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7947Y1 -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 Google Patents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947Y1
KR200347947Y1 KR20-2004-0001978U KR20040001978U KR200347947Y1 KR 200347947 Y1 KR200347947 Y1 KR 200347947Y1 KR 20040001978 U KR20040001978 U KR 20040001978U KR 200347947 Y1 KR200347947 Y1 KR 200347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ecording
ring
rington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최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식 filed Critical 최성식
Priority to KR20-2004-0001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9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가 걸려올 시 기존 전화기의 벨소리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벨소리를 녹음하여 녹음된 전화벨소리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녹음, 재생/정지 및 벨소리지정을 위한 스위치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스위치버튼이 조작된 후 벨소리로 녹음하고자 하는 녹음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입력받아 벨소리로 녹음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녹음된 벨소리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벨소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벨소리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전화벨 제작장치;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ㆍ무선전화기; 및 상기 유ㆍ무선전화기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sound of the bell using a record process}
본 고안은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화기에 적용되어 전화가 걸려올 시 기존 전화기의 벨소리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벨소리를 녹음하여 녹음된 전화벨소리를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착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링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호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임의로 설정된 벨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전화벨 소리는 상기 전화기를 제조하는 제조사에서 이미 선택한 후 지정하여 상기 전화기에 내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화기는 상기 지정된 벨 소리만을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과는 무관하게 제조사에서 정해준 전화벨 소리만을 일방적으로 들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화가 걸려올 시 기존 전화기의 벨소리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벨소리를 녹음하여 녹음된 전화벨소리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도,
도 2 는 도 1 의 전화벨 제작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전화벨 제작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ㆍ무선전화기 20 : 연결케이블
30 : 전화벨 제작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은, 녹음, 재생/정지 및 벨소리지정을 위한 스위치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스위치버튼이 조작된 후 벨소리로 녹음하고자 하는 녹음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입력받아 벨소리로 녹음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녹음된 벨소리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벨소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벨소리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전화벨 제작장치;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ㆍ무선전화기; 및 상기 유ㆍ무선전화기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링신호를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핸드폰, 컴퓨터, MP3장치, MD기, 오디오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된 음악정보를 외부로 출력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 상기 링신호감지부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되면 유ㆍ무선전화기에서 울리는 전화벨소리에 대한 주파수 영역을 제거하는 벨소리 제거부; 상기 유ㆍ무선 전화기에 마련된 버튼키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번호를 감지하는 DTMF톤 감지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를 감지한 후 유ㆍ무선전화기를 통해 후크 오프신호를 감지하는 후크오프 감지부; 상기 후크오프 감지부를 통해 후크 오프신호가 감지되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신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거쳐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녹음하는 한편,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녹음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부; 녹음을 위한 녹음스위치버튼, 녹음된 벨소리를 재생시키거나정지시키기 위한 재생/정지버튼, 벨소리로의 지정을 위한 벨소시지정버튼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녹음부를 통해 녹음된 음악정보 및 녹음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벨소리를 지정받아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국선 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신호에 반응하여 해당 전화벨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해당 전화벨소리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벨소리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음부는, ARS장비를 이용하여 700 서비스를 통해 벨소리를 다운받아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음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람의 목소리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와 혼합하여 녹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본 고안은 누구나 쉽게 전화벨소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전화벨 제작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 은 전화벨 제작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은 벨소리로 녹음하고자 하는 녹음정보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입력받아 벨소리로 녹음되도록 하고 녹음된 벨소리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벨소리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전화벨 제작장치(30)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와 연결되어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를 거쳐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ㆍ무선전화기(10)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 및 유ㆍ무선전화기(10)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기기는 핸드폰, 컴퓨터, MP3장치, MD기, 오디오 등을 포함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는 외형상 국선 전화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제 1 커넥터(1), 전화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커넥터(2),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 3 커넥터(3), 전원공급을 위한 제 4 커넥터(4), 녹음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5), 녹음을 위한 녹음스위치버튼(6), 녹음된 벨소리의 재생/정지를 위한 재생/정지버튼(7),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지정하기 위한 벨소리지정버튼(8), 지정된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두 개의 스피커(9)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 커넥터에는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면, 전화망)와 연결된 국선 전화라인과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기존의 전화기의 커넥터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제 3 커넥터는 외부기기(예를 들면, 핸드폰, 컴퓨터, MP3장치, MD기, 오디오 등과 같은)의 커넥터와 연결이 이루어지며, 제 4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과 연결된다.
