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71963Y1 - 조리기구판 - Google Patents

조리기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63Y1
KR200371963Y1 KR20-2004-0029536U KR20040029536U KR200371963Y1 KR 200371963 Y1 KR200371963 Y1 KR 200371963Y1 KR 20040029536 U KR20040029536 U KR 20040029536U KR 200371963 Y1 KR200371963 Y1 KR 200371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cooking
distance
u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춘옥
Original Assignee
양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춘옥 filed Critical 양춘옥
Priority to KR20-2004-0029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63Y1/ko
Priority to KR1020040110246A priority patent/KR100504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63Y1/ko
Priority to PCT/KR2005/001652 priority patent/WO2006043741A1/en
Priority to JP2007537791A priority patent/JP4747373B2/ja
Priority to US11/577,403 priority patent/US20070256570A1/en
Priority to CNA2005800355991A priority patent/CN101072526A/zh
Priority to GB0520933A priority patent/GB2419273A/en
Priority to BRPI0504654-8A priority patent/BRPI0504654A/pt
Priority to PE2005001229U priority patent/PE20060208Z/es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나 야채 및 곡류등을 굽거나 끓여 조리하는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거나 담을 수 있는 그릇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단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이루는 밀폐부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는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밀접하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가열부와,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완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을 기준으로 가열부와의 간격이 상기 완충부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이루어진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한 밀폐공간이 있는 공기가 자연대류에 의하여 간접가열되는 방식이나,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음식물등을 조리하는 상부판의 상면의 표면온도가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밀폐공기가 있는 밀폐부를 마련하되,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밀접하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가열부와,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완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을 기준으로 가열부와의 간격이 상기 완충부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상부판의 표면온도를 더욱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오랜 조리시간에도 상부판에 위치한 음식물들이 타지 않는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기구판{ COOKING PAN }
본 발명은 고기나 기타 다양한 음식물등을 굽거나 끓여 조리하는 후라이팬, 냄비, 밥솥, 불판등의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거나 담을 수 있는 그릇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단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이루는 밀폐부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는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가 위치하는 곳에 형성된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와 가열부사이에 마련된완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과 가열부와의 간격이 상기 상부판과 완충부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이루어진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 팬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판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가열불꽂이 가열판의 하단부을 직접 가열시키며, 직접 닿은 부분이 우선 가열된 후에 전도에 의하여 가열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열판위에 놓여져 있는 고기나 음식물등이 굽혀지거나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열판의 하단부를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익히거나, 특히 고기를 익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고기나 기타 음식물이 지나치게 익히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태우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연기가 발생하여 유해한 공기환경을 조성하며, 태워진 고기나 음식물등은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고기나 야채를 굽거나 끓여 조리하는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판에 조리할 음식물등이 올려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배면부에 안착되어 일정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하부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판의 배면부가 가열되면서, 상기 하부판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있는 공기가 자연대류에 의하여 가열되고, 그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상부판을 가열하면서 상부판에 있는 고기나 기타 음식물이 항상 타지 않는 열적조건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음식물의 종류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적정한 조리온도를 이루고자 하는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부판의 하단을 매우 높은 온도로 장시간 가열할지라도 상기 상부판의가열이 대부분 자연대류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상부판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음식물이 타지 않게 되는 조리기구판을 불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종래기술의 조리기구판은 상기 상부판(1)의 배면부에 안착된 하부판(6)으로 인하여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인하여 필요한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며, 상부판(1)의 표면온도가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상기 하부판(6)의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5)가 하부판(6)의 표면적에 균일하게 분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고기나 야채등 다양한 음식물을 굽거나 끓여 조리하는 프라이팬, 냄비, 밥솥, 불판등의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조리기구판의 상부판을 기준으로 가열부와의 간격이 상기 완충부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마련하여,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가 밀접하게 형성된 상부판과, 상대적으로 거리가 이격되도록 형성된 완충부를 마련하여, 조리기구판의 밀폐공간의 면적을 다르게 형성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은 상부판의 하단을 매우 높은 온도로 장시간 가열할지라도 상기 상부판의 가열이 대부분 자연대류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상부판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음식물이 타지 않게 되는 조리기구판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종래의 조리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대폭 감소하여, 쾌적한 조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상부판의 표면온도가 보다 균일하도록 형성되어 최적의 조리환경을 조성하는 조리기구판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기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판을 나타낸 도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리기구판을 나타낸 도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상부판 2 : 가열부
