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3093A - 금속폐쇄형 배전반 - Google Patents

금속폐쇄형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093A
KR20040013093A KR10-2004-7000032A KR20047000032A KR20040013093A KR 20040013093 A KR20040013093 A KR 20040013093A KR 20047000032 A KR20047000032 A KR 20047000032A KR 20040013093 A KR20040013093 A KR 2004001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 resin
resin insulator
groundi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자와히로시
사토도시후미
우에누시마사시
사노코오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9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요구에 따라 임의로 또 쉽게 구성할 수 있는 컴팩트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제공하기 위해 차단유닛, 단로유닛, 접지유닛, 모선유닛 및 케이블 접속부유닛을 어느 것이나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 되고, 각각 몰드수지 절연체의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단자도체로 형성된 단자에 의해 서로 감합해서 각 유닛만을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한 금속폐쇄형 배전반 개폐조작장치는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되어 각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단로유닛의 분기단자에 접속한 분기유닛을 사용해서 더블모선 도체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금속폐쇄형 배전반{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도 20 및 도 21에는 지금까지 수배전 설비에서 사용되고 있던 폐쇄형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표시하고, 도 20은 기중반의 예를 표시하고, 도 21은 가스 절연반의 예를 표시한다.
도 20의 기중 폐쇄형 배전반에서는 배전반상(箱)체(1)내에 모선도체(2)가 도입되어 있고, 이 모선도체(2)는 접속도체(3) 및 단로부(4)를 통해서 진공차단기인 진공밸브(5)에 접속되고, 진공밸브(5)는 다시 부하측 접속도체(6) 및 변류기(7)를 통해서 외선 케이블(8)에 접속되어 있다.
도 21의 가스절연 폐쇄형 배전반에서는 배전반상자체(1)내에 가스절연된 모선도체(9)가 도입되어 있으므로 이 모선도체(9)가 접속도체(3) 및 전원측의 단로부 (4)를 통해서 진공차단기인 진공밸브(5)에 접속되고, 진공밸브(5)의 부하측은 부하측의 단로부(4), 접속도체(5) 및 변류기(6)을 통해서 외선케이블(7)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폐쇄형 배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공밸브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동전극을 지지하는 가동측도체(6)가 진공용기(2)의 축방향 단부를 관통해서 외부로 뻗고, 가동측도체에는 진공용기 외부에서 가요성의 접속도체가 접속되어 있어 고압층 전부인 샤프트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고압층 전부는 동시에 가동부분이기도 하므로 배전반내에서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동물등이 고압층 전부에 접촉해서 회로에 부적절한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재료제의 몰드프레임이 필요 했었다.
또, 폐쇄형 배전반에 절연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가스 밀봉용기가 필요 했었다.
또, 상간절연, 대지절연 및 극간절연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각각 적절한 위치에 절연물의 몰드프레임이 필요 하였거나 절연가스와 이를 밀봉하는 밀봉용기가 필요 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진공밸브를 사용한 배전반에서는 진공밸브와 조작용 절연로드와의 사이에 고압충 전부가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몰드 프레임이나 밀봉용기가 필요하고, 조립시에는 이들 구성부품을 고정이나 용접을 할 필요가 있어 배전반의 소형화의 방해가 되었다.
