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7607Y1 -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607Y1
KR200307607Y1 KR20-2002-0038600U KR20020038600U KR200307607Y1 KR 200307607 Y1 KR200307607 Y1 KR 200307607Y1 KR 20020038600 U KR20020038600 U KR 20020038600U KR 200307607 Y1 KR200307607 Y1 KR 200307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yoke
formwork
fixed
ha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8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6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6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 양생을 위한 필요한 각종 가설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 구조물의 양생공정에 있어서, 벽체 거푸집에 설치되는 행거 상단을 테이퍼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팀바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긴밀하게 밀착되어 벽체상부의 직진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벽체거푸집 내부 공간부에 써포트와 멍에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자재비 감소와 작업동선과 자재정리공간을 확보하며, 또한 벽체 거푸집 패널과 슬래브 가설재가 일체화함으로써 타설시 충격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여 슬래브의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재의 재활용으로 건축폐기물 감소와 작업공정의 단축 및 시공상의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Temporang construction sfuctare for culvating slad}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 양생을 위한 필요한 각종 가설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 구조물의 양생공정에 있어서 슬래브의 중앙부에 필라용 멍에를 설치하고, 거푸집 벽체 상부에 설치된 팀바와 필라용 멍에 위에 공장에서 제조하여 규격화된 장선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슬래브 합판을 설치하는 구조로 충분한 작업동선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요 부자재의 최소화로 자재절감과 벽체 상부의 직진도를 잡으며 슬래브의 고른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면을 구성하는 슬래브 공사는 기둥이나 벽체와 달리 벽체와 혹은 벽체와 기둥 및 보 등을 기준으로 일정한 공간부의 천정면을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벽체 상부의 직진도나 천정면의 평탄도 형성이나 하중의 지지력확보에 매우 세심한 배려가 선행되어야하며 이를 통해 건축구조물 및 작업자의 안정성과 양질의 시공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는 관계로 부득이하게 많은 량의 지주와 장선 및 멍에를 마련하여 촘촘한 밀도로 슬래브의 하단을 지지되어야만 했다.
따라서, 슬래브의 형성을 위해 마련되는 가설재 구조는 먼저, 양측면 공간부에 벽체형성용 거푸집 패널을 위치 고정하되, 상기 패널의 상단 내 안측면 상부에 고정된 행거에 팀바를 위치시킨다.
이때, 벽체의 상부 직진도를 완전하게 유지한 후 슬래브 작업을 해야하나 상부에 설치된 팀바는 재질이 목재인 각목을 사용하므로 변형이 많아 이를 보정하기위하여 행거에 설치된 볼트나 쐐기 등으로 밀착시켜야하는 이중작업으로 인해 작업 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행거에 팀바가 설치되어 벽체형성용 공간부의 내측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는데, 이때 설치되는 지주는 많은 량이 너무 촘촘하게 설치되어 바닥거푸집의 하부공간이 없어 작업동선 확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설치된 지주 위에 멍에와 장선이 엇갈리게 엮은 형상으로 설치한 후 장선 위에 슬래브 합판을 설치하고 중앙부에 멍에 지주를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각각의 지주를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여 멍에와 밀착시켜 슬래브의 평탄성 작업을 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후 양생과정을 거쳐 슬래브 거푸집을 벽체 거푸집을 해체하여 자재를 정리한 후 상부층으로 인양한다.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많은 량의 지주설치로 작업자가 일일이 지주의 높이를 조정하기가 힘들어 슬래브 평탄성을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벽체 거푸집 해체시에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벽체 주위의 지주 일부를 해체하는데 이때 양생과정에서 경화가 덜된 슬래브 콘크리트에 충격을 주어 파손의 위험을 가지며, 또한 작업자가 해체한 거푸집 정리 및 운반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어려우며, 해체된 장선과 멍에는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져 해체시에 바닥면에 낙하하면서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제조원가 상승 및 건축폐기물이 발생하여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 거푸집 상부에 설치된 행거에 팀버 설치시 작업성이 용이하여 직진도를 잡으며, 벽체 거푸집 공간부에 지주설치를 최소화하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멍에를 생략하고, 벽체 거푸집과 슬래브 보강대를 일체화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작업동선 확보와 건축폐기물 감소와 인건비와 자재비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설재 설치구조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거설재 설치구조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행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행거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팀바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팀바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선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장선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필라용 멍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필라용 멍에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필라용 멍에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벽체 거푸집 2: 멍에빔