3 : 완충부 4 : 밀폐부
5 : 가열공급부 6: 하부판
7: 수증기 유입구 8: 수증기 유출구
본 고안은 고기나 야채 및 곡류등을 굽거나 끓여 조리하는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거나 담을 수 있는 그릇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하단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이루는 밀폐부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는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밀접하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가열부와,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완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을 기준으로 가열부와의 간격이 상기 완충부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이루어진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대하여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판을 나타낸 도시도로서, 본 고안은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는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거나 담을 수 있는 그릇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과, 상기 상부판(1)의 하단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이루는 밀폐부(4)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4)는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5)의 거리와 밀접하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가열부(2)와,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5)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완충부(3)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1)의 하면을 기준으로 가열부(2)와의간격이 완충부(3)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이루어진 조리기구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밀폐공기가 있는 밀폐부를 마련하되, 그 하부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의 위치와 밀접하게 위치한 밀폐부와, 가열공급부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완충부를 각각 형성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상부판의 표면온도를 더욱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오랜 조리시간에도 상부판에 위치한 음식물들이 타지 않는 조리기구판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한 밀폐공간이 있는 공기가 자연대류에 의하여 간접가열되는 방식이나,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음식물등을 조리하는 상부판의 상면의 표면온도가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조리기구판의 밀폐부의 하단에 마련된 가열부(2)와 상기 완충부(3)가 상기 상부판(1)의 하면을 기준으로 다르도록 마련하여 각각의 밀폐공간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다르게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본 고안의 가열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기구판의 하단에 마련된 가열공급부(5)에 의하여 상기 가열공급부(5)의 상측에 마련된 가열부(2)의 밀폐공간에 있는 공기는 가열되며, 가열된 공기는 대류현상에 의하여 상부판(1)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킴으로서, 상부판(1)의 올려진 음식물등이 조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완충부(3)내의 공기는 가열공급부(5)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그 내부의 공기는 상기 가열부(2)내의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덜 가열되면서 상기 가열부(2)의 가열된 공기와 혼합되면서, 상기 완충부(3)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판(1)을 대류현상에 의하여 가열시키는 것이다.
상기 완충부(3)의 하단면보다 상기 가열부(2)의 하단면이 각각의 하단면에 위치한 가열공급부(5)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밀접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로 인하여 가열부(2)내의 공기는 상기 완충부(3)내의 공기보다 더욱 가열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완충부(3)내의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균일한 밀폐공간을 형성한 도 1의 조리기구판보다 상대적으로 밀폐공간이 축소되어 조리시간이 단축되며, 뜨거운 밀폐공기가 가열부(2)에서 완충부(3)로 서로 이동하며, 가열됨으로 인하여 상부판(1)의 하면의 표면온도가 더욱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로서, 도 2에 보는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2)와 완충부(3)의 형상을 원형 으로 마련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보는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2)와 완충부(3)를 방사상 형상으로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가열부(2)와 완충부(3)는 상대적으로 요철형상을 이루어지며, 이는 동일한 가열용량을 기준으로 전열면적의 증가로 인한 열효율이 증가되어 에너지 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밀폐부(4)의 일측에 수증기 유입구(7)를 마련하고, 타측에 수증기 유츨구(8)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가열공급부(5)로 인하여 밀폐부(4)내의 공기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수증기를 밀폐부(4)내로 공급하여 밀폐부(4)의 공기를 동시에 가열시켜, 조리시간을 단축하도록 함에 있다.
더 나아가, 가열공급부(5)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외부의 수증기 온도만으로 밀폐부(4)내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것으로서, 가열공급부(5)로 인한 가열은 직접적인 열접촉에 의하여 상부판(1)을 가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에 비하여, 수증기의 온도만으로 상부판(1)을 가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판(1)의 표면온도가 더욱 균일하게 분포하며, 음식물이 타지 않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판은 상부판의 배면부에 위치한 가열부와 완충부에 각각 다른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가열부내의 공기와 완충부내의 공기가 서로 다른 공기에너지를 가지며 상호 보완되면서 가열됨으로 인하여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자연대류로 가열하도록 함으로서, 상부판의 온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그 내부에 위치한 고기나 음식물을 태우지 않도록 조리할 수 있으며, 가열면의 하부판을 요철형상으로 마련하여, 열교환면적을 증가시켜, 동일한 가열용량에 따른 열효율을 증가시켜, 더욱 신속한 조리시간을 제공하여 쾌적한 조리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는 조리기구판에 있어서,
    고기나 다양한 음식물등을 조리하거나 담을 수 있는 그릇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과,
    상기 상부판(1)의 하단에 일정한 밀폐공간을 이루는 밀폐부(4)를 형성하되, 상기 밀폐부(4)는 그 하단에 마련된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5)의 거리와 밀접하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가열부(2)와, 가열장치의 가열공급부(5)의 거리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곳에 마련된 완충부(3)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1)의 하면을 기준으로 가열부(2)와의 간격이 완충부(3)와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와 완충부(3)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와 완충부(3)는 방사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판.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부(4)의 일측에 수증기 유입구(7)를 마련하고, 타측에 수증기 유출구(8)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판.
