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7130Y1 -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 Google Patents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30Y1
KR200377130Y1 KR20-2004-0034258U KR20040034258U KR200377130Y1 KR 200377130 Y1 KR200377130 Y1 KR 200377130Y1 KR 20040034258 U KR20040034258 U KR 20040034258U KR 200377130 Y1 KR200377130 Y1 KR 200377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ush rod
tubular body
rod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은금속
Priority to KR20-2004-0034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1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25Rust- or corrosion-pre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인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설치한 푸시로드장치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드럼형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슈(3)에 결합되는 포크(11)가 형성된 관체(12)와, 관체(12)에 형성된 나사공(13)에 결합되는 나사봉(15)과, 브레이크슈(3)에 결합하도록 나사봉(15)에 결합하는 포크(16)와, 나사봉(15)에 일체 형성한 래치트(14)와 결합하도록 브레이크슈(3)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도록 고정한 지지구(17)를 포함하는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관체(12)의 선단에 관체(12)의 직경보다 작은 축소관(12a)을 형성하고 축소관(12a)의 내측에 나사공(13)을 형성하여 내부에 중공부(18)를 형성하고 오일을 충진 하도록 한 것으로서, 제조 과정에서 공구파손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생산성 향성, 제조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사용상에 있어서도 중공부(18)에 다량의 오일을 충진 함으로 해서 나사공(13)과 나사봉(15)이 녹 발생에 의해 고착될 염려가 없으므로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브레이크 라이닝(3c) 마모 보상을 확실하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A push rod device of drum type Brake }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인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설치한 푸시로드장치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하여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게 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주행 중 또는 정지 시에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주로 마찰력을 이용한 마찰식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
마찰식 브레이크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 패드를 양쪽으로부터 조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형(Disk Type)과, 휠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재를 부착한 브레이크슈를 안쪽으로부터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형(Drum Type) 등이 있다.
후자인 드럼형 브레이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허브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드럼(2) 내측으로 웨브(web)(3a)의 바깥측에 형성된 림(rim)(3b)에 브레이크 라이닝(3c)을 부착한 마주보는 한 쌍의 브레이크슈(3)를 배치하여 일단을 백 플레이트(4)에 앵커핀(5)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앵커핀(5)과 반대측에는 백 플레이트(4)에 고정되어 있는 휠 실린더(6)의 양단을 결합하여 휠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슈(3)가 앵커핀(5)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며, 상기 휠 실린더(6)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브레이크슈(3)를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도록 양측 브레이크슈(3)에는 복수의 복원스프링(7)을 설치하며 또한 양측 브레이크슈(3) 사이에는 브레이크 라이닝(3c)의 마모량만큼 브레이크슈(3)를 외향 회동시키는 푸시로드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슈(3)에 결합되는 포크(11)가 형성된 관체(12)에 나사공(13)을 형성하고, 이에는 래치트(14)가 일측으로 형성된 나사봉(15)을 결합하고, 나사봉(15) 외측으로는 브레이크슈(3)에 결합되는 포크(16)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래치트(14)에는 브레이크슈(3)에 스프링 지지되도록 고정된 지지구(17)를 배치하여 휠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양측 브레이크슈(3)가 바깥측으로 벌어질 때 브레이크 라이닝(3c)의 마모량만큼 나사봉(15)을 회전시켜 브레이크 라이닝(3c)과 브레이크 드럼(2)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푸시로드장치(10)는 구성에 있어서 매우 중대한 결함이 있다. 즉, 나사공(13)의 경우 관체(12)의 입구측에서 내부 깊숙이까지 형성하여야 하는바 나사공(13) 형성 중 공구(탭)의 파손율이 많아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나사봉(15) 전체가 나사공(13)에 결합되므로 작동성이 떨어지며, 나사공(13)의 내부까지 도금이 어려워 녹발생률이 높고 그로 인해 나사봉(15)이 나사공(13)에 고착될 경우 작동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던바, 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푸시로드장치(10)의 구조적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드럼형 브레이크(1)의 부시로드장치(10)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나사봉(15)이 결합되는 관체(12)의 선단부에만 나사공(13)을 형성하여 내부를 중공되게 함으로 해서 제조가 쉽고, 내부에 다량의 오일을 충진하여 녹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푸시로드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푸시로드장치(10)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종래와 동일부재에 대한 부호설명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휠 허브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드럼(2) 내측으로 웨브(web)(3a)의 바깥측에 형성된 림(rim)(3b)에 브레이크 라이닝(3c)을 부착한 마주보는 한 쌍의 브레이크슈(3)를 배치하여 일단을 백 플레이트(4)에 앵커핀(5)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앵커핀(5)과 반대측에는 백 플레이트(4)에 고정되어 있는 휠 실린더(6)의 양단을 결합하며, 양측 브레이크슈(3)에는 복수의 복원스프링(7)과, 브레이크 라이닝(3c)의 마모량만큼 브레이크슈(3)를 외향 회동시키는 푸시로드장치(10)를 설치한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0)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드럼형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슈(3)에 결합되는 포크(11)가 형성된 관체(12)와, 관체(12)에 형성된 나사공(13)에 결합되는 래치트(14)가 일측으로 형성된 나사봉(15)과, 브레이크슈(3)에 결합하도록 나사봉(15)에 결합하는 포크(16)와, 상기 브레이크슈(3)에 고정된 래치트(14)에 대응하는 지지구(17)를 포함하는 구성의 푸시로드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관체(12)의 선단에 냉간 단조 등의 방법으로 관체(12)의 직경보다 작은 축소관(12a)을 형성하고 축소관(12a)의 내측에 나사공(13)을 형성하여 내부에 중공부(18)를 만들고, 중공부(18)에는 오일을 충진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0)는 브레이크 라이닝(3c)의 마모에 따라 브레이크슈(3)를 외향 회동시켜 브레이크 라이닝(3c) 마모를 보상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푸시로드장치(10)를 구성하는 관체(12)의 선단에 관체(12)의 직경보다 소직경의 축소관(12a)을 형성하고 축소관(12a)에 나사공(13)을 형성하면 되므로 나사공(1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구의 파손 없이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나사공(13) 내측의 중공부(18)에 오일을 충진한 상태에서 나사봉(15)을 조립하게 되므로 내부에 녹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나사공(13)과 나사봉(15)이 녹에 의해 고착될 염려가 없으므로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0)는 관체(12)의 선단부에 축소관(12a)을 형성하고 이에 나사공(13)을 형성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제조 과정에서 공구파손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생산성 향성, 제조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사용상에 있어서도 중공부(18)에 다량의 오일을 충진 함으로 해서 나사공(13)과 나사봉(15)이 녹 발생에 의해 고착될 염려가 없으므로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브레이크 라이닝(3c) 마모 보상을 확실하게 수행하게 되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제공하는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도 1은 드럼형 브레이크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푸시로드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푸시로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푸시로드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드럼형 브레이크 2:브레이크 드럼
3:브레이크슈 3a:웨브(web)
3b:림(rim) 3c:브레이크 라이닝
4:백 플레이트 5:앵커핀
6:휠 실린더 7:복원스프링
10:푸시로드장치 11,16:포크
12:관체 12a:축소관
13:나사공 14:래치트
15:나사봉 17:지지구
18:중공부

