤(44)이 내려가면 실린더(41) 내부의 공기가 연결통로(43)를 통해 향액 수용부(32)의 내부 공간으로 밀려들어가 향액수용공간(322)의 압력이 높아진다. 반대로 피스톤(44)이 올라가면 향액 수용부(32) 내부의 향액수용공간(322) 공기가 실린더(41) 쪽으로 빨려 들어가 압력이 떨어진다. 위와 같은 실린더 피스톤 구조는 일종의 펌프라 할 수 있다.
개폐도어(42)의 위로 올라가는 반대측(상승작동측) 아래에는 향액이 흡수되는 흡수부재(46)가 구비된다. 이 흡수부재(46)는 바람직하기로는 펠트와 같은 부직포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스폰지와 같은 발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펠트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개폐도어(42)의 상승작동측은 펠트(46)를 충분히 위에서 덮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펠트(46) 아래로는 향액이 저장된 향액 수용부(32) 내부로 통하는 가느다란 향액배출용 연결통로(47)가 마련된다. 연결통로(47) 하부에는 향액 수용부(32)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된 연결관(49)이 결합된다. 연결관(49) 내부에는 통로가 마련되어 연결통로(47)와 연통된다. 향액이 연결관(49) 및 연결통로(47)를 거쳐 올라가 펠트(46)를 적신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향액 수용부(32)와 향액 배출부(40)는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향액을 다 소모한 경우 향액 수용부(32)와 향액 배출부(40)를 분리시킨 후 향액 수용부(32)에 향액을 충전할 수 있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개폐장치(50)는 구동모터(52)와, 구동모터(52)에 결합된 회전부(6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52)는 전방벽체(24)의 측벽(25)에 나사못으로 고정된다. 구동모터(52)로는 위치제어가 용이한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61)에는 회로제어부(15)의 홈포지션 센서(153)와 상호작용하는 홈포지션 돌기(53)가 구비된다. 홈포지션 센서(153)와 홈포지션 돌기(53)의 접촉(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모터(52)의 초기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4에서는 초기위치는 한쪽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이나 둘 다 닫혀있는 상태 어느 것으로나 정할 수 있다. 회전부(60)는 회전축(61)과, 회전축(61)에 형성된 두 개의 누름날개(62, 64)를 구비한다. 회전축(61)의 일단부는 구동모터(52)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반대편 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벽체(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61)에 구비된 두 개의 누름날개(62, 64)는 각각 향액 저장유닛(30)에서 피스톤(44)과 접하는 개폐도어(42, 42a)의 일측 상부와 상호작용하도록 위치한다. 두 누름날개(62, 64)는 동일한 형태이지만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서로 180도 회전해 있는 모양이다. 따라서, 각각의 누름날개(62, 64)는 180도 간격으로 각각의 개폐도어(42, 42a)에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회전축(61)이 1회전함에 따라 두 개폐도어(42, 42a)는 각각 한번씩 번갈아 열리고 닫히게 된다. 개폐도어(42, 42a)를 누르고 있는 누름날개(62, 64)의 회전각도 또는 캠형상에 따라 개폐도어(42, 42a)의 개방정도가 조절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송풍장치(70)는 공기흐름발생장치(72)와, 통로형성부재(80)를 구비한다. 공기흐름발생장치(72)는 원통형의 팬 수용부(74)와, 팬 수용부(74)로부터 경사지게 올라간 연장부(76)를 구비한다. 연장부(76)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이 지나가도록 통로가 마련된다. 팬 수용부(74)는 케이스(20)의 후방벽체(26)에 형성된 공기유입통로(274) 근처에 위치한다. 팬 수용부(74) 내부에는 원심팬(75)이 구비된다. 팬 수용부(74)의 일측에는 원심팬(75)을 구동시킨는 회전모터(78)가 구비된다. 원심팬(75)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은 연장부(76)의 통로를 통해 후술하는 통로형성부재(80)의 통로 내로 유입된다. 공기흐름발생장치(72)의 연장부(76)의 끝부분 위에는 직선형 결합홈(79)이 가로로 형성된다. 이 결합홈(79)이 후술하는 통로형성부재(80)의 뒤쪽 벽이 끼워져 공기흐름발생장치(72)와 고정된다. 공기흐름발생장치(72)의 연장부(76)의 끝부분 양측에는 'L'자형의 받침턱(791)이 마련되어 통로형성부재(80)의 양측벽 아래구석부분이 받쳐진다.