3: 멍에 4: 장선
5: 필라용 써포트 6: 팀바
7: 행거 8: 고정부
9: 핀홀 10: 돌기
11: 목재 12: 못
13:고정턱 14:마구리철편
15:고정홈부 16: 볼트
17: 멍에철물 18: 경사면
19: 필라용 멍에 20: 체결공
21: 슬래브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슬래브가 형성되는 양측면 공간부에 벽체형성용 거푸집 패널을 위치 고정하되, 그 내측면을 따라 상부에 수평 설치되는 행거와 상기 거푸집 패널에 설치된 행거를 따라 수평 설치되는 팀바와 상기 벽체 거푸집 패널 공간부 중앙에 설치 지주역할을 하는 필라용 써포트와상기 필라용 써포트 지주 위에 설치된 필라용 멍에와 상기 벽체와 일정간격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개의 써포트 위에 설치된 장선 보강재인 멍에와 상기 팀바와 필라용 멍에 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고정된 장선 및 상기 장선 외표면에 상단으로 평탄하게 고정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설재 설치구조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가설재 설치구조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되는 건축물의 슬래브(21)는 일정한 공간부의 천정면(바닥면)을 역시 일정한 두께 폭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인데, 먼저 이러한 슬래브(21)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공간의 양 측면으로 벽체가 마련되어야 만 이를 기준으로 철근 등이 상호 연결된 채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져 양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구조물 공간에 벽체형성을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각 거푸집 패널(1)의 내측면 상단부, 중간부, 하단부에 각각 설치하는 행거(7)는 판 형상에 상단이 테이퍼진 경사면(18)에 목재(11) 재질의 외주면에 금속제 보강철판이 길이방향으로 취부된 팀바(6)를 끼우면 행거(7)에 테이퍼진 경사면(18) 때문에 쉽게 끼어지면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평상태로 직진도를 잡은 후, 거푸집 패널 (1)공간부 중앙에 일정간격으로 지주 역할을 하는 필라용 써포트(5)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필라용 멍에(19)를 설치한다.
상기 필라용 멍에(19)는 양 측면에 고정홈부(15)와 양 끝단에 멍에철물(17)이 용접 부착되어 일측이 팀바(6)의 목재(11)부분에 못(12)으로 고정하고, 그 위에 교차하는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장선(4)을 설치하는데 일측 끝단은 마구리철편(14)이 용접 부착되어 팀바(6) 목재(11) 위에 못(12)으로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마구리철편(14)이 필라용 멍에(19) 고정홈부(15)에 걸쳐져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장선(4)에 양측 끝단은 팀바(6)와 필라용 멍에(19)에 고정 지지되므로 많은 갯수의 멍에(3)가 필요 없고 2개정도의 소량만으로 장선(4)을 지지하므로 작업동선확보와 자재비 감소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 고정된 장선(4) 위에 슬래브 합판을 설치한 후 벽체(1)와 일정간격에 장선(4)과 교차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설치된 최소한의 복수개 써포트 위에 설치된 장선(4) 보강재인 멍에(3)를 설치하여 슬래브 합판 위로 콘크리트를 타설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하므로 벽체(1)의 직진도와 슬래브(21)의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행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행거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본 고안은 행거(7)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팀바(6)를 삽입하는 상부가 테이퍼진 경사면(18)으로 이루어져 팀바(6)가 쉽게 삽입 고정부(8)에 안착되어 거푸집 패널(1)과 긴밀하게 밀착되고 본체에 천공된 복수개의 핀홀(9)로 보강대를 지지하며 일측에 걸림돌기(10)가 형성되어 거푸집 패널(1)에 설치가 용이하여 팀바(6)의 직진도를 잡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팀바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팀바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팀바(6)는 행거(7)에 체결되는 것으로형강 형상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20)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에 사선으로 분할된 목재(11)가 취부되어 체결공(20)에 못(12)을 삽입 목재(11)와 일체로 고정하여 강도를 보강하므로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에도 변형 없이 지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장선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장선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 장선은 사각형상에 사선으로 분할된 목재(11) 길이방향 양 측면에 고정홈부(15)를 갖는형강을 목재(11)와 일체로 볼트(16) 체결하여 양끝단을 팀바(6)에 고정할 수 있는 멍에철물(17)을 용접 부착된 된 구성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필라용 멍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 필라용 멍에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도 11은 본 고안의 필라용 멍에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멍에(3)는형강에 내부에 사선으로 분할된 목재(11)를 취부하고 일측 끝단은 상면에 체결공(20)이 형성된 꺽임형의 마구리철편(14)과 타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턱(13)을 갖는 철편(14)이 일체로 결합되어 마구리철편(14)은 팀바(6)에 고정되고 고정턱(13)은 필라용 멍에(19) 고정홈부(15)에 고정하는 벽체 거푸집(1)과 슬래브(21) 