본 발명은 수배전 설비에 사용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선유닛과 케이블 접속유닛과의 사이에 순서대로 단로유닛, 접지유닛, 차단유닛, 제2의 접지유닛, 제2의 차단유닛 및 제3의 접지유닛을 겹쳐서 설치한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부분적으로 파단해서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하는 모선이 3상 일괄몰드된 모선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선유닛의 파단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하는 단로용의 진공밸브가 3상 일괄몰드되어 개폐조작장치와 조합된 단로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로유닛의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1 및 도 2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되는 접지용의 진공밸브가 3상 일괄몰드되어 개폐조작장치를 조합한 접지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7의 접지유닛의 파단 사시도,
도 9는 도 1 및 도 2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하는 차단용의 진공밸브가 3상 일괄몰드되어 개폐조작장치와 조합된 차단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차단유닛의 파단 사시도,
도 11은 도 1 및 도 2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되는 접속도체가 3상 일괄몰드된 케이블 접속유닛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케이블 접속유닛의 파단 사시도,
도 13은 모선유닛과 케이블 접속유닛 사이에 순서대로 단로유닛, 접지유닛, 차단유닛 및 제2의 접지유닛을 겹쳐서 설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부분적으로 파단해서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도 15는 모선유닛과 케이블 접속유닛과의 사이에서 순서대로 접지유닛 및 차단유닛을 겹쳐서 설치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부분적으로 차단해서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도 17은 모선유닛과 케이블 접속유닛 사이에 순서대로 차단유닛 및 접지유닛을 겹쳐서 설치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부분적으로 파단해서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도 19는 도 1의 금속폐쇄형 배전반과 같은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분기유닛을 사용해서 2중 모선 도체방식으로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으로 표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기중형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개략도,
도 21은 종래의 가스 절연형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표시하는 개략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금속폐쇄형 배전반(10)을 표시한다.
금속폐쇄형 배전반(10)은 금속폐쇄형의 상자체(11)(도면에는 프레임만이 표시되어 있다)와 이 상자체(11)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선을 도입하기 위한 모선유닛(12)을 구비하고 있다. 모선유닛(12)의 하방에는 마찬가지로 상자체(11)에 의해지지해서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겹쳐진 관계에 모선유닛(12)에 접속된 단로유닛 (13)과, 단로유닛(13)에 접속된 접지유닛(14)과, 접지유닛(14)에 접속된 차단유닛 (15)과, 차단유닛(15)에 접속된 제2의 접지유닛(16)과, 제2의 접지유닛(16)에 접속된 제2의 단로유닛(17)과, 제2의 단로유닛(17)에 접속된 제3의 접지유닛(1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3의 접지유닛(18)의 아래에는 케이블 접속유닛(19)이 접속되어서 변류기등을 소유하는 케이블 접속부(20)를 통해서 부하에 접속하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들 각 유닛 즉 모선유닛(12), 단로유닛(13),(17), 접지유닛(14),(16), (18), 차단유닛(15) 및 케이블 접속유닛(19)은 각각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해서 접속되어 각 유닛사이를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돌출 또는 우묵한 단자를 가지고 있다.
또, 단로유닛(13),(17), 접지유닛(14),(16),(18) 및 차단유닛(15)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지몰드된 진공밸브가 3대가 병치되고 수지몰드된 개폐조작장치에 연결되고 전체로서 컴팩트한 직방체 형상으로 성형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쌓아 올려서 거치 했을 때에 전체가 컴팩트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각 진공밸브의 몰드수지 절연체는 대략 직방체로해서 도시해 있고 이 형태에 각 유닛을 전체로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정리 하는데 좋으나, 여러가지의 단면형상의 주상자체등의 직방체 이외의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를 몇개 열거하면 나무판에 붙인 어묵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직방체 상면에 반원주상의 것을 올려놓은 형태, 엽전형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직방체의 상하 양면에 반원주체가 올려 놓여진 형태 및 원형단면의 원주등이 있다.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진공밸브의 몰드수지 절연체가 대략 직방체인 경우는 물론 기타의 기동형 구상자체 일면에도 이들의 진공밸브의 축방향을 향해 3대의 진공밸브가 그리는 윤곽의 형선과 잘 닮은 투영형상을 갖는 대략 직방체로 해놓고 진공밸브 및 개페조작장치가 조합된 각각의 유닛의 전체의 개략형이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모선유닛 12
도 3 및 도 4에는 모선유닛(12)의 상세를 표시한다.
모선유닛(12)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측 모선도체에 접속할 수 있는 3상분의 서로 평행인 모선도체(22)와 모선도체(22)로부터 각각 거의 직각으로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뻗은 접속단자 도체(23)와, 모선도체(22) 및 접속단자 도체(23)를 3상 일괄형으로 몰드성형하고, 단자(24)를 형성하는 몰드수지 절연체(25)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24)는 몰드수지 절연체(25)에 형성된 凹부(26)에서부터 접속단자도체 (23)를 노출시킨 것이다.
