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7082Y1 -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82Y1
KR200447082Y1 KR20090011816U KR20090011816U KR200447082Y1 KR 200447082 Y1 KR200447082 Y1 KR 200447082Y1 KR 20090011816 U KR20090011816 U KR 20090011816U KR 20090011816 U KR20090011816 U KR 20090011816U KR 200447082 Y1 KR200447082 Y1 KR 200447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beam
beam fixing
desk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주
Original Assignee
윤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주 filed Critical 윤병주
Priority to KR2009001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의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사이에 위치되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로 구비된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에 삽입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되는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에 삽입고정되는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로 구성된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Description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desk beam mold fixation unit}
본 고안은 용접이나 별도의 결속수단 없이 자체의 구성요소를 가지고서 원하는 너비로 확장하여 대형화가 가능하며, 현장조립방법에 의해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대형으로 설치가 가능하면서 그 탈형도 용이한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합판 슬라브 공법'에 의한 방식은 멍에, 장선, 판재를 모두 목재로 사용하는 바, 파손율이 높고 그에 따라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여 건축폐기물이 대량 발생하였고, 각각의 부재들마다 고소(高所)에서 못 고정은 물론 해체를 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과다하게 투입되어야 하고, 장선 및 멍에 하부에 벽체나 천정 판넬에 인접하여 많은 갯수의 철재의 서포터를 설치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벽체나 천정 판넬의 해체 전에 많은 갯수의 철재의 서포터를 사전에 해체하여야, 벽체나 천정 판넬 해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바, 그 작업이 힘들고 까다로움은 물론이고, 철제의 서포터 해체과정에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바닥 슬라브에 충격을 주게 되어 단부 크랙의 발생요인이 되었고, 초고층의 경우에는 풍압으로 전도 위험이 있는 문 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종래에 철재 판넬과 소위 런너 슬라브 공법'에 의한 방식도 알루미늄 재질로 고가인 런너의 부재가 별도로 사용되어 자재비의 급격한 상승과,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죠인트 부위(체결부)가 꺾이는 현상이 발생과, 벽체나 천정 판넬 설치 후 별도로 설치되는 런너에 대한 작업은 고소작업이 되어 추락위험은 물론 작업속도가 늦어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25965호에는 서포터(1)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필러빔(2)의 양측에다 받침판(3)을 두부(7A) 및 핀구멍(701)이 형성된 핀(7)과 쐐기(8)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거푸집판넬(4)을 죄임쇠(9)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자재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서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스라브용 거푸집구조가 기술되어 있고,
국내실용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193218호에는 동바리(1); 상기 동바리(1) 위에 설치된 지지패널(2); 상기 지지패널(2)위에 설치된 영구거푸집(3); 그리고, 상기 영구거푸집(3)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거푸집 지지구조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69641호에는 일단이 바닥과 맞닿아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지지기둥(10)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구(20)와, 상 기 지지구(20)의 양측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대(3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설치되는 다수의 거푸집(40)을 포함하고 있는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구조(1)로서, 상기 지지구(20)는, 상단에 마련된 상판(21)과 하단에 마련된 하판(22)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대칭되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4)와, 상기 돌출부(24)를 통과할 수 있게 절개부(25A)가 형성된 관통부(25)가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23)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지지판(26)과, 상기 제1 지지판(26)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24)를 통과할 수 있게 절개부(27A)가 형성된 관통부(27)가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23)에 결합되되, 저면 양측에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테이퍼홈(27B)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판(28)과, 상기 돌출부(24)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져 상기 프레임(2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판(26) 및 제2 지지판(28)이 더이상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막는 고정판(29)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제1 지지판(26)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구(2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단 양측이 측벽으로부터 소정거리 확장되게 뻗어 있고, 그 단부에 경사부(3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후면의 