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8087A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087A
KR20040018087A KR1020020072604A KR20020072604A KR20040018087A KR 20040018087 A KR20040018087 A KR 20040018087A KR 1020020072604 A KR1020020072604 A KR 1020020072604A KR 20020072604 A KR20020072604 A KR 20020072604A KR 20040018087 A KR20040018087 A KR 20040018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case
top plate
plate assembly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46B1 (ko
Inventor
코이케토시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에 상부 플레이트의 부착, 분리가 극히 용이하고, 게다가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할 우려가 없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 내에 발열체(32)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1)와, 상부 플레이트(55) 및 상부 플레이트(55)의 주위를 지지하는 테두리체(41)로 이루어진 천판 조립체(40)를 갖고, 이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의 상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였다.
또한 본체 케이스(1)에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에 설치할 때 작동하는 검지 스위치(35a, 35b)를 구비하고, 이 검지 스위치(35a, 35b)를 전원(103)과 발열체(32) 사이에 접속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A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조립 또는 싱크대 등의 기구상에 설치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의 싱크대에 조립된 가열 조리기의 한 예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0은 싱크대(100)의 천판(101)에 구비된 개구부(102)로부터 싱크대(100) 내로 들어가는 상부 본체로서, 상자 모양의 상부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을 덮고, 테두리체(113)에 의해 상부 본체 케이스(111)에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112)에 의해 구성되고, 내부에는 가열 코일(114), 가열 코일(114) 구동 회로(115), 이들을 냉각하는 송풍기(116)가 조립되어 있다.
117은 하부 본체로서, 히터(119)를 구비한 로스터 케이스(118), 조작부(120) 등을 구비하고, 상부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부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레일(도시하지 않는다)에 매달려 있다(종래 기술 1).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61-39887호 공보에 있어서는, 상부 플레이트를 케이스 본체에 구비된 재치부에 재치하고, 이것을 둘러싸는 창틀 모양의 테두리체의 하면에 구비된 돌기부를 케이스 본체의 재치부의 외측에 구비된 오목부에 끼워맞추어 상부 플레이트를 끼워지지하고, 돌기부와 오목부를 내측으로부터 나사로 고정하여 일체로 결합하도록 한다(종래 기술 2).
싱크대에 조립되는 가열 조리기는, 종래 기술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충격력이 비교적 약한 세라믹재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가 싱크대의 상면에 노출되어 배치된다.
이 때문에 조리 중에 냄비 등이 상부 플레이트 위로 낙하하거나, 전자 유도 코일에 의해 조리 중의 자성(磁性) 냄비가 진동하거나 또는 기름으로 볶는 요리를 할 때에 기름을 음식 재료에 고루 미치게 하기 위해 냄비를 위아래로 움직여 상부 플레이트에 충격을 가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한 고온화 된 상부 플레이트에 물등이 넘쳐 급격하게 냉각되거나, 냄비의 저부에 맞닿는 상부 플레이트가 특히 고온으로 되거나 하여, 상부 플레이트가 수축하거나 열팽창하거나 하여 응력이 생기는 일이 있고, 이러한 요인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에 실금이 발생하거나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1에 있어서는, 상부 플레이트가 가열 코일, 그 구동 회로, 송풍기를 내장하는 상부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에 실금이나 균열이 생겨 교환하고 싶은 경우에는 나사를 분리하거나 전기부품의 결선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교환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종래 기술 2에 있어서는, 상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테두리체는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나사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 전체를 분해할 필요가 있고, 아주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에 상부 플레이트의 부착, 분리(이하, 착탈이라고 한다)가 매우 용이하고, 게다가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할 우려가 없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발열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와,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주위를 지지하는 테두리체로 이루어진 천판 조립체를 갖고, 상기 천판 조립체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다.
(2) 상기(1)의 본체 케이스에 상기 천판 조립체를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할 때 작동하는 검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 검지 스위치를 전원과 발열체와의 사이에 접속하였다.
(3) 상기 (1) 또는 (2)의 천판 조립체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 및 주위면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하였다.
(4) 상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전기부품 및 그 배선 재료를 모두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하였다.