Claims (2)

  1. 드럼형 브레이크(1)의 브레이크슈(3)에 결합되는 포크(11)가 형성된 관체(12)와, 관체(12)에 형성된 나사공(13)에 결합되는 나사봉(15)과, 브레이크슈(3)에 결합하도록 나사봉(15)에 결합하는 포크(16)와, 나사봉(15)에 일체 형성한 래치트(14)와 결합하도록 브레이크슈(3)에 스프링 지지되게 고정한 지지구(17)를 포함하는 드럼형 브레이크(1)의 푸시로드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관체(12)의 선단에 관체(12)의 직경보다 작은 축소관(12a)을 형성하고 축소관(12a)의 내측에 나사공(13)을 형성하여 관체(12) 내부에 중공부(1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8)에는 오일을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KR20-2004-0034258U 2004-12-02 2004-12-02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KR200377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58U KR200377130Y1 (ko) 2004-12-02 2004-12-02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58U KR200377130Y1 (ko) 2004-12-02 2004-12-02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30Y1 true KR200377130Y1 (ko) 2005-03-08

Family

ID=4367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58U KR200377130Y1 (ko) 2004-12-02 2004-12-02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4230B2 (ja) ドラッグが縮小するブレーキキャリパ用パッドライナ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5832473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
KR200377130Y1 (ko) 드럼형 브레이크의 푸시로드장치
RU2628555C2 (ru) Тормозная колодка для барабанного тормоза и узел тормоза
JP471842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8708111B2 (en) Disk brake equipped reduced-size yoke
JP5363388B2 (ja) ドラムブレーキのブレーキパネル構造
JP5587876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支持構造
JPH11182593A (ja) デュオサーボ型ドラムブレーキ装置
EP3597955A1 (en) Clutch device and brake device
KR20110056624A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저스트 조립체
JP453229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200024532A (ko) 드럼 브레이크
CN222229236U (zh) 一种间隙调整的鼓式制动器
JP5087645B2 (ja) ピンレールキャリパを有する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272497B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트 조립체
KR100435198B1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100457090B1 (ko) 차량의 드럼식 브레이크장치
JPH0650661Y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対向多ポット型キャリパ
WO2007069075A3 (en) Drum brakes
JP5653168B2 (ja) デュオサーボ式ドラムブレーキ
JPH0113133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キャリバ支持・取付け装置及びホイールブレーキ
WO2014162355A1 (ja) ドラムブレーキ
KR20070036281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3100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06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