중앙 양측에 단턱(3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31)에 다수의 거푸집(40)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구조가 공개되어 있고,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0-0641887호에는 벽체 판넬과 그 위에 설치되는 슬라브 판넬을 서로 체결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부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는 나사결합을 위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체(31); 상기 숫나사체의 숫나사산 하부에 끼워지는 하부 와셔(32); 상기 하부 와셔(32) 위 의 숫나사산에 끼워지고, 장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그 일단이 벽체 판넬 상부의 프레임 하부에 접할 수 있는 장홀 평철(33); 상기 장홀 평철(33) 위의 숫나사산에 끼워지는 상부 와셔(34); 암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너트(35A), 상기 숫나사산이 통과하여 너트와 나사결합되도록 너트와 동일한 위치에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하부에서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재(35B),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35C)로 이루어지는 암나사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브 판넬에는 그 단부의 하면에 결합판(4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판(41A) 사이로 상기 암나사체의 결합부재(35C)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판넬에 결합되어 벽체 판넬과 직접 체결되는 체결기구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404930호에는 팀버(1) 및 패널폼(2)을 포함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패널폼(2)의 상단과 하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핀홀(31)이 천공된 패널폼앵글(3); 팀버(1)를 수용하여 취부하도록 못구멍(41)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의 팀버수용부(A)와 상기 패널폼(2)의 상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용접결합된 패널폼앵글(3)의 핀홀(31)과 웨지핀 체결되도록 핀홀(42)이 형성된 하부의 접합부(B)로 이루어지는 상부수평대(4); 1이상의 핀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C) 및 볼트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D)로 이루어져 있는 높이조절앵글(51), 중앙에 볼트구멍(521)이 형성된 받침다리(52), 상기 수평부(D)의 볼트구멍(512) 및 상기 받침다리의 볼트구멍(521)을 관통하고 그 일단인 볼트머리가 상기 받침다리와 용접되어 볼트결합되는 볼트(53), 상기 볼트결합을 완전하게 하는 상하부 너트(54, 55) 및 와셔(56)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폼(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 록 하는 높이조절구(5); 상기 높이조절구(5)에 의해 받쳐지는 패널폼(2)과 콘크리트 바닥과의 미세한 틈새를 막아주는 틈새막이앵글(6); 상기 패널폼앵글(3) 및 상기 높이조절구의 수직부(C)와 웨지핀 체결되는 핀홀(71)이 형성된 상부의 접합부(E)와 하부의 틈새막이앵글고정부(F)로 이루어지는 하부수평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조립되는 거푸집이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806221호에는 압출 성형한 금속 판체로 이루어지고 세워진 상태로 복수개가 평면의 배열로 위치하여 내벽 또는 외벽면에 대응하는 분할된 성형면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판넬폼들;상기 분할된 성형면 사이사이를 관통하는 자세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플랫타이;상기 각 판넬폼의 어느 한 면에 고정되며 상기 각 성형면 사이를 관통하는 플랫타이의 단부를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홈부를 갖는 고정브라켓트;상기 각 플랫타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고정브라켓트를 관통하여 이 고정브라켓트의 홈부측에 상기 플랫타이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기 위한 핀부재들;을 포함하는 벽체 거푸집 어셈블리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743841호에는 일표면이 매끄러운 판형상의 거푸집널부;와, 상기 거푸집널부 일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일측의 결속리브;와,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에 대응하도록 거푸집널부 타단부에서 거푸집널부 타표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외부면에는 상기 일측의 결속리브의 결속돌기에 대응하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내부면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타 측의 결속리브;로 구분되는 거푸집판; 및,상기 거푸집판의 거푸집널부와 평행하며 거푸집널부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은 길이를 갖는 판형상의 보강널부;와, 상기 보강널부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결속단부;로 구분되는 보강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판의 결속리브의 내부면과 상기 보강판의 결속단부의 외부면이 맞물려 결속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결속홈 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거푸집판의 결속리브 사이에 보강판의 결속단부가 맞물려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거푸집패널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벽체 거푸집은 합판, 수평, 수직 띠장 및 경사버팀대 등으로 설치하게 되며 스라브거푸집은 상부 합판면에 장선, 멍애 등의 하부각재를 사용하여 설치하게 됨으로 작업인력 과잉투입으로 인한 노무관계의 문제발생과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고,
자재 및 시공품질저하로 부실시공을 초래하게 됨과 아울러 거푸집설치시간을 많이 요하게 되어 공기의 차질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숙련공만이 거푸집설치작업이 가능하여 숙련된 목공의 인력부족으로 공사에 많은 애로가 따르게 되고, 또한 거푸집설치부속품의 과다로 거푸집설치 및 해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불안전하여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히, 금속재질인 철제나 알루미늄 재질의 거푸집 설치나 해체시 금속끼리 부딪치는 소음이 환경법의 기준치를 넘어 환경공해를 일으키는바,