(5) 상기 (1) 내지 (4)중 어느 하나의 천판 조립체에 본체 케이스에 형성한 흡기 안내 통로에 끼워맞추는 흡기부를 구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본체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천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 1의 전기 계통도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본체 케이스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 등의 위에 재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본체 케이스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싱크대에 조립된 가열 조리기의 한 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5 : 흡기 안내 통로
11 : 상부 프레임13 : 플랜지부
14 : 흡기구16 : 접촉부
17a, 17b : 작은 구멍2O : 그릴러
23 : 조작 패널27 : 전원부
28 : 냉각용 송풍기31 : 코일대
32 : 발열체33 : 제어부
35a, 35b : 검지 스위치4O : 천판 조립체
41 : 테두리체42 : 개구부
44 : 상면부45 : 주연부
55 : 상부 플레이트61 : 차폐판
100 : 싱크대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본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본체 케이스(1)와, 상기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착탈 자유롭게 구비된 천판 조립체(4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 케이스(1)는 상부가 개구된 거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벽(2)의 앞면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가 본체 케이스(1)에 고정된 격벽(3)이 구비되고, 후벽(2) 및 격벽(3)의 상부는 폭이 늘어나 감합부(4)가 형성되어 있고, 후벽(2)과 격벽(3)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상부가 개구된 흡기 안내 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6은 격벽(3)에 구비된 통기 구멍이다. 7은 그 상면이후벽(2)의 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본체 케이스(1)의 앞면측 상부를 덮는 본체 상면판으로서, 앞면측의 저판 사이에는 앞면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고, 뒷부분측에는 걸림단부(9)가 형성되어 있다. 10은 본체 상면판(7)에 구비된 배기구이다.
11은 본체 상면판(7)과 동일 평면상에 있어서, 본체 상면판(7)의 걸림단부(9)와 격벽(3) 사이에 구비된 상부 프레임으로서, 통기 구멍(12)이 구비되어 있다.
13은 본체 케이스(1)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에 구비된 플랜지부로서, 뒷부분측은 폭 넓게 형성되어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부의 좌우 방향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흡기구(14)가 흡기 안내 통로(5)의 감합부(4)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의 내주측에는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하단부가 본체 상면판(7) 및 상부 프레임(11)에 맞닿는 내벽(15)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측은 아래쪽으로부터 내측으로 거의 C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접촉부(16)가 형성되어 있다. 17a, 17b는 후술하는 검지 스위치의 액츄에이터가 삽입 관통되는 작은 구멍, 18은 앞부분측의 내벽(이하, 내벽(15a)이라고 기재한다)에 구비된 배기구이다.
본체 케이스(1)의 저판과 상부 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히터(도시하지 않는다)를 내장하고, 문(21) 및 손잡이(22)를 갖는 그릴러(20)가 앞부분 개구부(8)의 한쪽측에 서랍식으로 출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앞면 개구부(8)의 다른쪽 측에는 전원 스위치(24), 스위치 다이얼(25), 표시부(26) 등을 갖는 조작 패널(23)이 구비된다. 또한 그릴러(20) 및 조작 패널(23)의 뒤쪽에는 전원부(27),냉각용 송풍기(28)가 구비된다. 29는 일단에 구비된 플러그(30)가 싱크대(100)에 구비된 전원인 상용 전원의 콘센트(103)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부(27)에 접속된 케이블이다.
31은 상부 프레임(11)상에 있어서, 내벽(15, 15a)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설치된 코일대로서, 상면에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전자유전 코일, 전기저항 코일 등의 발열체(3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대(31)는 발열체(32)를 가능한 한 조리 냄비 등에 접근하여 효율적으로 조리하기 위해, 도시를 생략한 수단에 의해 항상 윗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33은 발열체(32)의 출력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34는 복수의 광원(34a, 34b)을 갖고, 후술하는 온도·타이머 표시부, 화력 표시부를 표시하는 표시용 기판이다.
35a, 35b는 전후의 플랜지부(13)의 하면에 구비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검지 스위치로서, 그 액추에이터는 플랜지부(13)에 구비된 작은 구멍(17a, 17b)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36은 플랜지부(13)의 외주에 구비되며 접촉부(16)의 하면에 장착된 탄성재로 이루어진 본체 쿠션이다.
