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3682Y1 -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 Google Patents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82Y1
KR200233682Y1 KR2020010007529U KR20010007529U KR200233682Y1 KR 200233682 Y1 KR200233682 Y1 KR 200233682Y1 KR 2020010007529 U KR2020010007529 U KR 2020010007529U KR 20010007529 U KR20010007529 U KR 20010007529U KR 200233682 Y1 KR200233682 Y1 KR 20023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rm
horizontal
panel
angl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7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조립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패널폼의 상단과 하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핀홀이 천공된 패널폼앵글; 상부의 팀버수용부와 핀홀이 형성된 하부의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수평대; 높이조절앵글, 중앙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받침다리, 볼트머리가 상기 받침다리와 용접되어 볼트결합되는 볼트, 상기 볼트결합을 완전하게 하는 상·하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 패널폼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틈새막이앵글; 핀홀이 형성된 상부의 접합부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하부수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 2단으로 설치하던 패널폼을 1단으로 설치하고 패널폼의 후면에 1개로 된 수평대와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서 수평보강대, 수직보강대, 팀버브라켓, 수평조절목과 같은 산업폐재의 원인이 되는 많은 자재들을 생략함으로서 비용 절감 및 절감된 자재만큼 작업공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꺽임, 벽체의 휨, 배부름 현상 및 상부벽체에 발생되는 몰딩선하자 및 하부에 발생하는 걸레받이부분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일체조립되는 거푸집{MOLD FABRICATED AS ONE}
본 고안은 일체조립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 2단으로 설치하던 패널폼을 1단으로 설치하고 패널폼의 후면에 1개로 된 수평대와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서 수평보강대, 수직보강대, 팀버브라켓, 수평조절목과 같은 산업폐재의 원인이 되는 많은 자재들을 생략함으로서 비용 절감및 절감된 자재만큼 작업공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꺽임, 벽체의 휨, 배부름 현상 및 상부벽체에 발생되는 몰딩선하자 및 하부에 발생하는 걸레받이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 및 그 설치방법은 복잡다단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복잡다단함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a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패널폼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은 패널폼을 상부패널폼(21)과 하부패널폼(22)의 2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부패널폼(22)의 하단에 못(23)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조절목(24)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바닥의 수평을 맞추려고 하였으며, 상기 상부패널폼(21)의 상단 후면에 팀버브라켓(25)을 설치하고 팀버(1)를 취부하여 상부의 수평을 맞추려고 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부 패널폼(21, 22)의 수평과 수직을 맞추고자 상·하부 패널폼(21, 22)의 후면에 수평보강대(26) 및 상기 수평보강대(26)의 후면에 수직보강대(27)를 갈고리 형태의 후크(도시안됨)로 설치 고정하였다. 또한, 종래에 패널폼을 2단으로 설치함은 만약 1단으로 설치하게 되면 콘크리트 바닥의 수평조절목(24)과 천정의 합판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패널폼의 해체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수평조절목(24)이 무거운 중량의 패널폼에 의해 눌려 있을 뿐만 아니라 못(23)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해체시수평조절목(24)과 패널폼을 함께 해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단으로 설치하더라도 상기 함께 해체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때문에 발생하는 해체의 어려움 및 그에 따른 인력, 비용, 시간증가, 수평조절목()의 전용도의 저하, 패널폼의 훼손 및 그에 의한 전용도의 저하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남아있었고, 또한 패널폼을 상부패널폼(21)과 하부패널폼(22)의 2단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 즉, 수직꺽임이 발생하며, 상부와 하부의 패널폼 이음매에 패널폼들의 시공조인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 거푸집은 수평조절목위에 패널폼을 못고정하기때문에 수평조절목이 콘크리트 타설측압에 밀려 콘크리트가 누출되고, 상부패널폼(21) 상부에 팀버브라켓(25) 설치후 각목인 팀버(1)를 취부하는데 팀버(1)와 패널폼의 접합이 부실하여 수평잡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팀버(1)가 뒤틀리거나 휘어져 벽체의 