간단한 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하거나 해체함으로서, 금속재질인 철제나 알루미늄 재질의 거푸집 설치나 해체시 금속끼리 부딪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8-20853호 및 제10-2009-69886호, 고안의 명칭;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중 일부 부품 및 거푸집결합 및 해체장치의 상판 상하강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서,
힌지식으로 수축팽창이 가능하여 데스크빔 사이에 넣어 데스크빔, 연결바등을 고정하는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재질인 철제나 알루미늄 재질의 거푸집 설치나 해체시 금속끼리 부딪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소음공해를 최소화하였으며,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거푸집설치 및 해체작업이 가능하여 숙련된 목공의 인력부족으로 공사에 많은 애로를 감소시켰고,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작업이 간단하여 안전사고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의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사이에 위치되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로 구비된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에 삽입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되는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에 삽입고정되는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로 구성된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판넬(1)의 연결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데스크빔(100)의 중간 일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에 상부판넬(1)을 안치하여 설치하되 여러 개의 데스크빔(100)의 설치로 전후로 원하는 위치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데스크빔(100)의 연결은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상부에 안치되는 연결바에 의해 이웃하는 데스크빔(100)을 연결하되, 다수개의 연결바에 의해 원하는 위치까지 좌우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며,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통공(102)과 인서트핀브라케트(30)를 관통하여 설치된 인서트핀고정부 및 상판상하강장치와 데스크빔 고정장치에 의해 결합 및 해체하며,
본 고안의 데스크빔(100)사이에 설치된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및 상판상 하강장치에 서포터(지지대)와, 하강장치를 함께 설치하여 종래의 별도로 독립되어 구비된 서포터와 상하강장치를 하나의 장치에 설치하여 부피를 축소시켰다.
장볼트(380)를 나사식으로 회전시키면, 상판상하강장치 상부데스크(400)는 움직이지 않고, 장볼트(380)의 일측이 나사식으로 고정된 상하강장치브라케트(30)에 영향을 미쳐 상하강장치브라케트(30)가 고정된 데스크빔(100)이 하강시키며, 데스크빔(100)에 결착된 상부판넬(1)이 함께 하강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기타, 금속재질의 거푸집 결합 및 해체는 부품의 통공에 볼트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거푸집 결합된 상태도, 도2 본 고안의 거푸집 상판하강 상태도, 도3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 및 데스크빔고정부 결합된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가 데스크빔에 결합된 상세도, 도5 도4의 분해 상세도, 도6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 결합 상세도, 도7 도6의 분해 상세도, 도8 본 고안의 데스크빔고정부가 데스크빔에 결합된 상세도, 도9 도9의 분해 상세도, 도10 고안의 데스크빔고정부 상세도, 도11 도10의 분해 상세도, 도12 본 고안의 데스크빔 상세도, 도13 본 고안의 연결바 상세도, 도14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상세도, 도15 본 고안의 거푸집 연결바에 사용되는 연결볼트 상세도, 도16 본 고안 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사용 상태도, 도17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사용후 분해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상부판넬(1), 벽체판넬(2), 상판상하강장치(3), 연결바(5),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 브라케트고정판체(31), 브라케트고정통공(32), 브라케트판체고정통공(33),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34-1),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상부홈(34-2), 장볼트관통브라케트중앙홈(34-3), 장볼트관통브라케트고정통공 및 고정볼트(34-10), 브라케트판체고정나사(35),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 장볼트고정나사(37), 연결바통공(51), 연결바고정볼트(52), 데스크빔(100), 데스크빔상부(101),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 데스크빔하부(120),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 서포터(440), 데스크빔고정장치(500), 데스크빔고정제1부(510),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바(512),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우측지지대(513),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좌측하부(515),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 데스크빔고정제2부(550),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 데스크빔고정부고리(552),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좌우연장바(553),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하부(554),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우측하부(555),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는 양측면에 형성된 벽체판넬(2)과, 상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벽체판넬(2)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판넬(1)과, 상기 상부판넬(1)을 고정하는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 및 하부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가 구비되며, 일측이 하부로 갈수록 연장된 데스크빔(100)과,