천판 조립체(40)는 테두리체(41)와 천판인 상부 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고,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테두리체(41)는 주연을 아래쪽으로 절곡하여 천판 접촉부(43)가 구비된 개구부(42)를 갖는 창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2)의 주위면에 형성된 상면부(44)의 좌우 방향(도 7)은 양 단부가 아래쪽으로 거의 C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본체 케이스(1)의 접촉부(16)보다 높은 주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체(41)의 전후 방향(도 8)의 앞부분측에는, 좌우의 상면부(44)와 동일 평면의 상면부(44)가 구비되고, 또한 그 앞부분측에는 단부에 의해 상면부(44)와 평행하며 이보다 낮은 앞부분 상면부(44a)가 형성되고, 그 전단부가 아래쪽으로 거의 C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좌우의 주연부(45)에 연속되는 주연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 상면부(44a)를 상면부(44)보다 낮게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동일 평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뒷부분측의 상면판(44)은 좌우의 상면판(44)과 동일 평면으로 폭을 넓혀 형성되고, 그 후단부는 아래쪽으로 거의 C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좌우의 주연부(45)에 연속되는 주연부(4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면부(44)의 폭방향(전후 방향)의 중간부 부근에는, 본체 케이스(1)에 구비된 흡기 안내 통로(5)의 감합부(4)에 끼워맞추어지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으로 주연부(45)의 하단부보다 아래쪽까지 돌출된 통 형상의 2개의 흡기부(46)가 구비되어 있다.
47은 앞부분 상면부(44a)에 구비된 복수의 온도·타이머의 표시창, 48은 표시창(47)의 앞부분측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앞부분 지지부, 49는 흡기부(46)의 뒷부분측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뒷부분 지지부이다. 50(도 6에서는 생략)은 주연부(45)의 하면 모든 둘레에 부착된 패킹으로 이루어진 천판 쿠션이다.
55는, 예를 들면 세라믹과 같은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상부 플레이트(천판)로서, 테두리체(41)의 개구부(42)의 하면에 있어서 주연이 천판 지지부(43)에 맞닿고, 그 모든 둘레가 접착제(60)에 의해 테두리체(41)에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56은 본체 케이스(1) 내에 구비된 발열체(26)의 위치에 대응하여 인쇄에 의해 상부플레이트(55)에 구비된 조리 냄비 등의 재치 표시부, 57은 각 재치 표시부(56)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발열체(26)의 화력(출력)을 표시하는 화력 표시부이다. 58은 흡기구(59)를 갖고, 흡기부(46)의 개구부상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 흡기구 커버이다.
다음에, 도 9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계통에 관하여 설명한다. 2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에 접속된 전원부, 24는 그 전원 스위치이다. 33은 제어부로서, 전원부(27)로부터 검지 스위치(35a, 35b)를 통하여 급전되고, 다이얼 스위치(25)로 설정된 화력에 대응한 전기 출력이 제어부(33)의 출력측에 접속된 발열체(32, 32a)에 공급된다. 28은 냉각용 송풍기로서, 도면에는 전원부(27)로부터 급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부(33)를 통하여 급전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용 기판(34) 등의 급전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원부(27)와 제어부(33) 사이에 검지 스위치(35a, 35b)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스위치(24)를 켜더라도, 검지 스위치(35a, 35b)의 양자가 폐쇄되지 않으면 제어부(33)에 급전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원부(27)와 제어부(33) 사이에 검지 스위치(35a, 35b)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제어부(33)와 발열체(32, 32a) 사이에 검지 스위치(35a, 35b)를 구비하여도 좋고, 요컨대 전원(103)과 발열체(32a, 32b) 사이에 검지 스위치(35a, 35b)를 구비하면 좋다. 또한 그 수도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싱크대에 설치 순서의 한 예에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체 케이스(1) 내에는, 전원부(27), 냉각 송풍기(28), 발열체(32), 제어부(33) 등(이하, 이들을 일괄하여 전기부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및 그 배선 재료가 미리 조립되어 있다.
