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9789Y1 - 관 밀봉구 - Google Patents

관 밀봉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789Y1
KR200179789Y1 KR2019980006023U KR19980006023U KR200179789Y1 KR 200179789 Y1 KR200179789 Y1 KR 200179789Y1 KR 2019980006023 U KR2019980006023 U KR 2019980006023U KR 19980006023 U KR19980006023 U KR 19980006023U KR 200179789 Y1 KR200179789 Y1 KR 200179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nd cap
pipe
seal
faste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677U (ko
Inventor
신용진
신진영
Original Assignee
신용진
신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진, 신진영 filed Critical 신용진
Priority to KR2019980006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78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78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관 밀봉구에서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나사부에 직접 접촉되어 부식에 의해 나사부가 취약해질 수 있고 녹으로 인해 분해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밀봉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일정 정도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디퓨저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끝단에 결합되어 소켓을 밀봉하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의 전단에 외삽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에 밀착되어 엔드 캡과 소켓 사이를 기밀시키는 압축링과, 상기 엔드 캡의 후단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엔드 캡을 소켓에 고정하는 체결구로 구성됨으로써,
소켓과 체결구의 나사 결합부에 유체가 닿지 않으므로 부식 염려가 감소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압축링에 의한 기밀 작용으로 밀봉 능력이 향상되며 밀봉 부재의 제조시 금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는 관 밀봉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 밀봉구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 밀봉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이용하여 공사를 실시할 때, 파이프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길이만큼 여러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구는 그 용도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는데, 본원은 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되어 파이프로부터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의 밀봉 부재에 관한 고안이다.
파이프의 끝단은 밀봉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 끝단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밀봉 부재(12)를 파이프(11) 끝단에 나사 결합시켜 파이프(11)를 밀봉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11)를 흐르는 유체는 상기 밀봉 부재(12)에 의해 차단되어 파이프(11)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관 밀봉구의 경우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나사부에 직접 접촉되므로 나사부가 부식에 의해 취약해질 수 있고 녹으로 인해 분해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밀봉 능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밀봉 부재용 금형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소켓과 밀봉 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끝단을 밀봉하도록 함으로써 나사부의 부식 우려가 없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밀봉 능력이 우수한 관 밀봉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 밀봉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관 밀봉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관 밀봉구를 이용하여 관을 밀봉할 때 관의 끝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소켓 50' : 스토퍼
51 : 엔드 캡 51a : 본체부
51b : 전단 51c : 후단
52 : 압축링 53 : 체결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일정 정도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디퓨저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끝단에 결합되어 소켓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의 전단에 외삽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에 밀착되어 엔드 캡과 소켓 사이를 기밀시키는 압축링과, 상기 엔드 캡의 후단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엔드 캡을 소켓에 고정하는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관 밀봉구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일정 정도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디퓨저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소켓(50)과, 상기 소켓(50)의 끝단에 결합되어 소켓(5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엔드 캡(51)과, 상기 엔드 캡(51)의 전단(51b)에 외삽되고 상기 소켓(50)의 테이퍼면에 밀착되어 엔드 캡(51)과 소켓(50) 사이를 기밀시키는 압축링(52)과, 상기 엔드 캡(51)의 후단(51c)이 삽입되는 구멍(53')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50)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엔드 캡(51)을 소켓(50)에 고정하는 체결구(53)로 구성된다.
상기 엔드 캡(51)은 상기 소켓(50)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원판형의 본체부(51a)와, 상기 본체부(51a)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켓(50)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전단(51b)과, 상기 본체부(51a)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53)의 구멍(53')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후단(51c)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소켓(50)의 나사부에 끝 부분에는 스토퍼(50')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53)의 지나친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 밀봉구는 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게 된다.
파이프(미 도시)의 끝단을 밀봉할 필요가 있을 경우 파이프와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소켓(50)을 파이프에 결합시킨다. 또, 체결구(53)의 구멍(53')에 엔드 캡(51)의 후단(51c)을 삽입시켜 엔드 캡(51)이 흔들리지 않게 하고, 엔드 캡(51)의 전단(51b)에는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된 압축링(52)을 끼운다.
이후, 소켓(50)의 개구에 상기 엔드 캡(51)의 전단(51b)을 위치시키고 체결구(53)를 소켓(50)과 나사 결합시키면, 압축링(52)이 엔드 캡(51)의 전단(51b)과 소켓(50)의 테이퍼면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둘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구(53)와 소켓(50)을 나사 결합시키면 체결구(53)의 전진에 따라 엔드 캡(51)이 전진하게 되는데, 엔드 캡(51)이 전진함에 따라 소켓(50)의 내경과 엔드 캡(51)의 전단(51b) 외경 사이의 편차가 감소되므로 압축링(52)이 압축되면서 둘 사이를 기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50)의 나사부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50')는 상기 체결구(53)의 지나친 전진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관 밀봉구는 소켓과 체결구의 나사 결합부에 유체가 닿지 않으므로 부식 염려가 감소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압축링에 의한 기밀 작용으로 밀봉 능력이 향상되며 밀봉 부재의 제조시 금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일정 정도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디퓨저 형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소켓과, 상기 소켓의 끝단에 결합되어 소켓을 밀봉하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의 전단에 외삽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에 밀착되어 엔드 캡과 소켓 사이를 기밀시키는 압축링과, 상기 엔드 캡의 후단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과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엔드 캡을 소켓에 고정하는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밀봉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소켓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원판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통형의 전단과, 상기 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의 구멍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후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밀봉구.
KR2019980006023U 1998-04-16 1998-04-16 관 밀봉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23U KR200179789Y1 (ko) 1998-04-16 1998-04-16 관 밀봉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23U KR200179789Y1 (ko) 1998-04-16 1998-04-16 관 밀봉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77U KR19990039677U (ko) 1999-11-15
KR200179789Y1 true KR200179789Y1 (ko) 2000-05-01

Family

ID=1953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02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789Y1 (ko) 1998-04-16 1998-04-16 관 밀봉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7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54B1 (ko) 2010-03-12 2012-06-20 김명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660B1 (ko) * 2008-10-02 2010-07-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실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54B1 (ko) 2010-03-12 2012-06-20 김명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77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583A (en) Surgical connector
KR20050062560A (ko) 파이프용 접속 장치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KR200346945Y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211198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36479Y1 (ko) 원터치식배관연결장치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KR200191230Y1 (ko) 합성수지 관체의 접속구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JPS598065Y2 (ja) 超高圧流体継手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373381Y1 (ko) 파이프 조인트
KR101435576B1 (ko) 부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KR102263217B1 (ko) 스마트 니플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0515135B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930004991Y1 (ko)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269745Y1 (ko) 메타폴 관의 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4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2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