또, 단자(24)는 서로 평행인 3개의 모선도체(21)상의 다른 길이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24)의 접속단자(23)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모선도체(22)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선도체(22)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배치된 진공밸브를 갖는 단로유닛(13)의 단자에 접속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모선유닛(12)은 모선도체(22)를 몰드수지 절연체(25)에 의해 몰드해서 모선도체(22)의 일부를 접속단자 도체(23)를 통해서 몰드수지 절연체(25)의 凹부(26)로 부터 노출시켜서 단로유닛(13)의 단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로유닛 3
도 5 및 도 6에는 단로유닛(13)의 상세를 표시한다.
단로유닛(13)은 몰드수지 절연체(27)에 의해 몰드되고, 3대가 서로 병치된 단로능력을 갖는 진공밸브(28)와, 진공밸브(28)에 연결되고 몰드수지 절연체(27)로 몰드된 개폐조작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조작장치(30)의 외형은 진공밸브(28)의 축방향에 대해 3대의 진공밸브 (28)가 함께 그리는 구형의 윤곽외형선과 잘 닮은 투영형상을 갖는 대략 직방체이다. 조합된 진공밸브(28)와 개폐조작장치(30)와는 전체로서 컴팩트한 직방체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진공밸브(28)의 몰드수지 절연체(27)는 도 4에 표시한 모선유닛(12)의 단자 (24)의 凹부(26)와 같은 부분적인 凹부(31)와, 이들 凹부(26) 및 (31)와 일치하는 형태의 凸부(32)를 가지고 진공용기(33)내의 전극(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뻗어서 몰드수지 절연체(27)의 凹부(31) 또는 凸부(32)내에 노출한 도체(34) 및 (35)에 의해 단자(36) 및 (37)이 구성되어 있다.
전극의 개폐동작은 개폐조작장치(30)에 결합된 절연로드(38)에 의해 실시된다. 단자(36)는 3대의 진공밸브(28)의 일단에 설치되고 전체로서 직방체 형상의 단로유닛(13)의 일변에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단자(37)는 각 진공밸브(28) 마다에 길이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단로유닛(13)의 상면을 경사지게 가로 지르도록 배치되어 있어 도 3 및 도 4에 표시하는 모선유닛(12)의 단자(14)의 凹부(26)에 감입되고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제 2의 단로유닛(17)도 제1의 단로유닛(13)과 같은 구조이다.
접지유닛 14
도 7 및 도 8은 접지유닛(14)의 상세를 표시한다.
접지유닛(14)은 몰드수지 절연체(39)에 의해 몰드되고, 3대가 서로 병치된 접지개폐기인 진공밸브(40)와 진공밸브(40)에 연결되고, 몰드수지 절연체(29)로 몰드된 개폐조작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조작장치(30)의 외형은 진공밸브(40)의 축방향에 대해 3대의 진공밸브 (40)가 함께 그리는 구형의 윤곽 외형선 보다도 높이는 낮으나 잘 닮은 투영형상의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조합된 진공밸브(40)와 개폐조작장치(30)는 전체로서 컴팩트한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진공밸브(40)의 몰드수지 절연체(39)는 도 5 및 도 6에 표시하는 단로유닛 (13)의 단자(36) 凹부(26)와 같은 부분적인 凹부(31)와 凹부(31)와 일치하는 형태의 凸부(30)를 소지하고, 진공용기(33)내의 전극(도시않음)으로 부터 뻗어서 몰드수지 절연체(39)의 凹부(31) 또는 凸부(32)내에 노출한 도체(34)에 의해 단자(36) 및 (41)이 구성되어 있다.