우선, 본체 케이스(1)를 싱크대(100)의 천판(101)에 구비된 개구부(102)로부터, 앞면개구부(8)측을 앞쪽면으로 하여 싱크대(100) 내로 삽입하고, 플랜지부(13)의 접촉부(16)를 본체 쿠션(36)을 사이에 끼우고 천판(101)상에 설치한다. 이로써, 본체 케이스(1)는 싱크대(100)에 설치된다. 이 때의 상태를 도 1O에 도시한다. 이 때, 발열체(32)의 상면은, 플랜지부(13)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이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검지 스위치(35a, 35b)의 액추에이터는 플랜지부(13)에 구비된 작은 구멍(17a, 17b)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고, 전원 회로를 OFF 한다.
다음에,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상에 위치시키고, 그 흡기부(46)의 하부를 본체 케이스(1)의 통풍 안내 통로(5)에 끼워맞추는 동시에 주연부(45)를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부(13)의 접촉부(16)의 외주를 따라 위치시키고, 천판 쿠션(50)을 사이에 끼우고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설치한다. 이로서, 천판 조립체(40)는,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테두리체(41)에 구비된 앞부분 지지부(48) 및 뒷부분 지지부(49)는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부(13)상에 위치하고, 표시용 기판(34)에 구비된 광원(34a)은 테두리체(41)에 구비된 표시부(47)에 광원(34b)은 상부 플레이트(55)에 구비된 화력 표시부(57)에 각각 대향한다. 또한 검지 스위치(35a, 35b)의 액츄에이터는, 테두리체(41) 및 상부 플레이트(55)에 의해 가압하고, 전원 회로를 ON 상태로 한다. 또한, 발열체(32)는 상부 플레이트(55)의 하면에 맞닿거나 또는 가압된다. 또한 천판 조립체(40)는 본체 케이스(1)의 상면을 덮는 동시에 주연부(45)는 본체 케이스(1)의 접촉부(16)(외측면의 상부)를 덮는다.
다음에, 청소를 위해 분리하거나 또는 균열 등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55)를 교환하거나 하는 경우는 천판 조립체(40)를 들어올리고 흡기부(46)를 흡기 안내 통로(5)로 당기면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체 케이스(1)가 싱크대(100)에 조립되고, 본체 케이스(1)상에 천판 조립체(40)가 부착된 가열 조리기에 의해 조리를 한 경우는, 우선, 피조리물이 들어간 냄비 등을 상부 플레이트(55)에 구비된 재치 표시부(56)상에 재치한다. 이 때, 천판 조립체(40)는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냄비 등을 발열체(32)의 바로 위에 재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24)를 ON으로 하여 상기 발열체(32)에 대응한 스위치 다이얼(25)에 의해 소망하는 온도 및 조리 시간(타이머)을 설정한다. 설정한 온도, 조리 시간은 표시창(47)에 표시된다.
이로써, 발열체(32)에 통전되어 냄비 등을 가열하고, 가열 온도(화력)가 화력 표시부(57)에 표시된다. 이 경우, 천판 조립체(40)가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부착되지 않으면, 검지 스위치(35a, 35b)의 일부 또는 모두가 작동(ON)하지 않아전원 회로가 폐쇄되지 못하므로, 발열체(32) 그 밖의 전기부품에는 통전시키지 못하여 조리를 할 수 없다.
