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3727Y1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27Y1
KR200383727Y1 KR20-2005-0004609U KR20050004609U KR200383727Y1 KR 200383727 Y1 KR200383727 Y1 KR 200383727Y1 KR 20050004609 U KR20050004609 U KR 20050004609U KR 200383727 Y1 KR200383727 Y1 KR 200383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suction muffler
cam
crankshaft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4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축실(3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작동유체를 압축실(33')로 공급하는 흡입머플러(3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펌핑플레이트(45)와, 상기 압축실(33')에 설치된 피스톤(32)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45)를 구동시키는 펌핑구동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핑구동기구는, 상기 크랭크축(2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크랭크축(20)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을 둘러 나선형 폐곡선의 캠채널(52)을 구비하는 구동캠(51)과, 상기 구동캠(51)의 캠채널(52)을 따라 일단부가 안내되어 승강되고 타단부에 상기 펌핑플레이트(45)에 연결되는 구동부(55)를 구비하는 연동로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에 의하면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극대화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높아지고, 특히 피스톤의 흡입행정에 맞춰 작동유체를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강제로 공급하므로 작동유체가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Pumping apparatus of suction muffler for herme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외부에서 흡입된 작동유체의 소음을 저감시켜 압축실로 전달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팅로드(8)와 연동되는 편심핀(5b)이 상기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6')이 구비된 실린더(6)가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압축실(6')에는 상기 크랭크축(5)의 편심핀(5b)과 커넥팅로드(8)로 연결된 피스톤(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흡입된 냉매의 소음을 저감시켜 상기 압축실(6')로 전달하는 흡입머플러(9)가 상기 압축실(6')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머플러(9)에는 흡입파이프(10)가 연결캡(11)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캡(11)과 흡입머플러(9)가 연결되는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연결캡(11)이 상기 흡입머플러(9)의 흡입부(9')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연결캡(11)에는 상기 흡입파이프(10)가 스프링관(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캡(11)은 그 선단부에 삽입걸림턱(11j)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9')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연결캡(11)의 삽입 정도를 규제하는 규제돌부(11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캡(11)의 후단부는 상기 규제돌부(11s)로부터 점차 넓어지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머플러(9)의 구성이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흡입머플러(9)의 하부를 베이스(9b)가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9b)는 내부에 베이스(9b)의 상부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고, 하단 일측에 별도로 제작된 흡입캡(9')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공간을 연통시킨다.
상기 베이스(9b)의 상단에는 커버(9c)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9c) 역시 내부에 그 하부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 일측에는 토출부(9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부(9e)는 상기 커버(9c)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9b)와 커버(9c)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격막파이프(9p)가 설치된다. 상기 격막파이프(9p)는 흡입머플러(9)의 내부를 구획함과 동시에 서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격막파이프(9p)를 구성하는 격막과 파이프가 각각 구획과 연통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2에는 흡입머플러(9) 내부를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경로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L은 압축기의 각 부품의 윤활과 냉각을 위한 오일이고, 도 13은 흡입머플러(9) 내부로 전달된 오일(L)을 배출하는 오일배출공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흡입머플러(9)에서는, 그 내부에 격막파이프(9p)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작동유체가 유동한다. 즉, 미리 정해진 유로를 따라 작동유체가 흡입머플러(9)의 내부를 유동하는데, 그 유동을 위한 원동력은 압축실(6')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흡입하는 힘 밖에 없다. 따라서, 소음측면에서 고려하면 작동유체가 압축실(6')에서 흡입하는 힘에 의해 정해진 유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특정 주파수에서 일정한 전달손실(Transimission Loss)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실(6')의 내부로 흡입되는 작동유체의 양을 최대화할 수 없어 압축실(6')의 탑 클리어런스(Top clearance)의 관리를 통해 데드볼륨(Dead volume)을 최소화하여 압축손실이 없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데드볼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미크론 단위의 관리가 필요하나, 데드볼륨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흡입밸브나 피스톤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양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의 흡입행정에 맞춰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작동유체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압축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작동유체를 압축실로 공급하는 흡입머플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펌핑플레이트와, 상기 압축실에 설치된 피스톤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펌핑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핑구동기구는,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크랭크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을 둘러 나선형 폐곡선의 캠채널을 구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캠채널을 따라 일단부가 안내되어 승강되고 타단부에 상기 펌핑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연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캠의 캠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로드중 상기 구동부가 구비되는 타단부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펌핑구동기구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에 의해 일단부가 승강되는 지렛대인 연동로드를 사용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로 전달한다.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흡입머플러의 오일배출구를 통해 흡입머플러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펌핑플레이트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에 의하면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극대화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높아지고, 특히 피스톤의 흡입행정에 맞춰 작동유체를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강제로 공급하므로 작동유체가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가 채용된 밀폐형 압축기의 개념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에서 크랭크축(20)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크랭크축(20)의 상단에는 크랭크축(20)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편심핀(22)이 구비된다. 상기 편심핀(22)은 크랭크축(20)의 회전에 의해 원주운동을 한다. 상기 편심핀(22)에 의한 크랭크축(20)의 회전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크랭크축(20)에는 균형추(24)가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부(28)의 하부로 돌출되게 오일피스(26)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피스(26)는 크랭크축(2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밀폐용기 바닥의 오일을 휘저어 크랭크축(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된 오일유로로 오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축(20)은 모터부(28)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모터부(28)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는데, 상기 크랭크축(20)은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고정자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은 커넥팅로드(30)에 의해 피스톤(32)으로 전달된다. 상기 피스톤(32)은 실린더(33) 내부의 압축실(33')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작동유체를 압축시킨다.