수평도 팀버(1)에 따라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패널폼의 후면에 수평 및 수직 보강대를 후크로 설치고정하였는데 갈고리 형태로 된 후크가 늘어나서 패널폼과 보강대와의 체결이 쉽지 않은 등의 무수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부 수평조절목(24)은 1회 사용후 해체시 30%이상이 파손되어 전용율이 저조하였고 파손된 상기 수평조절목(24)은 산업폐재가 되어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 2단으로 설치하던 패널폼을 1단으로 설치하고 패널폼의 후면에 1개로 된 수평대와 접합하여 일체화함으로서 수평보강대, 수직보강대, 팀버브라켓, 수평조절목과 같은 산업폐재의 원인이 되는 많은 자재들을 생략함으로서 비용 절감 및 절감된 자재만큼 작업공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수직꺽임, 벽체의 휨, 배부름 현상 및 상부벽체에 발생되는 몰딩선하자 및 걸레받이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팀버 및 패널폼을 포함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패널폼의 상단과 하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핀홀이 천공된 패널폼앵글; 팀버를 수용하여 취부하도록 못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의 팀버수용부와 상기 패널폼의 상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패널폼앵글의 핀홀과 웨지핀 체결되도록 핀홀이 형성된 하부의 접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수평대; 1이상의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 및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있는 높이조절앵글, 중앙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받침다리, 상기 수평부의 볼트구멍 및 상기 받침다리의 볼트구멍을 관통하고 그 일단인 볼트머리가 상기 받침다리와 용접되어 볼트결합되는 볼트, 상기 볼트결합을 완전하게 하는 상·하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구; 상기 높이조절구에 의해 받쳐지는 패널폼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틈새막이앵글; 상기 패널폼앵글 및 상기 높이조절구의 수직부와 웨지핀 체결되는 핀홀이 형성된 상부의 접합부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하부수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패널폼을 포함한 종래의 패널폼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a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c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하나의 패널폼에서 높이조절구를 제외한 패널폼앵글, 상·하부 수평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패널폼앵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패널폼앵글과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6c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팀버 2 : 패널폼
3 : 패널폼앵글 31, 42, 71, 511 : 핀홀
4 : 상부수평대 41, 522 : 못구멍
5 : 높이조절구 51 : 높이조절앵글
512, 521 : 볼트구멍 52 : 받침다리
53 : 볼트 54, 55 : 상·하부 너트
56, 57, 58 : 와셔 6 : 틈새막이앵글
7 : 하부수평대
A : 팀버수용부 B : 접합부
C : 수직부 D : 수평부
E : 접합부 F : 틈새막이앵글고정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c는 패널폼을 포함한 본 고안의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하나의 패널폼에서 높이조절구를 제외한 패널폼앵글, 상·하부 수평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패널폼앵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패널폼앵글과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6c는 높이조절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대체적으로 핀홀(31)이 천공된 패널폼앵글(3); 상부의 팀버수용부(A)와 하부의 접합부(B)로 이루어지는 상부수평대(4); 높이조절앵글(51), 받침다리(52), 볼트(53), 상·하부 너트(54, 55) 및 와셔(56)로 이루어진 높이조절구(5); 틈새막이앵글(6); 상부의 접합부(E)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F)로 이루어진 하부수평대(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의 패널폼은 종래의 2단으로 설치했던 것과는 달리 1단으로 설치한다. 이는 종래의 2단으로 설치됨으로서 발생하는 문제점, 즉 수직꺽임이 발생하고 상단패널폼과 하단패널폼의 이음매에 시공조인트가 발생하고 그에따라 패널폼의 수직과 수평을 잡기 위하여 패널폼의 후면에 보강대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함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높이조절구(5)와 하부수평대(7) 등의 구성에 의해 높이 및 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구(5) 및 하부수평대(7)를 먼저 해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1단 설치되는 패널폼이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패널폼의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는 본 고안의 거푸집을 이루는 경량의 구성으로도 충분하고 후술하는 더 뛰어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하는 바, 종래의 보강대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짐으로서 해결되어진다. 이하, 상설한다.