가열 조리기의 운전이 시작되면, 냉각용 송풍기(28)가 구동되고, 그 흡인력에 의해 외기가 흡기구 커버(58), 흡기부(46), 흡기 안내 통로(5)를 경유하여 통기 구멍(6)으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도입되고, 그 일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27), 그릴러(20) 등을 냉각하고, 상부 프레임(11)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여 배기구(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일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의 통기 구멍(12)으로부터 상부 프레임(11)과 상부 플레이트(55) 사이로 이송되고, 가열체(32), 제어부(33), 표시용 기판(34) 등을 냉각하고, 배기구(18)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체 케이스(1)를 싱크대(100) 내에 조립하고, 본체 케이스(1) 상면에 천판 조립체(40)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100)의 천판(101) 위 또는 그 밖의 기구상에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를 재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도, 천판 조립체(40)를 케이스 본체(1)상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싱크대에 조립되거나 또는 싱크대 등에 재치되는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전기부품, 발열체(32) 등이나 그 배선 재료가 수용된 본체 케이스(1)와, 상부 플레이트(55)를 갖는 천판 조립체(40)를 분리 자유롭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열팽창이나 수축 또는 그릇의 낙하 등에 의해상부 플레이트(55)에 균열, 갈라짐, 변형 등이 생긴 경우에 천판 조립체(40)를 떼어냄으로써 상부 플레이트(55)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5)를 테두리체(41)에 접착하지 않고, 방수 패킹을 사이에 끼우고 나사 등으로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면 상부 플레이트(55)의 교환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가열 조리기를 싱크대에 조립하는 경우, 천판 조립체(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를 싱크대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할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천판 조립체(40)에 전기부품이나 배선 재료가 설치되지 않고, 또한 설치에 있어서는, 천판 조립체(40)를 단지 본체 케이스(1)상에 재치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조립, 분해 작업이 극히 용이하다.
또한, 천판 조립체(40)의 흡기부(46)를 본체 케이스(1)의 흡기 안내 통로(5)에 끼워맞춤에 의해 전후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앞부분 지지부(48)와 뒷부분 지지부(49)를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13)상에 재치함으로써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의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천판 조립체(40)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55)에 구비된 냄비 등의 재치 표시부(56)를 발열체(32)상에 확실하게 정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냄비 등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체 케이스(1)에 복수의 검지 스위치(35a, 35b)를 구비하고, 천판 조립체(40)를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부착하지 않으면 제어부(33)나 그 밖의 전기부품 등에 통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 등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안전하다.
또한,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의 상면 및 외주면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천판 조립체(40)상에 물 등이 넘치더라도 본체 케이스(1) 내로 침입할 수가 없다. 또한, 테두리체(41)의 외주연과 본체 케이스(1)의 외주연과의 빈틈을 미소한 치수로 함으로써, 테두리체(41)의 치우쳐짐이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쿠션(36)을 갖는 본체 케이스(1)의 접촉부(16)의 외주에 천판 쿠션(50)을 갖는 천판 조립체(40)의 주연부(45)를 가깝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싱크대(100)의 천판(101)상에 물 등이 넘치더라도, 가열 조리기나 싱크대(100) 내로 침입할 수가 없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가열 조리기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같은 부분에는 이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13)의 개구부측(내측)에 단부(13a)를 구비하고, 이 단부(13a)에, 예를 들면 유리판과 같은 내열성이면서 비자성재로 된 차폐판(61)을, 그 상면이 플랜지(13)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재치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여 노출되어 있는 발열체(32) 그 밖의 전기부품을 차폐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천판 조립체(40)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때, 상부플레이트(55)는 차폐판(61)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여 위치하고, 검지 스위치(35a)는 ON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또한, 천판 조립체(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노출하는 발열체(32) 등의 전기부품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내부로의 물 등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61)을 투명 재료로 형성하면 내부의 상태를 볼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천판 조립체(40)를 그 흡기부(46)를 본체 케이스(1)의 통풍 안내 통로(5)에 끼워맞춤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더하여,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13) 상면의 천판 조립체(40)에 구비된 앞부분 지지부(48)와 뒷부분 지지부(49)의 양자 또는 어느 한쪽에 대응한 위치의 전후 또는 주위에, 도 2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 리브 등(49a) 등을 구비하면, 천판 조립체(40)의 전후,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판 조립체(40)를 본체 케이스(1)에 그 일부를 끼워맞추어 부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천판 조립체(40)의 상면판(44)의 위로부터 본체 케이스(1)의 플랜지부(13)에 작은 나사 또는 손잡이가 있는 나사(이하, 이들을 나사라 한다)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로써, 천판 조립체(40)를 더욱 확실하게 본체 케이스(1)에 부착할 수 있고, 분리도 천판 조립체(40)의 상면으로부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흡기부(46) 부근을 나사 고정하면, 흡기 커버(58)로 차폐되기 때문에 외관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도시한 본체 프레임(1)에 천판 