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9973Y1 -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73Y1
KR200349973Y1 KR20-2004-0003916U KR20040003916U KR200349973Y1 KR 200349973 Y1 KR200349973 Y1 KR 200349973Y1 KR 20040003916 U KR20040003916 U KR 20040003916U KR 200349973 Y1 KR200349973 Y1 KR 200349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wall panel
horizontal pipe
welded
ti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멍에를 받치는 수평파이프;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의 중심축과 직교되고 핀홀이 형성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수직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파이프와 용접결합된 수직앵글; 상기 수직앵글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팀버를 취부하도록 절곡된 팀버앵글; 상기 수평파이프 및 수직앵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에 용접결합된 삼각보강판; 상기 수평파이프 일단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멍에목이 수평파이프 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멍에목지지판 및 상기 수직앵글의 절곡면에 형성된 핀홀을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프렛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거푸집의 멍에설치시 벽체패널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하부에서 설치함으로서 추락위험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평탄성을 향상시키며,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벽체패널에 전달함으로서 동바리를 벽체에서 멀리 설치할 수 있고, 벽체패널 해체시 작업동선을 확보하여 벽에 인접한 동바리를 해체하지 않고도 벽체패널 해체가 가능하고 확보된 작업동선으로 자재해체, 정리, 운반시 인건비 절감 및 안전사고 예방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SUPPORT FOR YOKE OF MOLD}
본 고안은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푸집의 멍에설치시 벽체패널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하부에서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위에 멍에를 설치함으로서 추락위험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평탄성(수평의 정도)을 향상시키며,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벽체패널에 전달함으로서 멍에를 받치는 동바리를 벽체에서 멀리 설치할 수 있고, 그럼으로서 벽체 패널 해체시 작업동선을 확보하여 벽에 인접한 동바리를 해체하지 않고도 벽체 패널 해체가 가능하고 확보된 작업동선으로 자재해체, 정리, 운반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은 복잡다단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복잡다단함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팀버고정행거를 이용하여 벽체패널 상부 및 슬라브의 수평을 잡도록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팀버고정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c는 종래의 수평목을 이용한 벽체패널의 하부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체패널(10)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2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부패널의 하단에 못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목(102, 도 1c참조), 버팀목(103, 도 1c참조), 높이조절판재(101, 도 1c참조), 틈새합판(104, 도 1c참조)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바닥의 수평을 맞추려고 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부의 벽체패널(10)의 수평과 수직을 맞추고자 벽체패널(10)의 후면에 수평보강대(12) 및 상기 수평보강대(12)의 후면에 수직보강대(11)를 갈고리 형태의 후크(도시안됨)로 설치 고정하였다.
또한, 상기 벽체패널(10)의 상단 후면에 행거브라켓(13)을 프랫타이(18)에 의한 웨지핀결합으로 설치하고 상기 행거브라켓 위에 행거앵글(14) 및 행거볼트(15)에 의해 팀버(16, timber)를 취부 및 고정함으로서 상부의 수평을 맞추려고 하였다(도 1b참조).
다음으로 종래의 슬라브거푸집 설치는 이하와 같다(도 1a참조).
즉, 벽체패널(10)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멍에설치소각재(17)를 벽체패널과 직교하여 설치하고, 멍에(22)를 상기 멍에설치소각재(17)와 못고정하여 설치하고, 못고정된 멍에(22) 하부에 동바리(21)를 벽에서 450mm 정도 이격하여 설치하였다. 이후 상기 멍에(22)위에 장선(23)을 배치하여 못고정하고, 상기 멍에설치소각재(17)를 해체한 후 슬라브합판(24)을 장선(23)과 팀버(16)에 못고정하였다. 팀버(16), 멍에(22), 장선(23)은 그 재질이 목재로서 통상적으로 미송각재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팀버고정행거를 이용한 슬라브거푸집 방식은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멍에설치소각재(17)는 해체된 후 재활용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1회 사용후 곧바로 쓰레기로 변하게 되었고, 멍에설치시 벽체패널 상부에서 작업하게되는 데 작업자의 추락위험이 있었고, 슬라브 거푸집 설치를 위한 멍에(22)가 벽체패널(10)과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동바리(21)를 벽에 근접하여 설치할 수 밖에 없는 데 벽에 근접한 동바리로 인해 작업동선이 확보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벽체 패널 해체시 작업자들이 관리감독자 모르게 벽체패널에 근접하는 동바리를 해체한 후 벽체패널을 해체하고 다시 동바리를 제자리에 바꿔세우는 작업을 하여온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동바리 바꿔세우기 작업시 벽체에서 대략 1,000 mm 정도가 외팔보가 되게 되고, 따라서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 슬라브가 되어 단부크랙의 주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업동선이 협소하여 인건비가 과다투입되고, 협소한 곳에서의 중량이 있는 자재정리시 허리를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멍에설치시 벽체패널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하부에서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위에 멍에를 설치함으로서 추락위험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평탄성(수평의 정도)을 향상시키며,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벽체패널에 전달함으로서 멍에를 받치는 동바리를 벽체에서 멀리 설치할 수 있고, 그럼으로서 벽체 패널 해체시 작업동선을 확보하여 벽에 인접한 동바리를 해체하지 않고도 벽체 패널 