전극의 개폐동작은 개폐조작장치(30)에 결합된 절연로드(38)에 실시된다. 단자(36) 및 (41)은 어느것이나 3대의 진공밸브(40)의 일단에 설치되고 전체로서 직방체상의 접지유닛(14)의 1변에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진공용기(33)내의 가동전극으로 부터는 접지도체(42)가 뻗어있고, 단자(36) 및 (41)과는 반대측에 절연로드(38)와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고 개폐조작장치(30)의 상방으로 뻗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접지도체(42)는 단자(41)의 凸부(32)와 같은 원추대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39)의 凸부(43)로 둘러싸여져 있어 공동해서 접지단자(44)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제2의 접지유닛(16) 및 제3의 접지유닛(18)도 제1의 접지유닛(14)과 같은 구조이다.
차단유닛 15
도 9 및 도 10에는 차단유닛(15)의 상세를 표시한다.
차단유닛(15)은 몰드수지 절연체(45)에 의해 몰드된 3대의 진공밸브(46)가 차단능력을 갖는 것이고, 단자(37)가 전체로서 직방체의 일변에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다른유닛의 단자에 감입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의 차단유닛(15)의 전체의 구성은 단로유닛(13)의 구성과 거의 같고 전체로는 컴팩트한 직방체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 유닛 19
도 11 및 도 12에는 케이블 접속부 유닛(19)의 상세를 표시한다.
케이블 접속유닛(19)은 각각 L자형으로 구부려진 3상분의 접속 접촉도체(47)를 병치해서 거의 블록상의 몰드수지 절연체(48)는 3상 일괄몰드로한 것이다. 접속 접촉도체(47)의 양단은 블록상 몰드수지 절연체(48)로부터 돌출해 있어 몰드수지 절연체(48)의 원추 대형의 凸부(49)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접속접촉도체(47)와 凸부(49)가 조합해서 접속단자(50)을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접속단자(50)의 일단에는 단자 접지유닛(15)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에는 변류기(20)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부(21)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진공밸브는 고압 충전부인 션트부와, 단자가 몰드수지 절연체중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기중 배전반내라도 충전부가 노출상태로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간절연, 대지절연 및 극간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재제로 된 몰드프레임이 필요치 않고 절연가스용의 밀봉용기가필요치 않다.
또, 소동물등이 고압 충접부에 접촉해서 회로에 이상을 발생 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금속폐쇄형 배전반의 제작 조립시에는 이들 구성부품을 고정이나 용접할 필요가 있고 배전반의 소형화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실시의 형태 2.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55)은 전체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금속폐쇄형 배전반(10)과 같으나, 상위하는 점은 도 1 및 도2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10)에서 제2의 접지유닛(16)과 케이블 접속유닛(19)과의 사이에 제2의 단로유닛(17)과, 제3의 접지유닛(18)이 설치되어 있는것에 대해 이 금속폐쇄형 배전반(55)에서는 제2의 접지유닛(16)이 직접 케이블 접속유닛(1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은 같다.
실시의 형태 3.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60)은 전체의 구성은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55)과 같으나, 상위하는 점은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55)에서 차단유닛(15)과 케이블 접속유닛(19)과의 사이에 제2의 접지유닛(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 이의 금속폐쇄형 배전반 (60)에서는 차단유닛(15)이 직접 케이블 접속유닛(19)에 접속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은 같다.
실시의 형태 4.
도 17 및 도 18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65)은 전체의 구성은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60)과 같으나, 상위한 점은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한 금속폐쇄형 배전반(60)에서의 단로유닛(13)이 제거되고 접지유닛(14)과 차단유닛(15)과의 쌓아 올리는 순서가 역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이 금속폐쇄형 배전반(65)에서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모선유닛(12), 차단유닛(15), 접지유닛(14), 케이블 접속유닛(19)과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같다.
실시의 형태 5.
도 19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70)은 2중모선 도체방식의 것으로 도 1 및 도2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10)과 같으나, 제1의 단로유닛(13)에 몰드수지 절연체(27)의 측면에도 도시하지 않은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위한 단로유닛(71)을 구비한 금속폐쇄형 배전반(72)을 구비하고 있다.