상기 녹음버튼(6)은 녹음을 위한 기능이 기 프로그램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게 되면 제 3 커넥터(3)에 연결된 외부기기 또는 마이크(5)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벨소리 제작을 위한 녹음정보 및 음악정보를 녹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재생/정지버튼(7)은 녹음된 벨소리를 재생/정지시키기 위한 기능이 기 프로그램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게 되면 녹음된 벨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벨소리지정버튼(8)은 녹음된 벨소리 중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기 프로그램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게 되면 선택된 벨소리로 전화벨로 지정되게 된다.
이때,상기 녹음버튼을 선택하여 녹음을 하는 방식은 첫째, 사람의 대화 및 한사람의 목소리를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에 마련된 마이크(3)를 통해 녹음할 경우, 그 내용을 다시 음악소리와 혼합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녹음소리는 그대로 전달되며 오디오소리는 1/2크기의 DB로 미리 등록되어진 배경음악이 함께 외부로 전달되게 되나, 배경음악을 혼합(Mix)하지 않을 수도 있다.
두 번째, 전화를 핸드폰으로 걸 때 상대방의 컬러링 소리를 저장하여 벨소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세 번째, ARS장비를 이용하여 700 서비스에 접속하여 벨소리를 다운받을 수도 있다. 다만, 이전에 통신 프로토콜이 정의되어진 벨소리를 청취하면서 저장을 원할 경우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의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된다.
네 번째, 컴퓨터, MP3장치기, MD기, 오디오 등과 같은 기타 외부기기의 사운드 출력단자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31)를 이용하여 전화벨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이는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의 인터페이스부(31)에 유선 케이블을 연결하여 원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벨소리로 저장을 하고 싶을 경우 녹음버튼(6)을 눌러주면 자동으로 벨소리가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된다.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의 내부 구성은 인터페이스부(31), 링신호감지부(32), 벨소리 제거부(33), DTMF톤 감지부(34), 후크 오프 감지부(35), 스위칭부(36), 녹음부(37), 키입력부(38), 중앙처리장치(39), 데이터저장부(40) 및 벨소리 출력부(4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1)는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면, 전화망)를 통해 수신된 링신호를 중앙처리장치(39)로 출력하는 한편, 제 3 커넥터(3)와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된 음악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39)로 출력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링신호 감지부(32)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벨소리 제거부(33)는 상기 링신호 감지부(32)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되면 유ㆍ무선전화기에 울리는 전화벨소리에 대한 주파수 영역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벨소리 제거부(33)에서는 유ㆍ무선전화기에서 울리는 전화벨소리만 제거하게 되고,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에 의해 녹음된 벨소리 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벨소리가 상기 감지된 링신호에 반응하여 벨소리 출력부(41)를 통해 스피커(9)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DTMF톤 감지부(34)는 상기 유ㆍ무선전화기에 마련된 버튼키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번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감지된 번호에 따라 내선간 또는 입력된 번호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후크오프 감지부(35)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를 상기 링신호 감지부(32)에 의해 감지한 후, 유ㆍ무선전화기에 마련된 후크가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후크가 온 되어 있을 경우는 통화중을 의미하고, 후크가 오프 되어 있을 경우는 통화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스위칭부(36)는 상기 후크오프 감지부(35)를 통해 후크 오프신호가 감지되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신로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통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녹음부(37)는 제 3 커넥터(3)와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녹음버튼(6)에 의해 재생중인 음악정보를 녹음하거나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30)에 마련된 마이크(5)를 통해 입력받은 녹음정보를 녹음하여 녹음된 음악정보 및 녹음정보를 중앙처리장치(39)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녹음부(37)는 ARS장비를 이용하여 700 서비스로의 접속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따라 ARS에서 안내하는 벨소리를 다운받아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음부(37)는 상기 마이크(5)를 통해 입력받는 사람의 대화 및 한사람의 목소리를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혼합하여 녹음을 시킬 수도 있다.
상기 키입력부(38)는 녹음을 위한 녹음버튼(6), 녹음된 벨소리를 재생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재생/정지버튼(7),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로 전화벨을 울리도록 하기 위한 벨소리지정버튼(8)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상기 키입력부(38)를 통해 입력된 해당 버튼에 상응하는 녹음기능, 재생/정지기능, 벨소리지정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상기 녹음된 음악정보 및 녹음정보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 링신호 감지부(32), 벨소리 제어부(33), DTMF톤 감지부(34), 후크오프 감지부(35), 스위칭부(36), 녹음부(37), 키입력부(38), 데이터 저장부(40), 벨소리 출력부(41) 등의 기능을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벨소리지정버튼(8)을 선택하여 지정된 전화 벨소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국선 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벨소리 출력부(41)는 상기 중앙처리장치(39)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해당 전화벨소리를 두 개의 스피커(9)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벨소리를 직접 녹음하기 위해 마련된 마이크(5)를 통해 녹음정보(예를 들면, 목소리 등과 같은)를 입력받거나 제 3 커넥터(3)와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이때, 입력받는 녹음정보 및 음악정보는 사용자로부터 녹음버튼(6)이 눌러진 상태에서 입력받게 된다.