통로형성부재(8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향액 저장유닛(30)의 상부를 덮어 저장유닛의 상부가 통로 내로 노출된다. 통로형성부재(80)의 하부 뒤쪽은 후술하는 공기흐름발생장치(72)와 결합되어 통로들이 연결된다. 통로형성부재(80)의 상부는 후술하는 회전체(95)로 연결된다. 통로형성부재(80)의 앞쪽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삽입판(81)이 마련된다. 이 삽입판(81)이 케이스(20)의 전방벽체(24)에 마련된 두 결합판(241, 242) 사이로 끼워져 통로형성부재(80)가 고정된다. 통로형성부재(80)의 뒤쪽 상부에는 후술하는 풍량조절문(92)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두 안내지지판(82, 84)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후술하는 풍량조절문(92)은 두 지지판(82, 84) 사이에 끼워져 위아래로 이동하며 통로형성부재(80)의 내부 통로(또는 공기흐름발생장치(72)의 통로 출구)의 열고 닫음을 조절한다.
풍량조절장치(90)는 풍량조절문(92)과, 조절문(92)을 이동시키는 회전체(95)를 구비한다. 조절문(92)은 사각판모양으로 송풍장치(70)의 통로형성부재(80)에 마련된 두 지지판(82, 84) 사이에 끼워져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조절문(92)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통로형성부재(80)의 내부에 마련된 송풍통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한다. 조절문(92) 상부에는 캠종동 롤러(91)가 마련된다. 이 롤러(91)는 후술하는 회전체(95)의 경사캠홈(96)에 끼워져 상호작용한다. 회전체(95)는 원통형으로서 하부는 케이스(20)에 삽입되고 상부는 케이스(20)의 상부 외부로 노출된다. 회전체(20)의 하부는 원통형으로서, 송풍장치(70)의 통로형성부재(80) 상부 개방부(89)를 감싸며 위로 연장된다. 회전체(95)에는 통로형성부재(80)의 통로와 통하는 통로가 마련되는데 회전체(95) 상부의 측면에 마련된 분사구(951)와 통한다. 회전체(95) 하부의 외측벽면에는 경사캠홈(96)이 마련된다. 이 경사캠홈(96)에 풍량조절문(92)의 롤러(91)가 삽입되어 상호작용한다. 회전체(95)를 한쪽으로 돌리면 조절문(92)이 올라가고 반대쪽으로 돌리면 조절문(92)이 내려간다.