금속폐쇄형 배전반(72)에 인접해서 설치되어있는 것은 상자체(11)와 같은 구성의 제2의 상자체(73)내에 설치된 제2의 모선유닛(74)과 이 모선유닛(74)의 아래에서 상자체(73)에 지지되어서 모선유닛(74) 및 인접한 단로유닛(71)에 접속된 분기유닛(75)이다.
분기유닛(75)은 다른 여러가지 유닛과 같이 같은치수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76)내에 매설된 개폐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제2의 모선유닛(74)에 감합해서 전기적 기계적 접속관계를 확립하는 원추대 형상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인접한 단로유닛(71)의 측면에 설치한 접속단자와 감합해 전기적, 기계적인 접속관계를 확립하는 원추대 형상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잇다.
분기유닛(75)은 또 개폐조작장치(30)를 구비하고 있어 몰드수지 절연체(76)내의 개폐장치를 개폐해서 제2의 모선유닛(74)을 분기유닛(75)을 통해서 단로유닛 (13)에 대해 접속하거나 절단할 수가 잇다.
도 1 및 도 2와 또 도 13 내지 도 19에 표시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 (10),(55),(60),(65),(70)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유닛은 거의 같은 치수의 직방체 형상으로 되고 서로의 접속을 위한 단자의 위치 및 형상도 같게하여 호환성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여러가지 사양이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종류와 조합한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성능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쉽게 공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은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유닛화된 전류차단용의 차단유닛과,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유닛화 되고, 상기 차단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차단유닛을 모선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유닛과, 상기 접지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접지유닛을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은 각각 서로 감합해서 상기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과의 사이를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종의 유닛을 사양에 따라 쉽게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가 있고, 컴팩트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얻을 수가 있다.
(2) 또,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은 각각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를 갖는 몰드수지 절연체이다.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된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일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고정측 단자를 구성하는 고정측단자 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되어서 션트부를 형성하고, 타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가동측단자를 구성하는 가동측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될 수 잇는 절연로드와, 상기 절연로드에 접속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개폐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와, 상기 차단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가 서로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충전부인 션트부 배전반내에서 절연수지 중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소동물등이 고압충전부에 접촉해서 회로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고 폐쇄형 배전반에 절연가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상간절연, 대지절연 및 극간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별개의 절연물도 불필요 하다.
(3) 또, 상기 차단유닛, 상기 단로유닛 또는 상기 접지유닛은 수지몰드된 진공밸브가 3대 서로 병치되고 수지몰드된 개폐조작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3대의 진공밸브가 그리는 윤곽 외형선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직방체로되어 있으므로 각 유닛에 호환성이 부여되어 있다.
(4) 또,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접지유닛에 전기적이고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류경로를 개방하는 단로용의 단로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므로 단로유닛이 컴팩트하게 되고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단로기능을 부여할 수가 잇다.
(5) 또,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차단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2의 접지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접지유닛이 컴팩트하게되고 금속폐쇄형 배전반에 접지기능을 부여 할 수가 있다
(6) 또,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접지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류경로를 개방하는 단로용의 제2의 단로유닛과,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제2의 단로유닛에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3의 접지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로기능 및 접지기능이 보다 강화된다.
(7) 또, 상기 모선유닛에 접속된 상기 단로유닛은 분기단자를 가지고,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상기 단로유닛의 상기 분기단자에 접속된 분기유닛과, 상기 분기유닛에 접속되어서 상기 차단유닛을 모선에 접속하기 위한 제2의 모선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2중 모선도체방식을 채용할 수가 있다.
(8) 또, 상기 모선유닛은 3상분의 모선도체를 몰드수지 절연체로 3상 일괄몰드하고, 상기 모선도체의 일부를 노출시켜서 상기 단로유닛의 단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각 유닛이 컴팩트하게 되고 호환성이 부여되는동시에 부품점수가 적다.
