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9091Y1 -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91Y1
KR200379091Y1 KR20-2004-0036631U KR20040036631U KR200379091Y1 KR 200379091 Y1 KR200379091 Y1 KR 200379091Y1 KR 20040036631 U KR20040036631 U KR 20040036631U KR 200379091 Y1 KR200379091 Y1 KR 200379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tube
elastic coupling
resin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차순
Original Assignee
허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차순 filed Critical 허차순
Priority to KR20-2004-0036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9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관과 관을 연결시 상기한 탄성결합날개에 의해 관과 관이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되게 함은 물론 압착고무링에 의해 연결관 내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synthetic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관과 관을 연결시 상기한 탄성결합날개에 의해 관과 관이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되게 함은 물론 압착고무링에 의해 연결관 내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연결 방법을 보면 스텐레스 밴드를 이용하여 관과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과, 메시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 단부를 용융 접착시키는 전기 융착 방법과, 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체결부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체결 방법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관과 관을 연결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합성수지관 연결방법중 스텐레스 밴드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이 양단부는 별도의 연결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스텐레스 밴드를 체결하여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연결부위가 느슨하게 되어 관과 관이 서로 이탈되거나 수밀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과 관 단부를 용융접착하는 방법은 별도의 전기 융착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기기가 동원될 뿐 아니라,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하고 연결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과 관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법은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각각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다수 형성된 체결구멍에 일일이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기밀성이 불확실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관과 관을 연결시 상기한 탄성결합날개에 의해 관과 관이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되게 함은 물론 압착고무링에 의해 연결관 내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연결관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이 연결관의 끝단 좌우측에는 탄성홈을 형성하여 탄성결합날개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거나 벌어지게 하고, 이 탄성결합날개 양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편을 형성하여 연결관의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면 체결부재에 의해 탄성결합 날개가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히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이고,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단면도 이며,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0)(110)도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이 더욱 간편하게 연결되고, 연결된 합성수지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연결관(200)이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상기한 연결관(200)의 끝단 좌우측에는 탄성홈(210)을 형성하여 탄성결합날개(220)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거나 벌어지게 하고, 이 탄성결합날개(220) 양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편(230)을 형성하여 연결관(200)의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110)이 삽입되면 체결부재(240)에 의해 탄성결합날개(220)가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탄성결합날개(220) 외주면에는 탄성결합날개(220) 몸체 보다 두께가 얇은 휘어짐부(250)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연결시 상기한 탄성결합날개(220)가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한 탄성결합날개(220) 내벽에는 압착고무링(400)을 형성하여 연결관(200) 내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1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여기서, 연결관(200)에 형성되는 탄성결합날개(220)는 도면에서는 2개소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연결시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다수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미설명 부호 300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의 연결되는 부위를 수밀성 있게 밀폐하는 밀폐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지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합성수지관(100)이 사출 성형되면 상기한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탄성홈(210), 탄성결합날개(220), 결합편(230)을 갖는 연결관(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이때 사출 성형되는 장치나 방법은 통상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합성수지관(100)의 연결관(200) 내부에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단부를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240)로 결합편(230)을 나사 조임하면, 조임되는 결합편(230)에 의해 탄성결합날개(220)는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되기 때문에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때의 탄성결합날개(220)는 휘어짐부(250)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수축가능이 하다.
한편, 상기한 탄성결합날개(220)가 수축될 때 밀폐링(300)과 압착고무링(400)이 압착되는데, 이 밀폐링(300)은 연결부위를 밀실하게 차단하여 수밀성을 유지하는 역활을 수행하며, 압착고무링(400)은 연결관(200) 내부에 삽입된 합성수지관(110)의 외주면을 밀착 고정하여 합성수지관(11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결합날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고, 이 탄성결합날개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결합편에 체결볼트를 나사 결합하면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결합날개가 수축될 때 압축되는 밀폐링에 의해서는 수밀성이 유지되고, 압착고무링에 의해서는 합성수지관의 이탈이 방지되는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합성수지관 200 ; 연결관
210 ; 탄성홈 220 ; 탄성결합날개
230 ; 결합편 240 ; 체결부재
250 ; 휘어짐부 300 ; 밀폐링
400 ; 압착고무링

Claims (3)

  1.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연결관(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이 연결관(200)의 끝단 좌우측에는 탄성홈(210)을 형성하여 탄성결합날개(220)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거나 벌어지게 하고, 이 탄성결합날개(220) 양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결합편(230)을 형성하여 연결관(200)의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110)이 삽입되면 체결부재(240)에 의해 탄성결합날개(220)가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0) 외주면에 두께가 얇은 휘어짐부(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날개(220) 내벽에 각각 압착고무링(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20-2004-0036631U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31U KR200379091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31U KR200379091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91Y1 true KR200379091Y1 (ko) 2005-03-17

Family

ID=4368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63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091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2601A1 (en) Pipe coupling device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KR10078656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379091Y1 (ko)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JP2015068448A (ja) ドレンパイプの接続構造
KR101083327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KR20037909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200373000Y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식 연결장치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170004074U (ko) 수도배관 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20090024499A (ko) 파이프용 커넥터
KR100632780B1 (ko) 신장 수축을 수용하는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1478321B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