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9090Y1 -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90Y1
KR200379090Y1 KR20-2004-0036630U KR20040036630U KR200379090Y1 KR 200379090 Y1 KR200379090 Y1 KR 200379090Y1 KR 20040036630 U KR20040036630 U KR 20040036630U KR 200379090 Y1 KR200379090 Y1 KR 200379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tube
resin pipe
elastic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차순
Original Assignee
허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차순 filed Critical 허차순
Priority to KR20-2004-0036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9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이 탄성결합날개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탄성결합날개를 조임밴드로 조임되게 함으로써, 간편하고 긴밀하게 관과 관이 연결되게 하고 연결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구조{synthetic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이 탄성결합날개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탄성결합날개를 조임밴드로 조임되게 함으로써, 간편하고 긴밀하게 관과 관이 연결되게 하고 연결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연결 방법을 보면 스텐레스 밴드를 이용하여 관과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과, 메시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 단부를 용융 접착시키는 전기 융착 방법과, 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체결부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체결 방법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관과 관을 연결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중 스텐레스 밴드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이 양단부는 별도의 연결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스텐레스 밴드를 체결하여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연결부위가 느슨하게 되어 관과 관이 서로 이탈되거나 수밀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과 관 단부를 용융접착하는 방법은 별도의 전기 융착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기기가 동원될 뿐 아니라,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하고 연결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관과 관에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법은 합성수지관의 양단부에 각각의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다수 형성된 체결구멍에 일일이 체결볼트와 너트를 나사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기밀성이 불확실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를 일체로 사출 형성한 후, 이 탄성결합날개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탄성결합날개를 조임밴드로 조임되게 함으로써, 간편하고 긴밀하게 관과 관이 연결되게 하고 연결부위의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연결관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이 연결관의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탄성홈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와, 상기 연결관 내부에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연결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위치하여 탄성결합날개를 조임하여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연결되게 하는 조임밴드와, 상기 조임밴드가 연결관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관 단부에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0)(110)도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이 더욱 간편하고 긴밀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연결관(200)과, 상기 연결관(200)에 결합되는 조임밴드(3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상기한 연결관(200)의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탄성홈(210)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220)와, 조임밴드(300)가 연결관(20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관 단부에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240) 및 조임밴드(300)가 위치하는 걸림홈(2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결합날개(220)는 나팔관 처럼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형성하여, 관과 관을 연결시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조임밴드(300)는 연결관(200) 내부에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단부가 삽입되면 연결관(20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30)에 위치하여 탄성결합날개(220)를 조임하여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긴밀하게 연결되게 하는 역활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관(200)에 형성되는 탄성결합날개(220)는 도면에서는 3개소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연결시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 4개소 이상 다수개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미설명 부호 400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의 연결되는 부위를 긴밀하게 밀폐하는 밀폐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지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합성수지관(100)이 사출 성형되면 상기한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탄성홈(210), 탄성결합날개(220), 걸림홈(230), 걸림턱(140)을 갖는 연결관(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이때 사출 성형되는 장치나 방법은 통상 사용되는 기술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합성수지관(100)의 연결관(200) 내부에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단부를 삽입하면 상기한 합성수지관(110)은 탄성결합날개(220)가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삽입된다.
이후 조임밴드(300)를 걸림홈(230)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조임밴드(300)의 양단부를 별도의 체결부재로 나사 조임하면, 조임되는 조임밴드에 의해 탄성결합날개(220)는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외주면에 완전밀착되어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탄성결합날개(230)가 수축될 때 밀폐링(400)도 압착되면서 연결부위를 밀실하게 차단하는 것이며,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00)이 서로 연결된 후에는 걸림턱(240)에 의해 조임밴드(300)가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인 연결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관의 한쪽 단부에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고, 이 탄성결합날개 내부로 다른 합성수지관의 단부가 삽입되면 탄성결합날개를 조임밴드로 조임하면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이 간편하고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임밴드가 탄성결합날개를 조임시 밀폐링도 압축되기 때문에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합성수지관 200 ; 연결관
210 ; 탄성홈 220 ; 탄성결합날개
230 ; 걸림홈 240 ; 걸림턱
300 ; 조임밴드 400 ; 밀폐링

Claims (1)

  1.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0)의 좌,우측 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부에 연결관(2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이 연결관(200)의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탄성홈(210)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되고 벌어지는 탄성결합날개(220)와, 상기 연결관(200) 내부에 다른 합성수지관(110)의 단부가 삽입되면 연결관(20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30)에 위치하여 탄성결합날개(220)를 조임하여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10)을 긴밀하게 연결되게 하는 조임밴드(300)와, 상기 조임밴드(300)가 연결관(20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관(200) 단부에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2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2004-0036630U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30U KR200379090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630U KR200379090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90Y1 true KR200379090Y1 (ko) 2005-03-18

Family

ID=4368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63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79090Y1 (ko) 2004-12-23 2004-12-23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90B1 (ko) 2010-12-28 2013-04-18 이주형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90B1 (ko) 2010-12-28 2013-04-18 이주형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KR20037909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KR101083327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KR200379091Y1 (ko)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73000Y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식 연결장치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632780B1 (ko) 신장 수축을 수용하는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80038Y1 (ko) 편수관의 관이음구
KR200372741Y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290817Y1 (ko) 새들분수전의 분기관 접속구조
WO2014118769A1 (en) Pipe clamp
KR20050102589A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48203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60095009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859596B1 (ko) 파이프용 수밀을 위한 연결구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