(9) 또, 상기 케이블 접속부유닛은 3상분의 접속접촉도체를 몰드수지 절연체로 3상 일괄몰드로 하고, 일단에서 상기 접지유닛에 타단에서 케이블 접속부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각 유닛이 컴팩트하게되고 호환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부품수를 보다 적게할 수가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금속패쇄형 배전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에 따라 임의로 또 쉽게 구성할 수 있는 컴팩트한 금속폐쇄형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본 발명의 금속폐쇄형 배전반은 상(箱)체와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유닛화된 전류차단용의 차단유닛과,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유닛화되고, 상기 차단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차단유닛의 모선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유닛과 상기 접지유닛에 접속되어서 상기 접지유닛을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은 각각 서로 감합해 상기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 사이를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다.
(2)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은 각각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를 갖는 몰드수지를 갖는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된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일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고정측 단자를 구성하는 고정측 단자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되어 션트부를 형성하고, 하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가동측단자를 구성하는 가동측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가동전극에 연결하고, 타단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절연모드와, 상기 절연모드에 접속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개폐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와 상기 차단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가 서로 감합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차단유닛, 상기 단로유닛 또는 상기 접지유닛은 수지몰드된 진공밸브 3대가 나란히 병치되고 수지몰드된 개폐조작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조작장치의 외형은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3대의 진공밸브가 그리는 윤곽 외형선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대략 직방체라도 된다.
(4)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접지유닛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류경로를 개방하는 단로용의 단로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5)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차단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2의 접지유닛을 구비해도 된다.
(6)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접지유닛에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하고 전류경로를 개방하는 단로용의 제2의 단로유닛과,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의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제2의 단로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제3의 접지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7) 상기 모선유닛에 접속된 상기 단로유닛을 분기단자를 가지고,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상기 단로유닛의 상기 분기단자에 접속된 분기유닛과 상기 분기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차단유닛을 모선에 접속하기 위한 제2의 모선유닛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8) 상기 모선유닛은 3상분의 모선도체를 몰드수지 절연체로 3상 일괄몰드로하고, 상기 모선도체의 일부를 노출시켜서 상기 단로유닛의 단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도 된다.
(9) 상기 케이블 접속부 유닛은 3상분의 접속 접촉도체를 몰드수지 절연체로 3상 일괄몰드로하고, 일단에서 상기 접지유닛에 타단에서 케이블 접속부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공밸브는 수배전설비에서 사용되는 금속제 폐쇄 배전반으로 유용하다.

Claims (3)

  1.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 된 전류차단용의 차단유닛과,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차단유닛에 전기적이고 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에 접속되어서 상기 차단유닛을 모선에 접속하기 위한 모선유닛과, 상기 접지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접지유닛을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을 각각 서로 감합해서 상기 접지유닛과 상기 차단유닛 사이를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 및 상기 접지유닛은 각각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를 갖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몰드수지 절연체와,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내에 매설된 진공용기내에 설치된 고정전극 및 가동전극과 일단에서 상기 고정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고정측단자를 구성하는 고정측 단자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접속되어 션트부를 형성하고, 타단에서 상기 몰드수지 절연체의 상기 부분적 凹부 또는 凸부와 함께 가동측단자를 구성하는 가동측도체와, 일단에서 상기 진공용기내에서 상기 가동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개폐조작장치에 결합할 수 있는절연로드와, 상기 절연로드에 접속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의 축방향 투영형상과, 거의 같은 투영형상을 갖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개폐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와 상기 차단유닛의 상기 고정측단자 또는 상기 가동측단자가 서로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내에 지지되고 몰드수지 절연체로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유닛화되고 상기 접지유닛에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전류경로를 개방하는 단로용의 단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폐쇄형 배전반.