상기 패널폼앵글(3)은 도 2a, 도 2b,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으로 설치되는 패널폼(2)의 상단과 하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되어지는 구성으로서, 핀홀(31)이 천공되어 상기 상부수평대(4) 및 하부수평대(7)와 웨지핀체결되어 일체화되어짐으로서, 상기 본 고안의 1단의 패널폼(2)의 수평면으로의 휨을 방지하고 해체시 하부수평대(7)를 먼저 해체하도록 함으로서 거푸집 해체시 패널폼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상부수평대(4)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팀버(1)를 수용하여 취부하도록 못구멍(41)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의 팀버수용부(A)와 상기 패널폼(2)의 상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패널폼앵글(3)의 핀홀(31)과 웨지핀 체결되도록 핀홀(42)이 형성된 하부의 접합부(B)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수평대(4)를 패널폼 상부 후면에서 웨지핀체결함으로서 패널폼의 상부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팀버수용부(A)에 팀버(1)를 취부함으로서 스라브 거푸집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팀버(timber, 1)는 미송각재를 의미한다. 즉, 상기 상부수평대(4)는 패널폼(2)위에 위치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핀홀(42)이 접합부(B)에 형성됨으로서 패널폼들 후면에 위치한 핀홀과 웨지핀접합되어 일체식으로 만들어지고 스라브 합판과 연결되는 팀버(1)를 상부수평대(4) 상부의 팀버수용부(A) 속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전용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높이조절구(5)는 도 6a, 도 6b,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폼(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1이상의 핀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C) 및 볼트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D)로 이루어져 있는 높이조절앵글(51), 중앙에 볼트구멍(521)이 형성된 받침다리(52), 상기 수평부(D)의 볼트구멍(512) 및 상기 받침다리의 볼트구멍(521)을 관통하고 그 일단인 볼트머리가 상기 받침다리와 용접되어 볼트결합되는 볼트(53), 상기 볼트결합을 완전하게 하는 상·하부 너트(54, 55) 및 와셔(5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와셔(56)는 상부와셔(561), 중간부 와셔(562) 및 하부와셔(56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높이조절앵글(51)은 일반앵글과 마찬가지로 'ㄴ'자 형상으로서 수직부(C)와 수평부(D)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C)에는 상기 하부수평대(7) 상부의 접합부(E)에 형성된 핀홀(71)과 웨지핀체결되도록 핀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D)에는 볼트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52)는 콘크리트 바닥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중앙에 볼트구멍(521)이 형성되어 볼트머리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높이조절앵글(51), 받침다리(52), 볼트(53) 및 중간부·하부 와셔(562, 563)는 하부너트(55)와 함께 높이가 조절된 다음 상부너트(54) 및 상부와셔(561)에 의해 조여짐으로서 완전하게 볼트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 받침다리(52)에는 콘크리트 바닥과 못결합되는 못구멍(52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본 고안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가 들어가 경화될 때 외부로 팽창하는 압력때문에 본 고안의 거푸집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볼트결합이 이루어진 후 상기 못구멍(522) 상부에는 못결합합판(523)이 놓여진 후에 못에 의해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못구멍(522)의 지름은 못의 지름보다 크다. 이는 본 고안의 거푸집 해체시 상기 못결합합판(523)만을 뜯어냄으로서 볼트머리와 용접결합된 받침다리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받침다리 등에 이루어진 볼트결합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틈새막이앵글(6)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구(5)에 의해 받쳐지는 패널폼(2)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하부수평대(7)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F)와 함께 고정되어진다. 상기 패널폼(2)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로 콘크리트의 경화압력때문에 콘크리트 물이 새어나올 수 있으나 이는 소량의 시멘트 물에 불과한 바,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되어 별도의 처리는 불필요하다.
상기 하부수평대(7)는 도 6a, 도 6b,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폼앵글(3) 및 상기 높이조절구의 수직부(C)와 웨지핀 체결되는 핀홀(71)이 형성된상부의 접합부(E)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F)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수평대(7)는 전용율이 증가되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높이조절앵글의 수직부(C)와 하부수평대의 접합부(E)와의 웨지핀결합은 1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양쪽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좋다.
이하, 본 고안의 거푸집을 조립 및 해체하는 순서를 단계별로 살펴본다.
거푸집 조립순서
제 1단계 : 상기 높이조절구(5)와 하부수평대(7)를 웨지핀 조립한다.
제 2단계 : 상기 높이조절구(5)와 하부수평대(7) 사이에 틈새막이앵글(6)을 부착한다.
제 3단계 : 상기 하부수평대(7)를 콘크리트 바닥에 표시된 먹선에 맞추고 상기 높이조절구(5) 하부에 위치한 받침다리(52) 위에 못고정합판(523)을 얹고 콘크리트 바닥과 못고정한다. 못고정은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못에 의한다.
제 4단계 : 상기한 제 3단계의 못고정후 상기 높이조절구(5)의 볼트(53)에 취부된 너트(54, 55)를 조정하여 높이조절 및 수평조절을 한다.
제 5단계 : 상기한 제 4단계의 높이조절 및 수평조절후 패널폼을 상기 하부수평대(7)위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수평대(7)와 패널폼을 웨지핀체결한다.
제 6단계 : 상기 상부수평대(4)를 패널폼위에 얹고 패널폼과 상부수평대(4)를 웨지핀체결한다.
거푸집 해체순서
제 1단계 : 상기 높이조절구(5)에 못고정을 위해 부착된 못고정합판(523)을 뜯어내어 못고정을 풀어준다.
제 2단계 : 상기 높이조절구(5) 수직부(C)와 상기 하부수평대(7)와의 핀결합을 해체하고 상기 높이조절구(5)의 너트(54, 55)를 조정하여 높이조절구(5)를 상기 하부수평대(7)에서 완전히 분리한다.
제 3단계 : 상기 틈새막이앵글(6)을 상기 하부수평대(7)에서 완전히 분리한다.
제 4단계 : 상기 틈새막이앵글(6)의 하부수평대(7)에서의 분리후 하부수평대(7)와 패널폼앵글(31) 사이의 핀결합을 해체하여 결과적으로 하부수평대(7)를 해체한다.