조립체(40)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체 프레임(1)은 전원부(27), 냉각용 송풍기(28), 발열체(32), 제어부(33) 등을 내장한 것이며, 다른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천판 조립체(40)도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열 조리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발열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의 주위를 지지하는 테두리체로 이루어진 천판 조립체를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였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에 상부 플레이트의 부착, 분리가 극히 용이하고, 게다가 물 등이 가열 조리기 내나 싱크대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 내에 발열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와,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주위를 지지하는 테두리체로 이루어진 천판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천판 조립체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천판 조립체를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할 때 작동하는 검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 스위치를 전원과 발열체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기부품 및 그 배선 재료를 모두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02-0072604A 2002-08-22 2002-11-21 가열 조리기 KR100502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1362A JP3757363B2 (ja) 2002-08-22 2002-08-22 加熱調理器
JPJP-P-2002-00241362 2002-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087A true KR20040018087A (ko) 2004-03-02
KR100502746B1 KR100502746B1 (ko) 2005-07-21

Family

ID=3188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604A KR100502746B1 (ko) 2002-08-22 2002-11-21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57363B2 (ko)
KR (1) KR100502746B1 (ko)
CN (1) CN1004655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441A (ja) * 2005-03-31 2006-10-1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4783244B2 (ja) * 2006-09-01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5246240B2 (ja) * 2010-10-15 201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19050211A (ja) * 2018-11-22 2019-03-28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13133663B (zh) * 2020-01-19 2022-09-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盖体组件和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697A (en) * 1976-02-09 1977-02-01 The Tappan Company Gas cook top
JPH02129891A (ja) * 1988-11-08 1990-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940002247Y1 (ko) * 1991-04-10 1994-04-11 신현오 전자유도 가열장치
JPH0541273A (ja) * 1991-08-02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DE4210010C2 (de) * 1992-03-27 1995-04-27 Schott Glaswerke Kochfeldplatte
ES2119664B1 (es) * 1995-10-25 1999-04-01 Somolsa Sociedad De Materiales Estufa desmontable.
US5652503A (en) * 1995-12-12 1997-07-29 Eaton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even lighting of surface elements in a glass cook top
KR970044264U (ko) * 1995-12-29 1997-07-31 가스 오븐렌지의 상판 고정 장치
EP0817535A3 (en) * 1996-07-01 1998-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JP3024564B2 (ja) * 1996-08-28 2000-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KR100198560B1 (ko) * 1996-11-30 1999-06-15 구자홍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9980043707U (ko) * 1996-12-26 1998-09-25 배순훈 가스오븐렌지의 상판 고정장치
JPH10281472A (ja) * 1997-04-02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ガス調理機器
KR19990009959A (ko) * 1997-07-14 1999-02-05 구자홍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용기 자동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H1187039A (ja) * 1997-09-10 1999-03-30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CN2324451Y (zh) * 1998-01-06 1999-06-16 宋文周 陶瓷燃气灶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79448A (ja) 2004-03-11
CN100465517C (zh) 2009-03-04
KR100502746B1 (ko) 2005-07-21
CN1477335A (zh) 2004-02-25
JP3757363B2 (ja)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5723B1 (en) Microwave oven
KR100502746B1 (ko) 가열 조리기
JP3757362B2 (ja) 加熱調理器
KR20050071414A (ko) 가열 조리기
JP39201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091300B1 (en) Cooking device
CN215412010U (zh) 一种电磁炉及其一拖四模块化加热装置
JP3757360B2 (ja) 加熱調理器
JP5474380B2 (ja) 調理器のグリル装置
JP655602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699357B2 (ja) 炊飯器
JP2010212008A (ja) 調理器の操作パネル
KR100674267B1 (ko) 전기오븐의 피시비 장착구조
JP2003207140A (ja) 加熱調理器などの操作機構
CA1201487A (en) Microwave oven with outwardly inclining control panel
KR100811653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20220165594A (ko) 전기 레인지
KR200242738Y1 (ko) 전장부품 서비스 구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JP2010236749A (ja) 加熱調理器
KR100618229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베이스 장착구조
KR20220161106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9A (ko) 전기 레인지
JP3634877B2 (ja) 加熱調理器
KR20000004983U (ko) 전자렌지의 후면커버
JP2007050130A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