KR10-2004-7000032A 2002-04-12 2002-04-12 금속폐쇄형 배전반 Ceased KR20040013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690 WO2003088441A1 (en) 2002-04-12 2002-04-12 Metal closed type distribu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93A true KR20040013093A (ko) 2004-02-11

Family

ID=2922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032A Ceased KR20040013093A (ko) 2002-04-12 2002-04-12 금속폐쇄형 배전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6585B1 (ko)
JP (1) JPWO2003088441A1 (ko)
KR (1) KR20040013093A (ko)
CN (1) CN1528038A (ko)
TW (1) TW561656B (ko)
WO (1) WO2003088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312B2 (ja) * 2004-10-29 2010-07-28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気中モールド開閉器の配電箱における取り付け構造
FR2881571A1 (fr) * 2005-02-03 2006-08-04 Schneider Electric Ind Sas Appareil de protection electrique haute ou moyenne tension
JP5167672B2 (ja) * 2007-04-02 2013-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ES2343495B2 (es) 2007-07-09 2011-05-30 Ormazabal Distribucion Primaria, S.A. Modulo de corte y conexion.
JP5017015B2 (ja) * 2007-08-10 2012-09-05 株式会社東芝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5023138B2 (ja) * 2009-12-03 2012-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102035249B (zh) * 2010-11-24 2013-06-19 四川电力试验研究院 基于铁锂电池的变电站直流电源应急系统
JP5211147B2 (ja) * 2010-12-20 201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ギヤ
JP2014096914A (ja) * 2012-11-09 2014-05-22 Hitachi Ltd スイッチギヤまたはスイッチギヤ内の遮断器交換方法
CN103762507A (zh) * 2013-12-31 2014-04-30 盛道(中国)电气有限公司 低压开关柜的面板指示窗
JP6190442B2 (ja) * 2015-12-25 2017-08-30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1624B (de) * 1960-07-05 1964-01-23 Wickmann Werke Ag Schaltanlagen fuer Mittelspannungen nach dem Baukastenprinzip
CH322444A (de) * 1961-01-27 1957-06-15 Moser Glaser & Co Ag Metallgekapselte elektrische Hochspannungs-Schaltanlage
CH422109A (de) * 1963-08-07 1966-10-15 Siemens Ag Voll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JPS5355732U (ko) * 1976-10-15 1978-05-12
JPS5814406A (ja) 1981-07-18 1983-01-27 森 敬 集魚灯
JPH0272604U (ko) * 1988-11-15 1990-06-04
JPH0382309A (ja) * 1989-08-24 1991-04-08 Nissin Electric Co Ltd 配電盤
JPH05328545A (ja) * 1992-05-15 1993-12-10 Toshiba Corp スイッチギヤ
JPH09200916A (ja) * 1996-01-17 1997-07-31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3623333B2 (ja) * 1997-01-28 2005-02-23 株式会社東芝 受変電設備装置
JP3097661B2 (ja) * 1998-06-01 2000-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6585A4 (en) 2007-01-03
EP1496585A1 (en) 2005-01-12
JPWO2003088441A1 (ja) 2005-08-25
WO2003088441A1 (en) 2003-10-23
CN1528038A (zh) 2004-09-08
TW561656B (en) 2003-11-11
EP1496585B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9806B2 (en) Screened medium-voltage substation
JP2782474B2 (ja) 三位置開閉器を備えた負荷開閉設備
KR101123914B1 (ko) 캡슐화된 가스-절연식 개폐기 조립체
US8710388B2 (en) Switchgear and method for operating switchgear
JP4275365B2 (ja)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CN1825725B (zh) 真空开关装置
JP5452555B2 (ja) スイッチギヤ及びスイッチギヤの操作方法
CN88102677A (zh) 金属外壳内充高压气体的多相高压开关装置
CN101068070B (zh) 电气开关装置
KR20040013093A (ko) 금속폐쇄형 배전반
KR013638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010020865A (ko) 가스 봉입 개폐장치
CN102986100A (zh) 具有包括空气和屏栅的单相隔离的开关设备
US6175486B1 (en) Switch gear for medium voltage with separately connectable multiple phases
US20130201607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US7378759B2 (en) Disconnecting switch assembly
KR19980086690A (ko) 고전압 스위치기어 조립체
KR20010107685A (ko) 진공차단기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JPH04133218A (ja) 負荷開閉設備
JP2007028776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200463210Y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지장치
KR101633768B1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KR101831850B1 (ko) 25.8kv 바이패스 가변 내장형 부하 개폐기
JP2000285774A (ja) スイッチギ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