제 5단계 : 상기 하부수평대(7)가 해체된 상태의 패널폼을 해체한다.
제 6단계 : 상기 상부수평대(4)를 해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거푸집에 있어서의 수평보강대 및 수직보강대, 팀버브라켓음 물론 수평조절목을 생략할 수 있고, 2단으로 설치하던 패널폼을 1단으로 설치하고 패널폼의 후면에 1개로 된 수평대와 접합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많은 자재들을 생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절감된 자재만큼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패널폼의 양중시 부재들의 수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품질상으로도 2단으로 설치되는 패널폼을 1단으로 설치할 수 있음으로서 수직꺽임을 방지할 수 있고 벽체의 휨이나 배부름 현상이 없으며, 하부수평대를 금속재로 대체함으로서 산업폐재의 양산을 막을 수 있고, 상·하부수평대와 패널폼이 일체식으로 접합됨으로서 종래의 상부벽체에 발생되는 몰딩선하자 및 하부벽체의 걸레받이 수평불량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용각목을 상부수평대 속으로 취부함으로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고안의 거푸집은 1단으로 설치된 패널폼들을 후면에 설치되는 상·하부수평대와 체결함으로서 일체화시켜 벽체의 상부와 하부의 수직과 수평을 잡을 수 있고, 하부에 설치된 하부수평대를 먼제 해체함으로서 벽체에 부착되어 있는 패널폼들의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어 패널폼의 전용율이 높아지고, 종래의 패널폼 후면에 설치되는 수평보강대, 수직보강대, 수평조절목, 상부 팀버, 각종 부속자재들을 생략함으로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자재비 절간은 물론 인건비도 현저히 감소시키며 현장인력의 기능도에 상관없이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팀버(1) 및 패널폼(2)을 포함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패널폼(2)의 상단과 하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핀홀(31)이 천공된 패널폼앵글(3);
    팀버(1)를 수용하여 취부하도록 못구멍(41)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의 팀버수용부(A)와 상기 패널폼(2)의 상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패널폼앵글(3)의 핀홀(31)과 웨지핀 체결되도록 핀홀(42)이 형성된 하부의 접합부(B)로 이루어지는 상부수평대(4);
    1이상의 핀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C) 및 볼트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D)로 이루어져 있는 높이조절앵글(51), 중앙에 볼트구멍(521)이 형성된 받침다리(52), 상기 수평부(D)의 볼트구멍(512) 및 상기 받침다리의 볼트구멍(521)을 관통하고 그 일단인 볼트머리가 상기 받침다리와 용접되어 볼트결합되는 볼트(53), 상기 볼트결합을 완전하게 하는 상·하부 너트(54, 55) 및 와셔(56)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폼(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구(5);
    상기 높이조절구(5)에 의해 받쳐지는 패널폼(2)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틈새막이앵글(6);
    상기 패널폼앵글(3) 및 상기 높이조절구의 수직부(C)와 웨지핀 체결되는 핀홀(71)이 형성된 상부의 접합부(E)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F)로 이루어지는하부수평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52)에는 콘크리트 바닥과 못결합되는 못구멍(5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대(7)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56)는 상부와셔(561), 중간부 와셔(562) 및 하부와셔(56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20010007529U 2001-03-20 2001-03-20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29U KR200233682Y1 (ko) 2001-03-20 2001-03-20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29U KR200233682Y1 (ko) 2001-03-20 2001-03-20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195A Division KR100404930B1 (ko) 2001-03-20 2001-03-20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82Y1 true KR200233682Y1 (ko) 2001-10-08

Family

ID=7308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682Y1 (ko) 2001-03-20 2001-03-20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00B1 (ko) * 2002-07-31 2005-03-10 (주)거혁건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00B1 (ko) * 2002-07-31 2005-03-10 (주)거혁건설 벽체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938A (en) Form panel
US5207931A (en) Brace for concrete form
KR100404930B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0233682Y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220022256A (ko) 무용접 조립식 데크 계단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251474Y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US6036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nit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JP3327644B2 (ja) 配管ユニット
JP2000120936A (ja) 架台用固定補助具
KR200257342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고정지지구조
KR930005579Y1 (ko) 조립식 거푸집
KR200349973Y1 (ko) 거푸집용 멍에걸이 받침대
KR200326613Y1 (ko)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JP7363863B2 (ja) 布基礎用型枠
JP2601752B2 (ja) 曲面型わく
KR1007467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KR20022671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JP3029125U (ja) 建築用型枠パネルの桁梁支承装置
KR200411037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KR200447082Y1 (ko)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KR200394597Y1 (ko) 높낮이 조절형 유로폼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0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2042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4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