상기 실린더(33)의 압축실(33')로는 흡입머플러(34)를 통해 작동유체가 전달된다. 상기 흡입머플러(34)는 상기 압축실(33')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머플러(34)는 베이스(35)와 커버(36)가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35)와 커버(36)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격막파이프(38)에 의해 몇개의 공간으로 구획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작동유체가 각각의 공간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격막파이프(38)는 흡입머플러(34)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고 차례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으로, 반드시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35)의 일측 하부에는 흡입머플러(34) 내부의 공간으로 작동유체를 안내하는 흡입캡(4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캡(40)은 압축기의 밀폐용기 내부로 작동유체를 전달하는 흡입파이프와 연통된다. 상기 베이스(35)의 타측 하부에는 오일토출구(41)가 구비된다. 상기 오일토출구(41)는 작동유체와 함께 흡입머플러(34)의 내부로 들어온 오일을 흡입머플러(34)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일토출구(41)는 흡입머플러(34)의 중력방향 최하단에 있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3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흡입머플러(34)의 커버(36)에는 토출부(4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42)는 흡입머플러(34) 내부의 작동유체를 압축실(33')쪽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흡입머플러(34) 내부에는 펌핑플레이트(45)가 설치된다.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로드(53)의 구동부(55)에 의해 상기 흡입머플러(34) 내부의 공간에서 승강되어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사각형상의 판이나, 실제로는 펌핑플레이트(45)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과 연동되어 승강된다. 즉,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력에 의해 피스톤(30)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직선왕복운동되는데, 이에 맞춰 상기 펌핑플레이트(45)가 동작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펌핑구동기구(50)가 채용된다. 즉, 상기 크랭크축(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캠(51)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캠(51)은 상기 크랭크축(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일피스(26)의 외주면에 그 중심이 삽입된다. 상기 구동캠(51)의 외주면에는 캠채널(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채널(52)은 나선형의 폐곡선으로 된다. 참고로 도 5에는 캠채널(52) 전체를 보이기 위해 구동캠(51)을 펼쳐서 보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채널(52)의 제일 낮은 부분과 제일 높은 부분 사이의 거리가 상기 펌핑플레이트(45)의 행정거리(S)가 된다.
상기 캠채널(52)의 단면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채널(52)의 단면은 원형보다는 다각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채널(52)은 상기 구동캠(51)의 외주면으로 개구되는 입구부분이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캠(51)과 연동되도록 연동로드(53)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로드(53)는 상기 구동캠(51)과 펌핑플레이트(45)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45)를 구동한다. 상기 연동로드(53)중 상기 구동캠(51)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캠팔로워(54)가 구비된다. 상기 캠팔로워(54)는 상기 캠채널(52)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캠팔로워(54)는 상기 캠채널(52)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상기 캠팔로워(54)의 외면과 캠채널(52)의 내면에 코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내부의 오일이 상기 캠채널(52)의 내부로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로드(53)중 상기 펌핑플레이트(45)와 연동되는 부분에는 구동부(55)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55)는 상기 연동로드(53)의 동작에 의해 상기 펌핑플레이트(45)를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55)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로드(53)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연동로드(53)자체가 상기 구동캠(51)쪽에서 흡입머플러(34)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동로드(53)의 단부에 구동부(55)가 수직방향이 되지는 않는다.
상기 구동부(55)는 상기 흡입머플러(34)의 오일배출구(41)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펌핑플레이트(45)의 하면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55)가 구비된 연동로드(53)의 단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부재(5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56)가 없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55)가 구비된 쪽의 연동로드(53) 단부가 자중에 의해 처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기에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모터부부(28)에 의해 크랭크축(20)이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은 커넥팅로드(30)를 통해 피스톤(32)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32)은 압축실(33') 내에서 상사점(A)과 하사점(B)의 사이에서 직선왕복운동한다. 참고로, 상기 피스톤(32)이 상사점(A)에 있을 때에는 압축이 완료된 상태이고, 피스톤(32)이 하사점(B)에 있을 때에는 흡입이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 피스톤(32)이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이동하면, 압축실(33')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작동유체가 흡입머플러(34)에서 흡입밸브(도시되지 않음)을 거쳐 압축실(33')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피스톤(32)이 상사점(A)에 있어 압축이 완료되면, 상기 압축실(33') 내부의 작동유체는 토출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압축실(33')에서 빠져나간다.
한편, 상기 크랭크축(20)이 회전하면, 펌핑구동기구(50)에 의해 상기 펌핑플레이트(45)가 구동되면서, 작동유체를 흡입머플러(34)의 내부로 흡입하고 압축실(33')로 강제로 보내게 된다.