이제 도1, 도2, 도3,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발향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폐장치(50)의 두 누름날개(62, 64) 중 어느 하나도 향액 저장유닛(30)의 개폐도어(42, 42a)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면, 향액 저장유닛(30)의 두 개폐도어(42, 42a)는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4에 도시된 상태). 이 상태에서는 향이 저장유닛(30)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한다. 즉, 개폐도어(42)는 탄성부재(45)의 힘에 의해 흡수부재(46)를 꼭 닫고 있게 된다. 따라서, 누액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향액이 변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장치(50)의 구동모터(52)가 작동하여 두 누름날개(62, 64) 중 하나가 개폐도어(42)의 일측(피스톤(44)과 접하는 하강누름측)을 누르게 되면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향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도4의 46)가 개방되도록 개폐도어(42)가 열리게 된다(이때 나머지 다른 개폐도어(42a)는 닫혀있다). 이때 개폐도어의 열리는 정도는 누름날개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그러면, 개폐도어의 열리는 정도에 따라 향기의 강도가 조절된다. 개폐도어(42)가 열리면서 피스톤(44)이 밀려 내려가게 되고 실린더(41) 내의 공기가 향액 수용공간(321)으로 들어가면서 압력이 높아진다. 이 압력증가에 의해 향액은 연결관(49)을 통해 위로 올라가 펠트(46)에 흡수된다. 개폐도어(42)가 열림과 동시에 송풍팬(75)이 회전하도록 송풍장치(70)의 회전모터(78)가 동작하게 된다. 송풍팬(75)이 회전하면 외부의 공기가 후방벽체(26)의 공기유입통로(274)를 통해 유입되고 그 유입된 공기는 송풍장치(70)의 공기흐름발생장치(72)의 통로와 통로형성부재(80)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를 거쳐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이 상승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개방된 개폐도어(42) 아래의 펠트(46)에 흡수된 향액은 기화되어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 상승하는 공기와 향은 회전체(95)의 분사구(951)를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구동모터(52)와 회전모터(78)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이 상태(향이 분사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회전체(95)를 회전시킴으로써, 향기가 나오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체(95)를 회전시키면, 조절문(92)이 아래 위로 움직이면서 통로형성부재(80)의 내부에 마련된 송풍통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게 되고 그에 따라 송풍량이 조절됨으로써 향기가 나오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개폐장치(50)의 구동모터(52)가 작동하여 회전부(60)의 회전축(61)이 더 회전하면, 열려있던 개폐도어(42)가 누름날개(62)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닫히게 되어 향이 더 이상 발산되지 않는다. 이때, 피스톤(44)이 위로 올라가게 되고 향액 수용공간(322) 내부에 있던 공기를 실린더(41) 쪽으로 빨아들인다. 그 부압에 의해 기화되지 않고 펠트(46)에 흡수되어 있던 향액이 향액 수용공간(322)으로 귀환한다. 동시에, 송풍장치(70)의 송풍팬(75)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개폐장치(70)의 구동모터(75)가 작동하여 회전부(60)의 회전축(61)이 더 회전하면, 전에 열리지 않았던 다른 개폐도어(42a)가 열리게 되고, 동시에 송풍팬(75)이 작동하며 향이 발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향액 수용부(32)에 수용된 다른 두 향이 교대로 발산되게 된다. 향액의 분사 시간 및 두 향의 분사 주기는 조작버튼(243)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는 발향장치를 사용하면, 향이 발산되지 않을 때에는 향액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가 개폐도어에 의해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완전히 닫히게 되므로 쓸데 없이 향액이 소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향액을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향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에 의해 그리고, 개폐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피스톤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향액의 흐름에 의해 다양한 성분이 섞여 있는 향액이 적절히 뒤섞이므로 질 높은 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향을 교대로 발산하기 때문에 동일한 향을 계속 맡음으로써 생기는 후각의 피로현상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향액을 저장하는저장부가 카트리지형이므로 향액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향을 분사시키는 공기 흐름의 통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거나 향액저장부의 개폐도어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향을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향액이 수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향액 수용부와,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향액 배출유닛으로서 상기 각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배출통로와, 상기 배출통로에 의해 상기 각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향액 흡수부재와, 상기 각 흡수부재를 덮으며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도어와, 상기 향액 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에 대응하여 향액 수용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펌프를 구비하는 향액배출유닛을 구비하는 향액저장부와,
    공기가 유동하며 외부로 통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흡수부재가 위치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한 송풍구조물을 포함하는 발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회전가능하며, 상기 축선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흡수부재 위에 위치하며 반대측은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발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액저장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발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닫혔을 때 상기 향액 흡수부재를 완전히 밀폐하는 발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고 상기 향액 수용부와 통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발향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는 발향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도어의 펌프와 연결된 쪽을 누를 수 있는 누름날개를 구비하는 발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발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날개의 초기위치를 결정하는 홈포지션 센서를 더 구비하는 발향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조물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공기가 유동하는 발향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발생한공기흐름의 양을 조절하도록 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문을 갖는 풍량조절장치를 더 구비하는 발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장치는 경사진 캠홈을 구비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문에는 상기 캠홈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되는 발향장치.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부직포부재인 발향장치.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향액저장부는 카트리지형으로 이루어진 발향장치.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향액저장부는 2개 이상의 향액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각 수용공간에는 서로 다른 향액이 수용되는 발향장치.
