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8560B1 -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560B1
KR100198560B1 KR1019960060327A KR19960060327A KR100198560B1 KR 100198560 B1 KR100198560 B1 KR 100198560B1 KR 1019960060327 A KR1019960060327 A KR 1019960060327A KR 19960060327 A KR19960060327 A KR 19960060327A KR 100198560 B1 KR100198560 B1 KR 100198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main body
heating unit
cas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058A (ko
Inventor
강병식
김상두
이근형
이기태
최성영
김일신
김창범
최성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5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변경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함에 따라 기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서도 본체부로의 전원 공급이 항상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일단이 가압력을 받아 회동하면서 타단이 접점과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일단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케이스에 압입된 접점과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 조리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는 열원으로 유도가열기(IHC; Induction heating Cooker)를 사용하는 조리기로서, 크게 유도가열부(1)와 상기 유도가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본체부(2)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1)는 외관을 이루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와,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코일(12)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에 고정되어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2)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부 케이스(21)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 내에 지지된 조리용기(22)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도가열부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뚜껑(2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구조의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는 사용시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2)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 위로 올려놓으면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상기 본체부(2)로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뚜껑(23)를 열으면 상기 본체부 케이스(21) 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조리용기(22)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용기(22)에 피조리물을 채워 넣은 다음 다시 뚜껑(23)를 닫고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1)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의 코일(12)이 자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상기 코일의 자력은 곧바로 본체부 케이스(21)에 지지되어 있는 조리용기(22)로 전달되므로 상기 조리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조리용기(22)에 채워져 있는 피조리물이 가열 조리된다.
한편 상기 조리용기(22) 내로 식용유를 채워 넣었을 경우에는 상기 식용유가 끓게 되므로 튀김을 행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조리용기(22)가 가열되어 피조리물이 조리될 때 상기 조리용기의 열은 유도가열부(1) 내로 전달되려고 하지만 상기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에 열차단판(13)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차단판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실제로 유도가열부(1) 내로는 열이 필요이상 전달되지 않는데, 만약 조리용기(22)의 열이 유도가열부(1) 내로 필요이상 전달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의 각종 구성품이 열화되어 쉽게 고장이 나거나 사용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한편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유도가열부(1)의 전원이 본체부(2)로 전달 가능한 상태인데, 이는 본체부(2)의 각종 구성 부품중 램프(도시는 생략함)와 같은 부품 등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에 있어서,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접점(14)이 압입되어 있고,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에는 유도가열부 자석(16)이 고정되어 있고,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자석(16)과의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에 회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접점(14)에 접촉되도록 본체부 자석(2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접점(14)에 접촉되도록 본체부 전원단자(25)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a도에서는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데, 이때에는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4)과는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설치된 본체부 전원단자(25)가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4)에 접촉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에 고정된 본체부 자석(24)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에 고정된 유도가열부 자석(16)과 수직 상태로 나란하게 되므로 상기 각 자석(16)(24)의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b도와 같이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도 접점(14)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가 동작함과 함께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5)→접점(14)→본체부 전원단자(25)를 통해 본체부(2)로 전달되므로 상기 본체부의 각 구성부품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부품들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는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자석과 본체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접점에 접촉되면서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기기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상기 각 자석의 힘이 떨어지게 되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접점에 접촉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가열모드를 선택할 때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각종 부품이 동작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변경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함에 따라 기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서도 본체부로의 전원 공급이 항상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일단이 가압력을 받아 회동하면서 타단이 접점과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일단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케이스에 압입된 접점과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로 구성하여서 된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2a도는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도.
제2b도는 종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된 상태도.
제3a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도.
제3b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도가열부 2 : 본체부
11 : 유도가열부 케이스 17 : 접점
18 : 유도가열부 전원단자 18a : 절곡편
19 : 돌출턱 21 : 본체부 케이스
26 : 가압부재 27 : 본체부 전원단자
28 : 삽입홈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제3a도 및 제3b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를 갖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로서, 제3a도는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도이고, 제3b도는 본체부가 유도가열부에 결합된 상태도로서, 본 발명은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에 전원이 인가되는 접점(17)을 압입하고,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부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접점(17)과 접촉되도록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며,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접점(17) 접촉부분 반대쪽의 끝단이 상기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으로 노출되어 가압력을 제공받도록 절곡편(18a)을 절곡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에 형성된 절곡편(18a)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가압부재(26)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 케이스(21)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7)과 접촉되도록 본체부 전원단자(27)를 고정한다.