해체가 가능하고 확보된 작업동선으로자재해체, 정리, 운반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멍에를 받치는 멍에목(25)을 아래에서 받치는 수평파이프(31);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31)의 중심축과 직교되고 핀홀(321)이 형성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수직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파이프(31)와 용접결합된 수직앵글(32); 상기 수직앵글(32)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팀버(1)를 취부하도록 절곡된 팀버앵글(33); 상기 수평파이프(31) 및 수직앵글(3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에 용접결합된 삼각보강판(34); 상기 수평파이프(31) 일단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멍에목이 수평파이프 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멍에목지지판(35) 및 벽체패널과 웨지핀 결합되어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도록 상기 수직앵글(32)의 절곡면에 형성된 핀홀(321)을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프렛타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팀버고정행거를 이용하여 벽체패널 상부 및 슬라브의 수평을 잡도록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팀버고정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c는 종래의 수평목을 이용한 벽체패널의 하부 A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이용하여 벽체패널 상부 및 슬라브의 수평을 잡도록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출원인이 전에 출원한 높이조절구를 이용한 벽체패널의 하부 B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c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서와 달리 우측에 벽체패널이 있을 경우의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체패널 11 : 수직보강대
12 : 수평보강대 13 : 행거브라켓
14 : 행거앵글 15 : 행거볼트
16 : 팀버 17 : 멍에설치소각재
18 : 프랫타이 181 : 프랫타이핀홀
21 : 동바리 22 : 멍에
23 : 장선 24 : 슬라브합판
25 : 멍에목 3 : 멍에걸이받침대
31 : 수평파이프 32 : 수직앵글
321 : 핀홀 33 : 팀버앵글
331 : 못구멍 332 : 패널삽입홈
34 : 삼각보강판 35 : 멍에목지지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이용하여 벽체패널 상부 및 슬라브의 수평을 잡도록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출원인이 전에 출원한 높이조절구를 이용한 벽체패널의 하부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 및 슬라브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팀버(16), 멍에(22), 장선(23), 슬라브합판(24), 동바리(21)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쓰이나, 종래의 1회용 멍에설치소각재(17)는 본 고안에서는 필요하지 않고, 다만, 별도의 멍에목(25)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벽체패널의 하부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10-2001-14195호로 출원하여 404930호로 특허받은 높이조절구 등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이용한 거푸집의 설치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벽체패널(10) 설치후 벽체패널 상부에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3)를 웨지핀결합한다. 즉,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프렛타이(18)의 프렛타이핀홀(181)과 벽체패널 상부의 핀홀 사이를 웨지(쐐기라고도 함)에 의해 웨지핀결합하고, 동시에 후술하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팀버앵글(33)의 패널삽입홈(332)에 벽체패널 상부 측면을 끼움으로서,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3)의 견고함 및 안정성을 기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3)를 설치한 후, 벽체패널 상부에 설치하는 팀버(16)를 종래와 같은 볼트작업을 하지 않고 경사진 팀버앵글(33)에 망치로 타격하여 설치하고 후술하는 못구멍(331)을 통한 못고정한다. 팀버(16)를 설치한 후 멍에목(25)을 후술하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수평파이프(31) 위에 멍에목지지판(35)에 밀접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멍에목을 설치한 후 설치된 멍에목위에 멍에(22)를 설치하고 동바리(21)를 멍에 하부에 받춘다.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이용하는 경우에 동바리(21)는 벽에서 대략 900mm 정도 이격하여 설치하면 된다. 멍에를 설치한 후 장선(2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슬라브합판(24)을 설치하고, 이후 양생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설치된 전체모습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3)는 멍에를 받치는 멍에목(25)을 아래에서 받치는 수평파이프(31);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31)의 중심축과 직교되고 핀홀(321)이 형성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수직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파이프(31)와 용접결합된 수직앵글(32); 상기 수직앵글(32)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팀버(1)를 취부하도록 절곡된 팀버앵글(33); 상기 수평파이프(31) 및 수직앵글(3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에 용접결합된 삼각보강판(34); 상기 수평파이프(31) 일단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멍에목이 수평파이프 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멍에목지지판(35) 및 벽체패널과 웨지핀 결합되어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도록 상기 수직앵글(32)의 절곡면에 형성된 핀홀(321)을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프렛타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파이프(31)는 그 위에 멍에목(25)이 놓이게 되고 멍에목(25)은 멍에(22)를 아래에서 받치게 되는 바(도 2a참조), 결과적으로는 멍에(22)를 받치는 작용을 한다. 나아가, 멍에 및 슬라브의 평탄성을 좋게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벽체패널에 전달하는 중간 매체로서의 작용을 한다. 그 재질은 철재이고, 내부가 빈 파이프로서 내부가 채워져도 좋으나 중량이 커지게 되고, 강도에도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평파이프는 멍에목을 받쳐주기 위해서는 그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이 바람직하다(도 5참조).