즉, 상기 크랭크축(20)의 하단부에 구비된 구동캠(51)이 크랭크축(2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캠팔로워(54)가 상기 구동캠(51)의 캠채널(5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연동로드(53)가 상하로 승강구동된다. 상기 연동로드(53)가 상하로 승강구동됨에 의해 상기 구동부(55)는 상기 펌핑플레이트(45)를 승강시키면서, 작동유체를 펌핑하게 된다.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상기 피스톤(32)이 하사점(B)에 있을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 즉, 피스톤(32)이 상사점(A)에서 하사점(B)으로 이동할 때,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상대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흡입머플러(34) 내부의 작동유체를 토출부(42)를 통해 압축실(3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상기 피스톤(32)이 상사점(A)에 있을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다. 즉, 피스톤(32)이 하사점(B)에서 상사점(A)으로 이동할 때, 상기 펌핑플레이트(45)는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흡입머플러(34) 내부로 작동유체가 유입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펌핑구동기구(50)로서 구동캠(51)과 연동로드(53)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크랭크축(20)의 회전에 따른 동력으로 펌핑플레이트(45)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연동로드(53)가 지렛대가 되고, 크랭크축(20)쪽에 상기 지렛대의 일단부를 크랭크축(20)의 회전위치에 따라 승강시킬 수 있는 구동캠을 두어 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펌핑플레이트가 흡입머플러의 내부에서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압축실로 전달하므로, 압축실로 전달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별도로 압축실 내부의 데드볼륨을 관리하지 않아도 압축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크랭크축의 회전에 연동해서 펌핑구동기구가 동작되어 펌핑플레이트를 동작시키므로, 작동유체를 압축실로 시간에 맞춰 강제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유체가 흡입머플러에서 압축실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어 압축기의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밀폐형 압축기의 개념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동캠의 캠채널을 펼쳐서 보인 전개도.
도 6a는 본 고안에서 펌핑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b는 본 고안에서 펌핑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크랭크축 22: 편심핀
24: 균형추 26: 오일피스
28: 모터부 30: 커넥팅로드
32: 피스톤 33: 실린더
33': 압축실 34: 흡입머플러
35: 베이스 36: 커버
38: 격막파이프 40: 흡입캡
41: 오일배출구 45: 펌핑플레이트
50: 펌핑구동기구 51: 구동캠
52: 캠채널 53: 연동로드
54: 캠팔로워 55: 구동부
56: 지지부재

Claims (5)

  1. 압축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작동유체를 압축실로 공급하는 흡입머플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체를 펌핑하는 펌핑플레이트와,
    상기 압축실에 설치된 피스톤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펌핑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구동기구는,
    상기 크랭크축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크랭크축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을 둘러 나선형 폐곡선의 캠채널을 구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캠채널을 따라 일단부가 안내되어 승강되고 타단부에 상기 펌핑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연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캠의 캠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캠팔로워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로드중 상기 구동부가 구비되는 타단부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구동기구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크랭크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에 의해 일단부가 승강되는 지렛대인 연동로드를 사용하여 상기 펌핑플레이트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흡입머플러의 오일배출구를 통해 흡입머플러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펌핑플레이트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KR20-2005-0004609U 2005-02-21 2005-02-2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83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09U KR200383727Y1 (ko) 2005-02-21 2005-02-2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09U KR200383727Y1 (ko) 2005-02-21 2005-02-2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27Y1 true KR200383727Y1 (ko) 2005-05-06

Family

ID=4368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0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3727Y1 (ko) 2005-02-21 2005-02-21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9B1 (ko) * 2008-03-04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머플러
CN116292312A (zh) * 2023-03-17 2023-06-23 广东美的环境科技有限公司 消声器、压缩机和空调器
EP4144990A4 (en) * 2021-03-31 2024-05-22 Anhui Meizhi Compressor Co., Ltd. AIR INTAKE SILENCER, COMPRESSOR AND HOUSEHOLD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79B1 (ko) * 2008-03-04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머플러
EP4144990A4 (en) * 2021-03-31 2024-05-22 Anhui Meizhi Compressor Co., Ltd. AIR INTAKE SILENCER, COMPRESSOR AND HOUSEHOLD APPLIANCE
CN116292312A (zh) * 2023-03-17 2023-06-23 广东美的环境科技有限公司 消声器、压缩机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494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
KR2003837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KR100816835B1 (ko)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01915968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030083367A (ko) 실린더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밀폐형 압축기
US20040086406A1 (en) Cylinder assembly for hermetic compressor
CN101278125B (zh) 可变容量压缩机
KR100871129B1 (ko) 밀폐형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오일공급구조
KR20070095484A (ko) 압축기
KR10054743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10085474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오일공급구조
KR10048777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100346399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158625Y1 (ko) 선형 압축기
KR10039595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00924389B1 (ko) 다중 압축기
KR10087113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200184072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JP2003293953A (ja) レシプロ式密閉型電動圧縮機
KR100340840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커버
KR20022498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편심핀 급유구조
KR20026447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 편심조절 구조
KR100577824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224996Y1 (ko)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기구부
KR20130142833A (ko)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2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2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122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