또한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 절곡편(18a) 부분에 상기 절곡편을 감싸도록 돌출턱(19)을 형성하고,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 가압부재(26) 부분에는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할 때 상기 돌출턱(19)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8)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에서는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데, 이때에는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 내에 힌지결합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의 절곡편(18a)으로 가압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가 자중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고, 이때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7)과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2)를 유도가열부(1)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2)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에 고정된 본체부 전원단자(27)가 유도가열부(1)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7)에 접촉되는데, 상기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면 가압부재(26)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28) 내로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 절곡편(18a) 부분에 형성된 돌출턱(19)이 삽입되므로 상기 가압부재(26)가 절곡편(18a)을 가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가 제3b도와 같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유도가열부 케이스(11)에 압입된 접점(17)에 접촉됨에 따라 결국 유도가열부(1)의 전원이 본체부(2)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될 때 본체부 케이스(2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8) 내로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턱(19)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돌출턱이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 보다 높으므로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19)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2)가 유도가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열모드를 선택하면 유도가열부가 동작함과 함께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유도가열부 전원단자(18)→접점(17)→본체부 전원단자(27)를 통해 본체부(2)로 전달되므로 상기 본체부의 각 구성부품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부품들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상부면 절곡편(18a) 부분에 돌출턱(19)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기기를 사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과정에서 국물이 넘쳐 유도가열부(1)의 유도가열부 케이스(11)로 흘러 내리더라도 이 국물이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11)의 절곡편(18a) 부분의 틈새로 통해 내부로 스며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본체부(2) 내부의 각종 부품이 보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상기 유도가열부의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본체부의 결합에 따른 가압력을 받아 회동하면서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이 본체부로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됨에 따라 기기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본체부로의 전원 공급이 항상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압입된 접점과, 상기 유도가열부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일단이 가압력을 받아 회동하면서 타단이 접점과 접촉되는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일단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케이스에 압입된 접점과 접촉되는 본체부 전원단자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도가열부 전원단자의 접점 접촉부분 반대쪽에 상단이 유도가열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절곡편을 형성하여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본체부 케이스에 형성된 가압부재가 상기 절곡편을 가압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유도가열부 전원단자가 회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유도가열부 케이스의 상부면 절곡편 부분에 상기 절곡편을 감싸도록 돌출턱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본체부 케이스의 하부면 가압부재 부분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본체부를 유도가열부에 결합할 때 유도가열부 케이스에 형성된 돌출턱이 상기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19960060327A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10019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27A KR100198560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327A KR100198560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58A KR19980041058A (ko) 1998-08-17
KR100198560B1 true KR100198560B1 (ko) 1999-06-15

Family

ID=1948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327A KR100198560B1 (ko) 1996-11-30 1996-11-30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363B2 (ja) * 2002-08-22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58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0082A1 (en) Cooking device
KR20040056161A (ko) 전자렌지
KR100198560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US4547643A (en) Temperature sensing probe for microwave oven application
US6759634B2 (en) Electric fryer
KR102057962B1 (ko) 조리 기기
JP6674528B2 (ja) 加熱調理器
KR100198577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US2450336A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 heating appliance stands
ES1032145U (es) Freidora electrica.
KR100198576B1 (ko) 유도가열방식 조리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US2152560A (en) Cooking apparatus
CN211380840U (zh) 一种无水煮蛋器
JP6876171B2 (ja) 加熱調理器
KR19980028110A (ko) 유도가열방식 튀김기의 본체부 전원 공급장치
KR920005654Y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100238570B1 (ko) 전기 압력밥솥겸용 조리기의 전원 온, 오프방법 및 장치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19990060096A (ko) 전자렌지의 히터 장치
GB92482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immersion heaters
KR101165010B1 (ko) 전자 레인지
JPS594585Y2 (ja) 電気調理器
KR200214528Y1 (ko) 전자렌지의 작동표시창 고정장치
KR200157113Y1 (ko) 전자렌지용 그릴 석쇠
KR20080006675U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