상기 마이크(5)를 통해 입력받는 녹음정보와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혼합하여 녹음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마이크(5)를 통해 입력된 사람의 대화 및 한사람의 목소리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와 혼합하여 녹음이 시작된다. 이때, 오디오소리는 1/2크기의 DB로 미리 등록되어진 배경음악이 함께 외부로 전달되게 되나 배경음악을 혼합(Mix)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상기 입력받은 녹음정보 및 음악정보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 및 관리한다(S102).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녹음정보 및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녹음된 벨소리 중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로의 지정을 위해 벨소리지정버튼(8)을 입력받아 전화벨소리를 지정한다(S104).
이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상기 S106 단계의 판단결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S106 단계의 판단결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9)는 감지된 링신호에 반응하여 유ㆍ무선전화기(10)의 전화벨소리를 차단시키고 지정된 벨소리를 스피커(9)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108).
이렇게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전화벨소리를 만들어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화벨소리를 울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가 걸려올 시 기존 전화기의 벨소리를 차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벨소리를 녹음하여 녹음된 전화벨소리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화벨소리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울릴 수 있도록 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녹음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어떤 환경에서도 전화벨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녹음, 재생/정지 및 벨소리지정을 위한 스위치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스위치버튼이 조작된 후 벨소리로 녹음하고자 하는 녹음정보를 마이크를 통해입력받거나 또는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입력받아 벨소리로 녹음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녹음된 벨소리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벨소리를 지정하고 지정된 벨소리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되는 링신호에 반응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전화벨 제작장치(30);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ㆍ무선전화기(10); 및
    상기 유ㆍ무선전화기와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링신호를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핸드폰, 컴퓨터, MP3장치, MD기, 오디오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된 음악정보를 외부로 출력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31);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32);
    상기 링신호감지부를 통해 링신호가 감지되면 유ㆍ무선전화기에서 울리는 전화벨소리에 대한 주파수 영역을 제거하는 벨소리 제거부(33);
    상기 유ㆍ무선 전화기에 마련된 버튼키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번호를 감지하는 DTMF톤 감지부(34);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링신호를 감지한 후 유ㆍ무선전화기를 통해 후크 오프신호를 감지하는 후크오프 감지부(35);
    상기 후크오프 감지부를 통해 후크 오프신호가 감지되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신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36);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거쳐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녹음하는 한편, 상기 전화벨 제작장치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녹음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부(37);
    녹음을 위한 녹음스위치버튼, 녹음된 벨소리를 재생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재생/정지버튼, 벨소리로의 지정을 위한 벨소시지정버튼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38);
    상기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녹음부를 통해 녹음된 음악정보 및 녹음정보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벨소리를 지정받아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국선 라인을 통해 수신된 링신호에 반응하여 해당 전화벨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9);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해당 전화벨소리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벨소리 출력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부는,
    ARS장비를 이용하여 700 서비스를 통해 벨소리를 다운받아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람의 목소리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정보와 혼합하여 녹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KR20-2004-0001978U 2004-01-28 2004-01-28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200347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78U KR200347947Y1 (ko) 2004-01-28 2004-01-28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978U KR200347947Y1 (ko) 2004-01-28 2004-01-28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947Y1 true KR200347947Y1 (ko) 2004-04-28

Family

ID=4942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978U Expired - Lifetime KR200347947Y1 (ko) 2004-01-28 2004-01-28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9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3734C (zh) 便携式电话机
KR100445460B1 (ko) 휴대 전화
JPH10200989A (ja) イヤホン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347947Y1 (ko) 녹음방식을 이용한 전화벨 발생시스템
JP4263837B2 (ja) 携帯端末装置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100387962B1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JP2004080395A (ja) 携帯端末装置
JP3425899B2 (ja) 携帯音響機器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5020435A (ja) 拡声機能付き移動電話機、拡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242886Y1 (ko) 벨소리 변경을 위한 전화기 보조 유닛
JP3820129B2 (ja) 電話機の音量調節装置
KR200292233Y1 (ko) 전화벨 설정 장치
KR200294822Y1 (ko) 디지털 오디오기기에서의 휴대용 단말기 신호처리 장치
JP3483795B2 (ja) 携帯電話機、据置型電話機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機用子機
JP4035483B2 (ja) 電話機及び、電話機の音質制御方法
JP2003087397A (ja) 録音装置及び携帯型無線通信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3842674B2 (ja) 電子機器及び携帯電話接続切替方法
JP2007013876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220275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1069538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H0955793A (ja) 携帯電話装置
KR20000006254U (ko) 휴대용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1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0728