상기 데스크빔(100)과 다른 데스크빔(1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부(콘크리트몰탈)를 지지하며, 상부는 데스크빔(100)구조와 동일한 역삼각형으로 절단된 형상인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와,
상기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에 하부에 설치되는 상판상하강장치(3) 및 데스크빔고정장치(500)와, 상기 데스크빔(100)의 하부 끝단부에 구비된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상부와 이웃에 설치된 다른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상부에 안치되어 데스크빔(100)을 연결하는 연결바(5)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5)에는 연결바통공(5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통공(51)에 연결바고정볼트(52)를 삽입시켜 데스크빔(100)에 고정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상부판넬(1)을 연결하는 데스크빔(100)은 상부는 막혀있으며,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공간부가 형성된 "
Figure 112009055351349-utm00001
" 형상이며,
양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데스크빔상부(101)와, 중간 일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부판넬(1)을 지지하는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와, 하부는 상부보다 굵기가 적으며, 하부끝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가 구비된 데스크빔하부(120)와, 상기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상부에 안치되어 데스크빔(100)을 연결하는 연결바(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상하강장치(3)는 도3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빔(100)및 상판을 상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부는 데스크빔(100)구조와 동일한 역삼각형으로 절단된 형상인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와, 상기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형상의 브라케트고정판체(31)와, 상기 브라케트고정판체(31)의 중앙 일측에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가 삽입고정되는 4각형상의 브라케트고정통공(32)과, 일측 중앙에 설치되는 브라케트판체고정통공(33)과, 상부에 설치된 데스크빔(100)의 내측 중앙에 세로로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부에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이 구비된 두개의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와,
상기 브라케트판체고정통공(33)과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의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에 삽입 고정되는 브라케트판체고정나사(35)와,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를 관통하여 설치된 장볼트(38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데스크빔(100)의 내측 중앙에 세로로 고정되는 다른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의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에 삽입 고정되는 장볼트고정나사(37)로 구성되며,
상기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는 두개의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34-1)가 측면에 상하로 설치된 두개의 장볼트관통브라케트고정통공 및 고정볼트(34-10)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부 일측 양측면에 4각형상의 브라케트고정통공(32)에 삽입되는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상부홈(34-2)과, 내부에는 장볼트(380)가 삽입 고정되어 회전되는 장볼트관통브라케트중앙홈(34-3)으로 구성된 구조인 것이다.
상기 데스크빔고정장치(500)는 도3,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5)와, 데스크빔(100) 및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의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사이에 위치되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로 구비된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에 삽입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되는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에 삽입고정되는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데스크빔 고정제1판재(511)와, 우측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를 고정하는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바(512)와, 우측하부 끝단부에 설치된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우측지지대(513)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좌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좌측하부(515)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우측상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중앙 상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으로 구성되며,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는 한개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사이에 삽입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상부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부고리(552)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좌측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좌우연장바(553)와, 상기 좌측 끝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하부(554)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 우측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연장된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우측하부(555)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중앙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과,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우측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1. 먼저 도1과 같이, 결합 및 설치시에는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두개의 벽체판넬(2)을 설치한 다음, 두개의 벽체판넬(2)사이에 데스크빔(100)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다수개 설치하고,