상기 수직앵글(32)은 상기 수평파이프의 측면 일부와 용접결합되는 수평면과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31)의 중심축과 직교되고 핀홀(321)이 형성된 절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면 및 절곡면은 상호 수직한다. 전체적인 형상은 통상의 앵글과 달리 수직으로 길게 뻗어있으며, 수평면에는 다른 물체와의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 및 삼각보강판과 용접결합된다. 상기 절곡면의 핀홀(321)은 프렛타이(18)가 관통 및 용접결합되는 구멍이다. 또한, 수직앵글(32)의 상부에는 상기 팀버앵글(33)이 용접결합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c는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중 절곡된 팀버앵글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팀버앵글(33)은 상기 수직앵글(32) 상부에 용접결합되는 것으로서, 대략적인 전체형상은 팀버(timber, 1)를 취부하도록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된 형상이다. 또한, 작업동선 차원에서 팀버(timber, 1)를 취부하기 편하도록 팀버앵글의 최상단은 대략 30-60도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팀버는 최상단의 절곡된 앵글을 통하여 팀버앵글속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망치로 타격됨으로서 쉽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팀버앵글(33)에는 팀버를 못고정하기 위한 못구멍(331)이 형성되어 있고,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끼워짐으로서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기 위한 패널삽입홈(3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삼각보강판(34)은 수평파이프(31) 및 수직앵글(3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에 용접결합된 것으로서, 결과적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멍에목지지판(35)은 상기 수평파이프(31) 일단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멍에목(25)이 수평파이프 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이탈방지의 작용을 한다. 말 그대로 판의 형상으로서, 수평파이프의 면적보다 커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로부터 돌출됨으로서 멍에목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프렛타이(18)는 거푸집 설치에 있어 통상 사용하는 웨지핀결합을 위한 프렛타이핀홀(181)이 형성되어 있는 프렛타이와 같은 것이나, 다만 본 고안에서는 벽체패널과 웨지핀 결합되어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도록 상기 수직앵글(32)의 절곡면에 형성된 핀홀(321)을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는 좌측에 벽체패널이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도 7은 도 3에서와 달리 우측에 벽체패널이 있을 경우의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벽체패널이 있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는 좌우가 대칭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의 멍에설치시 벽체패널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하부에서 본 고안의 멍에걸이 받침대 위에 멍에를 설치함으로서 추락위험을 방지하고, 슬라브의 평탄성(수평의 정도)을 향상시키며,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자중 및 작업하중을 벽체패널에 전달함으로서 멍에를 받치는 동바리를 벽체에서 멀리 설치할 수 있고, 그럼으로서 벽체 패널 해체시 작업동선을 확보하여 벽에 인접한 동바리를 해체하지 않고도 벽체 패널 해체가 가능하고 확보된 작업동선으로 자재해체, 정리, 운반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1회용의 멍에설치소각재와 같은 자재가 불필요하여 그에 따른 자재비, 인건비는 물론 소각비까지 절양하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멍에를 받치는 멍에목(25)을 아래에서 받치는 수평파이프(31);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밀접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31)의 중심축과 직교되고 핀홀(321)이 형성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수직되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파이프(31)와 용접결합된 수직앵글(32);
    상기 수직앵글(32)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팀버(1)를 취부하도록 절곡된 팀버앵글(33);
    상기 수평파이프(31) 및 수직앵글(3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에 용접결합된 삼각보강판(34);
    상기 수평파이프(31) 일단의 측면에 용접결합되어 멍에목이 수평파이프 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멍에목지지판(35) 및
    벽체패널과 웨지핀 결합되어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도록 상기 수직앵글(32)의 절곡면에 형성된 핀홀(321)을 관통하여 용접결합되는 프렛타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팀버앵글(33)에는 팀버를 못고정하기 위한 못구멍(331)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팀버앵글(33)에는 벽체패널 상부 측면에 끼워짐으로서 견고성 및 안정성을 기하기 위한 패널삽입홈(332)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2004-0003916U 2004-02-16 2004-02-16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0349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16U KR200349973Y1 (ko) 2004-02-16 2004-02-16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916U KR200349973Y1 (ko) 2004-02-16 2004-02-16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127A Division KR20050081754A (ko) 2004-02-16 2004-02-16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73Y1 true KR200349973Y1 (ko) 2004-05-08

Family

ID=4942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916U KR200349973Y1 (ko) 2004-02-16 2004-02-16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433B1 (ko) * 2015-08-21 2017-05-12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433B1 (ko) * 2015-08-21 2017-05-12 (주)금강시스템즈스케폴딩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US6715729B2 (en) Overhanging form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20130049041A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0349973Y1 (ko)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US6036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nit
KR20050081754A (ko)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KR200146508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100404930B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170041175A (ko) 멍에 걸이 받침대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KR200233682Y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378383Y1 (ko) 보거푸집 및 슬라브테이블 서포터
KR200246102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100641887B1 (ko) 슬라브판넬에 결합되어 벽체 판넬과 직접 체결되는체결기구 및 그 해체방법
KR200405440Y1 (ko) 콘크리트 천장공사용 패널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2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