KR20-2004-0029536U 2004-10-19 2004-10-19 조리기구판 Expired - Lifetime KR200371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36U KR200371963Y1 (ko) 2004-10-19 2004-10-19 조리기구판
KR1020040110246A KR100504011B1 (ko) 2004-10-19 2004-12-22 조리기구
CNA2005800355991A CN101072526A (zh) 2004-10-19 2005-06-02 烹调工具
JP2007537791A JP4747373B2 (ja) 2004-10-19 2005-06-02 調理容器
PCT/KR2005/001652 WO2006043741A1 (en) 2004-10-19 2005-06-02 Cooking implement
US11/577,403 US20070256570A1 (en) 2004-10-19 2005-06-02 Cooking Implement
GB0520933A GB2419273A (en) 2004-10-19 2005-10-14 Avoiding overheating of cooking utensil
BRPI0504654-8A BRPI0504654A (pt) 2004-10-19 2005-10-17 implemento para cozinhar
PE2005001229U PE20060208Z (es) 2004-10-19 2005-10-19 Implemento de cocina que previene el sobrecalentamien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36U KR200371963Y1 (ko) 2004-10-19 2004-10-19 조리기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63Y1 true KR200371963Y1 (ko) 2005-01-14

Family

ID=354517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36U Expired - Lifetime KR200371963Y1 (ko) 2004-10-19 2004-10-19 조리기구판
KR10200401102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011B1 (ko) 2004-10-19 2004-12-22 조리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2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011B1 (ko) 2004-10-19 2004-12-22 조리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747373B2 (ko)
KR (2) KR200371963Y1 (ko)
CN (1) CN101072526A (ko)
BR (1) BRPI0504654A (ko)
GB (1) GB2419273A (ko)
PE (1) PE20060208Z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284941B1 (ko) 2012-09-11 2013-07-10 장상윤 공기수용체 구비된 조리기구
CN107811519A (zh) * 2016-09-14 2018-03-2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温度感测装置和烹饪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7859B (zh) * 2009-10-26 2011-12-14 侯军华 一种明火加热容器的节能环保装置
CA2881446A1 (en) * 2012-02-28 2013-09-06 Hideki Watanabe Cooking utensil for heating and adapter for cooking utensil for heating
CN104473563B (zh) * 2014-11-21 2016-08-24 吴江市格瑞福金属制品有限公司 导热盘
KR101986822B1 (ko) * 2017-12-11 2019-06-10 오정근 불판구이용 다용도 구이판
KR102291876B1 (ko) * 2019-12-20 2021-08-20 주식회사 제이온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AT525168B1 (de) * 2021-08-12 2023-01-15 Franz Leibetseder Dipl Ing Walter Kochgeschirr für ein Induktionskochfel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157A (en) * 1892-11-15 Culinary utensil
US2782782A (en) * 1954-06-24 1957-02-26 Alfred R Taylor Heat regulated cooking vessel
JPS5676918A (en) * 1979-07-20 1981-06-24 Yukio Ishida Double rice cooking kettle
JP2586470B2 (ja) * 1987-02-17 1997-0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用被加熱体
JPH07506996A (ja) * 1992-11-26 1995-08-03 ジュン クワン スーン 調理用具
DE10136869B4 (de) * 2001-07-28 2004-07-15 Valeriy Glinberg Vorrichtung zum Kochen
KR200270942Y1 (ko) * 2001-12-29 2002-04-06 김동현 조리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79B1 (ko) 2007-07-23 2008-05-22 김기태 공기 열 전달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
KR101284941B1 (ko) 2012-09-11 2013-07-10 장상윤 공기수용체 구비된 조리기구
CN107811519A (zh) * 2016-09-14 2018-03-2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温度感测装置和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060208Z (es) 2006-05-20
GB0520933D0 (en) 2005-11-23
JP4747373B2 (ja) 2011-08-17
JP2008516723A (ja) 2008-05-22
KR100504011B1 (ko) 2005-07-27
GB2419273A (en) 2006-04-26
CN101072526A (zh) 2007-11-14
BRPI0504654A (pt)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KR100482948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불판
JP2887309B2 (ja) 調理器
KR100565123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조리기구
US20120213903A1 (en) Apparatus for modified heated air flow to floor holder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KR100419982B1 (ko) 조리기구판
KR200393095Y1 (ko) 음식물 구이장치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464310Y1 (ko) 조리 용기
KR200339250Y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불판
KR200196668Y1 (ko) 가스레인지 겸용 고기구이기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US20150342387A1 (en) Apparatus for Modified Heated Air Flow to Food Holder
KR200339419Y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조리기구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US20040154607A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0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0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206 Withdrawal of application by national priority claim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C1206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