가설재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슬래브(21) 가설재인 장선(4), 멍에(3) 등을 공장에서 크기와 모양을 규격화하여 작업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 거푸집에 설치되는 행거 상단을 테이퍼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팀바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긴밀하게 밀착되어 벽체상부의 직진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벽체거푸집 내부 공간부에 써포트와 멍에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자재비 감소와 작업동선과 자재정리공간을 확보하며, 또한 벽체 거푸집 패널과 슬래브 가설재가 일체화함으로써 타설시 충격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여 슬래브의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재의 재활용으로 건축폐기물 감소와 작업공정의 단축 및 시공상의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슬래브가 형성되는 양측면 공간부에 벽체형성용 거푸집 패널을 위치 고정하되, 그 내측면을 따라 상부에 수평 설치되는 행거와;
    상기 거푸집 패널에 설치된 행거를 따라 수평 설치되는 팀바와;
    상기 벽체 거푸집 패널 공간부 중앙에 설치 지주역할을 하는 필라용 써포트와;
    상기 필라용 써포트 지주 위에 설치된 필라용 멍에와;
    상기 벽체와 일정간격에 일렬로 설치된 복수개의 써포트 위에 설치된 장선 보강재인 멍에와;
    상기 팀바와 필라용 멍에 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고정된 장선; 및
    상기 장선 외표면에 상단으로 평탄하게 고정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행거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팀바를 설치하는 상부가 테이퍼진 경사면과 행거 본체에 천공된 복수개의 핀홀과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거푸집 패널에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팀바는형강 형상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의 분할된 목재가 취부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필라용 멍에는 목재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 고정홈부를 갖는형강을 볼트 체결하여 끝단 일측에는 장선 일측과 고정할 수 있는 멍에철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장선은형강 내부에 목재를 취부하고 일측 끝단은 상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꺽임형의 마구리철편과 타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고정턱을 갖는 철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마구리철편은 팀바에 고정되고 고정턱은 필라 멍에 고정홈부에 걸쳐져 고정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20-2002-0038600U 2002-12-27 2002-12-27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07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00U KR200307607Y1 (ko) 2002-12-27 2002-12-27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00U KR200307607Y1 (ko) 2002-12-27 2002-12-27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607Y1 true KR200307607Y1 (ko) 2003-03-19

Family

ID=4933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7607Y1 (ko) 2002-12-27 2002-12-27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6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89B1 (ko) 2007-06-05 2008-09-04 (주)태양건설 유로 폼을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KR101044691B1 (ko) 2008-08-14 2011-06-28 (주)거혁건설 슬라브거푸집지지바
CN112942810A (zh) * 2021-03-29 2021-06-11 河北晶达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水泥模板支撑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89B1 (ko) 2007-06-05 2008-09-04 (주)태양건설 유로 폼을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KR101044691B1 (ko) 2008-08-14 2011-06-28 (주)거혁건설 슬라브거푸집지지바
CN112942810A (zh) * 2021-03-29 2021-06-11 河北晶达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水泥模板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1908A1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H0819951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100652353B1 (ko) 콘크리트건축물의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KR200407092Y1 (ko) 캔틸레버부의 피씨 패널 지지구조
KR102372473B1 (ko) 가설브라켓을 이용한 pc기둥과 pc거더의 접합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00234410A (ja) 打込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JP7583543B2 (ja) 吊り足場設置構造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728931B1 (ko)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JP2001227094A (ja) 鉄骨ビルの階床構造
KR20000032637A (ko) 벽식 구조 아파트의 골조 시공방법
JP3142180B2 (ja) コンクリート捨型枠構築法
CN215330933U (zh) 一种钢骨梁结构及钢结构建筑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JP7377144B2 (ja) コークス炉用仮設上屋の建設方法
KR200368924Y1 (ko) 횡좌굴 방지용 데크 플레이트
KR20023454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2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2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