KR1020020070378A 2002-11-13 2002-11-13 발향장치 KR20040042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78A KR20040042205A (ko) 2002-11-13 2002-11-13 발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78A KR20040042205A (ko) 2002-11-13 2002-11-13 발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05A true KR20040042205A (ko) 2004-05-20

Family

ID=3733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378A KR20040042205A (ko) 2002-11-13 2002-11-13 발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2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97B1 (ko) * 2004-08-18 2006-03-03 최안식 액자형 향 분사 장치
CN112169005A (zh) * 2020-10-28 2021-01-05 厦门英赛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双瓶式香薰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61A (ja) * 1992-06-30 1994-01-25 Oki Electric Ind Co Ltd 香り調製装置
JPH07148237A (ja) * 1993-11-29 1995-06-13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JPH07275336A (ja) * 1994-04-04 1995-10-24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JPH0880341A (ja) * 1994-08-01 1996-03-26 Aisan Ind Co Ltd 放香装置
KR100302160B1 (ko) * 1999-10-29 2001-09-22 최중호 향발현장치 및 방법
KR200289638Y1 (ko) * 2002-06-19 2002-09-16 김용배 향 발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61A (ja) * 1992-06-30 1994-01-25 Oki Electric Ind Co Ltd 香り調製装置
JPH07148237A (ja) * 1993-11-29 1995-06-13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JPH07275336A (ja) * 1994-04-04 1995-10-24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JPH0880341A (ja) * 1994-08-01 1996-03-26 Aisan Ind Co Ltd 放香装置
KR100302160B1 (ko) * 1999-10-29 2001-09-22 최중호 향발현장치 및 방법
KR200289638Y1 (ko) * 2002-06-19 2002-09-16 김용배 향 발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97B1 (ko) * 2004-08-18 2006-03-03 최안식 액자형 향 분사 장치
CN112169005A (zh) * 2020-10-28 2021-01-05 厦门英赛尔科技有限公司 一种双瓶式香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559B2 (en) Scent delivery system
US70701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through a membrane
CN108422835B (zh) 一种可自动调节的香薰器
EP3634504B1 (en) Volatile diffuser pods and related systems
KR102152329B1 (ko)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EP1066063B1 (en) Dispensing means
KR102385185B1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20040042205A (ko) 발향장치
KR100515570B1 (ko) 발향장치 및 향을 발산하는 방법
KR100896433B1 (ko) 방취제 분무장치
JPH06181975A (ja) 芳香発生装置
EP1252899B1 (en) Dispenser of airborne substances
KR101235695B1 (ko) 휘산장치
KR200337480Y1 (ko) 전기 발향기
KR101090847B1 (ko) 휘산장치
JPH0530762Y2 (ko)
WO2021019872A1 (ja) 液体噴霧装置
KR20040036319A (ko) 발향장치
KR100898761B1 (ko) 방향제 휘산장치
KR100514355B1 (ko) 펌핑장치가 없는 향발현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세라믹심지를 구비한 카트리지
JPH05146498A (ja) 消臭装置及び消臭方法
KR200327468Y1 (ko) 개폐 장치를 가지는 향 발현장치
KR200399260Y1 (ko) 향 발산장치
KR20230153212A (ko) 일회용 캡슐형 향 연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