2. 상기 데스크빔(100)의 측면의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사이에 상부판넬(1)을 설치하되,
3. 상기 데스크빔(100)의 연결은 다른 데스크빔(100)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연결하되, 그사이에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를 위치시키고 연결바(5)를 이용하여 일측은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에 다른 일측은 다른 데스크빔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양측면 상부에 연결바(5)를 안치하여 연결바통공(51)에 연결바고정볼트(52)를 삽입시켜 데스크빔(100)의 양측면을 연결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데스크빔(100)을 원하는 길이까지 연결함과,
4. 동시에, 데스크빔(100) 하부에 상판상하강장치(3)를 설치하되, 상판상하강장치(3)의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의 설치는 도2 및 도6과 같이 설치하며,
데스크빔(100)의 내측 중앙에 세로로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부에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이 구비된 두개의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를 설치하고,
데스크빔(100)의 하부에 브라케트고정판체(31)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는 브라케트판체고정통공(33)과 상부에 설치된 데스크빔(100)의 내측 중앙에 세로로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부에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이 구비된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에 브라케트판체고정나사(35)를 삽입 고정시키고,
브라케트고정판체(31)의 중앙 일측의 4각형상의 브라케트고정통공(32)에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를 삽입고정시킨 다음, 고정된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를 관통하여 장볼트(380)를 설치하되,
상기 데스크빔(100)의 내측 중앙에 세로로 고정되는 다른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의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에 장볼트(380)의 상부에 설치된 장볼트고정나사(37)로 고정 설치한 다음,
5. 데스크빔(100)의 하부이며, 상기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 일측에 데스크빔(100)과, 연결바(5)와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를 연결시키는 데스크빔고정장치(500)를 설치하되,(도2 및 도8참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에 삽입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되는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를 이용 축소시켜, 데스크빔(100)의 하부에 삽입한 다음, 일정간격 조정하여 위치시킨 다음,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를 이용 확대시켜, 데스크빔(100)사이를 견고히 고정시킨 다음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에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를 삽입시켜 고정시킨 후에,
6. 상기 데스크빔(100)과 다른 데스크빔(100) 사이의 공간에는 서포터(440)를 위치시키되, 상부는 데스크빔(100)구조와 동일한 역삼각형으로 절단된 형상인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의 하부에 서포터(440)를 바닥까지 설치하여 데스크빔(100)의 상부에 콘크리트몰탈의 하중을 견디게 하고(도16참조), 필요에 따라 서포터(440)의 하단부에 잭(미도시)을 설치하여 높이를 수평으로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데스크빔(100)을 연결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데스크빔(100)에 인서트핀체결장치의 설치한 다음, 철근과 콘크리트몰탈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 상부에 천정 또는 상부칸막이를 시공한 다음,
해체는 콘크리트몰탈 시공후 일정기간 지나 양생이 완료되면,
1. 먼저, 데스크빔(100)과 다른 데스크빔(100) 사이의 공간에는 서포터(440)를 해체하고,(도17참조)
2. 데스크빔(100)의 하부에 설치된 상판상하강장치(3)의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에 설치된 외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장볼트(380)를 회전시키면,
3. 장볼트(380)의 상부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는 움직이지 않고, 장볼트(380)가 관통된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가 설치되며, 데스크빔(100)에 고정된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가 데스크빔(100)과 함께 하강되고, 데스크빔(100)에 연결된 상판(1) 전체가 함께 하강되며, 일정높이로 하강하면, 데스크빔(100)과 상부판넬(1) 을 분리하고,
4. 장볼트(380)와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해체하고,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 통하여, 장볼트(380)를 역으로 회전시켜 해체)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에 브라케트고정판체(31)의 브라케트고정통공(32)에 삽입된 브라케트판체고정나사(35)를 분리시켜,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와 브라케트고정판체(31)를 풀어 해체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으로 동일한 장치를 해제하는 것이다.
5. 데스크빔(100)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에 다른 일측은 다른 데스크빔 의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의 양측면 상부에 연결된 연결바(5)는 연결바통공(51)에 연결바고정볼트(52)를 풀어 해체한 다음, (연결바(5)를 제거하여)
데스크빔(100)의 하부이며, 상기 상판상하강장치브라케트(30)일측에 데스크빔(100)과 연결바(5)와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를 연결시키는 데스크빔고정장치(500)를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해체 한 후에,
데스크빔(100)을 각각 해체하며, 이러한 방법을 반복한 다음, 양측 벽면판넬(2)로 해체하는 것이다.
도1 본 고안의 거푸집 결합된 상태도
도2 본 고안의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하강 상태도
도3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 및 데스크빔고정부 결합된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가 데스크빔에 결합된 상세도
도5 도4의 분해 상세도
도6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 결합 상세도
도7 도6의 분해 상세도
도8 본 고안의 데스크빔고정장치가 데스크빔에 결합된 상세도
도9 도9의 분해 상세도
도10 본 고안의 데스크빔고정부 상세도
도11 도10의 분해 상세도
도12 본 고안의 데스크빔 상세도
도13 본 고안의 연결바 상세도
도14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상세도
도15 본 고안의 거푸집 연결바에 사용되는 연결볼트 상세도
도16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사용 상태도
도17 본 고안의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 사용후 분해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상부판넬(1), 벽체판넬(2), 상판상하강장치(3), 연결바(5), 상판상하강장치 브라케트(30), 브라케트고정판체(31), 브라케트고정통공(32), 브라케트판체고정통공(33), 장볼트관통브라케트(34),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34-1), 장볼트관통브라케트몸체상부홈(34-2), 장볼트관통브라케트중앙홈(34-3), 장볼트관통브라케트고정통공 및 고정볼트(34-10), 브라케트판체고정나사(35), 브라케트고정세로바(36), 브라케트고정세로바통공(36-1), 장볼트고정나사(37), 연결바통공(51), 연결바고정볼트(52), 데스크빔(100), 데스크빔상부(101), 상부판넬고정돌출부(110), 데스크빔하부(120), 데스크빔하부돌출부(130), 상판상하강장치상부데스크(400), 서포터(440), 데스크빔고정장치(500), 데스크빔고정제1부(510),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바(512),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우측지지대(513),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좌측하부(515),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 데스크빔고정제2부(550),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 데스크빔고정부고리(552),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좌우연장바(553),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하부(554),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우측하부(555),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

Claims (3)

  1.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에 있어서,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의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 사이에 위치되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로 구비된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에 삽입고정되어 힌지식으로 작동되는 데스크빔고정힌지나사(590)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과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에 삽입고정되는 데스크빔고정편심나사(5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빔고정제1부(51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와, 우측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를 고정하는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바(512)와, 우측하부 끝단부에 설치된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우측지지대(513)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좌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데스크빔고정제1판재좌측하부(515)와,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의 우측상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 데스크빔고정제1판재힌지삽입통공(517)과, 중앙 상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 데스크빔고정제1판재고정편심통공(5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부(550)는 한개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데스크빔고정제1판재(511)사이에 삽입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상부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부고리(552)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좌측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좌우연장바(553)와, 상기 좌측 끝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좌측하부(554)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 우측하부에 설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연장된 데스크빔고정제2판재우측하부(555)와,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중앙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힌지삽입통공(557)과, 상기 데스크빔고정제2판재(551)의 우측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데스크빔고정제2판재고정편심통공(55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
KR20090011816U 2009-09-09 2009-09-09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816U KR200447082Y1 (ko) 2009-09-09 2009-09-09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816U KR200447082Y1 (ko) 2009-09-09 2009-09-09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82Y1 true KR200447082Y1 (ko) 2009-12-23

Family

ID=4612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8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082Y1 (ko) 2009-09-09 2009-09-09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8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435A (ja) 1998-03-03 1999-09-14 Chuo Build Industry Co Ltd 挟持具
KR20020047071A (ko) * 2002-05-11 2002-06-21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장치.
KR200352524Y1 (ko) 2004-03-20 2004-06-05 이지현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 브래킷
KR20070103528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435A (ja) 1998-03-03 1999-09-14 Chuo Build Industry Co Ltd 挟持具
KR20020047071A (ko) * 2002-05-11 2002-06-21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장치.
KR200352524Y1 (ko) 2004-03-20 2004-06-05 이지현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 브래킷
KR20070103528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보미엔지니어링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20504Y1 (ko) 거푸집 지지장치
JP7365518B1 (ja) パネル支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構造
KR200447082Y1 (ko) 거푸집 데스크빔 고정장치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439291Y1 (ko) 벽체 거푸집과 데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
KR200448791Y1 (ko) 거푸집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
KR101880854B1 (ko) 훼손 없이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의 시공방법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448795Y1 (ko) 거푸집 드럽헤드
KR20110012245A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의 상판상하강장치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9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